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782B1 -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782B1
KR940010782B1 KR1019900010528D KR9010528D KR940010782B1 KR 940010782 B1 KR940010782 B1 KR 940010782B1 KR 1019900010528 D KR1019900010528 D KR 1019900010528D KR 9010528 D KR9010528 D KR 9010528D KR 940010782 B1 KR940010782 B1 KR 94001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ood
heating chamber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528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험버토 마퀘즈 알
알버트 웨이 제임스
레멜만 지마크
Original Assignee
핫 스낵스 주식회사
에드윈 에이 헬위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 스낵스 주식회사, 에드윈 에이 헬위그 filed Critical 핫 스낵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의 제조기구, 튀김기, 마무리 기름통, 기름가열실, 제어장치등을 나타내는 내부도면.
제 2 도는 제조기구의 단면도와 함께 저장통의 전면도. 이것은 패들휘일(paddle wheel)과 플래퍼(flapper) 기구를 나타낸다.
제 3 도는 패들휘일과 저장통과 웨이트 플랫포옴(weight platform) 기구와, 웨이트 플랫포옴에 부착되고, 판매주기의 개시에 따라 제품을 방출시키는 균형추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나타내는 제조기구의 측면도이다.
제 4 도는 가열실의 구성부품의 상세도.
제 5 도는 장치의 구성품에 연결된 제어회로의 블록다이어그램.
제 6 도는 조리남비와 조리바구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통 11 : 제조기
12 : 활강로 13 : 조리바구니
14 : 조리남비 15 : 저장기
16 : 기름가열실(heating chamber) 17 : 호오스
18 : 밸브 9 : 공기압축기
20 : 호오스 21 : 제어장치(control unit)
22 : 통기밸브(vent solenoid) 23 : 호오스
24 : 통기밸브 50 : 축
51 : 링 52 : 스포우크(spoke)
53 : 분로 54 : 구멍
55 : 플래퍼(flapper) 56 : 전동기
57 : 저장실 58 : 웨이트 플랫포옴(weight platform)
59 : 힌지(hinge) 60 : 균형추(counter weight)
61 : 아암(arm) 62 : 스위치
63 : 브래킷 64 : 전자자석
65 : 구멍 66 : 브래킷
67 : 끝부분 68 : 제조기하우징
70 : 패들휘일(paddle wheel) 100 : 축
101 : 바닥을 여는 부 103 : 가열코일
104 : 기름부유기 105 : 기름온도 열전대(thermocouple)
106, 107 : 기름높이열전대 108 : 밸브
109, 110 : 모세관 밸브스위치 111 : 뚜껑
112 : 균형추 200 : CPU 카아드
201 : 인테페이스 카아드(interface card) 202 : 온도조절카아드
203 : 고체계전기 207 : 모체기판
215 : 보수모듀울(module) 216 : 동전기구
220 : 바구니전동기 222 : 뚜껑전동기
223 : 바구니위치변환기 224 : 바구니 뚜껑 변환기
230 : TRlAC 전동회로 300 : 버스(bus)
본 발명은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요구에 의해 어떤 스낵식품을 튀기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어떤 자동판매기는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음식물을 튀기고, 일단 튀김이 완성되면 그 음식물을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수요자는 돈을 집어넣고 음식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판매기는 음식을 조리하고, 그것을 수요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많은 자동판매기는 식당에서 상용의 튀김기가 하는 것과 거의 같은 방법으로 음식물을 튀긴다. 식당의 튀김기기는 조리용 기름에 잠긴 가열코일을 채용하고 있다. 조리기름은 나머지가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데도 계속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음식물은 바구니에 넣어지고, 그리고 조리를 위해 기름속으로 낮춰진다. 지정된 시간만큼 식품을 튀기고난 뒤, 식품은 옮겨져서 잉여의 기름을 빼낸다. 튀김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에서는 그 기름은 규칙적인 기준에 의해 교환된다.
다수의 조리주기 이후에 이 기름은 조리된 결과로 음식물의 맛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이 기름의 교환은 필요하다. 또한 공기에 노출되고 높은 온도로 유지된 후의 이 기름은 화학적으로 파괴되고 튀김일을 적절히 수행하는 것을 못하게 된다. 튀긴 음식을 제공하는 자동판매기는 기름의 수명에 의해 비슷하게 무리를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판매기는 빈번히 유지보수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종래기술의 자동판매기는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판매기/튀김기기의 기름을 일주일 단위로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런 형의 판매기의 과거의 제조방법은 몇가지 결점을 갖고 있었다.
때때로 이 판매기는 음식을 "반제품"으로 제조하고 튀겼다. 이 "반제품"이란 말은 미리 조리한 파스타(pasta)와 같은 음식물을 계속해서 기름에 튀기면 크래커(cracker)와 같이 단단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전술한 자동판매기의 제조기는 튀김에 적당한 양의 제품을 제조하도록 송곳이 회전하는 송곳형 기구에 의존했다. 반제품은 여러가지 모양과 형태로 나오고 송곳기구는 제조공정에서 빈번히 많은 반제품의 조각들을 부수고 잘랐다.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완전하게 형성되고 부서지지 않은 제품을 원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특징인 제조와 조리 양쪽의 기름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의 제조장치와 방법은 조리하기에 앞서 제품이 손상되지 않는 방법으로 제품을 방출한다. 또한 조리용 기름은 자동판매기 내에서 공기에의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저장되었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의 유지보수 요청 기간중에 기름에 약간의 복혼합물이 생길 뿐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독특한 조리조작은 기름을 공기의 압력을 활용하여 가열실로부터 조리남비로 밀어 넣으므로서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기름은 장기간 동안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름 가열실의 조리온도는 수요가 많은 기간에 식품이 거의 즉시에 조리되도록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 온도는 기름의 수명을 연장시키기위해 수요가 적은 기간동안에는 이에 대응하여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구체화한 기술상태의 상술한 진보는 기름의 수명을 종전기술의 대표적인 일주일로부터 2 내지 4주일간으로 연장시켰다. 이 연장된 기름의 수명은 자동판매기를 자주 유지 보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 한다.
본 발명은 종전의 기술에 비해 중요한 진보이며, 낮은 유지보수비는 판매자에게 증가된 이익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이상 음식물을 제조하고 튀기는 장치에 대해 설명했다.
본 발명의 제조부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으로부터 복수의 음식물을 퍼올리기 위한 패들휘일(paddle wheel)과 이것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와 그것이 회전하면 음식물을 제조할 수 있는 패들휘일을 압축하는 플랜제(flange)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튀김부는 판매자에 의해 결정된 어떤 수요가 적은 기간동안만을 제외하고는 조리기름을 항상 조리온도로 유지하는 기름가열실에 연결된 조리남비로 구성되어 있다. 기름가열실은 필요할때 기름을 추가하거나 빼내도록 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는 감지기와 가열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조리작업중에는 조리남비로부터 기름가열실의 낮은 부분으로 뻗어 있는 수직관을 통하여 기름의 높이가 올라가서 부착된 조리남비를넘쳐 흐르도록 기름가열실의 내부 공기압력은 증가된다. 그리하여 기름은 음식물을 저장하고 튀기는 남비안에 있는 조리용 바구니를 잠기게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식품을 제조하고 튀기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 기술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재료규격등과 같은 여러가지 특유의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이를 특유의 상세한 것은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것은 명백하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장치에는 각각이 다른 제조기(11)을 가진 4개의 저장통(10)이 있다.
소비자가 식품을 사기 위해 돈을 넣고 식품을 선택하면 제어장치(21)는 소비자가 식품선택을 한 적절한 제조기로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본 장치의 동작과 접속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제어장치(21)에 대한 본 설명을 통해 이루어질 여러가지 관련사항은 후술하겠다.
일반적으로 각 저장통은 식품의 각각 다른 맛과 그리고/ 또는 각각 다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제조기(11)이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각각의 저장통(10)은 저장통(1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활강로(12)속으로 바닥의 열린 곳을 통하여 계량된 양의 식품을 방출한다. 활강로(12)는 조리를 위해 어느 주어진 저장통으로부터 식품이 방출되었을 때 식품이 조리바구니(13)로 유도될 수 있도록 그 측면을 따라 경사져 있다. 제조할때에 조리바구니(13)은 활강로(12)밑으로, 그리고 조리남비(14)안에 놓여 있다.
조리바구니(13)의 철망뚜껑이 조리바구니(13)에 식품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올려진 위치를 나타낸 것을 주목하기 바란다. 일단 식품이 조리바구니(13)으로 들어가면, 이 뚜껑은 조리공정을 유지하기 위해 닫힌다.
제 2 도의 제조기(11)의 상세한 도면을 참조하면, 그것은 1차적으로 패들휘일(7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패들휘일(70)은 제조기 하우징(68)의 내부측면벽의 반대편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정상적인 조작에서 그것은 그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들휘일(70)은 제 2 도의, 전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패들휘일(70)은 그 중심축(50)에서 사방으로 퍼져 있는 스포우크(spoke)(52)를 갖고 있다. 스포우크(52)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축(50)에 장착된 평면 플랜지(planar flange)로 구성되어 있다. 축(50)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기하우징(68)의 전면구멍을 통해 그 한쪽끝을 삽입하므로서 제조기하우징(68)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링(ring)(51)은 축(50)을 적소에 유지하고, 축(5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면서 제조기하우징(68)의 외부구멍 주위에 부착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50)과 각 스포우크(52)는 제조기하우징(68)의 폭을 완전히 가로질러 뻗어있다. 이것은 식품이 항상 인접한 스포우크(52)의 한 쌍에 의해 가둬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접한 스포우크(52)와 제조기하우징(68)의 폭과의 사이의 간격은 패들휘일(70)의 매 회전에 의해 제조되는 식품의 계량된 양을 규정한다.
부가적인 양의 식품은 패들휘일(70)이 회전하는 때에만, 구멍(54)를 통하여 제조기구(11)로 들어간다.
다시 또 제 2 도를 참조하면, 제조기하우징(68)은 분로(shunt)(53)과 구멍(54)를 포함하고 있다. 구멍(54)는 식품이 저장통(10)으로부터 제조기(11)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열린 곳을 마련하고 있다. 이것은 패들휘일(70)이 회전할때 식품이 저장통(10)으로부터 패들휘일(70)의 통로안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제조기구(11) 역시 제조기(11)의 내부에 부착된 플래퍼(flapper)(55)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래퍼(55)는 스포우크(52)와 비슷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각 스포우크(52)의 통로에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패들휘일(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식품은 인접한 스포우크(52)에 의해 한정된 칸막이된 제조실을 채우기 위해 구멍(54)를 통해 저장통의 저장부로부터 쏟아져 내린다.
패들휘일(70)이 회전하는 동안에 식품은 패들휘일(70)의 원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 칸막이에 의해 두개의 인접하는 스포우크 사이에 담겨져 있다.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의 제조기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시험 제조조작을 생각해 보자.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조기간중 각 스포우크(52)는 개량된 양의 식품을 운반하면서 식품과 함께 회전한다. 앞서가는 스포우크(52)가 플래퍼(55)의 연장된 부분에 접촉되면 이것은 인접한 스포우크 쪽으로 힘이 뒤로 가해진다. 물론 힘의 양은 플래퍼(55)의 길이, 그의 상대적 유연성 또는 견고성 그리고 스포우크(52)의 유연성 및 견고성등에 달려 있다.
스포우크(52)는 상호 압축되기 때문에 식품은 다시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식품이 평평하다고 가정하면(이런 형의 장치에서는 식품은 전형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 압축하는 동작은 식품의 조각을 평평하게 놓도록 식품을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상층부의 각각을, 그리고 일반적으로 스포우크(52)의 인접하는 한 쌍을 거의 평평하게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 적응공정의 결과로 식품조각은 스포우크(52)로부터 방출될 때 및 구멍(65)를 통해 떨어질 때 부서지거나 깨지는 것이 예방된다. 또한 스포우크(52)의 유연성과 플래퍼(55)의 압축동작은 조리되기 이전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식품을 손상하지 않도록 한다. 플래퍼(55)가 그 자체와 인접한 스포우크에 의해 식품을 보존하고 있는 스포우크(52)를 풀어놓으면 식품은 구멍(65)를 통하여 제조기(11)의 낮은 부위에 있는 저장실(57)로 떨어진다. 그러면 손상되지 않은 식품의 계량된 분이 패들휘일(70)으로부터 저장실(57)안으로 들어간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들휘일(70)의 후부는 전동기(56)에 부착되고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기(56)은 브래킷(backet)(63)을 거쳐 저장통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전동기(56)은 축(50)에 부착되고, 축을 직접 회전시킨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들휘일(70)이 회전하면 식품은 구멍(65)를 통해 저장실(57)안으로 떨어진다. 그러면 식품은 저장실(57)의 바닥에 있는 웨이트 플랫포옴(58)에 얹혀 있게 된다. 웨이트 플랫포옴(58)은 힌지(hinge)(59)에 의해 제조기하우징(68)의 후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암(arm)(61)은 문이 열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59)에 부착되어있다. 통상 원통형추인 균형추(60)은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아암(61)의 끝에 부착되어 있다. 균형추(60)은 그 중심에 관통구멍을 갖고 있다. 아암(61)의 끝부분도 또한 관통구멍이 있기 때문에 균형추(60)은 아암(61)의 끝에 부착된다. 균형추(60)은 관통되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추(60)은 아암(61)을 따라 상하로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것은 균형추(60)의 균형작용에 의해 웨이트 플랫포옴(58)이 닫히도록 가하는 힘의 양을 조정가능하게 한다. 문에 얹혀 있는 식품의 중량이 균형추(60)에 의해 힘을 초과하면 웨이트 플랫포옴(58)은 열릴 것이기 때문에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는 특정한 식품의 중량에 따라 저장실(57)로부터 각 저장통으로 들어가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웨이트 플랫포옴(58)이 그 위에 얹혀 있는 식품의 중량에 의해 일단 열려면 저장통(11)의 후부에 부착된 전자자석(64)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열린채로 유지된다.
전자자석(64)는 아암(61)의 통로의 정점에 놓이도록 저장통(11)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하여 전자자석(64)이 작동하고, 아암(61)이 위쪽으로 올라가면 아암(61)은 그 끝부분(67)에 의해 웨이트 플랫포옴(58)을 열린채로 유지하면서 위로 유지된다.
전자자석(64)는 제어회로(21)에 의해 작동되고, 동시에 제어회로는 제조기의 전동기중의 하나를 작동시킨다, 전자자석(64)은 웨이트 플랫포옴(58)이 방출한 모든 식품이 저장실(57)에 들어갈 수 있는 짧은 시간동안 작동한다. 제조기구는 또한 브래킷(66)에 부착된 스위치(62)를 포함한다. 브래킷(66)은 제조기(11)의 후면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62)는 웨이트 플랫포옴(58)이 열렸을때 아암(61)의 통로에 놓이도록 브래킷(66)상에 놓여 있다.
스위치(62)는 웨이트 플랫포옴(58)이 열리고, 아암(6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위치(62)가 작동하도록 브래킷(66)상에 장착되어 있다.
웨이트 플랫포옴(58)상에 얹혀 있는 식품의 중량이 균형추(60)에 의해 정해진 수준에 도달하면 웨이트 플랫포옴(58)은 열린다. 이것이 열리면 스위치(62)를 당겨서 제어회로(21)(제 5 도 참조)에 신호를 보내고 제조작업이 개시된다.
전자자석(64)는 모든 식품이 저장실(57)에서 쏟아져 나올수 있도록 짧은 시간동안 웨이트 플랫포옴(58)을 열린채로 유지한다. 제어회로(21)은 조리작업을 개시한다. 이 시점에서 제조기(11)의 저장실(57)에서 쏟아져 나온 식품은 활강로(12)를 미끄러져 내려가 튀김을 할 수 있는 바구니(13)으로 채워진다.
다시 또 제 1 도를 참조하면 튀김용 조리기름은 애초에 공급 저장기(15)에 있다. 저장기(15)는 기름가열실(16)보다 기계내에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름은 공급호오스(17)을 따라 저장기(15)로부터 기름가열실(16)으로 공급된다.
공급호오스(17)은 한쪽끝이 저장기(15)의 바닥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기름가열실(16)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저장기(15)눈 기계내에서 기름가열실(1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공급은 중량에 의해 호오스(17)을 통해 저장기(15)로부터 기름가열실(16)으로 공급된다.
기름공급은 호오스(17)과 직렬로 결합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밸브(18)에 의해 호오스(17)에 의해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기름가열실(16)에는 가열된 기름이 들어 있다.
기름가열실(16)은 조리남비(14)에 기름을 공급하는 축(100)(후술하겠음)과 가열실(16)에 접속된 통기밸브(24)를 제외하고는 본래는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가열실(16)의 공기 압력이 증가하면 가열된 기름은 조리바구니(13)에 들어있는 식품을 튀기기 위해 축(100)을 통해 조리남비(14)로 흘러가게 된다.
다음에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리시에 가열실을 밀페하기 위해 전자 통기밸브(24)가 닫힌다. 통기밸브(24)는 호오스(23)을 거쳐 가열실(16)의 정상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또 제 1 도를 참조하면 가열실의 공기압력은 공기압축기(19)에 의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압축기(19)는 공기압축 호오스(20)을 거쳐서 가열실(16)의 정상에 있는 구멍을 거쳐 가열실(16)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압축기(19)는 제어장치(21)에 의해 제어된다. 가열실(16)의 공기압력의 증가는 조리작업의 첫단계이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가열실(16)은 조리남비(14)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조리남비(14)는 가열실(16)의 낮은 부분으로 뻗어 있는 속이 빈 축(100)에 그 바닥이 부착되어 있다.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조리남비(14)와 조리바구니(13)은 일반적으로 전면에서 보면 모양이 병렬로 보이지만 만약 측면에서 보면 3각형이다.
장치의 동작중에 축(100)의 바닥을 여는부(101)는 기름의 높이가 대략 기름의 높이(151)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열실(16)의 가열된 조리용 기름에 잠긴다.
기름남비(14)에 연결된 축(100)의 연결부를 제외하고는, 본래 가열실은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압축공기가 관(20)을 거쳐 가열실(16)에 주입되면 기름은 축(100)을 통하여 남비(14)로 올라간다.
제 6 도에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남비(14)와 바구니(13)의 독특한 형태는 조작중에 기름이 남비 안으로 또 밖으로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다.
기름의 높이와 온도 그리고 기계의 상태는 제어장치(21)에 의해 제어되고 감시된다. 가열실(16)의 적당한 기름의 높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지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가열실(16)이 기름으로 채워지기 전에는 가열코일(103)은 작동하지 않는다. 제어장치(21)은 밸브(18)을 열므로서 가열실(16)을 채우는 것을 시작한다.
이것은 기름을 호오스(17)을 통해 저장기(15)로부터 가열실(16)으로 흐르게 한다.
가열실내의 올라가는 기름의 높이는 최소수준 부유기(104)에 의해 탐지되고, 기름의 높이가 대략 "150"이 되었을때 작동한다.
그러면 제어장치(21)은 가열코일(103)에 전력을 흘려보낸다. 열전대(105)("TC1")에 의해 탐지된 사용자가 한정할 수 있는 온도 205℃에 기름온도가 도달할 때까지 밸브(18)은 닫히고, 가열실(16)은 채우는 일은 중지된다. 일단 가열실(16)에 있는 기름이 조리온도인 205℃로 올라가면 밸브(18)을 열므로서 약 2초동안 뿜여져 나와서 기름이 추가된다.
열전대(l06)("TC2")은 대략 기름의 높이가 가열실(16)의 기름 높이가 될때까지 뿜어나오는 것은 계속된다. TC2(106)은 정상적인 기름높이의 상태를 탐지한다. TC2(106)은 가열된 기름이 기름높이 "151"에 있는지 가열실(16)이 최적의 조작수준에 있는지를 탐지하는 것이다.
제 3의 열전대(107)(TC3)는 넘치는 상태를 탐지하는데 사용된다. 넘치는 상태는 기름이 가열실(16)을 넘쳐서 때아니게 조리남비 속으로 들어가고/ 또는 기계내부로 넘치지 않도록 점검하지 않으면 안된다.
TC3(107)은 기름높이 "151"(TC2)(106)에 의해 탐지된 위에 있고, 만약 기름높이 "152"가 2번의 연속적인 조리 주기에 도달하면, 제어장치(21)에 넘치는 것을 경보한다. TC3(107)은 기름이 가열될 때 기름의 양이 때때로 중단되는 변동에 따른 정상적인 조리주기 동안에 도달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기계에는 넘침의 경보없이 TC3이 경보를 발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유에는 밸브(108)가 가열실(16)의 적은 양의 기름이 방출될 수 있도록 잠시 열리게 된다.
그러나 만약 기름의 높이 "152"가 TC3(107)에 의해 탐지되어 20분 동안에 2번 도달하면 제어장치(21)은 가열코일(103)을 끊고 배출밸브(108)을 열고, 기계가 보수되어 다른 또하나의 조리주기를 개시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TC1(105)는 또한 온도상승 상태를 탐지한다.
만약 가열실의 온도가 이 3개의 열전대로 탐지되어 어떤 주어진 시간동안에 205℃를 넘으면 넘치는 상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장치(21)에 의해 작업중지가 개시된다. 온도상승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으로서 가열코일(103)에 대한 전력공급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모세관 밸브스위치(109)와 (110)에 의해 차단된다.
양 스위치는 통상은 닫혀 있고, 만약 기름의 온도가 주어진 높이를 초과하면 가열코일의 전력을 끊기 위해 열린다.
이것은 기계가 미리 결정된 시간만 동작하게 한다.
만약 모세관 밸브스위치(109)가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기름의 온도가 221℃를 초과한 것을 탐지하면 열리게 되고, 코일의 전력을 차단한다. 모세관 밸브스위치(109)는 자동적으로 다시 조정된다. 그것은 스위치가 열린 다음 대략 15분 동안 정도이고, 그리고 기계가 정상적인 동작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다시 닫는다.
한편, 모세관 밸브스위치(110)은 수동으로 조정하는 스위치이며, 만약 기름의 온도가 232℃에 도달하면 조정된다.
이 스위치는 수리공이 보수하는 동안에 수동으로 재조정된다. 소비자가 일단 적당한 금액의 돈을 집어넣고 선택을 하면 (판매)하나의 제조기(11)은 필요한 양의 식품을 상기한 방법으로 조리용 바구니(13)로 방출한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웨이트 플랫포옴(58)이 열리므로서 스위치(62)를 당기면 조리순서로 작동한다. 일단 가열실(16)이 채워지고 조리기름이 완전한 조리온도인 205℃로 올라가면 조리순서는 시작된다.
조리순서는 통기 밸브(22)가 닫히고, 가열실(16)이 밀폐되고, 공기압축기(19)가 기름가열실(16)의 공기압력을 증가시키면 개시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이것의 기름의 높이를 구멍(101)을 통해 그리고 축(100)을 통해서 조리남비(14)속으로 올리는 계기가 된다. 이것은 식품이 조리바구니(13)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은 순간에 일어난다.
조리바구니(13)의 뚜껑(111)은 제어장치(21)에 의해 제어되는 바구니뚜껑 전동기에 의해 닫힌다.
가열된 기름은 조리남비(14)로 올라가서 조리바구니(13)을 잠기게 한다. 바구니에 있는 식품은 그러면 약10초간 조리된다.
통기밸브(22)가 약 10초간 닫힌채로 있은후에 식품은 충분히 조리되고, 통기밸브(22)는 제어장치(21)에 의해 열린다. 그 결과로 가열실(16)의 공기의 압력은 방출되고, 조리남비(14)의 기름은 축(100)을 통해 가열실(16)으로 배출된다. 제어장치(21)은 균형추(112)와 바구니 전동기를 사용하여 식품의 과잉의 기름을 빼내기 위해 조리남비(14)로부터 조리바구니(13)을 들어올린다.
제어장치(21)은 소비자가 먹을 수 있는 컵속으로 조리된 식품을 부려서 담도록 바구니 전동기에 신호를 보낸다. 조리공정에서 음식물에 의해 소모된 기름은 TC2(106)이 상술한 방법에 도달할 때까지 저장기 제어밸브(18)에 의해 2초동안 뿜어내어 새로 보충된다.
이 기계는 가열실(16)의 온도가 제어장치(21)에 의해 65℃로 내려간 판매자에 의해 지정된 "쉬는" 국면 또는 저수요기간을 갖고 있다. 일단 장치가 이국면에 들어가면 장치는 가열실(16)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밸브(108)에 신호를 보내어 밸브를 열어 거기 들어있는 조리기름을 방출시키도록 한다.
제어장치(21)은 거의 30%의 기름이 방출될때까지 밸브(108)를 연채로 유지한다.
이것은 기름가열실(16)에 들어있는 기름의 약 30%가 밸브(108)로 방출되는 시간으로 사전에 맞춰놓은 타이머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면 기름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기름가열실(16)에 새로 보충된다. 이 과정은 장치내에서 반복되는 조리로 나타날 수 있는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또한 기름의 전체수명을 보존하고 거기서 조리된 식품의 특색을 보존해 준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제조기와 공기압축기, 가열실의 부품 및 기름공급의 제어는 제어장치(21)에 의해 유지된다. 제어기(21)은 3가지의 다른 기능을 가진 3개의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회로이다.
이 기관들은 중앙처리장치(CPU) 카아드(200), 인터페이스 카아드(201) 온도조절 및 기름재충전(온도조절) 카아드(202)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각 기판들은 그들이 통신해야 할 여러가지 장치와 기판간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모체기관에 연결되어 있다.
CPU카아드(200)은 전체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가공처리의 일과 모든 계산을 처리한다.
CPU카아드는 장치가 어떠한 판매주기에 있는가에 따라 적당한 명령을 낸다. CPU카아드는 소비자가 선(325)를 거쳐 동전기구(216)에 돈을 집어넣고 식품을 선택하는 것을 탐지한다.
CPU카아드는 버스(300)에 접속되어 기름 충전밸브(18) 기름배출밸브(108) 공기압축기(19) 및 통기밸브(22)를 작동시길 수 있는 고체계전기 제어기(203)을 조절한다.
고체계전기(203)은 버스(321)과 모체기판(207)을 거쳐서 CPU카아드(200)에 접속되어 있다.
CPU카아드(200)은 전술한 바와같이 저장통의 웨이트 플랫포옴(58)(제 3 도 참조)이 열렸을때, 작동되는 스위치(62)에 의해 하나의 저장통이 식품을 제조했는지 어떤지를 감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CPU카아드(200)이 탐지하므로서 스위치(62)가 작동되면 조리주기는 개시된다.
조리주기는 CPU카아드(200)이 통기밸브(22)를 10초동안 닫고, 압축기(19)를 3초동안 동작시켜 기름이 조리실로 올라가서 식품을 조리할 수 있게 했을때 개시된다. CPU카아드(200)은 또한 제조장치가 고수요기간에 있는지 저수요기간에 있는지를 걸정하기 위해 서어비스 모듀울(215)를 감시한다. 만약 제조장치가 고수요기간에 있을 때에는 TC2(106)에 의해 탐지된 기름의 온도는 205℃의 완전한 조리온도로 유지된다.
만약 제조장치가 저수요 기간이나 "휴식"기간에 있을 때는 기름의 온도는 65℃로 유지된다.
판매자는 이 고수요기간인가 저수요기간인가의 정보를 주고 제어장치에 끼워져 있는 서어비스 모듀울을 변경시키므로서 제어장치(21)의 프로그램을 재작성할 수도 있다. 모듀울(215)는 버스(322)를 통해 모체기판관 CPU카아드에 접속되어 있다. 모듀울(215)는 고수요 기간이나 저수요기간에 CPU카아드가 가열실(17)의 온도를 내리거나 그리고/또는 전술한 바와같이 기름을 쏟을 수 있도록 CPU카아드에 경고를 발하는 타이머를 갖고 있다.
모듀울(215)는 또한 보수 인원에게 기계의 현재의 상태를 알려주는 16문자의 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갖고 있다.
CPU카아드(200)은 모체기판(207)을 거쳐서 인터페이스 카아드(201)과 통신하고, 기계장치의 어떤 기능을 조절한다.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은 버스(302)와 모체기판(207)을 거쳐서 조리바구니(200) 조리바구니뚜껑(222) 바구니뚜껑 변환기(224) 및 바구니 위치변환기(223)의 전동기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은 또한 버스(300)을 거쳐서 각 저장통에 있는 각 제조기(11)의 전동기를 제어한다.
전자자석(64)는 또한 버스(303)을 거쳐서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에 의해 제어된다.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은 제조장치에 있는 각종 아날로그 장치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장치를 갖고 있다.
일단 CPU카아드(200)에 의해 "판매"가 탐지되면 하나의 제조전동기(56)을 동작시키고, 필요한 전자자석(64)가 하나의 제조기의 문을 열린채로 유지하여 식품을 제조하도록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에 지시한다.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은 또한, 제 1 도 및 제 4 도에 보는 바와같이 바구니 전동기(220)을 사용하여 바구니(13)을 남비(14)속으로 낮춘다. 바구니 뚜껑 전동기(222)는 CPU카아드(200)이 어떤 하나의 제조기로부터 스위치(62)를 작동시켜서 조리주기가 개시된 것을 탐지하면 뚜껑을 닫도록 동작한다. 바구니 전동기(220)은 조리주기가 완료되고, 공기압축기(19)가 펌프질을 중지하고, 통기밸브(22)가 정지한 다음에 다시 작동한다. 제어장치(21)은 조리남비(14)로부터 조리바구니(13)을 들어올리고 잠시동안 식품을 배출하도록 바구니 전동기(220)에 신호를 보낸다.
뚜껑(111)은 소비자가 먹을 수 있도록 준비된 컵속으로 조리된 식품을 쏟을수 있도록 바구니전동기(220)에 의해 바구니가 기울어지도록 바구니 뚜껑전동기(222)에 의해 다시 열린다. 이러한 모든 조작은 CPU카아드(200)에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302)상의 인터페이스 카아드(201)의 위치의 귀환으로서 바구니 위치변환기(223)가 바구니 뚜껑변환기(224)에 의해 감시된다.
CPU카아드(200)은 또한 기름의 온도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모체기판(207)을 거쳐서 온도조절 카아드(202)와 통신한다. 온도조절 카아드(202)는 버스(300)을 통해 가열코일(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온도조절 카아드(202)는 또한 버스(300)를 통해 기름부유기(104)를 감시하고, 선(310)(312) 및 (311)을 각각 통하여 열전대 TC1(105) TC2(106) 및 TC3(107)을 감시하므로서 기름의 높이와 온도를 점검한다. 온도조절 카아드(202)는 제 1 도와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름가열실(16)의 기름의 높이와 온도를 감시하고 조절한다. 이것은 모체기판(207)를 통해 CPU카아드(200)으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기름의 온도와 기름의 높이 정보는 3개의 열전대 TC1(105) TC2(106) 및 TC3(107)과 최소 높이 부유기(104)로부터 받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기름 가열실의 충전공정 기간동안에는 최소높이 부유기(104)의 작동은 가열코일(103)을 동작시키도록 온도조절 카아드(202)에 신호를 보낸다.
가열코일(103)은 선(320)을 거쳐 TRIAC 전동회로(230)에 신호 전송하므로서 CPU카아드(200)에 의해 제어된다. TRIAC 전동회로(230)는 버스(300)을 거쳐 가열코일(103)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기름 가열실(16)의 충전기간에는 TC1(105)가 가열된 기름에 의해 도달 될때까지 밸브(18)을 열으므로서 기름은 계속해서 채워진다.
밸브(18)는 판매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205℃의 조작온도에 기름이 온도가 도달할 것을 TC1(105)가 탐지했을때 닫힌다.
기름은 TC2(106)이 기름이 정상적인 높이에 도달한 것을 탐지할때까지 밸브(18)을 열으므로서 가열실(16)에 다시 첨가된다. TC3(107)은 과충전 열전대이다.
만약 TC3(107)이 가열된 기름이 여기에 도달한 것을 탐지하면 밸브(108)이 잠시 열려서 기름가열실(16)으로부터 적은 양의 기름을 방출한다. 그러나 만일 TC3(107)이 20분동안에 두 판매주기로 가열된 기름에 의해 도달된 것을 탐지하면 CPU카아드(200)은 가열코일(103)을 차단하고 배출밸브(108)을 열도록 온도조절 카아드(202)에 신호를 보내고 미리 결정된 시간의 판매주기 이상 동전기구(216)이 작동하는 것을 예방한다.
판매주기가 지나면 밸브(18)은 CPU카아드(200)에 의해 2초동안 열리고, 가열된 기름이 TC2(106)에 다시 도달할때까지 뿜어나온다.
과대온도 상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TC1(105)에 의해 탐지된 가열실(16) 내부의 온도가 205℃를 초과하면 가열코일(103)은 차단되고, 상술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더 이상의 판매주기로 기계가 가동하는 것을 예방한다.
과대온도를 예방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서 가열코일(103)에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버스(300)은 2개의 모세관 밸브차단 스위치(109)와 (110)에 의해 차단된다.
스위치(109)와 (110)은 버스(300)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통상은 닫혀있다. 이 스위치들은 가열실 내부의 기름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221℃를 초과하는 경우에 교류전류를 차단할때 열리게 된다.
스위치가 작동한 후 대략 15분후에 다시 세트되기 때문에 만일 자동스위치(109)가 작동하면 기계장치는 작동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한편 만약 수동스위치(110)가 작동되면 스위치를 다시 세트하여 다시 기계장치가 동작하도록 하기위한 기계장치에 대한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하여 복수의 식품의 제조와 조리에 대한 발명을 설명하겠다.

Claims (35)

  1. 저장통에서부터 제 1지역으로 식품을 제조하되 저장통이 개구부를 통해서 제 1지역과 연결되어 있는 식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10)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식품을 개구부를 통해서 유도하기 위해 중심축(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퍼져 있는 유연한 재료로 된 복수의 플랜지를 갖추고 있는 패들휘일부(70) ; 상기 저장통(10)의 내부에서 상기 패들휘일부(70)에 상대해서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패들휘일부(70)가 회전할 때 인접하는 플랜지쪽으로 상기 플랜지중 하나에 힘을 가하여 상기 식품이 개구부를 통해서 제 1지역으로 유도될 때 상기 식품의 파손이 감소되도록 상기 플랜지 사이에 식품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고 홀딩시켜주게 되는 플래퍼부(55) : 및 상기 패들휘일부(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55)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55)는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역은 상기 패들휘일부(70)로부터 상기 식품을 받기 위한 저장실(5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57)은 상기 식품을 방출하기 위한 플랫포옴(58) ; 상기 저장실(57)에 식품이 미리 결정된 양으로 채워졌을때 상기 플랫포옴(58)을 열기 위한 수단 ; 및 1차 주기 동안 개방된 상태로 상기 플랫포옴(58)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위한 수단은 상기 플랫포옴(58)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처리된 균형추(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58)이 열렸을 때를 탐지하는 수단이 추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탐지수단은 상기 식품을 조리하도록 조리순서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전동기(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얇은 조각모양으로 형성된 건조 식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11. 저장통(10)에서 제 1지역으로 식품을 제조하되 상기 저장통(l0)은 저장실(57)와 제조실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저장실(57)은 상기 제조실과 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식품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조실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중심축(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유연한 재료로 된 복수의 플랜지가 퍼져 있으며, 인접하는 한쌍의 플랜지들은 상기 제조실 내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일정량의 식품을 받아들이기 위한 칸막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패들휘일부(70) ; 상기 패들휘일부(70)에 상대해서 상기 제조실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패휘일부(70)가 회전할 때, 상기 서로 인접하고 있는 한쌍의 플랜지중 하나를 서로 인접하고 있는 한쌍의 플랜지중 다른 한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 플래퍼부재(55)에 대한 패들휘일부(70)의 회전은 상기 칸막이의 용적을 줄여주게 되어 상기 식품의 일정량을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홀딩시켜 상기 식품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플래퍼부(55) ; 및 상기 패들휘일부(7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얇은 조각모양으로 형성된 건조 식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제조장치.
  13. 저장통(10)을 복수의 식품으로 채우는 단계 ; 상기 저장통(1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심축(50)으로부터 사방으로 퍼져 나온 복수의 평면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패들휘일(70)이 회전하도록 회전수단을 회전시켜서 일정량의 식품을 저장통(10) 외부로 방출시켜 인접하는 한쌍의 플랜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 및 일정량의 식품이 서로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한쌍의 플랜지를 압축하여 식품의 파손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복수의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중의 하나를 풀어서 상기 일정량의 식품을 후속 조리를 위한 저장실로 방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얇은 조각모양으로 형성된 건조식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16. 식품을 기름에 튀기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을 보관하는 조리실 ; 미리 정해진 양만큼의 기름을 보관하고 있는 가열실(16) ; 상기 조리실을 기름으로 채우고 상기 조리실의 기름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을 상기 가열실(16)에 연결시키게 되는 속이 빈축(100) ; 상기 가열실(16)내에서 상기 기름을 미리 설정된 조리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 ; 및 상기 기름중에서 상기 식품이 조리되도록 조리할 때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가열실에서 상기 조리실로 상기 기름에 힘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을 기름에 튀기는 식품의 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가열실(16) 내에 위치한 가열코일(1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의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실(16)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실(16)내에 배치된 감지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기는 상기 가열코일(10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6)은 상기 기름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6)에 상기 기름을 공급하는 수단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5)에 상기 기름의 높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추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높이 제어수단은 상기 기름 가열실(16)내에 배치된 한쌍의 열전대(106,107)로 구성되고, 상기 기름높이가 상기 하나의 열전대 보다 낮은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기름 가열실(16)에 기름을 첨가하도록 상기 기름공급수단에 명령하고, 상기 기름 높이가 다른 하나의 열전대 보다 높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기름 가열실(16)에 기름을 첨가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힘을 가하는 수단은 상기 가열실(16)의 정상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을 가열실(16)에서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조리실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장치.
  25. 기름중에서 식품을 튀기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을 보관하고 있는 조리실 ; 상기 기름을 보관하게 되고 공기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가열실(16) ; 상기 기름을 상기 가열실(16)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가열실(16)을 상기 조리실에 연결시키기 위한 속이 빈축(100) ; 상기 가열실(16)내에 위치하여 상기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103) ; 상기 가열실(16)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코일(10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회로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는 감지기 ; 상기 축(100)을 통해서 기름이 가열실(16)로부터 나와서 조리실로 상기 기름을 밀어넣기 위해 상기 가열실(16)의 정상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 : 및 가열실(16)내에 배치되어 있고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열전대(106,107)로 이루어져 있되 기름의 높이가 상기 열전대중의 하나 보다 낮을 때에 상기 회로는 가열실(16)에 기름을 추가하도록 기름공급수단에 명령을 내리게 되고, 기름의 높이가 상기 열전대중의 다른하나 보다 높을 때에 상기 회로는 가열실(16)에 기름을 추가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상기 기름공급수단에 명령하게 되는 가열실(16)내의 기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을 기름에 튀기기 위한 식품의 제조장치.
  26. 조리단계시 복수의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밀폐되어 있는 가열실(16)내에서 조리용 기름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 상기 가열실(16)과 속이 빈축(10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조리실을 복수의 식품으로 채우는 단계 ; 상기 기름을 가열실(16)에서 속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보내어 상기 식품을 조리하는 단계 ; 상기 기름을 속이 빈축(100)을 통해 가열실로 되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복수 식품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6)은 식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연결된 밀폐실로 구성되고, 상기 기름의 이동은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이동단계는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가열실에서 상기 조리실로 기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가열실(16)의 정상부로 공기를 밀어 넣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조리단계중에 소비된 기름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가열실(16)에 추가로 기름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30. 조리단계시 복수의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에 대한 기름의 노출을 최소로 하기 위해 밀페되어 있되 가열실과 조리실을 연결하는 속이 빈축(100)을 통해서만 노출되어 있는 가열실(16) 내의 조리용 기름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 상기 조리실을 복수의 식품으로 채우는 단계 ; 상기 기름이 상기 가열실(16)에서 속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변위되도록 상기 가열실(16)을 압축하여 상기 식품을 조리하는 단계 : 및 상기 가열실(16)내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기름이 다시 속이 빈축(100)을 통해 가열실로 되돌아가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식품의 제조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6)에 상기 식품의 조리중에 소비된 기름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로 기름을 첨가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32. 조리단계시 복수의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에 대한 노출을 최소로 하기 위해 밀폐되어 있는 가열실(16)내의 조리용 기름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 상기 기름을 속이 빈축(100)을 통해 가열실(16)에서 조리실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기름으로 채워져 있는 상기 조리실에다 상기 식품을 방출하는 단계 ; 및 상기 기름을 속이 빈축(100)을 통해서 상기 가열실(16)로 되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식품의 제조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6)의 상기 조리실에 속이 빈축(100)을 통해 연결된 밀폐실로 구성되고, 상기 기름의 이동은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의 이동단계는 상기 기름을 상기 가열실(16)에서 상기 속이 빈축(100)을 통해 상기 조리실로 변위되도록 상기 가열실(16)의 정상부로 공기를 밀어 넣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조리단계중에 소비된 기름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가열실(16)에 추가로 기름을 첨가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재조방법.
KR1019900010528D 1989-10-24 1990-07-12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940010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26104 1989-10-24
US07/426,104 US5069116A (en) 1989-10-24 1989-10-24 Apparatus for frying fo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782B1 true KR940010782B1 (ko) 1994-11-11

Family

ID=236893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528D KR940010782B1 (ko) 1989-10-24 1990-07-12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909010528A KR930005728B1 (en) 1989-10-24 1990-07-12 Apparta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frying snack food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09010528A KR930005728B1 (en) 1989-10-24 1990-07-12 Apparta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frying snack foods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69116A (ko)
EP (1) EP0425159B1 (ko)
JP (1) JPH04131059A (ko)
KR (2) KR940010782B1 (ko)
AT (1) ATE119703T1 (ko)
AU (1) AU6739090A (ko)
CA (1) CA2028338A1 (ko)
DE (1) DE69017581T2 (ko)
MX (1) MX169042B (ko)
WO (1) WO1991006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2654C (en) * 1990-05-18 1996-10-01 William Douglas Henso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kettle-style chips
EP0462354B1 (fr) * 1990-05-21 1996-04-17 Marc Mareels Installation de cuisson de frites à partir de frites précuites surgelées
AT400384B (de) * 1992-05-22 1995-12-27 Famulus Elektrogeraete Gmbh Vorrichtung zum portionsweisen zuführen von gefrorenen pommes frites zu einer friteuse
US5367949A (en) * 1994-02-01 1994-11-29 Vend-It Corporation Automated ventless deep fryer
US5586486A (en) * 1994-02-01 1996-12-24 Vend-It Corporation Automated deep fryer
US5404797A (en) * 1994-07-20 1995-04-11 Simplyfry, Inc. Apparatus for vending fried foods
BRPI0621059B1 (pt) * 2006-01-30 2016-05-17 Bma Nederland B V método e dispositivo para fritura de produto em múltiplos estágios
US8627763B2 (en) * 2007-03-19 2014-01-14 Frymaster L.L.C. Automatic top-off for deep fat fryers
US20090039004A1 (en) * 2007-08-07 2009-02-12 Bill Andersen Consulting Llc Automatic oil filtration and treatment with level control and system heating during filtration
US20090084273A1 (en) * 2007-09-27 2009-04-02 The Frymaster Corporation Llc Low oil volume fryer with automatic filtration and top-off capability
US20110151074A1 (en) * 2009-12-17 2011-06-23 Harvey Titen Automated food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13606B2 (en) * 2011-08-23 2013-04-09 Cixi Haosheng Electronics & Hardware Co., Ltd. Feed carrier receptacle for use in rotary feed dispensing mechanism
AT512470B1 (de) * 2012-01-25 2014-09-15 El Bakry Mourad Vorrichtung zum Backen und Portionieren von Nahrungsmitteln sowie Verfahren hierfür
US9357881B2 (en) 2012-03-31 2016-06-07 Pitco Frialator, Inc. Oil level detection system for deep fat fryer
US10064521B1 (en) * 2014-01-15 2018-09-04 Yantra, Llc Automated multi-dish cooking machine
WO2022113145A1 (en) * 2020-11-30 2022-06-02 Atihc S.r.l. Apparatus for cooking foo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7601A (en) * 1958-09-02 1963-10-22 Richard L Longmire Filtration and recirculation system for deep fat cooking apparatus
US3097589A (en) * 1960-06-13 1963-07-16 Lewis F Moore Deep fat fryer
US3210193A (en) * 1962-12-18 1965-10-05 Food Res & Equipment Co Method of deep-fat cooking comestibles
US3231105A (en) * 1963-12-02 1966-01-25 James G Brown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US3336859A (en) * 1966-07-28 1967-08-22 Barker Thomas Dix Food preparation
US3608472A (en) * 1969-06-05 1971-09-28 Kentucky Fried Chicken Co Pressurized cooking system
US3809858A (en) * 1970-05-28 1974-05-07 Food Res & Equipment Co Liquid heating tank with safety control
US3688683A (en) * 1970-05-28 1972-09-05 Weldon C Boggs Safety controls for deep fat fryers
US3701313A (en) * 1971-02-12 1972-10-31 Food Research & Equipment Co Deep fat fryer unit with solenoid valves and automatic controls
US3788302A (en) * 1971-10-29 1974-01-29 William Underwood Co Maintaining the water level in baking beans
FR2159837A5 (ko) * 1971-11-12 1973-06-22 Mascret Albert
US4050447A (en) * 1976-05-24 1977-09-27 Andrew Terracciano Deep fat fryer heated fat supply reservoir and fat replenishment device
AU548702B2 (en) * 1980-11-21 1986-01-02 Mason Thomas Elliott Cooking apparatus
FR2501491B1 (fr) * 1981-03-13 1985-11-08 Mariotti Rene Friteuse industrielle
EP0140987B1 (de) * 1983-10-03 1987-12-23 Interimport F. Caceffo GmbH Vorrichtung zum Kochen von Nahrungsmitteln
IT1187345B (it) * 1985-03-26 1987-12-23 Gloriana Ansaloni Impianto atto ad ottenere una cottura espressa e completa di spaghetti o di altri tipi di pasta alimentari
FR2593626B1 (fr) * 1986-01-27 1988-03-11 Beauvalet Christelle Distributeur autimatique ou semi-automatique de portions alimentaires chaudes a partir de produits congeles par exemple frites ou autres feculents et de produits frais a base de viande, poisson ou autres
US4722267A (en) * 1986-03-24 1988-02-02 Longin Galockin French fry vending machine
FR2597319B1 (fr) * 1986-04-16 1991-03-08 Adour Meca Electrothermie Pays Appareil pour la preparation et la distribution automatiques de produits frits.
DE3613932C2 (de) * 1986-04-24 1994-03-17 Tepro Praezisionstechnik Gmbh Speisenautomat
US4748902A (en) * 1987-01-21 1988-06-07 Vito Maurantonio Automatic food cooker and dispenser
JPH03260513A (ja) * 1990-03-07 1991-11-20 Harman Co Ltd バーナ用の混合比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28338A1 (en) 1991-04-25
JPH04131059A (ja) 1992-05-01
EP0425159B1 (en) 1995-03-08
DE69017581T2 (de) 1995-11-02
ATE119703T1 (de) 1995-03-15
KR910008614A (ko) 1991-05-31
AU6739090A (en) 1991-05-31
US5069116A (en) 1991-12-03
KR930005728B1 (en) 1993-06-24
MX169042B (es) 1993-06-17
EP0425159A2 (en) 1991-05-02
EP0425159A3 (en) 1991-07-17
DE69017581D1 (de) 1995-04-13
WO1991006223A1 (en) 199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28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nack foods
KR940010782B1 (ko) 스낵식품을 제조하고 튀기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US6092458A (en) Automatic popcorn popper with thermal controller
US5743172A (en) Automatic popcorn popper with thermal controller
US6534103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popping popcorn
JP3332483B2 (ja) 氷供給装置
US4182229A (en) Automatic popcorn machine
US10136664B2 (en) Popcorn popping machines and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popcorn kernels and different popped popcorn types
US3347152A (en) Automated fryer
JP2010125240A (ja) 洗米炊飯機
EP04703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frying snack foods
US10412984B2 (en) Popcorn popper
EP3324373A1 (en) Dispenser for continuously feeding frying machines
EP1025787A1 (en) Fry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JP3601485B2 (ja) 洗米炊飯制御装置
WO1993011690A1 (en) Apparatus, compon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cooking and dispensing individual orders of a hot food product
JP2016077662A (ja) 炊飯器
JP3409501B2 (ja) 洗米炊飯制御装置の水加減設定装置
JP2004000725A (ja) 洗米炊飯制御装置
EP3324372A1 (en) Dispenser for feeding frying machines
JP2002209738A (ja) 洗米炊飯機の運転操作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