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378B1 -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378B1
KR950000378B1 KR1019920017022A KR920017022A KR950000378B1 KR 950000378 B1 KR950000378 B1 KR 950000378B1 KR 1019920017022 A KR1019920017022 A KR 1019920017022A KR 920017022 A KR920017022 A KR 920017022A KR 950000378 B1 KR950000378 B1 KR 95000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stabilizer
molecular weight
producing method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242A (ko
Inventor
김오년
Original Assignee
김오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년 filed Critical 김오년
Priority to KR101992001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378B1/ko
Priority to JP5222432A priority patent/JPH06154735A/ja
Publication of KR94000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칭함)극세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PP원료를 사용하여 고강력을 유지하면서 의류, 스타킹 등에 유용한 PP극세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PP 섬유는 멀티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스테이플 화이바등의 중간제품으로 생산공급되어 가방용끈, 멜빵, 양말, 화학솜, 부직포, 양탄자, 인테리어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플젯얀으로 제조되어 PP 포대, 천막지, 농업용 PP 호오스, 타플린, 콘테이너백을 비롯하여 토목공사등에 사용되는 PP 매트등의 각종 사업용 자재로 실용화되고 있는 등 그 용도가 다양하지만 적외선 및 열에 약하여 란제리나 스타킹과 같은 극세사를 요하는 용도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자외선에 강할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은 의류나 스타킹등에 적합한 PP 극세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종래의 PP사는 열 안정성이 낮아 방사시에 3.5MI(Melt Index) 이상의 많은 토출량을 요하기 때문에 2 데니어 이상의 굵은 PP사만을 얻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제거하여 1데니어 이하의 PP 극세사를 제조하여 란제리 및 스타킹등에 적합한 섬세하고 인장강도가 높으며 2차 가공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없는 PP 극세사의 제조방법을 제조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자량이 40만 내지 80만인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1-10중량%의 열안정제(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250℃-350℃의 방사온도에서 토출량 3.5MI 이하로 용융방사하고 노즐 직하에서 필라멘트의 진행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냉각풍을 공급하여 냉각하여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고분자량의 PP 완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 분자배열이 치밀하여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안정제의 투입량이 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열에는 강한 내성을 가지나 시점이 발생하고 촉감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토출량이 3.5MI를 초과하면 순간 냉각이 어려우며 2데니어 이상의 굵은 필라멘트가 되기때문에 극세사를 제조하고자 하면 고연신이 필요하게 되는등 제반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온도는 열안정제의 혼입으로 일반 PP 방사시보다 높아야 하지만 350℃를 초과하면 PP가 탄화될뿐만 아니라 많은 열량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이며 250℃ 미만에서는 열안정제의 영향으로 방사가 곤란해진다.
상기한 열 안정제는 PP 원료의 분자량에 따라 그 투입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즉, 고분자량일수록 투입량을 늘려주어야 하고 PP 수지에 안정제의 투입은 250℃ 미만의 온도에서 방사직전에 투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안정제를 투입하기전에 250℃ 이상에서는 PP 수지가 타버리기 때문에 온도의 측정이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각장치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 65336호의 장치를 사용하며 냉각풍의 온도는 15℃-16℃의 청결한 공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혼합물(PP+안정제)을 용융시에는 용융압출기의 실린더, 다이스 및 헤드에 전열장치를 설치하는 직접열을 이용한 용융방법과 실린더, 다이스 및 헤드 주위에 가열 유체(다우산 유등)를 공급순환시켜서 용융시키는 간접열 이용방법이 있으나 어느것이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간접열의 이용방법에서는 안정제의 혼입량을 극히 적게하여도 열이 직접 PP 수지에 닿지 않기 때문에 효과에는 영향이 적으나 직접열의 방식보다는 많은 열량이 소모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분자량 약 70만의 폴리프로필렌 파렛트 96중량%와 안정제(상품명 ; 프로멕스) 4중량부를 2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기에 투입하여 약 2분간 교반한 다음 260℃의 압출기로 송출하여 3.0MI로 구금 직경이 0.4mm의 노즐을 통하여 용융방사하고 구금직하에서 16℃를 유지하는 냉각풍을 필라멘트진행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분사하여 냉각하고 오일링후 권취하였다. 제조된 필라멘트는 0.8데니어의 극세 섬유로서 인장강도가 높고 촉감이 매우 부드러워 란제리등의 편물용사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였다.
[비교 실시예]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고 MI를 4.0으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필라멘트를 얻었다.
제조된 필라멘트는 2.1데니어로서 촉감이 거칠고 260℃의 높은 온도의 영향으로 사절이 심하였으며 란제리, 스타킹등에 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Claims (2)

  1. 완료분자량이 40만 내지 80만인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수지에 1-10중량%의 열안정제를 혼합하여 250℃-350℃의 방사온도에서 토출량이 3.5MI(Melt Index) 이하가 되도록 용융방사하여 냉각,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안정제의 투입은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온도가 250℃ 미만으로 방사직전에 투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KR1019920017022A 1992-09-07 1992-09-18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KR95000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022A KR950000378B1 (ko) 1992-09-18 1992-09-18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JP5222432A JPH06154735A (ja) 1992-09-07 1993-09-07 浄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022A KR950000378B1 (ko) 1992-09-18 1992-09-18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242A KR940007242A (ko) 1994-04-26
KR950000378B1 true KR950000378B1 (ko) 1995-01-16

Family

ID=1933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022A KR950000378B1 (ko) 1992-09-07 1992-09-18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54735A (ko)
KR (1) KR950000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1557A (ja) * 1994-09-08 1996-03-19 Kazuyoshi Yamanishi 逆浸透膜浄水器
JP2847053B2 (ja) * 1994-11-14 1999-01-13 三星電子株式会社 浄水器の溢水防止装置
JP2016147209A (ja) * 2015-02-10 2016-08-18 株式会社ジャスト 浄水器用原水供給装置
KR20170050243A (ko) * 2015-10-30 2017-05-11 씨제이케이얼라이언스 주식회사 정수기용 원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54735A (ja) 1994-06-03
KR940007242A (ko)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10774A (en) Fibers from ethylene polymers
EP0634505B1 (en) Improved propylene polymer yar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GB2121423A (en) Hot-melt adhesive fibres
FI72350B (fi) Polyolefina fibrer med foerbaettrade vaermebindningsegenskaper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ssa
US7238313B2 (en) Thermoplastic constructs with improved softness
CN111748869A (zh) 一种生物基锦纶56为主体共混的新型锦纶材料制备工艺
KR950000378B1 (ko)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의 제조방법
US3454519A (en) Polyolefin fibers
TW202001018A (zh) 包含聚酯短纖維的織物和細紗
US3077006A (en) Production of staple fibers
JPH04209824A (ja)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00358B2 (en) Nylon based filaments, yarns, and fabrics
US4359557A (en) Process for producing low pilling textile fiber and product of the process
TWI557292B (zh) 烯烴纖維、紗、織物和薄膜之染色方法及其製品
US4098097A (en) Fabrics made from as spun untwisted yarn
JP2000136435A (ja) 耐摩耗性ポリ乳酸系繊維とその製造方法
JP4087025B2 (ja) セルロース系繊維/ポリ乳酸繊維混紡糸の製造方法
JPH0860486A (ja) 軽量保温性繊維布帛
JPWO2019131460A1 (ja) 変性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繊維
TW201918516A (zh) 聚丙烯樹脂組成物、聚丙烯樹脂成形體及聚丙烯樹脂成形體之製造方法
KR920007105B1 (ko) 해도형 복합섬유용 방사구금장치 및 초극세섬유의 제조방법
KR102264018B1 (ko) 내절단성이 향상된 고강도 복합사
KR102264020B1 (ko) 내절단성이 향상된 고강도 복합사
US3219513A (en) Crock-resistant fabric
US3527860A (en) Process for producing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