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37Y1 -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 Google Patents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37Y1
KR950000537Y1 KR92023172U KR920023172U KR950000537Y1 KR 950000537 Y1 KR950000537 Y1 KR 950000537Y1 KR 92023172 U KR92023172 U KR 92023172U KR 920023172 U KR920023172 U KR 920023172U KR 950000537 Y1 KR950000537 Y1 KR 950000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er
hole
moving table
rollers
dr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057U (ko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92023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537Y1/ko
Publication of KR940012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on boring machines for positioning or guiding the drill; Devices for indicating failure of drills during boring; Centering devices for holes to be bor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제1도는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스트링거에 홀을 가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을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을 도시한 일부절제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일부절제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스트링거 분리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스트링거 3a : 절곡부
3b : 플랜지부 3c : 홀
11 : 베드 12 : 이동테이블
14 : 볼베어링 15 : 리니어모터
16 : 조작반 20 : 스트링거 공급수단
21 : 링크 22 : 파워몰러(POWER MOLLER)
23 : 스그링거 가이드부재 24 : 연결부재
25 : 제 1실린더 26 : 제2실린더
27 : 스토퍼 30 : 스트링거 클램핑 수단
31 : 제1지지체 32 : 클램퍼
33 : 압압부 34 : 제3실린더
40 : 드릴유니트 41 : 셀프피더(SELF FEEDER)드릴
42 : 모터 43 : 제4실린더
44 : 조정나사 45,46 : 제2지지체
50 : 스트링거 분리수단 51, 52 : 한쌍의 구동롤러
53 : 롤러 54 : 제5실린더
55 : 푸셔 56 : 경사판
57 : 저장박스
본 고안은 항공기등에서 보강재로 사용되는 스트링거(STRINGER)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에 관한것이다.
항공기의 기체 부품으로 사용되는 보강재인 스트링거 (STRINGER : 3)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가 약 8m정도의 "ㄷ"자 형상의 절곡부(3a)와 이 절곡부 (3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3a)의 상면, 양측면, 모서리면과 플랜지부(3b)에는 각각 홀(3c)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링거에 홀을 가공하기 위한 전용기계가 종래에는 없었으므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이 가공되지 않은 스트링거(3) 위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이드홀(2)이 형성된 지그(1)를 올려놓고, 이 지그(1)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그(1)를 스트링거(3)에 위치고정 시킨 다음, 작업자가 수동으로 지그(1)에 형성된 가이드홀(3)을 통해 스프링거(3)에 드릴로 홀을 가공하였다.
따라서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공수가 많이 소용되게 되고, 지그에 형성된 가이드홀이 드릴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수시로 지그를 수리 및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많이 소요되게 되는 등의 문재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트링거에 자동으로 홀을 가공하는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드상에 이를 따라 소정 스트로크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테이블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설치되며 스트링거를 이동테이블 위로 공급하는 스트링거 공급수단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스트링거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베드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지체에 각각 소정각도로 복수개 설치되며 클램핑된 스트링거에 홀을 가공하는 드릴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드(11)를 따라 이동테이블(12)이 소정 스트로크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이동테이블(12)에는 스트링거(3)를 이동테이블(12) 위로 공급하는 스트링거 공급수단(20)과, 공급된 스트링거(3)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30)과, 클램핑된 스트링거(3)에 홀(3c)을 가공하는 드릴유니트(40)가 마련된다. 그리고 베드(11)의 일측에는 홀가공이 완료된 스트링거(3)를 이동테이블(12)로부터 분리시켜 저장박스(57)로 이동시키는 스트링거 분리수단(50)이 마련된다.
상기 이동테이블(12)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드(11)에 볼베어링(14)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리니어모터(15)에 의해 구동되며, 이동테이블(12)의 상면은 홀가공시 발생되는 칩(chip)이 흘러 내리도록 양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트링거 공급수단(20)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테이블(12)에 소정간격으로 일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링크(21)와, 상기 링크(21)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파워몰러(22)와, 상기 파워몰러(2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링거(3)의 절곡부(3a)에 삽입되어 스트링거(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형상의 가이드부재(23)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21)와 힌지결합되는 긴 판상의 연결부재(24)와, 상기 연동부재(24)에 피스톤로드(25a)가 결합되어 연결부재(24)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워몰러(22)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25)와, 이동테이블 (12)의 단부에 제2실린더(2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링거 (3)의 공급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2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링거 클램핑수단(30)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테이블(12)에 설치된 제1지지체(31)에 중간부가 힌지결합되고 일단에 스트링거(3)를 압압하는 압압부(33)가 형성된 클램퍼(32)와, 상기 클램퍼(32)의 타단에 피스톤로드 (34a)가 힌지결합되어 클램퍼(32)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제3실린더(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릴유니트(40)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릴이 고정되는 스핀들을 구동시키는 모터(42)가 일측에 설치되고, 몸체 내부에 드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설치된 셀프피더(SELF FEEDER)드릴(41)과, 이 드릴(41)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4실린더(43) 및 조정나사(4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유니트(40)는 베드(11)에 소정간격으로 한쌍설치된 "ㄷ"자 형상의 제2지지체(45)(46) 각각의 일측면에 45도 간격으로 5개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1개가 이동테이블(12)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트링거의 분리수단(50)은,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드(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스트링거 (3)의 절곡부(3a) 상하면과 접촉되어 스트링거 (3)를 이동시키는 한쌍의 구동롤러(51)(52)와, 상기 구동롤로(51)(52)에 의해 이송된 스트링거(3)가 얹혀지는 롤러(53)들과, 제5실린더(54)의 피스톤로드(54a)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53)들에 얹혀진 스트링거(3)를 밀어 롤러(53)들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셔(55)와, 상기 푸셔(55)에 의해 분리된 스트링거(3)를 저장박스(57)로 공급되는 경사판(5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A"방향으로 당기면 연결부재(24)에 힌지 결합된 복수의 링크(2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링크(21)의 타단에 설치된 파워몰러(22)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트링거(3)를 파워몰러(22)에 올려놓으면 파워몰러(22)가 조작반(16)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면서 스트링거(3)의 일단이 스토퍼(27)에 닿으면 파워몰러(22)가 정지함과 동시에 제1실린더(25)가 연결부재(24)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밀어 링크(2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워몰러(22)가 최초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가 상승하여 클램퍼(32)의 일측을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클램퍼(32)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압압부(33)가 스트링거(3)의 플랜지부(3b)를 압압하게 됨으로써 스트링거(3)를 클램핑하게 된다.
스트링거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조작반(16)의 신호에 따라 리니어모터(15)가 구동하여 이동테이블(12)을 소정스트로크씩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일측의 제2지지체(45)에 각각 설치된 셀프피더드릴(41)이 스트링거(3)의 일단에서부터 중간부까지 홀(3c)을 가공하게 되고, 타측의 제2지지체(46)에 각각 설치된 셀프피더드릴(41)이 스트링거(3)의 중간부에서부터 끝까지 홀(3c)을 가공하게 된다.
스트링거의 홀가공이 완료되면,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구동롤러(51) (52)가 구동하여 스트링거(3)를 이동테이블(12)로부터 분리시켜롤러(53)들로 이송시키게 되고, 홀가공이 완료된 스트링(3)가 이동테이블(12)로부터 분리되면 이동테이블(12)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53)들 위로 스트링거(3)가 이송되면 제5실린더(54)가 동작하여 푸셔(55)로 스트링거(3)를 밀어 롤러(53)들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분리된 스트링거(3)는 경사판(56)을 따라 저장박스(57)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스트링거의 흘가공용 NC드릴링 머시인에 의하면 스트링거에 홀을 자동으로 가공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지그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홀을 가공하던 방식에 비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베드(11)상에 이를 따라 소정 스트로크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테이블(12)과, 상기 이동테이블(12)에 설치되며 스트링거(3)를 이동테이블(12) 위로 공급하는 스트링거 공급수단(20)과, 상기 이동테이블(12)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스트링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스트링거(3)를 클램핑하는클램핑수단(30)과, 상기 베드(1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제2지지체(45)(46)에 각각 소정각도로 복수개 설치되며 클램핑된 스트링거에 홀을 가공하는 드릴유니트(40)와, 홀거공이 완료된 스트링거를 이동테이블(12)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트링거 분리수단(5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 공급수단(20)은, 이동테이블(12)에 소정간격으로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링크(21)와, 상기 링크(21)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파워몰러(22)와, 상기 파워몰러(2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링거(3)의 절곡부(30)에 삽입되어 스트링거(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21)와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24)와, 상기 연동부재(2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2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 클램핑수단을, 이동테이블(12)에 설치된 지지체(31)에 중간부가 힌지결합되고 일단에 스트링거(3)를 압압하는 압압부(33)가 형성된 클램퍼(32)와, 상기 클램퍼(32)의 타단에 피스톤 로드(34a)가 힌지 결합되어 클램퍼(32)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34)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 분리수단(50)은, 베드(11)의 일측에 이동테이블(12)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홀가공이 완료된 스트링거(3)가 얹혀지는 롤러(53)들과, 홀가공이 완료된 스트링거(3)의 절곡부(3a) 상하면과 접촉되어 스트링거(3)를 상기 롤러(53)들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구동롤러(51)(52)와, 상기 롤러(53)들에 얹혀진 스트링거(3)를 밀어 롤러(53)들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셔(55)와, 상기 푸셔(55)에 의해 분리된 스트링거(3)를 저장박스(57)로 공급하는 경사판(56)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KR92023172U 1992-11-24 1992-11-24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KR950000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172U KR950000537Y1 (ko) 1992-11-24 1992-11-24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172U KR950000537Y1 (ko) 1992-11-24 1992-11-24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57U KR940012057U (ko) 1994-06-15
KR950000537Y1 true KR950000537Y1 (ko) 1995-02-04

Family

ID=193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172U KR950000537Y1 (ko) 1992-11-24 1992-11-24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5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57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937684U (zh) 一种自动上下料激光切割设备
KR960005872B1 (ko) 압연기의 로울 보수방법 및 로울 절삭장치
CN111112449B (zh) 一种高效钣金冲压设备
CN211888631U (zh) 一种新型钣金冲压设备
KR950000537Y1 (ko) 스트링거의 홀가공용 nc 드릴링 머시인
US4728767A (en) Welding gun apparatus
JP5841215B1 (ja) 火打ち加工装置
JP3446780B2 (ja) マルチロッド型ワークピース取外し装置
JPH04183535A (ja) シリンダヘッドへの部品圧入装置
JP2727237B2 (ja) 長尺ワークの加工装置
JPS5933507B2 (ja) トランスフアマシン
KR100188752B1 (ko) 다기능 전용 공작기계의 공작물 이송장치 및 그 방법
CN113814764B (zh) 一种用于三轮车配件加工钻床的工件定位装置
JPH0420561Y2 (ko)
CN213702395U (zh) 一种升降杆组装设备
CN112496296B (zh) 一种分切装置
JPH0147245B2 (ko)
JPH054901Y2 (ko)
JPS62173154A (ja) トランスフア装置
KR960008523Y1 (ko) 금속판 절곡용 v홈가공기
KR200145728Y1 (ko)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JPS61188008A (ja) 中ぐり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2905706B2 (ja) プレス機械用のワーク移送装置
US3275792A (en) Seam welding machine
JP3200074B2 (ja) 切断機における給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