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06B1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06B1
KR940011306B1 KR1019920023989A KR920023989A KR940011306B1 KR 940011306 B1 KR940011306 B1 KR 940011306B1 KR 1019920023989 A KR1019920023989 A KR 1019920023989A KR 920023989 A KR920023989 A KR 920023989A KR 940011306 B1 KR940011306 B1 KR 94001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yarn
thread
shringkage
mix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83A (ko
Inventor
김병동
백숭천
김근열
정재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2002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306B1/ko
Publication of KR94001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1단계의 공정만으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수축혼섬사는 대부분이 비등수수축율(SR)이 다른 미연신사를 제조한 다음에 합연신방식으로 연신하여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수축혼섬사 제조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높으며 많은 에너지를 요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공정도 간단하고 제품생산단가와 에너지 비용이 적은 1단계 공정으로 초고속방사법에 의한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방사하고 오일링한 후 연신, 권취하는 통상의 방법에 있어서, 오일링한 사조를 다음의 조건에 따라 연신비가 다르게 제 1 고뎃롤러와 제 2 고뎃롤러 사이에서 제 1 사조를 연신하고, 또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 사이에서 연신한 제 2 사조를 연신한 다음, 상기 2종의 사조를 교락처리한 후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
다 음
제 1 사조의 연신비 : 1~6%
제 2 사조의 연신비 : 5~10%
제 2 사조의 연신비-제 1 사조의 연신비 : 3~5%
본 발명에서 제 2 사조의 연신비를 10%보다 크게하면 절사가 많이 일어나고, 또 제 1 사조의 연신비가 6%를 넘을 경우 제 1 사조와 제 2 사조간의 연신비차가 줄어들게되어 이수축 효과의 발현이 미미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 제 2 사조의 연신비가 5% 미만일 경우도 제 1 사조와의 연신비차가 적어져서 이수축 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으며, 동시에 제 1 사조와 제 2 사조의 연신비차가 3% 미만일 경우에도 이수축효과의 발현이 잘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 1 사조와 제 2 사조간의 연신비차가 5%를 넘을 경우 이수축효과는 양호하나 공정통과성이 불량하다. 즉, 제 1 사조의 연신비와 제 2 사조의 연신비차가 크면 제 2 고뎃롤러를 가이드로 삼아서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 사이에서 제 2 사조가 연신되는 본 발명에서는 제 1 고뎃롤러와 제 2 고뎃롤러간의 연신비보다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간의 연신비가 과다하게 크게 되므로(즉, 제 3 고뎃롤러의 속도가 제 2 고뎃롤러의 속도보다 매우 크게됨) 제 2 사조가 제2 및 제 3 고뎃롤러 구간에서 과다연신될 뿐만아니라 제 2 고뎃롤러 상에서의 사조미끄러짐 현상으로 인하여 절사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에서 제 2 사조가 제 2 고뎃롤러를 가이드 삼아 연신되도록 한 이유는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 사이에서 작용하는 과다장력을 어느정도 제 2 고뎃롤러에서 완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은 제 2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의 온도를 100~200℃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만일 온도가 100℃ 미만일 경우 연신성이 불량하여 절사를 유발시키게되며 200℃를 초과하는 경우 롤러표면에 융착을 일으켜서 사가 손상을 입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효과적인 연신을 위하여 제 3 고뎃롤러의 온도를 제 2 고뎃롤러의 온도보다 높게 하여야 하는 바, 그 이유는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간의 연신비가 제 1 고뎃롤러와 제 2 고뎃롤러간의 연신비보다 크기 때문이다.
[실시예 1~6, 비교실시예 1~4]
고유점도 0.6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칩을 방사온도 295℃에서 녹여서 구금공의 직경이 0.2mm, 구금공의 수가 36개인 구금을 사용하여 토출량은 75데니어가 되도록하여 방사하고, 제 2 고뎃롤러 및 제 3 고뎃롤러의 온도 및 속도, 그리고 각각의 연신비를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였다.
[표 1]
시험편의 길이(L1)을 측정한 후 100℃의 끓는물에 30분간 열처리한 다음 건조후의 길이(L2)를 측정하여 구함.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방사하고 오일링한 후 연신, 권취하는 통상의 방법에 있어서, 오일링된 사조를 다음의 조건에 따라 연신비가 서로 다르게 제 1 고뎃롤러와 제 2 고뎃롤러 사이에서 제 1 사조를 연신하고, 또 제 1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 사이에서 제 2 사조를 연신한 다음, 상기 제 1 사조와 제 2 사조를 교락처리한 후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다 음
    제 1 사조의 연신비 : 1~6%
    제 2 사조의 연신비 : 5~10%
    제 2 사조의 연신비-제 1 사조의 연신비 : 3~5%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고뎃롤러와 제 3 고뎃롤러의 온도를 100~200℃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9920023989A 1992-12-11 1992-12-11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4001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989A KR940011306B1 (ko) 1992-12-11 1992-12-11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989A KR940011306B1 (ko) 1992-12-11 1992-12-11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83A KR940014983A (ko) 1994-07-19
KR940011306B1 true KR940011306B1 (ko) 1994-12-05

Family

ID=1934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89A KR940011306B1 (ko) 1992-12-11 1992-12-11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3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83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089B2 (ja) ポリエステルセンイノ セイゾウホウホウ
KR940011306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36267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100782633B1 (ko) 폴리아미드계 중수축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960002879B1 (ko) 고강력, 저수축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JP3244150B2 (ja) ポリエステル杢調太細糸の製造方法
KR950002806B1 (ko) 초고속방사법에 의한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100218707B1 (ko) 저수축 나일론6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880014151A (ko) 가연된 벌키성 멀티필라멘트 사(系), 이 사(系)를 제조하는 방법과 최종 사용
KR20030006773A (ko) 고수축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KR100786197B1 (ko) 고신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898397B2 (ja) 混繊糸の製造方法
US3538566A (en) Process for making crimped filaments of polyester
KR100227161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0146570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0339998B1 (ko) 폴리에스터 극세사의 제조방법
KR920008963B1 (ko) 높은 수분율을 갖는 폴리아미드사의 제조방법
JPH05272019A (ja) カバリング弾性糸の製造法
KR950004074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0160465B1 (ko) 나이론 66계 원사의 제조방법
KR900004910B1 (ko) 섬도가 불규칙한 나일론 중공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JPS6347803B2 (ko)
KR940006374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30000239B1 (ko)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사의 제조방법
JPS589164B2 (ja) ポリエステル部分配向繊維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