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16B1 -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16B1
KR950000416B1 KR1019920018506A KR920018506A KR950000416B1 KR 950000416 B1 KR950000416 B1 KR 950000416B1 KR 1019920018506 A KR1019920018506 A KR 1019920018506A KR 920018506 A KR920018506 A KR 920018506A KR 950000416 B1 KR950000416 B1 KR 95000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guide
printing pap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785A (ko
Inventor
권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16B1/ko
Priority to US08/129,328 priority patent/US5434658A/en
Publication of KR94000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제 1 도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착부의 측면구성을 보인 단면도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착부의 구성에 대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착부 구동상태의 측면도로
(a)는 인쇄용지의 선단이 펼쳐지는 상태도
(b)는 인쇄용지의 선단이 정착로울러부에 삽입되는 상태도
(c)는 인쇄용지가 교정로를 통과하는 상태도
제 3 도는 본 발명중 용지정착부의 감지센서와 분리조에 대한 동작 싸이클도
제 4 도는 본 발명중 크리닝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인쇄용지 정착부의 개괄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로울러 2 : 용지
3 : 가압로울러 4 : 용지가이드
5 : 용지펼침부재 7 : 분리조
8 : 배지안내로울러 9 : 배지안내판
10 : 역가압부재 11, 11A : 감지센서
12 : 솔레노이드 12a : 로드축
13 : 크리닝부재 14 : 로울러브러쉬
14a : 브러쉬모 15 : 분리편
16 : 크리닝 박스 51 : 지지리브
52 : 장홀 53 : 용지안내로울러
55, 56 : 가이드
본 발명은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쇄용지를 용지펼침부재와 클리닝 박스의 로울러브러쉬의 구동에 의하여 용지의 경제적인 사용과 정착로울러부의 사용수명 연장효과를 얻고자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착장치는 사무자동화기기내의 감광드럼위치를 인쇄용지가 지날때 감광드럼의 표면에 원고의 정보형태로 전사된 토너가 인쇄용지 표면으로 이동하는 작용을 이루고, 감광드럼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용기의 토너를 융착시키기 위하여 정착로울러부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용지에도 분말상태의 토너가 얹혀진 상태이므로 상의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선단이 평편하게 펼쳐지는 것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고, 그 상태로 정착부를 통과되게 함이 요구되었다.
상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의 구성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 하나의 방안으로는 가열로울러의 외경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이는 중간위치의 외경을 양단의 외경보다 작은지름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정착로울러부를 형성하는 방안이다.
동일축상에 외경의 규칙을 다르게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정착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인쇄용지는 정착로울러부의 닙(NIP)과의 접촉상태가 가열로울러의 면에서 불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인쇄용지의 동일 평면상에서 선팽창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되고, 선팽창률의 불균일해지는 것에 의하여는 정착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용지의 표면이 구겨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정착로울러부 앞에 설치되는 용지가이드 안내리브중 중앙부분의 리브를 좌우측의 리브보다 높게 돌출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용지의 선단이 쳐지지 않게 하거나, 용지 가이드쪽에서 용지 표면상에 얹혀진 토너의 극성과 반대되는 바이어스전압을 걸어주어 이들의 극성에 의한 인력(引力)으로 용지의 선단이 평편하게 이송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용지의 정확하고 평편하게 이송되게 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인쇄용지는 양면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므로 양면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정착후 인쇄용지의 선단이 평편하게 펼쳐져 있어야 함이 요구 된다.
그러나, 레이저빔 프린터와 탁상형 소형복사기를 포함한 사진현상기기의 정착장치에서는 제 5 도와 같이 가압로울러(2)에 접촉된 가열로울러(1)의 외경이 가압로울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고 있어서, 정착시 용지(5) 선단(X)이 제 5 도와 같이 정착로울러부의 닙(NIP)부분을 통과하면서 가열로울러(1)원주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인쇄용지의 선단(X)이 휘어지는 상태로 인쇄용지가 배지되면 인쇄용지의 양면 복사시 휘어진 용지의 선단이 사무자동화기기의 정착부와 이동로의 휘어진 용지의 선단이 사무자동화기기의 정착부와 이동로의 내부에 걸리는 원인이 되어 용지의 잼(JAM)발생과 함께 기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의 정착로울러부의 가열로울러(1)면에 접촉된 크리닝기구(3)는 가열로울러의 한 곳에서 가열 로울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고정되어 가열로울러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었고, 제거되는 이물질이 크리닝기구(3)의 하단에 쌓이게 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쌓이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 없게 때문에 그대로 방치하게 되어 쌓이는 이물질이 크리닝기구와 가열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로울러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정착장치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었고, 이러한 원인에 의하여 정착로울러부를 통과한 인쇄용지의 표면은 가열로울러의 표면손상에 의하여 지저분한 정착상태를 이루게 되어 정착성능의 저하는 물론 사무자동화기기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상에 형성된 인쇄용지를 정착로울러부에 안정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선단부분을 누르면서 양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를 정착로울러부의 닙(NIP)입구에 까지 유지되게 하고, 가열로울러 통과후에는 정착로울러부에서 눌림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가압되게 하여 인쇄용지의 선단이 구부러지는 상태를 평편한 상태로 교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정착장치의 크리닝기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크리닝 브러쉬에 의하여 가열로울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회수조에 수거하고, 크리닝 브러쉬에 묻은 이물질은 분리편에 의해 떨어지게 하여 가열로울러와 크리닝 브러쉬 표면을 항상 깨끗이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상을 형성한 인쇄용지의 선단이 용지가이드의 리브에 얹혀져 이송될때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되는 양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으며 용지가이드에서 정착로울러부의 닙입구까지 이송되어 정착로울러부로 진입하고, 정착로울러부를 통과할때 용지에 가해진 가압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가하도록 하여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의 선단이 평편한 상태를 배치되고, 가열로울러에 묻어있는 이물질은 가열로울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로울러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도록 함을 실현하기 위하여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사무자동화기기의 본체(100)내에 설치된 정착장치는 현상부와 배지부 사이에 인쇄용지의 표면상에 공급된 토너를 소정을 열로 용융시키기 위한 발열수단을 구비한 가열로울러(1)와, 용융되는 토너가 인쇄용지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로울러(3)가 면접촉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이들 로울러들의 용지 진입방향에는 인쇄용지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용지가이드(4)를 설치하고, 배출방향측에는 인쇄용지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지안내판(9)이 설치된 구성을 이룬다.
가열로울러(1)의 주변에는 가열로울러에 묻은 이물질을 브러쉬로 제거하여 가열로울러의 청결을 유지케하는 크리닝부(3)와 인쇄용지의 선단이 휘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의 휨력을 제공하는 역가압부(10)의 구성을 이룬다.
제 1 도(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착부의 측면구성을 보인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착부의 구성에 대한 평면도로서 정착부에 대한 구성을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정착장치의 용지가이드(4)는 이곳을 지나는 용지가 최소의 마찰력을 일으키며 이동될 수 있는 안내리브(41)가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용지가이드(4)의 안내리브(41)사이에는 용지의 선단을 평편하게 펼칠 수 있는 용지의 펼침부재(5)가 설치된다.
따라서, 용지가이드(4)에는 펼침부재(5)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는데 이는 지지리브(51)와 장공(52)과 용지안내로울러(53)와 암(54), 그리고 가이드(56)등으로 이루어진다
정착장치의 배지안내판(9)상부에는 인쇄용지의 휨상태에 대한 역방향으로 휨력을 제공하여 인쇄용지의 선단을 평편하게 펼치기위한 역가압부재(10)가 설치된다.
정착장치의 용지가이드(4)의 상부에는 가열로울러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부재(13)가 설치된다.
따라서, 용지 가이드(4)에는 펼침부재(5)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는데 이는 지지리브(51)와 장공(52)과 용지안내로울러(53)와 암(54), 그리고 가이드(56)등으로 이루어진다.
펼침부재(5)의 지지리브(51)는 용지가이드의 가이드 리브형성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되, 그의 높이를 안내리브(41)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로 돌출 형성하여 안내리브와 지지리브 사이에는 높이차이에 의한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홈의 위치는 정착로울러부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용지가이드(4)의 끝단에 형성되게 한다.
상기 지지리브(51)의 돌출위치는 용지 가이드(4)의 좌우측 위치에서 돌출시키며 인쇄용지의 선단을 양측 방향으로 당김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한 안내리브(41)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처럼 경사지게 형성하는 지지리브(51)는 용지가이드(4)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대칭적인 형태로 구성한다.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51)들의 측면에는 각 (★스캔)형으로 장홀(52)을 뚫어 이에 용지의 선단에 접촉을 이루어 이동하는 용지안내로울러(53)가 구성된 암(54)을 삽입하여 장홀(52)을 따라 슬라이딩을 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안내리브(41)에 뚫린 장홀(52)주변 특히 하단위치의 측면에는 가이드(56)를 돌출시켜 암(54)의 하측이동을 정지시키며 암(54)의 정지상태가 용지가이드의 경사면 및 인쇄용지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를 이루게 한다.
장홀(52)이 뚫린 지지리브(51)들 사이의 간격에는 용지안내로울러(53)가 회전가능하게 선단에 설치된 암(54)의 끝단을 삽입하여 장홀(52)을 통하여 암(54)이 이탈되지 않게 조립하면서 장홀(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한다.
따라서 암(54)은 지지리브(51)의 장홀(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인쇄용지의 이동과 가이드에 의해 지지리브(51)의 이동범위에서 90°범위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가열로울러(1)와 가압로울러(3)의 출구위치와 배지안내판(9)사이에는 구부러지는 인쇄용지의 선단을 평편한 상태로 펼치기 위한 역가압부재(10)를 설치한다.
상기 역가압부재(10)는 가압로울러(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배지안내로울러(8)와, 배지안내로울러(8)상측부에 시소오 구동되게 설치되어 인쇄용지의 통과시 배지안내로울러(8)의 외경면에 접촉하여 배지안내판(9)과 배지안내로울러(8)사이에 교정로(B)를 형성하는 분리조(7)와, 인쇄용지가 배지되는 상태 또는 인쇄진행상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받아 그 신호에 따라 로드축(12a)에 이동력이 부가되고, 인쇄완료시 또는 기기의 메인 전원 오프시에는 로드축(12a)에 부가되는 이동력이 차단되는 상태로 분리조(7)가 시소오 구동되어 교정로(B)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가압부재(10)의 배지구에 설치된 배지안내판(9)을 설치하고, 인쇄용지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1)(11A)를 상, 하에 고정한다.
그리고, 가열로울러(1)주변에 설치하는 크리닝부재(13)는 가열로울러(1)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맞물려 회전을 이루게하며 표면에 브러쉬모(14a)를 형성한 로울러브러쉬(14)와, 로울러브러쉬(14)주변을 감싸아 가열로울러(1)에서 제거되는 이물질과 로울러브러쉬에 묻은 이물질을 수거하도록 하느 크리닝박스(16)로 이루고, 로울러브러쉬(14)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크리닝박스내에 분리편(15)를 설치하여 브러쉬모(14a)가 회전시에 닿게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기본체내의 현상부를 인쇄용지가 통과할때 토너상이 인쇄용지의 표면에 전사되고, 이용지는 정착로울러부측으로 이송된다.
현상부를 통과한 인쇄용지(2)는 용지가이드(4)의 안내리브(41)곡면을 따라서 이송되어 지지리브(51)의 장홀(52)에 조립된 암(4)과 용지안내로울러(53)사이에 인쇄용지선단이 접촉되는 것으로, 암(54)은 장홀(52)의 가이드(56)에 의해 수직한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는 암(54)선단의 용지안내로울러(53)가 안내리브(4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있어 안내리브(4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용지의 선단은 자연적 암(54)의 선단과 용지안내로울러(53)사이에 끼워지게 된다.(제 1 도)
따라서 암(54)은 인쇄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인쇄용지의 선단이 끼워진 용지안내로울러(53)함께 장홀(52)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지가이드(4)의 끝단측으로 슬라이딩 된다.(제 2 도(a))
암(54)이 장홀(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인쇄용지의 이송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되면 용지안내로울러(53)는 안내리브(41)사이에 형성된 홈사이로 삽입되는 상태를 이룰때 암(54)선단과 용지안내로울러(53) 사이에 끼워진 인쇄용지는 안내리브(41)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되어 인쇄용지의 선단은 용지안내로울러(53) 암(54)사이에서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제 2 도(b))
이처럼 인쇄용지가 암(54)과 용지안내로울러(53)의 사이에 끼워져 이동하는 상기 과정에서 암(54)은 지지리브(51)가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일정각 θ°만큼 경사져 있으므로 암(54)이 장홀(52)의 시작단에서 장홀(52)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용지안내로울러(53)는 결국 지지리브(51)의 경사각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암(54)이 용지가이드(4)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쇄용지의 선단을 양측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상태를 이루므로 인쇄용지의 선단이 평편하게 펼쳐지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인쇄용지선단 암(54)과 용지안내로울러(53)사이에 끼워지는 거리는 약 2mm 내외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용지선단으로 부터 3mm정도 이SO에는 토너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이 일반적인 것이어서 용지안내로울러(53)에 용지의 토너상이 접촉될 염려가 없다. 이러한 용지선단펼침용 암(54)의 설치위치는 최소의 사용용지 폭보다 약간작게 설치하여 모든용지에 적용시킴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인쇄용지(2)가 이송되어 제 2 도와 같이 가열로울러(1)와 가압로울러(3)사이의 이송로(A)를 통과하게 되면 이때 인쇄용지 표면에 전달되는 열과 용지저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분말의 토너는 융착되어 인쇄용지 표면에 정착되는 작용을 이룬다.
그리고, 암(54)은 인쇄용지의 이송력으로 후방으로 넘어간 상태에서 장홀(52)의 끝단위치에 있게 되고 장홀(52)은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암(54)의 자중에 의해 장홀(52)의 시작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하면서 용지안내로울러(53)에 의한 무게 중심이동으로 암(54)은 제 2 도(c)와 같이 안내리브(4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을 이루고, 장홀(52)의 가이드(56)에 의해 회전이 정지 되면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다음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 선단과 접촉하려는 준비를 하는 것이다.
가열로울러(1)와 가압로울러(3)사이에서 토너상의 장착이 완료되고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는 압력과 열에 의해 연산되어 가열로울러(1)의 회전방향으로 이송되려한다.
그러나, 인쇄시작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분리조(7)는 시소오 구동을 하여 일측은 배지안내로울러(8)에 접촉되고 타측은 가열로울러(1)의 원주면에 근접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들의 접촉면 사이를 통과한 인쇄용지의 선단은 가열로울러(1)면에 근접한 분리조(7)의 만곡면에 닿아 가열로울러(1)측으로의 이동을 배지안내로울러(8)측으로 안내되며, 만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인쇄용지의 선단은 분리조(7)와 배지안내로울러(8)사이에 형성된 교정로(B)로 진입하게 된다.(제 2 도(a))
상기 교정로(B)는 이송로(A)의 진행방향을 하측으로 향하고 있으며 배지안내로울러(8)와 분리조(7)에 의해 작은 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과 압에 의해 가열로울러(1)측으로 휘어진 인쇄용지의 선단은 교정로(B)를 지나면서 반대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 상태로 교정로(B)를 통과하는 상태가 된다.
교정로(B)를 통과하는 인쇄용지는 그 선단이 배지안내로울러(8)를 지나면서 배지안내판(9)에 접촉할때 분리조(7)에서 받는 압력과는 반대되는 방향이면서 그 면에 경사지는 상태로 접촉을 이루어 통과할때 인쇄용지자체의 탄력에 의해 배지안내판(9)의 표면으로 돌출된 제 1 감지센서(11)의 레버를 밀어내는 작용을 이루게 되고, 상기의 작용에 의하여 솔레노이드(12)의 전원이 제어된다.(제 2 도(b))
상기 제 1 감지센서(11)를 구동시킴으로 솔레노이드(12)가 구동되면 후퇴상태의 로드축(12a)이 전진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로드축(12a)이 전진작용을 이루면 이에 연결된 분리조(7)는 시소오 구동과 같은 회전을 시계방향으로 15°범위로 하여 배지안내 로울러(8)면과의 접촉이 분리되어 교정로(B)의 간격을 넓히는 상태로 된다.(제 2 도(c)7A). 이때 분리조(7)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17)은 인장상태로되어 분리조(7)를 배지안내로울러(8)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제 1 감지센서(11)의 구동에 의하여 교정로(B)가 넓여지게 되면 인쇄용지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지안내판(9)에서 들려지는 상태를 이루어 제 1 감지센서(11)의 동작은 정지하게 되고 들려지는 인쇄용지에 의하여 제 2 감지센서(11A)를 구동 시킨다.(제 2 도(c))
상기와 같이 교정로(B)가 넓어진 상태에서 인쇄용지가 교정로(B)의 배지안내판(9)을 통과하면 솔레노이드(12)와 제 2 감지센서(11A)는 동작을 멈추게된다.
따라서 분리조(7)의 회전으로 인장된 코일 스프링(17)의 탄성력은 분리조(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지안내로울러(9)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고 새로운 인쇄용지의 선단이 진입하기를 기다린다.(제 1 도)
인쇄용지에 정착작용을 수행한 가열로울러(1)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남게 되므로 다음의 깨끗한 정착작용을 이루기 위해서 가열로울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로울러브러쉬(14)가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가열로울러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은 로울러브러쉬에 의해 크리닝작용을 이루게 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크리닝박스(16)에 수거되는 상태가 되므로 가열로울러(1)은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고, 브러쉬모(14a)에 묻은 이물질은 로울러브러쉬의 회전시 크리닝박스(16)내에 설치된 분리편(15)에 브러쉬모가 걸려 회전할때 브러쉬모에 묻은 이물질은 브러쉬모에서 떨어지는 작용을 이룬다.
또한, 브러쉬모에서 제거되는 이물질도 크리닝박스(16)에 수거되는 구성이므로 가열로울러와 로울러브러쉬의 청소상태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용지의 표면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함에 있어 인쇄용지의 선단을 정착로울러부의 닙입구까지 정확하고 평편하게 펼치는 상태로 안내하므로써 인쇄용지표면에의 주름현상을 방지하는 효과, 인쇄용지의 정착작용에 따른 용지선단의 휨현상을 휨발생의 직후 이송되는 이송경로에서 교정하는 효과, 가열로울러에 묻은 이물질을 가열로울러와 함께 회전하는 로울러브러쉬로 청소해냄과 제거되는 이물질과 브러쉬모에 묻은 이물질을 소정의 위치에 수거하여 가열로울러 표면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로 양면 복사시 인쇄용지가 이송로에서 발생되는 잼현상을 방지하여 인쇄효율이 향상 되는 이점과, 정착장치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은 물론 정착상태 즉 사무자동화기기의 정착성능이 고급화된다.

Claims (4)

  1. 토너상이 형성된 인쇄용지(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융착시키기 위한 가열로울러(1) 및 가압로울러(3)를 마주 접하게 설치하고, 이들의 로울러들 입구측에 용지가이드(4)를, 정착로울러부의 출구측에는 배지안내판(9)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4)의 안내리브(41)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인쇄용지의 선단을 용지안내로울러(53)와 지지리브(51)로 상기의 안내리브상에서 평편한 상태로 펼쳐 정착로울러부재 입구로의 유입을 안내하는 용지펼침부재(5)와 ; 정착시 인쇄용지의 선팽창으로 인쇄용지의 휘어지는 면의 반대방향으로 변형력을 분리조(7)와 배지안내로울러(9)로 가하여 평편한 상태로 펼치며 역방향의 변형력을 받은 인쇄용지에 의해 접촉되는 제 1, 제 2 감지센서에 의하여 역가입부의 교정로(B)의 간격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2)를 구비한 역가압부(10)와 ; 가열로울러(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열로울러의 표면을 청소하는 로울러브러쉬(14), 로울러 브러쉬(14)에 묻은 이물질을 떨어내는 분리편(15), 제거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공간에 상기 분리편과 로울러브러쉬를 설치하는 크리닝박스(16)로 이루어진 크리닝부(13) ;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용지펼침부재(5)는 용지가이드의 안내리브(41)선단높이보다 낮은 높이이며 용지 이송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스트로크를 갖는 장홀(52)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인쇄용지 이송시에 양측으로 당김력이 형성되게 경사각(θ°)으로 형성하며 지지리브(51)와 ; 장홀(52)의 스트로크범위에서 인쇄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이동하여 안내리브(41)의 끝단에서 자중으로 복귀하는 암(54)과 ; 암(54)의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하는 인쇄용지의 선단이 걸리며, 안내리브(41)와 지지리브(51)의 높이차에 의해 걸린 용지의 선단이 정착로울러부의 납입구에서 벗겨지게 하는 용기안내로울러(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역가압부(10)는 정착로울러부의 출구와 배지안내로울러(8)사이에 교정가능한 원호면을 가지고 설치되는 분리조(7)와 ; 제 1, 제 2 감지센서(11)(1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로드축(12a)이 출몰되는 솔레노이드(=)와 ; 이 솔레노이드의 로드축(12a)을 분리조(7)에 연결하며 동시에 코일 스크링(10)을 소정의 위치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크리닝부(13)는 이물질 수거용 크리닝박스(16)와 ; 크리닝박스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브러쉬모(14a)가 가열로울러(1)에 브러쉬모가 접촉회전되도록 하는 로울러브러쉬(14)와 ; 로울러브러쉬의 브러쉬모(14a)와 접촉되는 상태로 크리닝박스내에 고정하는 분리편(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KR1019920018506A 1992-10-08 1992-10-08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KR95000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506A KR950000416B1 (ko) 1992-10-08 1992-10-08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US08/129,328 US5434658A (en) 1992-10-08 1993-09-30 Apparatus for guiding of the entrance of copy sheets for use in electrostatic copy mach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506A KR950000416B1 (ko) 1992-10-08 1992-10-08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785A KR940009785A (ko) 1994-05-24
KR950000416B1 true KR950000416B1 (ko) 1995-01-19

Family

ID=1934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506A KR950000416B1 (ko) 1992-10-08 1992-10-08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34658A (ko)
KR (1) KR950000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7395B1 (it) * 1994-02-21 1997-02-05 Olivetti Canon Ind Spa Dispositivo di pulizia per unita' di fissaggio
KR100477681B1 (ko) * 2002-11-20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7248826B2 (en) * 2004-01-16 2007-07-24 Eastman Kodak Company Heater roller clean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fuser assembly
EP1569046A1 (en) * 2004-02-27 2005-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with a detector uni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a recording medium
JP4112518B2 (ja) * 2004-03-22 2008-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394084B2 (en) 2005-01-10 2013-03-12 Optimed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patterned plasma-mediated laser trephination of the lens capsule and three dimensional phaco-segmentation
JP4646008B2 (ja) * 2008-06-30 2011-03-09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292A (en) * 1973-05-29 1975-05-13 Xerox Corp Sleeveless pressure roll cleaner
US3980424A (en) * 1975-04-28 1976-09-14 Xerox Corporation Fuser cleaning roller
JPS565566A (en) * 1979-06-28 1981-01-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Transfer paper conveying device
US4876576A (en) * 1987-04-25 1989-10-24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for changing sheet shape before entry into fuser nip
US4843214A (en) * 1987-05-07 1989-06-27 Ricoh Company, Ltd. Heat roll type arrangement f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US4860047A (en) * 1988-05-02 1989-08-22 Xerox Corporation Fuser system utilizing a pressure web
US4859831A (en) * 1988-06-15 1989-08-22 Xerox Corporation Fuser system
US4937631A (en) * 1989-06-06 1990-06-26 Sindo Ricoh Co., Ltd. Fusing unit for a cop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785A (ko) 1994-05-24
US5434658A (en) 199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590B2 (en) Corona device grid cleaner
KR950000416B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인쇄용지 정착장치
US626317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ransfer roller and optical photoreceptor of printing device
JP2005266805A (ja) 帯電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形成装置
US5769410A (en) Lift and drive actuators for feeder CRU
US6129347A (en) Entrance guide for friction/retard feeding systems
US7660547B2 (en) Charging device
US6760554B2 (en) Drop seal actuator
US5031001A (en) Toner collect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which reduces a load acting on a collecting roller
US588413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device to increase contact area between a transfer sheet and an image carrier
JP3101946B2 (ja) 事務自動化機器の印刷用紙定着装置
EP3070033A2 (en) Sheet feeder,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er, and method of removing discharge products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2039191A1 (fr) Dispositif d'imagerie
JP4887247B2 (ja) 帯電装置
EP1431840B1 (en) Toner image transfer apparatus
JPH08137298A (ja) 転写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20100054794A1 (en) Automated cleaner for charging
KR19980015093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H08953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300806A (ja) 帯電装置
JP4569218B2 (ja) 画像形成装置
JP457261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111872A (ja) 分離装置
JP4490315B2 (ja) 加熱装置および定着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750752B2 (ja) 電子写真装置の搬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