KR950001609B1 -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09B1
KR950001609B1 KR1019920021989A KR920021989A KR950001609B1 KR 950001609 B1 KR950001609 B1 KR 950001609B1 KR 1019920021989 A KR1019920021989 A KR 1019920021989A KR 920021989 A KR920021989 A KR 920021989A KR 950001609 B1 KR950001609 B1 KR 95000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mission means
driving
loa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05A (ko
Inventor
최정돈
천인기
송근혁
박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92002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609B1/ko
Priority to DE4339627A priority patent/DE4339627A1/de
Priority to CN93120667A priority patent/CN1040919C/zh
Priority to JP5292014A priority patent/JPH0778378A/ja
Publication of KR94001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09B1/ko
Priority to US08/667,882 priority patent/US568227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8Starting; Accelerating; Decelerating; Arrangements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drive chan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Unwinding Web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 구동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데크부 전체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데크부 전체 평면사시도.
제3도는 데크부 전체 저면사시도.
제4도는 데크부 전체 평면도.
제5도는 데크부 전체 저면도.
제6a도는 구동장치의 요부 평면도.
b도는 a도의 종단면도.
제7도는 카세트 프론트 로딩장치부의 측면도.
제8도는 테이크업 기어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플레이트 11 : 권취릴
50 : 핀치구동기구 90 : 로딩모터
91 : 제1스퍼기어 92 : 제1웜
93 : 제2스퍼기어 94 : 제2웜
95 : 작동기어 96 : 웜힐
97 : 피니언기어 98 : 핀치롤러 작동기어
98a : 대기어 98b : 소기어
100 : 작동플레이트 120 : 모드 스우치
120 : 모드 스우치 122 : 모드감지용 회전판
122 : 모드감지용 회전판 124 : 모드감지용 회로기판
126 : 모터 연결단자 127 : 신호선
127 : 신호선 129 : 고정구
130 : 테이프 카세트 프론트 로딩기구
133 : 웜휠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자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드 변환용 작동플레이트, 핀치롤러 구동기구 및 카세트 프론트 로딩용 하우징을 권취릴 일측부에 배치한 로딩모터로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하고, 핀치롤러 구동기구, 로딩기어, 각종 브레이크, 텐션조절기어, 텐션암 등을 작동 플레이트와 간단한 구조로 연계하여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경박단소(輕薄短小)화 할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로딩모터의 동력을 다수개의 기어를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설치된 캠기어에 전달하고, 캠기어의 캠곡선을 이용하여 작동플레이트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캠기어와 로딩기어 사이에 색터기어를 설치하여 로딩기어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스턴 샤프트와 접촉 회전하면서 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핀치롤러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축착된 핀치암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마우스(mouth)로부터 캡스턴 샤프트까지 회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핀치암이 캠기어의 캠곡선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많는 부품이 사용되어 제품의 원가를 증가시키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모드 변환용 작동 플레이트, 핀치롤러 구동기구 및 카세트 프론트 로딩용 하우징을 권취릴 일측부에 배치한 로딩모터로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하고, 핀치롤러 구동기구, 로딩기어, 각종 브레이크, 텐션조절기어, 텐션암 등을 작동플레이트와 간단한 구조로 연계하여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경박단소(輕薄短小)화 할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는 로딩모터화, 이 로딩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동하는 제1감속전동 수단과, 이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는 제2감속전동수단과,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프론트 로딩기구를 구동시키는 프론트 로딩용 전동수단과, 상기 제2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핀치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핀치구동부, 전동수단과,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프론트 로딩기구와 핀치구동부 및 작동 플레이트를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호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부 전체 개략 평면도이고, 제2도는 데크부 전체 평면사시도, 제3도는 데크부 전체 저면 사시도, 제4도는 데크부 전체 평면도, 제5도는 데크부 전체 저면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의 후방부에 고정된 헤드 베이스(2)에 회전 헤드드럼(3)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1)의 전방부 양측에는 공급릴(10)과 권취릴(11)이 축착되어 있으며, 회전 헤드드럼(3)의 양측부에는 로딩 안내공(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헤드드럼(3)의 일측부에는 가이드 롤러(5)와 소거 헤드(6)가 설치되고, 타측부에는 오디오 제어헤드 조립체(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딩 안내공(4)에는 경사포스트 조립체(20)가 삽입되어 로딩 안내공(4)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경사포스트 조립체(20)는 베이스(21)의 상면에 경사 포스트(22)와 가이드 롤러(23)가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 경사포스트 조립체(20)는 관절형 로딩암(24)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에 축착된 제1로딩기어(25)와 제2로딩기어(26)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릴(10)의 일축부에는 텐션 조절포스트(31)가 일단부에 고정된 텐션 조절암(30)의 타단부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오디오 제어헤드 조립체(7)의 일측부는 캡스턴 모터(40)가 설치되고, 캡스턴 모터(40)의 캡스턴 샤프트(41) 일측부에는 핀치롤러(62)가 일단부에 축착된 핀치암(60)이 축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일측부에는 테이크업 포스트(66)가 일단부에 고정된 테이크업 암(65)의 타단부가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10)측에는 공급측 메인 브레이크(80)와 공급측 소프트 브레이크(81)가 축착되어 서로 공급측 브레이크 스프링(84)으로 연결되고, 상기 권취릴(11)측에는 권취측 메인 브레이크(82)와 권취측 소프트 브레이크(83)가 축착되어 서로 권취측 브레이크 스프링(85)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 로딩 안내공(4)의 후방단부에는 경사포스트 조립체(2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이 스토퍼(27)가 각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텐션 조절암(30)에는 제1연결레버(32)와 제2연결레버(33)에 의해 텐션 밴드(34)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텐션밴드(34)가 공급릴(10)의 외주면에 감기어 있으며, 상기 텐션 조절암(30)의 일단부에는 텐션용 스프링(35)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텐션용 스프링(35)의 타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 조절암(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중계레버(36)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축(36')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 모터(40)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면에 고정되고, 캡스턴 모터(40)의 샤프트(41)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캡스턴 모터(40)의 캡스턴 샤프트(41) 하단부에는 풀리(4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러 기구(70)는 공급릴(10)과 권취릴(11) 사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있으며, 아이들러 기구(70)의 입력기어(71)에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인접하게 축착된 풀리기어(75)가 연결되고, 그 풀리기어(75)와 캡스턴 모터(40)의 캡스턴(42)의 풀리(45)가 벨트(46)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러 기구(70)의 아이들러암(74) 단부에 축착된 아이들러 기어(73)는 출력기어(72)와 맞물려 있다.
상기 핀치롤러(62)를 구동시키기 위한 핀치 구동부(50)는 캠곡선(52a)이 외주면에 형성하고 하단부에 하부 입력기어(53)가 형성된 캠원통(52)과, 상기 캠원통(52)의 회전운동에 따른 캠곡선(52a)와의 상대작동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승강통(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원통(52)과 승강통(54) 및 핀치암(60)은 베이스플레이트(1)에 고정된 동일 축(51)에 차례로 끼워져 승강통(54)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레버(55)와 핀치암(60)의 단부가 압측스프링(65)으로 연결된다.
상기 승강통(54)은 상단부에 지지레버(64)으로 형성되며 하측부에 안내돌기(56), 캠레버(57) 및 캠돌기(58)가 형성되어 캠돌기(58)가 상기 캠원통(52)의 캠곡선(52a)에 삽입되고, 안내돌기(56)가 승강통(54)의 일측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고정된 안내 및 지지구(59)의 안내홈(59a)에 삽입되며, 캠레버(57)가 안내 및 지지구(59)의 안내공(59b)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크업 포스트(66)가 일단부에 축착된 테이크업 암(65)의 타단부에는 기어부(67)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핀치구동부 전동수단의 상기 핀치롤러 작동기어(98)의 대기어(98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67)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치(67a)의 양측부에 원호 접촉부(67b)(67c)가 형성되어 핀치롤러 작동기어(98)가 회전하여 핀치롤러(62)가 로딩상태로 이동하면 테이크업 포스트(66)가 일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정지하고, 후술하는 핀치구동부 전동수단의 핀치롤러 작동기어(98)가 역회전하여 핀치롤러(62)가 언로딩 상태로 이동하면 테이크업 포스트(66)가 역으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포스트 조립체(20), 핀치롤러(62)와 테이크업 포스트(66)등과 같은 테이프 인출 및 주행 안내부품을 로딩 및 언로딩시키고 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권취릴(11) 우측부에 위치하도록 로딩 모터(90)가 설치되고, 이 로딩모터(90)의 회전력을 감속전동하는 제1감속전동수단과, 이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는 제2감속전동수단과,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프론트 로딩기구(130)를 구동시키는 프론트 로딩용 전동수단과, 상기 제2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핀치구공부(50)를 구동시키는 핀치구동부 전동수단과, 작동 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90)에 의하여 프론트 로딩기구(130)의 핀치구동부(50) 및 작동플레이트(100)를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은 로딩모터(90)의 축에 고정된 제1스퍼기어(91)와 제1웜(92)으로 구성되며, 제2감속전동수단은 상기 제1스퍼기어(91)에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93)와 제2웜(9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00)를 작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면에 축(95')으로 축착되며 상기 제2웜(94)에 맞물리는 웜훨(96)과 이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97)를 가지는 제1작동기어(95)와, 상기 작동플레이트(100)에 형성되어 제1작동기어(95)의 피니언기어(97)에 맞물리는 랙부(11)로 구성된다.
상기 핀치구동부 전동수단은 상기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의 제1작동기어(95)에 연결되는 핀치구동부 작동기어(98)와, 상기 핀치구동부(50)의 캠원통(52) 하단에 설치되어 작동기어(98)에 맞물리는 입력기어(53)로 구성된다.
상기 핀치구동부 작동기어(98)는 대, 소기어(98a)(98b)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기어(98a)가 상기 캠원통(52)의 하부 입력기어(53)에 맞물려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97)는 원주면 일부에만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기어(95)의 웜훨(96)은 상기 핀치롤러 작동기어(98)의 소기어(98b)에 맞물려 있다. 또,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120)는 제6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기어(95)의 상면에 환상요홈(95a)이 형성되고, 그 환상요홈(95a)에 모드 감지용 회전판(122)이 삽입되어 작동기어(95)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환상요홈(95a)의 상측부에는 모드 감지용 회로기판(124)이 고정구(129)에 의해 모드 스위치기판(12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드 감지용 회로기판(124)에는 동박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 감지용 회전판(122)에는 접속편이 형성되어 있는 감지용 회전판(122)이 작동기어(95)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동박 패턴과 접속편이 이루는 접속형태에 따라 각종 모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드 감지용 회로기판(124)의 일측에는 콘넥터(123)가 연결되어 있다. 125는 와셔를 보인 것이고, 127은 로딩모터(90)의 단자와 상기 모드감지용 회로기판(124)에 형성된 신호 연결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을 보인 것이며, 128은 콘넥터(123)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보인 것이다.
제6a,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드감지 및 구동부는 로딩모터(90)와, 동력 전달용 복수개의 기어와, 작동기어(95)와, 모드 스위치(120)가 모드 스위치 기판(121)에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상부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시키기 위한 포론트 로딩기구(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로딩기구(130)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양측부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ㄱ자형안내공(135)을 갖는 브래키트(134)와, 브래키트(134)에 축착되며 장공(131a)을 가지는 암기어(131)와, 동력 전달용 아이들기어(132), 전달기어(132') 및 웜훨(133)과, 상기 양측 브래키트(134)의 안내공(135)과 장공(131a)에 안내핀(136)으로 삽입되어 내측에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세트 홀더(1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로딩기구(130)의 웜훨(133)은 상기 제1웜(92)에 맞물려 있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00)은 수개의 안내장공(101)(102)(103)이 형성되어 제1안내장공(101)에는 상기 제1로딩기어(25)의 축(25')이 삽입되고, 제2안내장공(102)에는 상기 작동기어(95)의 축(95')이 삽입되며, 제3안내장공(103')에는 베이스플레이트(1)하면에 고정된 안내핀(104)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플레이트(100)는 축(25')(95')과 안내핀(104)에 안내되어 좌우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00)의 상측변 우측부에는 랙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기어(95)의 피니언기어(97)와 맞물려 있으며, 상측벽 좌측부에는 제1기어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로딩기어(25)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로딩모터(90)가 회전하면 핀치구동부(50), 작동플레이트(100) 및 프론트 로딩기구(130) 등 세가지의 기능부가 함께 작동된다.
즉, 로딩모터(90)가 회전하여 제1웜(92)과 제2웜(94)이 회전하면, 제1웜(92)에 맞물려 있는 프론트 로딩기구(130)의 웜훨(133)이 회전하여 프론트 로딩기구(130)가 구동되고, 제2웜(94)에 맞물림 작동기어(95)가 회전하여 그에 맞물린 작동플레이트(100)가 구동되며, 작동기어(95)에 맞물린 핀치롤러 작동기어(98)가 회전하여 핀치 구동부(50)가 구동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4는 캡스턴 브레이크, 47은 회로기판을 각각 보인 것이며, 99는 샤프트 지지용 부시(bush)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2도 내지 제4도와 같은 언로딩 상태에서 플레이등의 모드를 행하기 위하여 로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로딩모터(90)를 정회전시킴에 따라 제1웜(92)과 제2웜(94)이 회전하면, 제1웜(92)에 맞물려 있는 프론트 로딩기구(130)의 전달기어(133)가 회전하고, 이에따라 프론트 로딩기구(130)가 구동되어 테이프 카세트가 데크의 내부로 이송된 후 공급릴(10)과 권취릴(11)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웜(94)에 맞물린 작동기어(95)가 회전하여 그에 맞물린 작동플레이트(100)가 구동되고 작동플레이트(100)의 제2기어부(112)에 제1로딩기어(25)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로딩기어(25)와 제2로딩기어(26)가 함께 회전하여 관절형 로딩암(24)로 연결된 경사포스트 조립체(20)가 테이프를 이끌고 회전 헤드드럼(3)을 향하여 이동한다.
또, 작동기어(95)에 맞물린 핀치롤러 작동기어(98)가 회전하여 핀치구동부(50)가 구동됨으로써 핀치롤러(62)와 테이크업 포스트(66)가 각각 로딩위치로 이동하여 제1도와 같이 로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캡스턴 모터(40)의 회전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41)와 핀치롤러(62)의 마찰력으로 테이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재생, 역재생 등의 모드를 행하게 되며, 이때 공급릴(10) 또는 권취릴(11)은 아이들러 기구(70)가 캡스턴 모터(40)의 동력을 벨트(46)로 전달받아 전달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와 같은 로딩 상태에서 재생 등을 행한후 언로딩시키고자 하는 경경우에는 로딩모터(90)를 상기와 반대로 역회전시킴에 따라 제1웜(92)와 제2웜(94)이 회전하면, 제1웜(92)에 맞물려 있는 프론트 로딩기구(130)의 전달기어(133)가 회전하여 프론트 로딩기구(130)가 구동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가 데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송되어 취출된다.
그리고, 제2웜(94)에 맞물린 작동기어(95)가 회전하여 긍에 맞물린 작동플레이트(100)가 구동되고 작동플레이트(100)의 제2기어부(112)에 제1로딩기어(25)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로딩기어(25)와 제2로딩기어(26)가 함께 회전하여 관절형 로딩암(24)로 연결된 경사포스트 조립체(20)가 공급릴(10)과 권취릴(11)을 향하여 이동한다.
또, 작동기어(95)에 맞물린 핀치롤러 작동기어(98)가 회전하여 핀치구동부(50)가 구동됨으로써 핀치롤러(62)와 테이크업 포스트(66)가 각각 언로딩위치로 이동하여 제도와 같이 언로딩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로딩모터(90)로서 핀치 구동부(50), 작동플레이트(100) 및 프론트 로딩기구(130)등 세가지의 기능부를 적절한 감속비로 함께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경박단소화에 기여하고, 제품의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사포스트 조립체(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로딩기어(25)와 제2로딩기어(26)를 회전시키는 종래의 구조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캠기어와 그 캠기어의 동력을 로딩기어에 전달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플레이트(100)에 형성한 제2기어부(112)에 의하여 제1로딩기어(25)를 구동하므로 로딩기어 구동 구조가 매우 간단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는 로딩모터와, 이 로딩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동하는 제1감속전동수단과, 이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는 제2감속전동수단과,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프론트 로딩기구를 구동시키는 프론트 로딩용 전동수단과, 상기 제2감속전동수단에 연동되어 핀치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핀치구동부 전동수단과,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프론트 로딩기구와 핀치구동부 및 작동플레이트를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은 로딩모터의 축에 고정된 제1퍼스기어와 제1웜으로 구성되며, 제2감속전동수단은 상기 제1스퍼기어에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와 이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제2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전동수단은 상기 제2웜에 맞물리는 웜훨과 이 웜훨에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가지는 제1작동기어와, 작동플레이트에 형성되어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구동부 전동수단은 상기 작동플레이트 구성용 전동수단의 제1작동기어에 연결되는 핀치구동부작동기어와, 이 핀치구동부 작동기어에 맞물리는 입력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로딩용 전동수단은 상기 제1감속전동수단의 제1웜에 맞물리는 웜훨과 이 웜훨과 프론트 로딩용 암기어를 연결하는 기어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 구동을 작동기어가 모드 스우치기판에 축착되고, 상기 작동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환상요홈의 하측부에는 모드 감지용 회전판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환상요홈의 상측부에는 모드 감지용 회로기판이 모드 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모드 감지용 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콘넥터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로딩모터와 제1 및 제2감속전동수단이 모드 스위치기판에 설치되어 모드감지 및 구동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 구동용 작동기어의 피니언기어는 원주면 일부에만 기어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KR1019920021989A 1992-11-21 1992-11-21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KR95000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989A KR950001609B1 (ko) 1992-11-21 1992-11-21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DE4339627A DE4339627A1 (de) 1992-11-21 1993-11-20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orrichtung
CN93120667A CN1040919C (zh) 1992-11-21 1993-11-20 用于磁录放设备的驱动装置
JP5292014A JPH0778378A (ja) 1992-11-21 1993-11-22 磁気記録再生器の駆動装置
US08/667,882 US5682275A (en) 1992-11-21 1996-06-20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motor driving device for controlling loading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989A KR950001609B1 (ko) 1992-11-21 1992-11-21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05A KR940012305A (ko) 1994-06-23
KR950001609B1 true KR950001609B1 (ko) 1995-02-27

Family

ID=1934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989A KR950001609B1 (ko) 1992-11-21 1992-11-21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82275A (ko)
JP (1) JPH0778378A (ko)
KR (1) KR950001609B1 (ko)
CN (1) CN1040919C (ko)
DE (1) DE43396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1213A (ja) * 1982-05-19 1983-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プレコ−ダ用パルススイツチ
US4907110A (en) * 1987-01-19 1990-03-06 Canon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975793A (en) * 1987-02-26 1990-12-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mechanism for causing a length of tape to travel along a rotary head drum
JPH0743862B2 (ja) * 1987-11-10 1995-05-15 ゴールドスター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キャップスタンモーターを利用した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71584B2 (ja) * 1988-02-27 1995-01-11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20664A (ja) * 1988-06-23 1989-12-26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レコーダのスレッディング装置
US5113296A (en) * 1988-11-07 1992-05-12 Hitachi, Ltd. Mechanism for winding a tape from a tape cassette onto a rotatable cylinder of a VCR
US5093752A (en) * 1989-02-20 1992-03-03 Sony Corporation Device for moving capstan into position after tape is loaded
KR920007485Y1 (ko) * 1989-06-09 1992-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의 로딩캠을 이용한 하우징 공회전 장치
JP2727665B2 (ja) * 1989-06-21 1998-03-11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プレーヤ
JPH0369054A (ja) * 1989-08-09 1991-03-25 Toshiba Corp 駆動内容切換え装置
JP2805920B2 (ja) * 1989-12-06 1998-09-30 ソニー株式会社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プレーヤ
US5285332A (en) * 1990-09-28 1994-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loading device with reduced tape running load and simplified construction for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39627A1 (de) 1994-05-26
US5682275A (en) 1997-10-28
CN1040919C (zh) 1998-11-25
CN1090418A (zh) 1994-08-03
KR940012305A (ko) 1994-06-23
JPH0778378A (ja)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86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46351B1 (ko) 릴 구동 장치
EP0628961B1 (en) A tape tensioning mechanism
US4757398A (en) Tape withdrawing device for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160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구동장치
JPS6342335B2 (ko)
KR10018639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구동장치
KR100188074B1 (ko) 릴 및 테이프 구동부를 구비한 레코더
US5381283A (en) Tape loading apparatus
JP298631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JPH06309638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ヘッドドラム及びテープ駆動装置
KR94000687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2925848B2 (ja) 回転伝達装置
KR97000505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계 구동장치
KR940001599B1 (ko) 릴 구동장치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2612136B2 (ja) ドラム及びテープ駆動装置
JP271708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反転装置
JPH0430676Y2 (ko)
KR940007620B1 (ko)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
JP3480102B2 (ja) 巻取り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210826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61442A (ja) テ−プ記録再生装置
JPS5992465A (ja) 磁気テ−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