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426B1 -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 Google Patents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426B1
KR940010426B1 KR1019890007587A KR890007587A KR940010426B1 KR 940010426 B1 KR940010426 B1 KR 940010426B1 KR 1019890007587 A KR1019890007587 A KR 1019890007587A KR 890007587 A KR890007587 A KR 890007587A KR 940010426 B1 KR940010426 B1 KR 94001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wall
housing
socke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064A (ko
Inventor
코스모스 페테
호워드 모서 벤자민
카리 오올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202,069 external-priority patent/US484255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202,276 external-priority patent/US4842555A/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0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 딘 -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제 1 도는 표면차폐형 8개소 접속식 전기코넥터의 사시도.
제 1a 도는 차폐형 전기소켓의 사시도.
제 2 도는 코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장착용 발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의 금속 차폐물의 일부를 보이는 도면.
제 5 도는 제 4 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도면.
제 6 도는 제 4 도의 화살표(6)의 방향으로 취한 도면.
제 7 도는 제 6 도의 7-7선을 따라 취한 도면.
제 8 도는 9 도는 제 6 도 및 7 도에 도시한 부분의 변형예를 각기 예시하는 종단면도 및 사시도.
제 10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부품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11 도는 제 1 도의 차폐형 코넥터의 축단면도.
제 12 도는 제 1 도의 차폐형 코넥터의 전면도.
제 13 도는 터미널이 전방기판의 구멍에 고정된 제 1 도의 코넥터의 배면도.
제 13a 도는 터미널이 후방기판의 구멍에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제 1 도의 코넥터의 배면도.
제 14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 15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 차폐물의 축단면도.
제 16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코넥터와 취합하는 제2차폐형 전기 코넥터의 상면도.
제 17 도는 제 4 도의 17-17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제2코넥터가 제 1 도의 코넥터와 취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면설치형 코넥터 12 : 단일편 금속 차폐물
14 : 장방형 본체 16 : 플러그부
24 : 상부벽 26 : 측벽
28 : 전방벽 30 : 원형개구
34 : 스프링 핑거 48,50 : 플랜지
80, 180 : 걸림용 핑거 82,86 : 홈
90 : 돌기 184 : 자유단
본 발명은 장방형 횡단면 본체와 걸림수단을 포함하고 본체내부에는 원형 횡단면체 플러그부가 전방으로 돌기하여 원형 횡단면체 외부 차폐형 전기소켓에 취합되는 표면설치형 전기코넥터의 금속 차폐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4,637,669호에는 일반적으로 "딘-타입 (DIN-type)소형 원형 코넥터"로서 알려진 표면설치형 코넥터의 차폐수단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의 차폐수단은 표면설치형 코넥터의 상부 및 양측면을 둘러싸는 제1차폐부, 및 원형 횡단면상으로서 상기 외부 차폐형 소켓을 수취하는 나팔형 주둥이를 가지는 또하나의 내부 차폐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493,525호에도 상기한 형식의 표면설치형 코넥터용 차폐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의 차폐물은 코넥터의 본체에 고정되게끔 되어 있고, 아울러 그의 주변부로부터 중앙원형 소켓 접근부가 개방되는 전방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에는 일련의 스프링핑거가 돌기하여 소켓의 차폐부와 전기접촉하게끔 되어 있다. 이때 표면설치형 코넥터를 좀더 차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부가적인 차폐부가 요구된다.
또한 미국특허 제4,493,525호에 기재된 것을 보면, 제1전기코넥터는 원형 횡단면체의 제1취합부를, 그리고 제2전기코넥터는 원형 횡단면체의 차폐형 제2취합부를 가져서 제1취합부와 취합방향으로 수취, 취합되게끔 되어 있고, 제2취합부는 아울러 자신의 단부에 근접한 곳에 돌기를 갖춘 가요성 래치아암을 갖추고 있으며, 제1전기코넥터는 절연하우징에 걸림용 숄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숄더에 대해 돌기가 걸려져서 제1 및 제2취합부를 취합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493,525호에 따르면, 제1취합부는 스프링핑거의 링에 의해 둘러싸이며, 또한 제1코넥터의 전방 차폐부로부터 돌기하여 제1 및 제2취합부가 취합되었을 때 상기 제2취합부의 차폐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548,455호는 코넥터들이 취합되었을 때 래치아암과 같은 것을 지지하는 수단을 기재하고 있는데, 이때 돌기는 길림용 숄더에 대해 걸림위치로서 고정되고, 상기 수단이 아암을 해제시킬 수 있게 동작함으로써, 돌기가 걸림용 숄더에 의해 압착되면 코넥터들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소형 원형 딘-타입 코넥터류의 단일편 차폐물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코넥터에 쉽게 조립되고 또한 코넥터 하우징의 적어도 4개의 전제 표면상에서 코넥터을 차폐시킬 수 있고, 그리고 차폐물이 표면설치형 코넥터와 취합되었을 때 외부 차폐형 소켓의 차폐부와 전기접촉시키는 작용을 하는 그런 차폐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물은 장방형의 상자형구조로서, 하우징의 상부벽 전체를 감싸는 상부벽, 각기 상부벽에 인접하여 하우징의 측벽들 전체를 에워싸는 1쌍의 측벽, 및 상부벽과 측벽들에 인접한 전방벽으로 구성된다. 전방벽은 자체에 외부 차폐형 소켓을 수취하는 원형관통공을 갖는다. 원형공둘레에는 일련의 외팔보형 탄성핑거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핑거는 소켓의 외부 차폐부와 결합하기 위해 차폐물의 안쪽에 있는 연부로부터 돌기하여 있다. 차폐물은 가령, 플랜지와 같은 수단을 갖추어서 표면설치형 코넥터의 본체에 형성된 홈에 스냅작용으로 결합함으로써, 차폐물이 코넥터에 고정되도록 한다. 차폐물은 또한 예컨대, 양측벽과 전방벽으로부터 돌기하는 장착용 레그와 같은 수단을 갖추어서 표면설치형 코넥터가 설치되어질 기판의 구멍에 수취되도록 한다.
외팔보형 탄성핑거는 가급적 그의 자유단위치 또는 그 부근에, 핑거로부터 전방벽의 원형공에 반경방향으로 내향하는 방향으로 돌기하는, 방사상으로 내향하는 오프셋이나 부각(embossment)을 가져서, 차폐부가 결합되었을 때 소켓에 의한 핑거의 휨 및 과잉응력을 제한하도록 한다. 걸림용핑거는 탄성핑거보다 짧으며, 코넥터들이 서로 취합되었을 때는 뒤에서 상대 코넥터의 돌기가 걸린다. 전방벽을 스프링 핑거로서 형성하고 스프링 핑거의 하나를 걸림용 핑거로 되게끔 절취함으로써, 걸림용 핑거는 아주 간단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차폐물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1쌍의 태브로 구성되며, 각 태브는 전방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부벽의 각 측연부로부터 늘어져 있으며, 또한 이들 각각은 플랜지중에서 종료하여 표면설치형 코넥터의 본체의 상기 홈중에 결합된다. 아울러 플랜지는 일차적으로 언급한 플랜지와 연속평행한 관계로 놓이게끔 측벽들로부터 안쪽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홈속에서 차폐물을 상기 본체에 보다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아울러, 또는 상기 플랜지 대신에, 고정수단은 1쌍의 탄성저지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때 이들 탄성 저지구 각각은 차폐물의 측벽들중 한측벽으로부터 타측 측벽으로 경사져서 돌기하여, 상기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노치와 스냅결합을 이룬다.
차폐물은, 기판에 대해 차폐물의 측벽들로부터 돌기하여서 차폐물에 외향하여 구부러진 갈구리로서 형성된 장착용 발 수단에 의해 기판의 개구연부와 탄성결합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각 장착용 발은 2부분을 이루게끔 분리될 수 있는데, 이때 이들 부분 각각은 표면설치형 코넥터가 차폐물과 더불어 기판상에 설치되었을 때 기판의 하부측에 결합시키는 것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결합상태로 있는 차폐물과 표면설치형 코넥터를 포함한다.
가급적, 본체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 수취용 홈들은 상기 후방단에 근접하여서는 보다 깊게 파여서 차폐물이 표면설치형 코넥터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스냅작용으로 홈들의 심부에 결합되게끔, 전방단으로부터 후방단까지 길게 뻗혀 있다.
그럼, 본 발명의 구현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에 장착되는 차폐형 전기코넥터는 단일편 금속 차폐물(12) 및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단일편으로 성형된 절연코넥터본체(14)로 구성된다. 코넥터본체(1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은 원형 횡단면형 플러그부(16)로서, 이것은 금속 차폐물(19)을 가진 원형 횡단면형 외부 차폐식 전기소켓(18)과 취합되며, 이 플러그부 속으로는 전기 핀(17)이 돌출한다.
제 11 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4)는 중앙부(22)를 가지며 이 중앙부(22)에서 플러그부(16)가 돌출한다.
차폐물(12)은 상부벽(24)과 1쌍의 측벽(26)을 포함하며, 각 측벽은 상부벽(24)에 대해 양측연부를 따라 인접한다. 상부벽(24)과 측벽(26)에 인접한 전방벽(28)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소켓(18)을 수취하기 위한 원형관통공(30)을 갖추고 있다. 이 관통공(30)은 원형연부(32)를 가지며 이 연부로부터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소켓(18)의 외부차폐물(19)과 결합하게되는 일련의 외팔보형 탄성핑거(34)가 후방으로 돌기하여 있다. 핑거(34)들은 전방벽(28)에 형성되는 이외에 개구(30) 전체에 둘러싸일 수도 있다. 제 4, 6 및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핑거(34)의 자유단(38)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곳에 개구(30)의 안쪽 방향으로 돌기하는 부각(embossment)을 형성시켜 핑거(34)가 플러그부(16)와 취합되어질때 소켓부(18)에 의해 핑거(34)들이 제멋대로 휘어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플러그부의 차폐부(19)는 부각(36)에 결합되어서 핑거 (34)에 과잉응력을 주지않게 된다.
제 8 도와 9 도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핑거는 34, 부각은 36'로 표시되고 또한 부각(36')은 핑거(34°)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변형예에 의하면, 핑거(34")는 자유단(38")으로부터 이격된 조글(joggle) (40)을 함께 형성하여서 차폐부(19)를 결합시키는 상승숄더(42)를 제공한다.
제1전기코넥터(10)의 차폐물(12)은 또한 플랜지(48 및 50)과 저지구(52)를 구비하며 저지구(52)는 차폐물(12)을 본체(14)에 고정시킨다. 측벽(26)으로부터 장착용 발(54)이, 그리고 전방벽(28)의 연장부(55)로부터도 장착용 발(58)이 형성되어서, 차폐물(12)을 고정시키고, 그에 따라서 본체(14)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게 된다. 플러그부(16)에는 터미널 수취용 평행공동부(62)가 형성되는데, 이들 공동부(62)는 자체, 그리고 본체(14)의 중앙부(22)를 통해 연장되고 아울러 플러그부(16)의 취합면(66) 및 중앙부(22)의 터미널 수취면(70)속으로 연장된다. 중앙부(22)는 얼마의 이격된 관계로 플러그부(16)를 둘러싸는 후드(68)를 전방으로 돌기하도록 형성시켜, 소켓 (18)이 중앙부에 잘 취합될 수 있도록 한다. 플러그부(16)는 축방향 키이홈(65)을 갖추어서 소켓(18)에 상대 키이(67)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취하도록 한다. 각 공동부(62)에는 소켓(18)의 각 핀(17)을 수취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receptacle)(172)이 고정된다. 본체(14)는 하부 장착면(73)을 가지며 이 장착면에는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스탠드-오프 러그(stand-off lug)(79)가 갖추어져 있다.
제 11 도 및 1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폐물(12)의 전방벽(28)에서 내향, 후향하는 것은 미발달 길림용 핑거(180)로써, 이것은 차폐물(12)의 전방쪽에 형성된 캠면(183)을 이룬 호형부(181)에 의해 전방벽(28)에 접속된다. 핑거(180)는 플러그부(16)를 향해 약간 경사진 상태로서 핑거(34)보다 더 짧으며 그 핑거(34)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진다. 핑거(180)는, 일정한 장방형 횡단면상으로서, 플러그부(16)를 향해 있는 평탄면(182)을 가지며 그리고 이 평탄면(182)에 직각인 평탄자유단(184)에서 종료된다. 핑거(180)는 전방벽(28)의 하부에서 제 17 도에 도시한 핑거(34)에 대해 정맞은 편에 위치하여 장착면(73)에 근접하게 된다. 차폐물(12)은 우선적으로 표면(28)의 부분으로부터 일체적인 핑거(34)와 더불어 형성되지만 단지 개구(30)를 둘러싸고 있을 수도 있으며, 이때 상부 핑거(34)는 조글(40)로부터 후방으로 절취되어 걸림용 핑거(180)를 제공하게된다.
제2코넥터(20)는 제 16 도 및 17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본제(186)를 포함하며, 절연본체안에는 차폐부(19)가 소켓(18)으로부터 뻗쳐 있고 또한 이 절연본체는 전기 케이블(c)를 수취하며, 케이블의 개개 도선(도시하지 않았음)은 핀(17)의 개개 접속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된다. 본체(186)로부터 소켓(18)으로 연장되는 것은 탄성가요성 외팔보형 래치아암(188)으로서, 그의 자유단에 근접한 돌기(90)가 차폐부(19)의 개구(91)에 관통돌기함으로써 직립된 상태로 된다. 이 돌기 (90)는 소켓(18)에 관해 후향하는 제1호형표면(92) 및 전방으로 대향하는 제2호형표면(94)을 가지며, 이들 표면(92 및 94)은 돌기(90)의 평탄상부(96)에 접하여 있다. 아암(188)밑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경질탄성 지지봉(98)으로써, 이 지지봉은 본체(186)에 있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부하된 슬라이드(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되고 아울러 순차적으로 본체(186)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슬리이브(101)에 접속된다. 미국특허 제4,548,45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암(188)이 소켓(18)속으로 자유롭게 하향하여 휘어지게끔, 슬라이드와 지지봉(98)이 부하 스프링에 의해 아암(188)밑의 전진된 지지위치를 향해 작용되며, 아울러 본체(186)의 후향하는 슬리이브 (101)를 잡아당김으로써 후퇴될 수 있다.
제1 및 제2코넥터(10 및 20)를 취합시키기 위해, 소켓(18)은 제 17 도의 화살표(A)방향으로 지시된 취합방향으로 차폐물(12)의 원형공(37)를 통해 삽입되어 키이(67)가 키이홈(65)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각 핀(17)은 각 공동부(62)에 도입하여 공동부(62)속의 각 리셉터클(172)에서 결합하게 된다. 슬라이브와 슬리이브(101)가 취합동작에 앞서 상기 전진위치에 있을 때 지지봉(98)은 아암(188)하부로 연장하게 된다. 아암(188)이 얼마의 가요성을 가지고 있는 한, 소켓(18)은 플러그부(16)와 취합하는 관계로 전진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지지봉(98)의 탄성작용에 대하여 돌기(90)가 그의 표면(94)과 미발달 핑거(180)의 캠면(183)에 결합함으로써 눌려지기 때문이다. 이때 핑거(180)는 제 11 도 및 16 도에 도시한 경사위치로부터 돌기(90)의 평탄상부(96)에까지 상승된다. 돌기(90)가 핑거(180)의 자유단(184)을 지나갔을 때, 돌기(90)는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발하여 걸리게 된다. 코넥터(10 및 20)은 따라서 취합관계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 이유는 아암(188)이 지지봉(9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c)에 대한 당김에 의해 핑거(180)에 의해 간단하게 눌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넥터(10 및 20)들을 서로 분리하고자 할 때, 슬리이브(101)를 뒤로 당겨서 아암(188)밑으로부터 지지봉(98)을 후퇴시키고 그에 따라 아암(188)은 소켓(18)의 안쪽으로 자유롭게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코넥터(10)가 슬리이브(101)의 당김으로 인해 코넥터(20)로부터 멀리 떼어졌을때, 그리고 표면(92)에 의해 안내된 돌기(90)가 핑거(180)밑을 슬립할 때, 돌기(90)의 상부(96)는 돌기(90)가 표면(92)을 통과할때까지 핑거(180)의 표면(182)에서 미끄러진다. 코넥터(10 및 20)는 슬리이브(101)가 후퇴하지 않는 한, 케이블(c)에 대한 견인에 의해서는 분리되지 않는다.
후방단에서, 즉 전방벽(28)으로부터 멀리 띨어진 단에서 상부벽(24)의 양 측연부(46)로부터 늘어져 있는 것은 태브(44)로서, 각 태브(44)는 플랜지(48)에서 종료하고, 플랜지(48)는 서로를 향해, 즉 차폐물(12)에 내향하여 돌기한다. 각 플랜지(48)의 바로 하부에는(제 2 도, 13 도 및 15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벽(26)이, 플랜지(48)에 인접한 상태로 평행하여 연장하는 새로운 플랜지(50)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0)밑에는 저지구(52)가 형성되는데, 이 저지구(52)는 차폐물(12)의 내부로 경사하여 돌기하는 탄성 설부(resilient tongue)의 형상으로서 후방단에 근접하여 있다.
차폐물(12)은 또한 기판(s)에 차폐물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이 수단은 각 측벽(26)에 따라 장착용 발(제 1, 11, 13 및 15 도 54, 제 2 도 : 54', 제 3 도 54")의 형태이다. 장착용 발(54)은 단순태브의 형태이고, 발(54')은 차페물(12)에 양방향으로 외향하여 구부러진 갈구리형상이고, 발(54")은 각 부분이 깃(56)에서 종료하는 2부분으로 갈라져 있으며, 상기 부분들은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전방벽(28)은 상부벽(24)에 평행하여 뻗은 전방벽(28)의 후방연장부(60), 또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전방벽(28)의 연장부(60°)로부터 늘어지는 또하나의 장착용 발(5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장부들은 차폐물(12)의 미발달 하부벽을 구성할 수도 있다.
플러그부(16)는 축방향으로 관통연장하는 터미널 수치용 공동부(62)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공동부는 플러그부(16)의 취합면(66)으로 개방하는 핀 수취용 나팔형 주둥이(64)를 갖추고 있다. 중앙부(22)는 일정간격으로 유지된 상태로 플러그부(16)를 둘러싸는 후드(68)를 갖추어서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소켓(18)이 플러그부(16)와 취합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4)의 중앙부(22)는 취합면(66)에 마주하는 터미널수취면(70)을 가지며, 각 공동부(62)는 중앙부(22)를 관통해 연장하며 또한 수취면(70)에 개방하는 터미널수취 주둥이(72)를 가진다.
플러그부(16)는 소켓(18)에 있는 상대 키이(65 및 67)를 수취하는 축방향 키이홈(61 및 63)를 갖는다. 플러그부(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취면(70)의 하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터미널 레그 스페이서 평판(74)은 공동부(62)의 축방향으로 길게 뻗은 다수의 터미널 레그 수취용 스페이서 노치(76)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수취면(7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데 수취면(7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스페이서 평판(74)의 후방연부(78)로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각 노치(76)는 2터미널 레그를 유지시키는 형태로 취해져서 코넥터의 발자국을 따라 2열의 터미널 레그 수취공을 일치시킨다.
스페이서 평판(74)에 형성된 노치(76)는 측벽(75)을 한정하고, 측벽(75)중의 V-형 홈(77)은 러그(110)를 수취하며, 러그(110)는 제 13 도 또는 1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급적 끝이 뾰족하게 되어서 삽입시 측벽(75)를 찌르게 되어 노치(76)로부터 레그(100)의 퇴각을 막는다. 러그(110)는 노치(76)의 레그(100)를 고정시킬뿐만 아니라 레그(100)가 스페이서 평판(74)에 직각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보호용 스커어트(80)는 중앙부(22)의 수취면(70)으로부터 그리고 그의 주변으로부터 후향하여 돌기하여 스페이서 평판(74)의 각단에 접하여 있다. 후드(68), 중앙부(22) 및 스커어트(80)는 본체(14)의 각 측벽(81)에서 후드(68)의 전방연부와 스커어트(80)의 후방연부로 개방하는 공동외부홈(82)과 더불어 형성되며, 각 홈(82)은 스커어트(68)의 전방연부에 개방하는 나팔형 플랜지 수취주둥이(84) 및 스커어트(80)의 후방연부(78)에 개방하는 심부(86)를 가진다. 스커어트(80)의 각 측면에는 스커어트(80)의 후방연부로 개방하는 리세스(88)가 형성되며 상기 스커어트(80)의 후방연부는 차폐물지지용 숄더(89)를 한정하는 홈부(86)밑에 존재한다. 후드(68)는 자신의 어느 한 측면에 후드(68)의 전방연부로 개방하는 외부 릴리이프 리세스(190)을 형성한다. 본체(14)는 상부벽(193)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하부 장착면(192)을 가지며, 이 장착면은 제 11 도 내지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오프(stand off)(194)를 갖추고 있으며, 장착면(192)은 또한 평판(74)에 평행하여 있다.
각 공동부(62)에 수취되는 각 전기터미널(195)은 리셉터클 형태의 전방취합부(196), 이 취합부(196)의 후방단에 접속되는 중간삽입 지지부(198) 및 아암(102)에 의해 지지부(198)의 후방단에 접속되는 터미널 레그(100)로 구성되며, 레그(100)는 터미널(195)의 잔여부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다. 리셉터클 즉, 전방취합부(196)는 미국특허 제4,776,651호에 따라 형성되고, 측방으로 깃을 형성한 지지평판(104)과 삽입돌편(106)으로 형성된 삽입지지부(198)는 미국특허 제4,775,336호에 따라 형성한다. 레그(100)는 제 2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러그(110)가 존재하는 U-형 지지부재(108)형태의 지지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각 레그(100)는 부재(108)밑에 삽입창(112), 그리고 부재(108)와 삽입지지부(198)간에 레그부(114)를 갖는다. 본체(14)에 놓인 터미널(195)의 배면도가 제 13 도 및 13a 도에 도시되어 있다.
차폐물(12)을 코넥터본체(14)에 결합시키기 위해, 터미널(195)은, 리셉터클(196)의 전방단이 공동부(62)에 접근하면서 레그(100)가 지지부재(108)에 의해 노치(76)속에 지지되는 상태로, 공동부(62)에 삽입되고, 차폐물(12)은 제 2 도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코넥터본체에 대해 접동한다. 이 동작중, 플랜지(48 및 50)는 각 홈(82)에 도입되어서 자신의 나팔형 주둥이(84)에 의해 유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홈(84)의 심부(86)에 스냅작용으로서 걸리며, 저지구(52)도 마찬가지로 리세스(88)에 스냅걸림되고, 그의 연부는 지지숄더(89)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이 차폐물은 본체(14)에 확실하게 고정되어진다.
이때 장착면(74)밑으로 돌기하는 창(112)은 기판(S)의 각 구멍(H)속으로 삽입되고, 경우에 따라, 장착용 발(54,54' 또는 54")도 기판(S)의 각 구멍(AP)에 도입되고, 그리고 장착용 발(58)도 기판(S)의 구멍(AP1)에 도입되어진다. 장착용 발(54 및 58)은 자신의 각 구멍에 간단하게 밀어 넣어진다. 그러나, 장착용 발(54')은 구멍(AP)의 연부들에 의해 차폐물(12)의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눌러져서, 리세스(190)에 의해 적절히 수용되면서 최종적으로 반동작용하여, 기판(S)의 하부면에 결합되어진다. 각 장착용 발(54')의 2부분은 각 구멍(AP)의 연부에 의해 서로를 향해 압착되면서 최종적으로 반동작용하게 됨으로써, 깃(56)은 기판(S)의 하부면에 결합하게 된다.
가급적, 각 지지부재(108)의 러그(110)는 각 노치(76)의 벽이 파고들어가게끔 러그로부터 돌기하는 예리한 테를 형성한 절단용날개(skiving wing)(121)를 갖는다. 러그(110)는 제 13 도 또는 제 1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카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러그(110)는 측벽(75)에 형성된 홈(77)에 적당히 어울리는 형상을 취하여서 수취된다.

Claims (7)

  1. 내부에 원형 횡단면체의 외부 차폐형 전기 소켓과 취합시키기 위해 원형 횡단면체 플러그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환형 리세스를 갖는 직사각형 횡단면체인 절연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벽, 측벽, 전방벽 및 상기 하우징 부분을 차폐시키기 위한 단일편 금속 차폐물을 갖고, 상기 차폐물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부벽 전체를 에워싸기 위한 차폐 상부벽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 전체를 에워싸기 위한 각각 상기 차폐 상부벽에 인접한 한 쌍의 차폐 측벽을 갖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차폐물은 상기 차폐 상부벽과 상기 차폐 측벽에 인접한 차폐 전방벽을 가지고, 상기 차폐물은 상기 소켓을 수취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원통형 관통 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전체 코넥터 하우징에 대해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소켓의 외부 차폐부가 그 내부로 수취되었을 때 상기 소켓의 상기 외부 차폐부를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 둘레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부로부터 상기 차폐물 내로 돌출한 다수의 외팔보형 탄성 핑거에 의해 상기 연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물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차폐물 상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측벽은 상기 차폐 상부벽의 대향 양측연부로부터 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측벽은 상기 차폐 전방벽의 대향 양측연부로부터 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물을 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차폐물로부터 늘어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코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차폐물의 기본 하부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기본 하부벽과 수직인 상기 차폐 전방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장착용 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편 절연하우징.
KR1019890007587A 1988-06-03 1989-06-02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KR940010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9 1988-06-03
US202276 1988-06-03
US07/202,069 US4842554A (en) 1988-06-03 1988-06-03 One-piece shield for a circular din
US07/202,276 US4842555A (en) 1988-06-03 1988-06-03 Circular DIN receptacle cover for latching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064A KR900001064A (ko) 1990-01-31
KR940010426B1 true KR940010426B1 (ko) 1994-10-22

Family

ID=2689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587A KR940010426B1 (ko) 1988-06-03 1989-06-02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44972B1 (ko)
JP (1) JP2928267B2 (ko)
KR (1) KR940010426B1 (ko)
BR (1) BR8902563A (ko)
CA (1) CA1303163C (ko)
DE (1) DE68914194T2 (ko)
ES (1) ES205079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597A (en) * 1991-06-21 1993-05-04 Amp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with dual cantilever panel grounding beam
DE69211949T2 (de) * 1991-11-01 1997-02-13 Whitaker Corp Elektrischer Verbinder mit aussenseitig befestigten Erdpotentialschichten
JP3025924B2 (ja) * 1991-11-18 2000-03-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FR2747517B1 (fr) * 1996-04-12 1998-05-1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notamment du typ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destinee a etre fixee a un support plan
TW321372U (en) 1997-05-16 1997-11-21 Molex Taiwan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o block the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3678990B2 (ja) * 2000-03-31 2005-08-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雌コネクタ
JP4599741B2 (ja) * 2001-03-29 2010-12-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598768A (zh) * 2018-03-13 2018-09-28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含绝缘结构的din型连接器组件
DE102019200713B3 (de) 2019-01-22 2020-07-23 Robert Bosch Gmbh Ethernet-Steckverbind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m Ethernet-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24Y2 (ko) * 1985-06-07 1993-08-16
US4623211A (en) * 1985-06-24 1986-11-1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H0231730Y2 (ko) * 1985-10-16 1990-08-28
JPH01158675U (ko) * 1988-04-22 1989-11-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50799T3 (es) 1994-06-01
DE68914194D1 (de) 1994-05-05
KR900001064A (ko) 1990-01-31
CA1303163C (en) 1992-06-09
EP0344972B1 (en) 1994-03-30
DE68914194T2 (de) 1994-10-06
EP0344972A1 (en) 1989-12-06
JP2928267B2 (ja) 1999-08-03
JPH0230076A (ja) 1990-01-31
BR8902563A (pt) 199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555A (en) Circular DIN receptacle cover for latching plug
US7128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US6039606A (en) Cable connector
US4842554A (en) One-piece shield for a circular din
US4008941A (en) Printed circuit board housing system
US4017141A (en) Connectors with primary and secondary lock structure
KR930005621Y1 (ko) 다극코넥터
US4605269A (en) Printed circuit board header having coaxial sockets therein and matable coaxial plug housing
JP3121387U (ja) コネクタ及びガイド設置部材
KR930003562B1 (ko) 시일드 데이타 코넥터
KR970004219B1 (ko) 플러그및소켓전기커넥터장치
US457101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199897A (en) Electrical connectors
JP2009543296A (ja) 低背型ラッチコネクタ及びラッチを外すためのプルタブ
US4820198A (en) In-line cable assembly, lock bar therefor
US6190215B1 (en) Stamped power contact
US5254013A (en) Push-pull lock connector
JPH0226348B2 (ko)
EP001348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ivoting latching member
EP0112711B1 (en) Shunt-protected electrical connector
KR940010426B1 (ko)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JP256890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198409B1 (ko)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KR900001105B1 (ko) 콘넥터
JP3423786B2 (ja) 2重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