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2763A -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2763A
KR940012763A KR1019920020767A KR920020767A KR940012763A KR 940012763 A KR940012763 A KR 940012763A KR 1019920020767 A KR1019920020767 A KR 1019920020767A KR 920020767 A KR920020767 A KR 920020767A KR 940012763 A KR940012763 A KR 94001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oad
overload
vol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871B1 (ko
Inventor
석관중
Original Assignee
석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관중 filed Critical 석관중
Priority to KR101992002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871B1/ko
Publication of KR9400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산업용 모터기기·상업용 및 일반 가정용 기기에 이르는 모든 AC 인덕션 모터의 사용시에 모터의 부하변화에 따라 적절히 모터의 전원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에 의해 소모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여주고 모터의 과열 및 과부하 상태를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연장을 도모함은 물론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의 전원 조정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교류입력전원(AC)을 필터링시킨후 전원정류하여 직류전압(Vcc)를 회로의 각부에 인가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모터(5)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스위칭 작동하는 전자식 스위칭 수단과, 상기 모터(5)의 출력량을 검지하여 펄스형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부하용량의 검지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검지수단을 통해 인가된 펄스형 전압을 부하용량의 선택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 부하용량 조정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조정 수단을 거쳐 인가된 펄스형 전압을 검지하여 온/오프 제어 작동을 수행하는 최소부하 검지수단과, 상기 최소부하 검지수단으로 부터의 온(ON)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5)의 구동을 소프트하게 작동시키도록 스타트신호를 인가하는 소프트 스타트 수단과, 상기 소프트 스타트 수단으로부터 작동개시신호가 인가되면 최초의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주도록 펄스 조정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하용량 조정수단을 거쳐 모터부하의 크기에 비례한 펄스파형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식 스위칭 수단을 조정하여 모터의 부하량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펄스폭을 변환출력하는 펄스폭 변환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조정수단을 거쳐 인가된 모터(5)의 과부하 상태의 펄스 전압을 검지하여 과부하신호를 발생시키는 과부하 검지수단과, 상기 과부하 검지수단을 부터 펄스 변환 수단을 거쳐 인가된 과부하 신호에따라 소정의 설정 시간동안 모터(5)의 구동을 지연시키는 과부하시의 지연수단과, 상기 모터(5)의 작동개시 상태 및 과부하상태를 표시하여주는 전원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의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부하변화에 따라 AC전원의 폭이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

Claims (1)

  1. 외부전원단을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AC)을 AC출력소켓(4)에 결합된 모터(5)에 공급하여, 부하량과 무관하게 항상 일정 소비간격으로 모터(5)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모터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류입력전원(AC)을 필터링시킨후 전원정류하여 직류전압(Vcc)를 회로의 각부에 인가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모터(5)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스위칭 작동하는 전자식 스위칭 수단과, 상기 모터(5)의 출력량을 검지하여 펄스형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부하용량의 검지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검지수단을 통해 인가된 펄스형 전압을 부하용량의 선택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 부하용량 조정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조정 수단을 거쳐 인가된 펄스형 전압을 검지하여 온/오프 제어 작동을 수행하는 최소부하 검지수단과, 상기 최소부하 검지수단으로 부터의 온(ON)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5)의 구동을 소프트하게 작동시키도록 스타트신호를 인가하는 소프트 스타트 수단과, 상기 소프트 스타트 수단으로부터 작동개시신호가 인가되면 최초의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주도록 펄스 조정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하용량 조정수단을 거쳐 모터부하의 크기에 비례한 펄스파형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식 스위칭 수단을 조정하여 모터의 부하량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펄스폭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펄스폭 변환수단과, 상기 부하용량 조정수단을 거쳐 인가된 모터(5)의 과부하 상태의 펄스 전압을 검지하여 과부하신호를 발생시키는 과부하 검지수단과, 상기 과부하 검지수단으로 부터 펄스 변환수단을 거쳐 인가된 과부하 신호에 따라 소정의 설정 시간동안 모터(5)의 구동을 지연시키는 과부하시의 지연수단과, 상기 모터(5)의 작동개시 상태 및 과부하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전원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의 전원 조정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0767A 1992-11-06 1992-11-06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KR95000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767A KR950003871B1 (ko) 1992-11-06 1992-11-06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767A KR950003871B1 (ko) 1992-11-06 1992-11-06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763A true KR940012763A (ko) 1994-06-24
KR950003871B1 KR950003871B1 (ko) 1995-04-20

Family

ID=1934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767A KR950003871B1 (ko) 1992-11-06 1992-11-06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8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871B1 (ko) 199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625A (ko)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KR940015427A (ko) 냉동사이클 제어장치
KR910006817A (ko) 교류기의 출력 전력 제어용 조절기
KR950021481A (ko) 내부 강압전원 회로
KR920009035A (ko) 전력변환장치
KR970068110A (ko)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KR970068111A (ko) 전력변환기의 pwm 제어장치
KR940012763A (ko) 부하변화에 따른 모터전원 조정회로
KR930013919A (ko) 스위칭 전원장치의 펄스 폭 제어 회로
KR930015803A (ko) 출력 자동조절 전원회로
KR920003613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고속제어 시스템
KR930011247B1 (ko) 트라이액을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KR970024425A (ko) 전원안정화장치의 돌입전류 방지회로
JP267486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930022689A (ko) 전압 가변용 전원회로
KR970058351A (ko) 일정한 턴 오프 시간을 가진 유도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회로
KR930020851A (ko) 출력회로
KR950004673A (ko) 저전압 인가시 부하보호회로
JP2001103733A (ja) 直流電源装置
KR900002525A (ko) 유도전동기의 절전장치
KR920020539A (ko) 전원 회로
KR970028927A (ko) 전원 안정화 장치
KR960016084A (ko) 전자장치의 전압 공급방식
KR970049248A (ko) 모니터의 제로전압 스위치회로
KR960039920A (ko) 모니터의 소프트 스타팅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