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652B1 - 타발 성형 머플러 - Google Patents

타발 성형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652B1
KR940010652B1 KR1019870006058A KR870006058A KR940010652B1 KR 940010652 B1 KR940010652 B1 KR 940010652B1 KR 1019870006058 A KR1019870006058 A KR 1019870006058A KR 870006058 A KR870006058 A KR 870006058A KR 940010652 B1 KR940010652 B1 KR 94001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punching
muffler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439A (ko
Inventor
하우드 죤
Original Assignee
에이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네스이 앤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네스이 앤더슨 filed Critical 에이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having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01N13/1877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the channels or tubes thereof being made integrally with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having sound-absorbing materials in resonanc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8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8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rigidity, e.g. by wings,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6Tubes being formed by assembly of stamped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2490/15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being disposed one after the other in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발 성형 머플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의 분해하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머플러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머플러의 내부결합판의 평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4-4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형태 머플러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번째 실시예의 머플러의 분해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따른 머플러의 조합단면도.
제 8 도는 제 5 도에 따른 머플러의 내부결합 상판의 사시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결합판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200 : 머플러
12, 14, 102, 104, 202, 204, 301, 331 : 내부판
16, 18, 106, 108, 206, 208 : 외피
24, 25, 110, 111, 210, 211, 310, 333, 332 : 입구채널
26, 27, 224, 225, 334, 335 : 복귀채널
28∼31, 216∼217, 112∼115, 312, 314, 336, 337 : 출구채널
36, 37, 124, 125, 128, 129, 228, 229, 324, 328 : 조절채널
34, 38, 44, 46, 116∼121, 212∼215, 218, 219, 226, 227, 230, 231 : 구멍
48∼51, 220∼223 : 채널
52, 53, 232, 233 : 플랜지
64, 244, 245 : 절곡홈
60, 61, 240, 241 : 팽창실외피
62, 63, 122, 123, 126, 127, 242, 243, 322, 326 : 저주파 공명실외피
66∼69, 130, 131 : 보강리브
54, 55, 234, 235 : 입구개구
56, 57, 58, 59, 236, 237 : 출구개구
70, 71, 250, 251 : 연속내향채널
74, 75 : 고주파 조절실
302 : 타발 성형판
본 발명은 타발 성형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개의 스템프로 형성된 부품을 결합하여 고주파 조절실 및 조절튜브와 저주파 공명실을 조합함으로써 고주파 조절실은 팽창실에서 감쇄할 수 없는 높은 주파수를 감쇄시키고 저주파 공명실은 저주파소리의 일정한 좁은 대역까지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배기장치 머플러는 전형적으로 튜브형의 외피가 타원형 또는 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며 기계적으로 대립되는 한쌍의 헤드가 외피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외피는 여러겹의 금속관이 튜브형으로 둘러쌓여 세로로 봉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입구와 출구는 머플러의 대칭형 헤드안으로 뻗어있으며 머플러안에 배열된 튜브에 연결된다.
종래 머플러의 내부형태는 매우 변화가 많았으며 바퀴위의 유효공간과 특수한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 생기는 소리의 특수성에 따라 형성됐다.
전형적인 종래 머플러는 입구와 출구에 뻗쳐서 연결되어 있는 튜브가 완곡한 배열로 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튜브는 머플러안에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조절판에 의하여 정해지는 한개 이상의 팽창실과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팽창 조절실과의 연결은 이 튜브를 통하여 대부분 튜브와 방열구멍의 적절한 설계적 배치에도 불구하고 일정범위의 소음은 남게 된다.
이들 잔존하는 소음패턴은 때때로 밀폐된 공명실내로 뻗어 있는 조절 튜브에 의해 가끔 약해진다.
조절튜브와 공명실의 크기는 감쇄되는 소음의 진동수에 따라서 선택될 것이다. 종래 머플러의 공명실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한개이상의 부가튜브와 보통 하나이상의 부가조절판이 필요해져서 복잡한 구조로 되었다.
특히 대부분의 종래 머플러는 다수층의 외피와 한쌍의 헤드 또는 엔드캡과 적어도 두개의 내부튜브와 적어도 두개의 내부조절판을 필요로 했다.
여기서 여러가지로 조립된 내부구성부분은 이전에 하나 또는 여러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머플러의 튜브외피로 삽입된다.
대칭되는 머플러헤드는 기계적으로 외피에 관련되어 놓여지며 여기에 고정배치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전형적인 종래 머플러는 노동집약적인 제조공정에서 조립되어야만 하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 공명실에서 약해지고 남은 소음이나 저주파의 좁은 대역은 감쇄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머플러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극소화시키고 또 수공조립공정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타압 성형머플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도를 해왔다.
타압 성형다이에 배출가스가 통하여 나오는 순환루트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했다.
몇몇의 종래 머플러는 둘러쌓여진 외피를 가진 표준머플러속에 있는 내부몸체와 기본적으로 같은 다수개의 각각 내부몸체들로 결합하여서된 타압 성형 외피를 형성하였다.
타압외피와 별개 내부조절판과 튜브로된 머플러의 예는 1960년 7월 5일에 제포드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2,943,695와 1964년 11월 24일에 리치몬드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158,222호와 1965년 11월 30일에 노드퀘스트등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220,508호에 나타나 있다.
다른 종래 머플러는 별개의 내부튜브나 조절판에 의지하지 않고 순환공기 유출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타압 성형몸체를 두개 사용했다.
그러한 구조의 예는 1958년 11월 18일에 게스통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860,722 호와 1965년 4월 6일에 베트등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176,791 호와 1972년 2월 1일에 티엘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638,756 호와 1978년 8월 22일에 스나이더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4,108,274 호에 나타나 있다.
아직도 다른 종래 머플러는 머플러를 통한 배기가스를 위한 유출경로를 한정하기 위해 두개이상의 타압성형몸체들을 더 많이 갖고 있다.
예를들면 1964년 7월 14일에 트라넬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3,140,755 호는 배기가스 유통로를 형성하도록 된 두개의 내부 타압 성형몸체를 가지고 있고 또한 내부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유통로 주변에서 연속봉합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된 두개의 외피타압 성형몸체를 가지고 있다.
1983년 8월 2일에 울프 휴겔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4,396,090호는 타압성형에 의하여 배출가스 유통경로가 성형되며 반면에 외피는 타압 성형 구성부품주위를 감아싼 금속판으로 성형되어 있는 머플러를 보여준다.
1984년 6월 26일에 블란코드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번호 제 4,456,091 호는 4개이상의 타압성형 몸체로된 머플러를 보여준다.
더욱이 두개의 내부몸체는 마주보는 관계로 놓여있을때 튜브배열을 정하는 세로로 길게 펼쳐진 주름을 갖도록 타압 성형된다. 이때 두개의 외부 타압 성형몸체는 일반적으로 계속적인 외부봉입물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별개 타발 성형 지지몸체는 외부 타압 성형몸체와 내부 타압 성형몸체 사이에 적당한 공간관계를 갖도록 그들사이에 배열된다.
내부 타발 성형 몸체의 주름진 부분의 일부는 튜브의 배열과 계속적인 외피에 의해 한정되는 봉입물 사이에 가스유통이 되도록 구멍이 뚫여있다. 이 관계는 타압 성형 몸체에만 예외적으로 있으나, 비교적 많은 수효의 몸체들이 생산가격과 조립시간에 관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는 영국 특허번호 제 632,013 호와 제 1,012,463 호에 나타나 있다.
이들 두가지 영국 특허에는 두개의 내부판이 서로 짝을 맞추면 구멍이 뚫린 튜브를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 것이다.
두개의 부가적인 몸체는 구멍이 뚫린 튜브로부터 멀어져 공간을 형성하거나 둘러싼 계속적인 외피를 한정하기 위하여 타발 성형된다.
이들 각각의 영국 특허에는 내부판몸체나 외부판몸체가 팽창실을 형성할 수 있는 조절판을 한정하기 위하여 성형되어진다.
상술한 타압 성형 머플러는 대량생산을 위한 종래의 머플러에 경비면에서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었다.
이들 경비면에서의 이득은 실제로 머플러의 내부구성 부분품의 실제적인 수효감소, 임금저하와 자재수익 향상등에 기여하게 되었다.
이같은 명백한 경비이득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타압 성형 머플러는 초기의 공구비용을 상쇄할 만큼 많은 생산공정에서 만들어진 본래의 장치인 머플러에 대해서까지도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상업적으로 수용하지 못한 이유는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타발 성형 머플러에 공명실을 조합하는 것은 개별된 부품을 필요로 하고 노동집약적이므로 타발 성형 머플러의 비용이 실질적으로 크게 줄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이나 영국에서 특허된 타발 성형 머플러는 대부분 내부조절판과 부가튜브로 이루어지면서 배기가스를 위한 순환공기 유출패턴 또는 유출경로를 한정하는데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배기가스나 머플러를 통과하여 지나갈때 순환되면서 팽창실이나 공명실에 도달하면 음파가 서로 부딪치는 간섭작용에 의하여 잡음을 줄일 수 있으나 일정범위의 고주파 음향이나 저주파수 노이즈의 일정한 좁은 대역은 잔존하게 되어 소음을 완전히 감쇄시킬 수는 없었다.
즉 종래의 머플러는 단순히 팽창실로 팽창하는 것에만 의존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의 머플러는 선택된 소음감소를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저주파 공명실과 고주파조절실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머플러를 통과하여 흐르는 배기가스와 관련된 모든 노이즈를 적절히 감쇄할 수 없는 무능력으로 인하여 잔류의 저주파수 굉음 노이즈는 남아 있게 되므로 몇몇 모터싸이클이나 스포츠카에서나 수용할 수 있는 깊은 굉음을 만드는 종류의 차에나 적당할뿐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수용할 수 없었다.
그 뿐만아니라 상기의 머플러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모양을 취하고 있는데 반하여 자동차의 아래공간은 직사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비직사각형의 작은 공간만을 활용하거나 자동차아래에 걸쳐서 설치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시설아래에 걸쳐진 머플러는 아름다워 보이지 않고 공기흐름의 끌기(드래그)를 만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결점에 덧붙여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배기가스가 머플러를 통하여 지나감에 따라 냉각되고 따라서 다른 유통로와 용적상특성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더욱이 일반적인 머플러는 차내에 흑은 차에 인접한 특정공간의 가용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머플러는 때때로 단순히 차의 밑부분에 부가되므로서 차의 미적관점이나 공기유통윤곽에 불리하게 영향을 준다.
가용할 수 있는 공간내에서 만들어져야 하는 추가적인 연결때문에 하나이상의 저주파 공명실이나 하나이상의 입출구를 갖는 종래의 머플러를 제조하는 것이 경비가 더 많이 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유효한 타발 성형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유효한 고주파 조절실 및/또는 저주파 공명실을 갖는 타발 성형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의 소음감소를 위하여 팽창실에서 충분히 감쇄할 수 없었던 높은 주파수를 감쇄시킴을 물론 적절히 감쇄되지 않은 저주파수의 노이즈의 최소한 좁은 대역도 완전히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크기로 내부튜브를 형성한 타발 성형 머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발 성형 몸체로부터 성형된 배기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머플러는 차위의 가용공간 덮개에 맞춰서 형성한다.
그 결과 머플러는 차위의 가용공간의 특수한 형태를 반영하도록 불규칙한 외부형태로 이루어진다.
머플러는 적어도 한개의 입구튜브와 적어도 한개의 출구튜브가 형성되도록 서로 정합(整合 : 꼭맞음)되어 놓여지는 한쌍의 타발 성형 내부판을 포함한다.
한쌍의 내부판(12, 14)은 또한 한개이상의 저주파 공명실(6l2, 613)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개의 조절튜브를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된 한쌍의 조절채널(36, 37)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표현되는 각 튜브는 내부판에 타발 성형된 한쌍의 채널이 정합되어 놓여진 상태를 말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타발 성형 내부판(12, 14)은 서로 정합되어 공명실의 벽을 형성하거나 혹은 입구와 출구 튜브사이의 복귀튜브를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된 한쌍의 복귀채널(26, 37)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타발성형 내부판에 형성된 채널들은 구멍이 뚫어지거나 방열구멍을 형성하여 적절한 소음감쇄효과를 갖는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한쌍의 내부판의 타발 성형은 서로 정합되어 한개이상의 입구튜브에 대한 큰 직경과 한개이상의 출구튜브에 대한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입구와 출구튜브의 직경에서 차이점은 머플러를 통과할때 배기가스가 서서히 냉각되기 때문에 용적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감안해서 선택되어져야 한다.
그 이유는 머플러내에서 실제적으로 일정한 배압을 유지하기 위해 타발 성형관은 입구와 출구사이에서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도록 한 것이다.
즉, 배기가스가 절차적인 냉각에 기인하여 감소되는 크기와 같은 비율로 관의 단면적이 크게 감소되는 것이다.
더욱 특수하게는 이들 용적의 변화는 배기가스압력과 배기가스속도가 머플러를 통해서 주의깊게 조절할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부판(12, 14)은 반대되는 반쪽부분들 사이에 힌지선이 있는 한개의 금속판으로 타발성형된 것이다.
반쪽부분들은 배기가스 유통채널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저주파 공명실(612, 613)을 형성하도록 겹쳐서 성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머플러의 내부구성부품의 한장의 금속판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머플러는 서로 정해진 위치에 놓이고 타발 성형판을 둘러싸고 밀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한쌍의 타발 성형 외피(16, 18)를 포함한다.
타발 성형 외피(16, 18)는 내부판(12, 14)에 의해 결정되는 입구와 출구로의 배치와 개수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입구와 출구를 적당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외피의 입구와 출구는 타발성형된 내부판에 의해 정해진 입추와 출구를 둘러쌓고 형성된다.
타발성형 외피(16, 18)는 배기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 조절실(74, 75)을 형성한다.
즉 팽창실내(601, 602)에서 충분히 감쇄할 수 없었던 고주파수를 감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타발 성형된 외부에 의해 결정된 고주파 조절실(74, 75)은 한쌍의 타발 성형 내부판(12, 14)에 의해 정합되어서 결성된 입구, 출구, 복귀튜브에 구멍을 뚫거나 방열구멍을 낸 부분이 직선으로 배치된다.
고주파 조절실(74, 75)은 머플러에 의해 감쇄될 소음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결정이 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타발 성형외피(16, 18)는 다른 치수 다수개의 고주파 조절실(74, 75)을 형성하도록 되며 따라서 배기가스 소음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감쇄된다.
외피(16, 18)는 서로 실정한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힌지선을 갖는 한장의 금속으로부터 타발 성형될 수도 있다.
타발 성형된 외피(16, 18)는 또한 머플러를 위한 한개 또는 여러개의 저주파 공명실(612, 61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하도록 크기를 갖는다.
그 이유는 조절튜브를 통하여 팽창실(601, 602)에서 감쇄되지않은 저주파 노이즈의 최소한 좁은 대역까지도 완전히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예에서 한쌍의 타발 성형내부판(12, 14)은 한쌍의 타발 성형외피(16, 18)에 의하여 정합되어 결정되는 저주파 공명실(612, 613)로 연결되는 한쌍의 조절패널(36, 37)로 접합되는 조절튜브를 결정하도록 헝성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내부 타발 성형판으로 형성되는 연속적인 비공성튜브가 타발 성형외피로 결정된 저주파 공명실을 거쳐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저주파 공명실(6l2, 613)을 통하여 연장되는 튜브는 머플러의 입구나 출구와 또는 머플러 내에 있는 선택된 고주파 조절실(74, 75)과 연결된다.
한쌍의 타발성형된 외피(16, 18)는 한쌍의 정합된 내부 타발 성형판을 둘러싸거나 서로 합치도록 치수가 정해진 주변 플랜지(52,53)를 갖게 된다.
주변 플랜지(52, 53)는 용접이나 기계적인 상호연결에 의하여 서로 적당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머플러는 제 1 도-제 3 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10)번으로 표시된다.
제 1 도는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 있듯이 머플러(10)는 한쌍의 타발 성형내부판(12, 14)과 한쌍의 타발 성형외피(16, 18)를 갖는다.
한쌍의 내부판(12)와 (14)는 실제로 서로 꼭 맞출 수 있도록 성형되고 크기를 정하며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머플러(10)를 통하여 배기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채널이 결합된 튜브의 배열을 결정한다.
외피(16)과 (18)도 서로 꼭 맞출 수 있도록 놓여지게 되고 또 실제로 한쌍의 내부판(12)와 (14)의 주위에 둘러싸여 이하 설명하는 고주파 조절실(74) (75)과 저주파 공명실(612) (613)을 일정크기로 타발 성형되도록 하였다.
상기 고주파 조절실(74)(75)과 저주파 공명실(612) (613)의 크기는 엔진 배기가스의 음향특성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그러나 외피(16)과 (18)의 특수한 외형은 차위의 공간덮개의 외형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내부판(12)은 입구채널(24)을 갖고, 상기 입구채널(24)과 상호 연결되는 복귀채녈(26)과, 상기 복귀채널(26)과 상호연결되는 각각의 출구채널(28)과 (30)을 형성하는 타발 성형으로 되어 있다.
입구채널(24)은 조립된 머플러(10)위에 있는 차의 배기파이프와 상호연결되도록 위치하는 입구끝(32)에서 끝난다.
입구채널(24)은 더욱이 후술하는 바와같이 고주파 조절실(74)로 연결할 수 있는 구멍 (34)을 포함한다.
입구채널(24)와 복귀채널(26)은 머플러(1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기본적으로 역류시킬 수 있는 앵글에 결합된다.
조절채널(36)은 실제로 교차점에서 입구채널(24)와 복귀채널(26)과 연결되어 있다.
조절채널(36)은 내부판(12)에 있는 구멍(36A)에서 끝났다.
조절채널(36)의 길이 "a"와 넓이 "b"는 머플러(10)을 갖고 있는 엔진의 소음특성에 작용한다.
후술하게되는 바와 같이 조절채널(36)은 구멍(36A)를 통하여 머플러(10)의 저주파 공명실(612)과 연결될 것이다.
복귀채널(26)은 후술되는 바와같이 팽창실(601)에 연결될 수 있는 구멍(38)을 갖고 있다. 복귀채널(26)은 출구채널(26)과 (30)과 합쳐진다. 복귀채널(26)의 반대편에있는 출구채널(28, 30)의 측면은 2개의 출구채널(28)과 (30) 사이에 배기가스를 분배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출구채널(28)은 복귀채널(26)로부터 머플러(10)가 적재되어 있는 차의 꼬리파이프와 상통하도록 위치하는 출구끝(40)부분까지 뻗쳐있다.
같은 방법으로 출구채널(30)은 복귀채널(26)으로부터 역시 차에 있는 두번째 꼬리파이프와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출구끝(42)부분까지 뻗쳐있다.
출구채널(28)과 (30)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배기가스와 팽창실(601)과의 사이에 통할 수 있도록 각각 구멍(44)와 (46)이 천공배열되어 있다.
입구끝(32) 부분은 출구끝(40)과 (42)부분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복귀채널(26)은 출구끝(40)과 (42)부분의 폭보다도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있다. 입구끝(32)부분과 출구끝(40, 42) 부분사이의 폭은 일정위치에서 서서히 혹은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폭의 변화는 배기가스가 머플러(10)를 통과할때 냉각되고 수축된 사실을 반영한다. 또한 폭의 감소는 배기가스가 복귀채널(26)으로부터 출구채널(28)과 (30)까지 적절하게 분배됨을 확실히 해준다.
내부판(12)은 입구채널(24)과 같은 방향인 내부판(12)의 평면으로부터 각각 뻗어있는 채널(48)과 (50)을 결정하도록 타발 성형된다.
채널(48)과 (50)은 입구채널(24)의 반대편과 구멍(34)에 배열된 반대편 끝부분에 각각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에서 입구채널(24)에 각각 삽입된다.
채널(48)과 (50)은 입구채널(24)에 의하여 부분으로 한정되는 입구채널에 구멍(34)이 정렬되어 둘러싸는 고주파 조절실(74)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또 다른 내부판(14)은 내부판(12)의 실제적인 거울영상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변경가능하다. 더욱 특수하게는 내부판(14)은 입구채널(25),복귀채널(27)과 출구채널(29)와 (31)을 포함한다.
입구채널(25)에는 머플러(10)가 장착되어 있는 차위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위치에 있근 입구끝(33) 부분이 있다. 더욱이 입구채널(25)은 내부판(12)에서 구멍(34)과 실제로 일치하는 구멍(35)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다. 조절채널(37)은 접합점에서 입구채널(25)와 복귀채널(27)과 상통한다.
조절채널(37)의 반대편 끝은 구멍(37A)에서 끝난다. 조절채널(37)과 구멍(37A)은 조립된 머플러(10)위의 조절튜브를 결정하는 내부판(12)위의 조절채널(36)과 구멍(36A)와 일치된다. 한쌍의 조절채널(36)과 (37)에 의하여 정합되어 형성된 조절튜브의 길이와 직경은 감쇄되는 소리의 주파수와 일치하여 선택된다. 복귀채널(27)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팽창실(602)과 연결되는 구멍(39)을 포함한다.
출구채널(29)와 (31)은 각각 출구끝(41)과 (43)부분에서 끝난다. 이에 덧붙여서, 출구채널(29)와 (31)에는 머플러(10)위에 있는 팽창실(602)과 연결되는 구멍(45)와 (47)이 천공배열되어 있다. 더욱이 내부판(14)은 입구채널(25)와 같은 방향인 내부판(14)의 평면안쪽으로 뻗어있는 채널(49)와 (51)을 포함한다.
채널(49)와 (51)은 내부판(12)의 채널(48)과 (50)가 실제로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채널(49)와 (51)은 구멍(35)의 배열반대편 끝부분에 각각 배열된 2개의 위치에서 입구채널(25)에 각각 삽입된다.
또 외피(16)는 일반적으로 한개의 평면에 놓여 있는 것으로 표시되고 한쌍의 내부판(12)와 (14)의 외부크기보다 더 크거나 같은 외부크기를 결정하는 주위의 플랜지(52)를 포함한다.
주위의 플랜지(52)는 내부판(12)의 입구채널(24)와 출구채널(28)과 (30)에 각각 가까워지도록 위치한 아아치모양의 입구개구(54)와 출구개구(56)(58)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위의 플랜지가 평면이 아닌 것도 있다.
외피(16)은 절곡홈(6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62)와 팽창실외피(60)를 결정하도록 타발성형한 것이다. 더구나, 팽창실외피(60)는 한쪽에는 절곡홈(64)에 의하이 나머니쪽은 주위의 플랜지(52)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와마찬가지로, 저주파 공명실외피(62)는 한쪽은 절곡홈(64)에 의하여 또 나머지 다른쪽은 주위의 플랜지(52)에 의하여 한정된다. 저주파 공명실외피(62)는 조절채널(36)의 끝과 거기에 인접한 구멍(36A)와 상통하도록 배열된다. 저주파 공명실외피 (62)의 정확한 크기는 감쇄되는 특수한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 선택되고 또한 한쌍의 내부판(12)와 (14)에 있는 한쌍의 조절채널(36)과 (37)로부터 정합되어 성형된 조절튜브의 크기에 의하여 선택된다.
더욱이 저주파 공명실외피(62)는 머플러(10)의 힘에 기여하며 또한 진동발생소음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보강 리브(66)의 특징이 있다. 팽창실외피(60)는 복귀채널(26)과 출구채널(28)과 (30)안에 각각구멍(38)(44) 및 (46)의 배열을 실질직으로 포함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팽창실외피(60)는 보강리브(68)를 가지고 있다. 외피(16)은 팽창실외피(60)의 영역안에서 안쪽으로 향한 연속내향채널(70)을 가지고 있다. 이 연속내향채널(70)은 내부판(12)의 채널(48)과 (50)과 실제로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더욱이 연속내향채널(70)은 내부판(12)의 채널(48)과 (50)과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므로서 팽창실외피(60)안에 배열되지 않은 구멍(34)을 둘러싸는 고주파조절실(74)을 형성한다.
또 다른 외피(18)는 반드시 외피(16)의 거울영상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외피(16)와 외피(18)의 각각의 형태는 차의 공간덮개의 크기와 모양을 반영할 것이다. 더욱 특수하게는 외피(18)는 그 주위에 연장되는 주변플랜지(53)을 포함한다.
주변플랜지(53)는 입구채널(25)와 출구채널(29)와 (31)을 각각 안전하게 맞물릴 수 있는 크기인 아아치모양의 입구개구(55) 출구개구(57)과 (59)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외피(18)는 절곡홈(65)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는 저주파 공명실 외피(63)과 팽창실외피(61)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특히, 팽창실외피(61)와 저주파 공명실(63)는 외피(16)에 형성된 저주파 공명실외피(62)와 팽창실외피(60)에 일치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외피(18)은 더욱이 전술한 바와같이 진동발생소음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보강리브(67)과 (69)를 가지고 있다.
외피(18)는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조절실(75)을 결정하기위하여 내부판(14)의 채널(49)와 (51)과 맞물릴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는 연속내향채널(71)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머플러(10)는 안전하게 연결하며 그들 사이의 진동을 막을 수 있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한쌍의 내부판(12)와 (14)를 처음 결합시킴으로서 조립된다. 그 다음에 한쌍의 외피(16)과 (18)은 한쌍의 내부판(12)와 (14)에 의하여 성형된 구조주위에 안전하게 결합된다.
제 2∼4 도에서와 같은 결합된 머플러(l0)은 입구채널(24)와 (25)의 입구끝(32)와 (33)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입구와 각각의 출구채널(28∼31)의 출구끝(40∼43)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출구를 포함한다.
입구 및 출구들은 차의 배기파이프와 꼬리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채널(24)와 (25)에 있는 구멍(34)와 (35)의 배열은 한쌍의 내부판(12)와 (14)에 있는 채널(48∼51)과 한쌍의 외피(16)과 (18)에 있는 채널(70)과 (71)에 의하여 성형된 고주파 조절실(74)및 (75)에 의하여 둘러 싸여진다.
고주파 조절실(74)와 (75)는 절연체(76)으로 채워지게 된다. 구멍배열(38, 39)와 (44∼47)은 팽창실외피(60)과 (61)안에 넣어진다. 더욱이 머플러(10)는 저주파 공명실외피(62)와 (63)에 의하여 형성된 저주파 공명실(612)(613)을 포함한다. 한쌍의 조절채널(36)과 (37)에 의하여 정합형성된 조절튜브는 구멍(36A)과 (37A)를 통하여 저주파 공명실외피(62)와 (63)에 의하여 형성된 저주파 공명실 (612) (613)안으로 통해진다.
한쌍의 조절패널(36)과 (37)에 의하여 정합되어 형성된 조절튜브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저주파 공명실(612) (613)의 크기는 감쇄되는 소리의 음향특성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구채널(24, 25)은 엔진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입구채널(24, 25)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구멍(44, 45, 46, 47)을 거쳐 팽창실(601) (602) 내에서 팽창한다.
그 결과 배기가스의 팽창은 노이즈 에너지를 감쇄시킨다. 또한 팽창실(601, 602)벽에 맞고 되돌아오는 소리의 패턴의 작용은 최소한 일정한 음파를 서로 상쇄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팽창실(601, 602) 내에서 상쇄되지 않은 잔류의 고주파수는 한쌍의 복귀채널(26) (27)로 정합된 복귀튜브를 거쳐 고주파 조절실(74, 75)내에서 음파의 간섭작용에 의해 완전감쇄시키는 것이다.
고주파 조절실(74, 75)은 한쌍의 입구채널(24, 25)의 앞부분에 크기가 작게 연속내향채널(70, 71)이 정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력은 팽창실(601) (602)보다 고주파 조절실(74, 75)이 높다. 따라서 팽창실(74, 75)에서 감쇄할 수 없는 높은 주파수까지도 상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주파수이외의 좁은 주파수 역시 팽창실(74, 75)내에서는 완전히 감쇄되지 않으므로 좁은 주파수 즉, 팽창실내에서 적절히 감쇄되지 않은 저주파수 노이즈의 최소한 좁은 대역은 한쌍의 복귀채널(26) (27)과 한쌍의 조절채널(36, 37)을 거쳐서 구멍(36A, 37B)을 통과하면 저주파 공명실(612, 613)에 도달한다. 상기저주파 공명실(612) (613)에 도달한 저주파는 벽에 부딪치면서 음파의 충돌에 의해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완전히 감쇄가 되는 것이다.
즉, 한쌍의 조절채널(36, 37)의 길이 "a"와 폭 "b"과 저주파 공명실의 부피는 모두 원하는 범위의 저주파수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약하게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팽창실(74, 75)에서 감쇄하지 못하는 고주파수나 저주파수의 일정범위의 좁은 대역은 고주파 조절실(74, 75)과 저주파 공명실(612, 613)내로 흘러들어가 감쇄할 수 있도록한 입구채널(24, 25)과 복귀채널(26, 27)은 배기가스를 기본적으로 역류시킬 수 있는 앵글로 형성되어 있음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발명의 머플러를 통과한 소음은 완전히 상쇄되어 배출되므로 배기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압력을 저하시켜 승차감이 매우 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 머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 5 도에서와 같이 머플러(100)에 의하여 표시된다.
머플러(100)은 한쌍의 타발 성형 내부관(102, 104)과 한쌍의 타발 성형 외피(106, 108)에 의하여 형성된다.
내부판(102)와 (104)는 한쌍의 일치될 수 있는 입구채널(110)과 (111), 첫번째 쌍의 일치될 수 있는 출구채널(112, 113)과 두번째쌍의 일치될 수 있는 출구채널(114, 115)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것은 출구채널(112∼115)는 머플러(10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냉각 및 수축을 하기 위하여 또 일치될 수 있는 양쪽쌍의 출구채널까지 배기가스가 적절히 안내됨을 확실히 하기위하여 입구채널(110)과 (111)보다 더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입구채널(110)과 (111)은 구멍(116)과 (117)이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출구채널(112∼115)는 구멍(118∼121)이 배열되어 있다. 구멍(116∼121)에 의하여 둘러싸인 면적은 필요한 교차형성과 소리를 줄이는 효과를 얻도록 선택된다.
한쌍의 내부판(102)와 (104)은 더욱이 한쌍이 일치될 수 있는 저주파 공명실외피(122)와 (123)를 가지고있다. 저주파 공명실외피(122)와 (123)는 일치될 수 있는 조절채널(124)와 (125)에 의하여 출구채널(112∼115)와 상통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의 다른 공영실외피(126)은 내부판(104)안에 있는 저주파 공명실외피(127)과 일치되도록 내부판(102)안에 성형된다. 조절채널(128)은 입구채널(110)과 저주파 공명실외피(126)사이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조절채널(129)은 조절채널(128)과 일치되게 정합되며 저주과 공명실외피(127)와 입구채널(111)사이에 연결된다.
한쌍의 저주파 공명실외피(122, 123)와 저주파 공명실외피(126, 127)에 의하여 결정되는 용적과 한쌍의 조절채널(124, 125) 및 (128, 129)에 정합되어 형성된 조절실 크기는 선택된 주파수를 적당히 감쇄시키기 위하여 선택된다. 한쌍의 외피(106)과 (108)은 한쌍의 전체 내부관(102)와 (104)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하나의 봉합을 형성하는 타발성형으로 된다.
보강리브(130)과 (131)은 진동발생소음을 막는다. 제 1-4 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머플러(100)은 처음에 내부판(102)와 (104)를 안전하게 서로 다른것에게 결합시키고 다음 그 둘레에 외피(106)과 (108)을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된다.
본 발명의 타발성형 머플러의 세번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 6 도와 제 7 도에서 머플러는 (200)으로 표시된다. 머플러(200)은 타발성형 내부판(202, 204)과 타발성형 외피(206, 208)를 포함한다. 내부판(202)와 (204)는 그 안에 있는 구멍(212)와 (213)에서 끝나는 입구채널(210)과 (211)을 결정하기 위한 타발성형이다. 입구채널(210)과 (211)은 각각 구멍(214)와 (215)의 배열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내부판 (202)와 (204)는 각각 구멍(218)과 (219)가 배열되어 있는 출구 채널(216)과 (217)을 포함한다.
채널(220)과 (222)는 구멍(218)의 배열의 반대편 끝 부분에서 두 개의 위치에 출구채널(216)을 삽입시키기 위한 내부판(202)에 타발성형된다. 마찬가지로 내부판(204)는 구멍(219)의 배열의 반대편 끝부분에 배치된 두 개의 위치에서 출구채널(217)로 연통되는 채널(221)과 (223)을 가지고 있다.
제 1 도-제 4 도에서 나타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220∼223)은 출구채널(216)과 (217)의 구멍 뚫린 부분을 둘러싸는 고주파 조절실을 결정하는 것이다. 내부판(202)는 더욱이 그 안에 구멍(226)의 배열을 갖는 복귀채널(224)를 결정하도록 타발성형된다. 복귀채널(224)는 출구채널(216)과 연결된다. 복귀채널(224)의 반대편 끝 부분을 내부판(202)에 타발성형된 조절채널(228)과 상통한다.
조절채널(228)은 구멍(230)에서 끝난다. 조절채널(228)은 복귀채널(224)보다 더 작은 크기인 것으로 나타난다. 조절채널(228)의 실제폭과 길이 및 구멍(230)의 크기는 머플러(200)가 장치되어 있는 차의 소음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내부판(204)는 그 안에 성형된 구멍(227)을 가지고 있는 복귀채널(225)를 가지고 있다. 복귀채널(225)는 출구채널(217)과 조절채널(229)와 상통한다.
조절채널(229)은 구멍(231)에서 끝난다. 내부판(202)와 (20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서로의 거울영상이 되도록 타발성형된다.
외피(206)과 (208)은 일반적으로 각각 평면의 주변플랜지(232)와 (233)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다. 주변플랜지(232)는 각각 입구와 출구채널(210)과 (216)을 맞물리게 하는 크기인 아아치 모양으로 성형된 입구개구(234)와 출구개구(236)가 특별히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외피(208) 위에 있는 주변플랜지(233)은 내부판(204)위에 있는 입구 및 출구채널(211)과 (217)을 안전하게 맞물릴 수 있는 크기로 아아치 모양으로 성형된 입구개구(235)와 출구개구(237)을 가지고 있다.
외피(206)은 그 안에 절곡홈(24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242)와 팽창실외피(240)을 결정하도록 타발성형된다. 마찬가지로 외피(208)은 절곡흠(245)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243)과 팽창실 외피(241)를 포함하여 타발성형된 것이다. 저주파 공명실외피(242)와 (243)은 내부판(202)와 (204)안에 있는 구멍(21, 213, 230, 231)과 연결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외피(206)은 내부판(202) 위에 있는 채널(220)과 (222)를 맞물리게 하는 크기인 연속내향채널(250)을 형성하여 구멍(218)의 배열 둘레에 있는 고주파 조절실을 결정하도록 타발성형된다. 마찬가지로 외피(208)은 구멍(219)의 정렬둘레에 있는 고주파 조절실을 형성하기 위하며 채널(221)과 (223)과 맞물리는 크기인 연속내향채널(251)을 가지고 있다.
제 6 도와 제 7 도에서와 같은 머플러(200)은 내부판(202)와 (204)를 함께 선택된 위치에 조립한 다음 내부판(202)와 (204)로부터 성형된 구조 둘레에 있는 외피(206)과 (208)을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절연물질(260)은 도면에 표시와 같이 팽창실의 적어도 1/2안에 배치된다.
이렇게 조립된 머플러(200)는 몇가지의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첫째로 팽창실에 들어오는 배기가스 입구채널(210)과 (211)안에 있는 구멍(214)와 (215)의 배열을 통하여 유통할 것이다. 이들 배기가스는 팽창실 외피(240)과 (241)에 의하여 결정된 팽창실을 통한 한쌍의 복귀채널(224)와 (225)에 의하여 정합되어 형성된 복귀 튜브의 구멍(226)과 (227)로 들어오게 되어 순환할 것이다.
배기가스는 한쌍의 출구채널(216)과 (217)에 의하여 정합되어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계속 유통할 것이다. 출구까지 유동할때 배기가스는 연속내향채널(250, 251) 및 채널(220∼223)에 의하여 결정된 고주파 조절실을 통하여 유동할 것이다.
한쌍의 구멍배열(214, 215)과 구멍(212, 213)사이에 정합되어 있는 입구부분은 조절튜브로서 작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멍(230)과 (231)까지 안내되는 타발성형된 한쌍의 조절채널(228)과 (229)이 정합되어 조절튜브로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머플러(200)의 타발성형형태는 특이하나 한개의 저주파공명실안으로 안내되는 두 개의 조절튜브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이한 구조때문에 한쌍의 입구채널(21, 211)에 의하여 정합되어서 형성된 입구와 한쌍의 조절채널(228 및 229)에 의하여 정합되어서 형성된 입구와 한쌍의 조절채널(228 및 229)에 의하여 정합되어서 형성된 조절튜브 사이에 소량의 가스가 유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상태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4개의 성분보다 더 적은 성분을 가진 타발성형된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 8 도에는 제 5 도에 나타난 바와같은 머플러(100)에 있는 내부판(102)의 위치에 사용될 수 있는 타발성형판(302)이 있다. 타발성형판(302)은 제 5 도에서의 내부판(104)와 외피(108)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두 번째 외피(106)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한다.
더욱 특수하게는 타발성형판(302))은 입구채널(310)과 한쌍의 출구채널(312와 314)를 성형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내부판(102)의 입구와 출구채널과는 다르게 입구채널(310)도 출구채널(312, 314)도 구멍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타발성형판(302)는 그 안에 합쳐지는 머플러위의 외피로서 작용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팽창실은 제 5 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내부판(104)와 외피(108)사이에 배치될 것이다. 더욱이 타발성형판(302)는 조절채널(324)를 통하여 입구채널(310)과 상통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332)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두번째의 또 크기가 다른 저주파 공명실외피(326)은 입구채널(310)을 가지고 있으며, 조절채널(328)을 통하여 입구채널(310)과 연결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절채널(324, 328)과 저주파 공명실외피(322, 326)의 크기는 감쇄되는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서 선택된다.
타발성형 입구채널(310), 출구채널(312, 314), 조절채널(324) 및 (328)과 타발성형 저주파 공명실외피(322) 및 (326)은 제 5 도에서와 같이 내부판(104)의 대응하는 타발성형 몸체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을 주의해야만 한다. 또한 내부판(104) 및 타발성형판(302)의 타발성형부분은 일반적으로 서로의 거울영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 거울영상형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같이 여러가지 타발성형 몸체의 형태는 차위에 가용할 수 있는 공간덮개의 외형에 의하여 폭넓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타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튜브가 일반적으로 원형이지만, 다른 기하학적인 횡단면의 형태가 가능한 것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내부판(104)은 외피(108)와 구멍이 없는 하나의 평판사이에서도 만들어질 수있다. 이 실시에에서는 한개의 평판이 기체 역학적으로 유용한 형태를 주기 위하여 차의 보다 아래쪽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외피(108)은 위쪽에 형성되며, 차위의 공간덮개가 가용하게 할 수 있다.
제 9 도는 후술하게 하는 다양한 외피를 가지고 이용할 수 있는 한쌍의 내부판(330)과 (331)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내부판(330)은 입구채널(332)을 갖고, 상기 입구채널(332)과 상통하는 복귀채널(334)와, 상기 복귀채널(334)과 상통하는 출구(336)을 포함하여 타발성형된 것이다.
조절채널(338)은 대개 그들의 접합점에서 복귀채널(334)와 출구채널(336)과 상통하도록 타발성형된 것이다. 조절구멍(340)은 후술되는 바와같이 저주파 공명실과 통할 수 있도록 조절채널(338)의 끝에 타발성형된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조절채널(338)의 길이와 횡단면 그것에 의하여 감쇄되는 저주파소리의 주파수에 따라 선택된다. 입구채널(332)는 그안에 구멍(342)이 정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귀채널(334)는 그 안에 구멍(344)이 배열되어 있다. 내부판(331)은 내부판(330)와 맞도록 크기가 형성되어 타발성형된 것이다.
특히, 내부판(331)은 계속해서 서로 상통되며 내부판(330)에 있는 대응하는 채널과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는 입구채널(333), 복귀채널(335)와 출구채널(337)을 가지고 있다. 입구채널(333)은 그 안에 구멍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복귀채널(335)는 구멍(345)가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출구채널(337)은 구멍(347)이 배열되어 있다.
내부판(331)은 내부판(330)위에 있는 조절채널(338)과 비교할 만한 조절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내부판(330)과 (331)은 아주다른 외피를 가지고 있다. 특히 내부판(330)에 고정된 외피는 저주파공명실과 팽창실을 결정하는 절곡홈을 가지고 있다.
절곡홈은 저주파공명실이 조절채널(338)과 연결하고, 반면 팽창실은 구멍(342)와 (344)와 상통되도록 배치된다. 이들 각각의 실을 결정하는 절곡홈은 제 1 도와 제 6 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반드시 옆으로 화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외피는 내부판(330)의 주변과 일치되는 주변을 반드시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판(331)에 고정된 외피는 단순히 구멍(345)와 (347)과 상통되는 한개의 팽창실을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내부판(331)에 고정된 외피의 주변은 내부판(331)의 주변과 꼭 일치할 필요는 없다. 내부판(330)과 (331)에 의한 배기가스의 흐름은 효과적이며 특히 독특하다.
특수하게는 배기가스는 일반적으로 입구채널(332, 333),복귀채널(334, 335) 및 출구채널(336, 337)에 의하여 한정된 순환되는 "S"형 길을 따라 첫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는 구멍(342)를 거쳐 적절한 크기와 형태의 팽창실로 흘러 구멍(344)를 다시 거쳐 복귀채널(334와 335)로 형성된 복귀튜브로 들어가는 제 2 의 통로를 흐른다.
마찬가지로 다음에는 배기가스는 구멍(345)를 통하여 적절한 크기로 배열된 팽창실안으로 흐르고 구멍(347)을 통하여 다시 한쌍의 출구채널(336과 337)에 의하여 정합되어 성형된 출구튜브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약 90°로 서로에게 배치된 두개의 "S"형 길을 따라 유동된다. 또한 내부판(330)과 (331)이 안에 배치된 머플러는 선택된 저주파 소음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차위의 다른 가용공간 덮개의 변화에 맞추어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요약하면 타발성형 머플러는 한쌍의 타발성형 내부판과 한쌍의 타발성형 외피로 구성된다. 내부판의 타발성형은 구멍이 나 있는 부분 적어도 한개의 입구와 한개의 출구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내부판의 타발성형은 적어도 한쌍의 조절채널에 의해 정합된 한개의 조절튜브를 형성해도 좋다. 내부판이나 외피는 한쌍의 내부판에 의하여 정합되어 형성된 조절튜브와 상통하는 저주파공명실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다.
한쌍의 내부판과 한쌍의 외피는 더욱이 더 큰 팽창실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주파 조절실을 결정하도록 타발성형된다.
본 발명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기술되어졌으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팽창실내에서 상쇄되지 않는 높은 주파수의 성분이나 저주파 노이즈의 최소한 좁은 대역까지도 상쇄시킬 수 있어 배기가스의 흐름이나 배출이 원할하므로 유용하고 경제적인 것이다.

Claims (22)

  1. 차량의 배기파이프와 꼬리파이프에 형성적치한 것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관계로 확실하게 교착된 한쌍의 내부판(12, 14)을 가지고, 상기 내부판(12)(14)은 내부에 입구채널(24, 25), 출구채널(28∼31), 복귀채널(26∼27) 및 조절채널(36, 37)을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되고, 상기 배기파이프와 꼬리파이프에 연결할 수 있고 서로 연통하는 입구채널(24, 25)과 출구채널(28∼31)에 상통하는 조절채널(36, 37)을 형성하고, 상기 각채널(24∼31, 36, 37)에 형성된 구멍(34, 35, 38, 39, 44∼47)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내부판(12, 14)에 견고히 부착되는 한쌍의 타발성형외피(16, 18)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외피(16, 18)는 입구개구(54, 55)와 출구개구(56∼59)를 형성하여 각각 상기 입구채널(24, 25)과 출구채널(28∼31)의 선택부위에 형성적치하고, 상기 외피(16, 18)는 상기 내부판(12, 14)내에 구멍(34, 35, 38, 39, 44∼47)의 배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실(601, 602)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판(12, 14)에 형성된 조절채널(36, 37)과 상통하는 타발성형된 저주파공명실(612, 613)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12, 14)내에 타발성형된 상기 입구채널(24, 25)과 출구채널(28∼31)중의 하나가 상기 저주파 공명실(612, 613)을 거쳐 상기 외피(16, 18)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입구개구(54, 55) 및 출구개구(56-59)중의 하나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외피(16, 18)는 내부판(12, 14)안에 있는 구멍(34, 35, 38, 39, 44∼47)의 배열을 실제로 둘러싸는 팽창실(601, 602)과 고주파조절실(74, 75)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되고, 각각의 실은 각각의 용적과 다른 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실 중에 큰 것은 팽창실(6l2, 613)을 결정하고 작은 것은 고주파조절실(74, 7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채널(28∼31)은 상기 입구채널(24, 25)보다 더 작은 횡단면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12, 14)은 상기 입구채널(24, 25)과 출구채널(28∼31)사이에 펼쳐진 복귀채널(26, 27)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채널(26, 27)은 출구채널(28∼31)보다 더 큰 횡단면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채널(26, 27)과 상통하는 두개의 채널(28∼31)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채널(28∼31)의 각각은 복귀채널(26, 27)에 약 90°의 각도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채널(24, 25)은 상통하는 두개의 출구채널(28∼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9.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타발성형외피(16, 19)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팽창실(601, 602)과 팽창실(601, 602)내에 배치된 고주파조절실(74, 75)을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조절실(74, 75)은 외피 (16, 18)안에 있는 연속내향채널(70, 71)과 상기 내부판(12, 14) 내에 있는 채널(50, 5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속내향채널(70, 71)과 채널(50, 51)들이 상기 내부판(12, 14)내의 선택된 구멍(34, 35)배열을 실제로 둘러싸고 서로 접촉하도록 타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0. 면접촉관계로 확고하게 고정되고, 내부에 구멍(214, 215)의 배열을 적어도 한개 갖는 입구채널(210, 211)와, 내부에 구멍(218, 219, 226, 227)의 배열을 적어도 한개갖는 출구튜브(216, 217) 및 복귀튜브 (224, 225)와, 내부판(202, 204)을 통하여 연장되는 서로 일치하는 한쌍의 구멍(230, 231)들과, 상기 출구튜브(2l6, 217)로부터 상기 구멍까지 연장되는 조절튜브(228, 229)를 형성한 내부판(202, 20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판 (204)을 둘러싸고 그 내부판에 고정된 한쌍의 타발성형외피(206, 20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판(206, 208)이 상기 입구채널(210, 211) 및 출구채널(216, 217) 및 복귀채널(224, 225)내의 구멍(214, 215, 218, 219, 226, 227)의 배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실외피(240, 241)와 상기 내부판(202, 204) 내에 상기 구멍(230, 231)들과 연결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242, 243)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채널(210, 211)은 상기 저주파 공명실외피(242, 243)에 연장되어 상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채널(216, 217)과 복귀채널(224, 225)이 구멍(218, 219, 226, 227)의 배열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외피(206, 208)들이 각각 상기 출구채널(216, 217)에 있는 상기 구멍(218, 219)의 배열의 하나를 둘러싸는 연속내향채널(250, 251)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내향채널(250, 251)이 고주파 조절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판(202, 204)에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202, 204)은 각각 상기 외피(206, 208)에서 각각 연속내향채널(250, 251)에 고착된 채널(220∼223)을 포함하고 고주파 조절실의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4. 면접촉관계로 배치된 한쌍의 내부판(102, 10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판(102, 104)이 적어도 한개의 입구채널(110, 111)과 그 입구채널에 상통하는 적어도 한개의 출구채널(112-115)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되고, 복수개의 조절채널(124, 125, 128, 129)는 입구채널(110, 111) 및 출구채널(112-115) 중 적어도 한개와 상통하며 저주파 공명실외피(122, 123, 126, 127)은 적어도 한개의 조절채널(124, 125, 128, 129)과 상통하고, 상기 입구채널(110, 111)과 출구채널(112∼115)는 각각 그 안에 구멍(116∼121)의 배열을 가지고 있고, 또한 내부판(102, 104)을 실제로 둘려싸며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외피(106, 108)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106, 108)는 입구 및 출구채널에 있는 상기 구멍과 상통하는 적어도 한개의 고주파 조절실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06, 108)가 그 안에 복수개의 보강리브(130, 131)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6.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꼬리파이프와 배기파이프를 적재한 것에 있어서, 면접촉관계로 서로 확고하게 접속된 한쌍의 내부판(202, 20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판(202, 204)들이 그것을 통과하도록 확장된 배열된 구멍(212, 213, 230, 231)들의 첫째 및 둘째쌍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되고, 타발성형된 내부판(202, 204)이 구멍(212, 213)의 첫번째 쌍에까지 확장되고 차량의 배기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입구채널(210, 211)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채널(210, 211)이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214, 215)배열을 포함하고, 타발성형 내부판(202, 204)이 또한 차량의 꼬리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218, 219, 226, 227)배열을 가지는 출구채널(216, 217), 복귀채널(224, 225)을 포함하고, 조절채널(228, 229)이 출구채널(216, 217)에서 구멍(230, 231)의 두 번째 쌍에 확장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 한쌍의 외피(206, 208)가 상기 내부판(202, 204)에 고착되고, 상기 외피가 상기 내부판(202, 204)내의 상기 구멍(212, 213, 230, 231)을 둘러싸는 저주파 공명실외피(242, 243)와, 상기 입구채널(210, 211)과 출구채널(216, 217) 및 복귀채널(224, 225)에 구멍(214, 215, 218, 219, 226, 227)배열을 둘러싸는 고주파 조절실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채널(216, 217)과 복귀채널(224, 225)안에 복수개의 구멍(218, 219, 226, 227)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206, 208)는 복수개의 고주파 조절실을 형성하도록 연속내향채널(250, 251)이 타발성형되고 각 상기 고주파 조절실은 적어도 한개의 구멍(218, 219)의 배열을 둘러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개의 외피(206, 208)는 한개의 상기 내부판(202, 204)에 고정되고 고주파조절실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출구채널(216, 217)안에 있는 구멍(218, 219)의 정렬을 둘러싸고 있는 연속내항채널(250, 251)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개의 내부판(202, 204)이 상기 외피(206, 208)의 연속내향채널(250, 251)에 고정되어 있고 고주파 조절실의 한부분을 형성하는 채널(220, 223)을 적어도 한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20. 면접촉관계로 고정되고 그 사이에 튜브의 배열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 첫번째와 두번째 내부판(330, 331)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채널(334, 335)의 배열이 입구채널(332, 333)와 그 입구채널에 연결된 복귀채널(334, 335)와 그 복귀채널에 연결된 출구채널(336, 337)을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내부판(330)이 입구와 복귀채널(332, 334)를 형성하며, 그 부분에서 구멍(342, 344)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내부판(331)이 복귀 및 출구채널(335, 337)를 형성하는 그 부분에서 확장하는 구멍(345, 347)의 배열을 포함하고, 첫번째 및 두번째 타발성형외피(16, 18)가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내부판(330, 331)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첫번째 외피(16)가 첫번째 내부판(330)에 구멍(342, 344)으로 상통되어 둘러싸는 팽창실외피(60)을 형성하고, 상기 두번째 외피(18)가 상기 두번째 내부판(331)에 구멍(345, 347)으로 상통하는 팽창실외피(61)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331)은 상기 튜브의 배열과 상통되는 조절채널(338)을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6, 18)중 적어도 한개의 상기 조절튜브(338)와 상통하는 저주파 공명실외피(62, 63)를 형성하도록 타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 성형 머플러.
KR1019870006058A 1986-11-25 1987-06-15 타발 성형 머플러 KR940010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4642 1986-11-25
US06/934,642 US4700806A (en) 1986-11-25 1986-11-25 Stamp formed muff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439A KR880006439A (ko) 1988-07-22
KR940010652B1 true KR940010652B1 (ko) 1994-10-24

Family

ID=2546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058A KR940010652B1 (ko) 1986-11-25 1987-06-15 타발 성형 머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00806A (ko)
EP (1) EP0268728B1 (ko)
JP (1) JPS63138115A (ko)
KR (1) KR940010652B1 (ko)
BR (1) BR8702695A (ko)
CA (1) CA1270205A (ko)
DE (1) DE3783872T2 (ko)
ES (1) ES2003033A6 (ko)
MX (1) MX166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3370E (en) * 1986-11-25 1990-10-09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US4760894A (en) * 1987-06-11 1988-08-02 Ap Industries, Inc. Exhaust muffler with angularly aligned inlets and outlets
US4759423A (en) * 1987-06-11 1988-07-26 Ap Industries, Inc. Tube and chamber construction for an exhaust muffler
JPH088305Y2 (ja) * 1987-09-07 1996-03-0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消音器
US4765437A (en) * 1987-10-07 1988-08-23 Ap Industries, Inc. Stamp formed muffler with multiple low frequency resonating chambers
US4909348A (en) * 1988-01-20 1990-03-20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exhaust muffler with conformal outer shell
US4821840A (en) * 1988-01-20 1989-04-18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exhaust muffler with conformal outer shell
US4836330A (en) * 1988-08-03 1989-06-06 Ap Industries, Inc. Plural chamber stamp formed muffler with single intermediate tube
US4924968A (en) * 1988-08-03 1990-05-15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reinforced outer shell
US4894987A (en) * 1988-08-19 1990-01-23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and catalytic converter assembly
US4847965A (en) * 1988-10-18 1989-07-18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stamp formed mufflers
US4901815A (en) * 1988-10-18 1990-02-20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s
US4860853A (en) * 1988-12-20 1989-08-29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nonplanar array of tubes
US4901816A (en) * 1989-01-23 1990-02-20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Light weight hybrid exhaust muffler
US4905791A (en) * 1989-01-23 1990-03-06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Light weight hybrid exhaust muffl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2207124A (ja) * 1989-02-04 1990-08-16 Sankei Kogyo Kk スタンプドマフラの製造方法
US5012891A (en) * 1989-02-15 1991-05-07 Tennessee Gas Pipeline Company Muffler assembly
US5042125A (en) * 1989-04-07 1991-08-27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mp formed mufflers
US4928372A (en) * 1989-04-07 1990-05-29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stamp formed mufflers
US4941545A (en) * 1989-04-28 1990-07-17 Arvin Industries, Inc. Muffler assembly
US5004069A (en) * 1990-01-26 1991-04-02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transverse baffle tube
US4958701A (en) * 1990-03-26 1990-09-25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pocket-free baffle crease
US5173577A (en) * 1990-09-04 1992-12-22 Ap Parts Manufacturing Co. Stamp formed muffler with low back pressure
SE467633B (sv) * 1990-11-09 1992-08-17 Volvo Ab Ljuddaempare foer motorfordon
US5229557A (en) * 1991-05-28 1993-07-20 Arvin Industries, Inc. Rigidified muffler assembly
US5280142A (en) * 1991-10-18 1994-01-18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Heat shielded exhaust system component
US5252788A (en) * 1992-04-10 1993-10-12 Ap Parts Manufacturing Co. Stamp formed muffler with in-line expansion chamber and arcuately formed effective flow tubes
US5428194A (en) * 1993-10-19 1995-06-27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Narrow width stamp formed muffler
US5448831A (en) * 1993-11-08 1995-09-12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mp formed muffler with hermetically sealed laminated outer shell
US5816361A (en) * 1994-03-02 1998-10-06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Exhaust mufflers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123870A1 (en) * 1994-03-02 1995-09-03 James E. Gerber Exhaust mufflers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473891A (en) * 1994-06-10 1995-12-12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Three-piece stamp formed connector for achieving equal length exhaust pipes
US5597986A (en) * 1995-02-27 1997-01-28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nested chambers
US5563385A (en) * 1995-03-07 1996-10-08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siphon tube
US5563383A (en) * 1995-03-07 1996-10-08 Apparts Manufacturing Company Stamp formed muffler with integral evacuation tube
US5907904A (en) * 1996-03-22 1999-06-01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haust muffler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DE19627079A1 (de) * 1996-07-05 1998-01-08 Eberspaecher J Gmbh & Co Absorptions-/Reflexions-Schalldämpfer
DE19627299A1 (de) 1996-07-06 1998-01-08 Eberspaecher J Gmbh & Co Schalldämpfer mit Außen- und Innenhalbschalen
US5783782A (en) * 1996-10-29 1998-07-21 Tenneco Automotive Inc. Multi-chamber muffler with selective sound absorbent material placement
US5726398A (en) * 1997-02-26 1998-03-10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Automotive bumper and muffler combination
US5949035A (en) * 1997-03-24 1999-09-07 Arvin Industries, Inc. Stamp-formed muffler having a unitary inner cartridge
US6068082A (en) * 1997-11-21 2000-05-30 D'amico, Jr.; John Muffler packing method and apparatus
CA2318534A1 (en) 1998-02-13 1999-08-19 Ted J. Wiegandt Mufflers for use with engine retarders; and methods
US6082487A (en) * 1998-02-13 2000-07-04 Donaldson Company, Inc. Mufflers for use with engine retarders; and methods
US6135237A (en) * 1998-04-03 2000-10-24 Arvin Industries, Inc. Stamp-formed muffler
US6053276A (en) * 1998-06-09 2000-04-25 D'amico, Jr.; John Muffler packing method with injection of cartrided continuous filament fiberglass
US6076632A (en) * 1998-12-14 2000-06-20 Nelson Industries, Inc. Cross flow baffle muffler
US6250422B1 (en) 1998-12-14 2001-06-26 Nelson Industries, Inc. Dual cross-flow muffler
US6659222B1 (en) 1999-03-05 2003-12-09 Arvinmeritor, Inc. Multi-chambered muffler
US6341664B1 (en) 2000-01-13 2002-01-29 Goerlich's Inc. Exhaust muffler with stamp formed internal assembly
IT1321203B1 (it) 2000-02-01 2003-12-31 Magneti Marelli Spa Metodo per il controllo del titolo della miscela aria - carburante inun motore a scoppio .
US6457553B1 (en) 2000-08-04 2002-10-01 Nelson Industries, Inc. Low cost muffler
US6446750B1 (en) 2001-03-16 2002-09-10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Process for filling a muffler shell with fibrous material
FR2838476B1 (fr) * 2002-04-12 2005-06-24 Faurecia Sys Echappement Volume d'echappement comportant une enveloppe delimitant un passage de circulation des gaz
DE10339811B4 (de) * 2003-08-27 2005-09-22 J. Eberspächer GmbH & Co. KG Resonator zur Reduzierung von Luftschall
US7273129B2 (en) * 2003-09-05 2007-09-25 Faurecia Exhaust Systems, Inc. Muffler with internal heat shield
DE202004000659U1 (de) * 2004-01-17 2004-04-15 Heinrich Gillet Gmbh Schalldämpfer für Kraftfahrzeuge mit Verbrennungsmotor
US20060081416A1 (en) * 2004-10-14 2006-04-20 Nentrup Trent L Exhaust silencer with acoustic damping mat
US20060258281A1 (en) * 2005-05-12 2006-11-16 Cripps Arthur B Jr Air duct with annular rolling portion
US7575096B2 (en) 2005-09-21 2009-08-18 Emcon Technologies Llc Pressed assembly for passive valve installation
US20080093162A1 (en) * 2006-10-23 2008-04-24 Marocco Gregory M Gas flow sound attenuation device
US8590155B2 (en) * 2009-06-03 2013-11-26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filling a muffler with fibrous material utilizing a directional jet
US8985270B2 (en) 2013-03-11 2015-03-24 Molded Acoustical Products Of Easton, Inc. Clean burn muffler packing with stitched fiberglass envelope
JP6483469B2 (ja) * 2015-02-20 2019-03-13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マフラ
AU2017208347B2 (en) * 2016-07-28 2024-02-01 Tarkan Fahri A muffl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4827A (en) * 1946-10-17 1949-10-18 Bertron G Harley Baffle type muffler with corrugated casing
GB632013A (en) * 1948-01-08 1949-11-15 British Light Steel Pressing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ilencers for pulsating emissions of gas
US2860722A (en) * 1954-08-23 1958-11-18 Gen Motors Corp Silencer
US2943695A (en) * 1957-10-23 1960-07-05 Jeffords Joseph Silencer
US3140755A (en) * 1960-04-15 1964-07-14 Olin Mathieson Muffler or other hollow article and fabrication of same
US3158222A (en) * 1962-07-02 1964-11-24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Muffler
GB1012463A (en) * 1963-04-11 1965-12-08 Ford Motor Co Motor vehicle exhaust muffler
US3176791A (en) * 1963-11-12 1965-04-06 William M Betts Mufflers for marine engines
US3638756A (en) * 1969-12-30 1972-02-01 United States Steel Corp Vehicle muffler and method of assembly
AU446195B2 (en) * 1970-05-12 1974-02-27 Victa Limited Improvements in muffl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08274A (en) * 1976-07-06 1978-08-22 Jet Aeration Company Acoustical apparatus
US4132286A (en) * 1976-08-31 1979-01-02 Nihon Radiator Co., Ltd. Muffler
FR2498682B1 (fr) * 1981-01-23 1986-08-08 Industeler Silencieux en matiere inoxydable pour pot d'echapp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02693A1 (fr) * 1981-03-26 1982-10-01 Wissembourg Sa Const Metallurg Silencieux pour moteurs de vehicules automobiles
JPS5836167A (ja) * 1981-08-26 1983-03-03 Toshiba Corp 渦電流接手
GB2120318B (en) * 1982-05-13 1985-07-17 Ti Cheswick Silencers Limited Exhaust gas discharge system
JPS5943456U (ja) * 1982-09-16 1984-03-22 デユ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切断装置
JPS61155625A (ja) * 1984-12-27 1986-07-1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トルク変動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3872D1 (ko) 1993-03-11
DE3783872T2 (de) 1993-06-09
MX166014B (es) 1992-12-16
EP0268728A3 (en) 1990-05-09
KR880006439A (ko) 1988-07-22
JPH0243005B2 (ko) 1990-09-26
JPS63138115A (ja) 1988-06-10
EP0268728B1 (en) 1993-01-27
BR8702695A (pt) 1988-07-05
EP0268728A2 (en) 1988-06-01
ES2003033A6 (es) 1988-10-01
US4700806A (en) 1987-10-20
CA1270205A (en) 199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652B1 (ko) 타발 성형 머플러
US4736817A (en) Stamp formed muffler
US4759423A (en) Tube and chamber construction for an exhaust muffler
EP0310751B1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multiple low frequency resonating chambers
US6164412A (en) Muffler
CA2069040C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in-line expansion chamber and arcurately formed effective flow tubes
US5173577A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low back pressure
US5597986A (en) Stamp formed muffler with nested chambers
US4953660A (en) Muffler with two part housing and flow tubes
JPH02188617A (ja) 排気マフラ
KR100369967B1 (ko) 타발성형컨넥터
US6415889B1 (en) Stamped-formed muffler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US590790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haust muffler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US5717173A (en) Exhaust mufflers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123776C (en) Narrow width stamp formed muffler
US6659222B1 (en) Multi-chambered muffler
US5816361A (en) Exhaust mufflers with stamp formed internal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RE33370E (en) Stamp formed muffler
JP3325498B2 (ja) 通気型遮音壁構造
JP2002021528A (ja) マフラー本体
JPH06212942A (ja) 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