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105B1 -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105B1
KR900001105B1 KR1019860005024A KR860005024A KR900001105B1 KR 900001105 B1 KR900001105 B1 KR 900001105B1 KR 1019860005024 A KR1019860005024 A KR 1019860005024A KR 860005024 A KR860005024 A KR 860005024A KR 900001105 B1 KR900001105 B1 KR 90000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housing
connector
latch arm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776A (ko
Inventor
고지 아오야마
마사로 노구찌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로서의 콘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상기 콘넥터의 캡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콘넥터의 하우징이 끼워 맞춰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콘넥터의 캡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콘넥터에 있어서의 랫치 암의 변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하우징 11 : 구멍
12 : 걸어맞춤부 20 : 플러그 하우징
21 : 구멍트인곳 22 : 걸어맞춤턱
23 : 랫치 암(Latch Arm)
본 발명은 여러개의 콘덕터(Conductor)를 끼워 담을 수 있는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콘넥터(연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콘넥터의 소형화를 가능케 하는 상기 두 하우징의 구조적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여러개의 콘덕터를 갖춘 캡 하우징과 여러개의 콘덕터를 갖춘 플러그 하우징을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만든 콘넥터가 널리 실용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콘넥터는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걸어맞춤 수단을 갖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걸어맞춤장치(수단)을 갖춘 콘넥터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캡 하우징(110) 및 플러그 하우징(120)은 각각 내부에 도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콘넥터를 예를 들어 6개씩 지니고 있으며, 두 하우징은 플러그 하우징(120)이 캡 하우징(110)에 상대적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120)은 그 상단부에, 캡 하우징에 끼워 넣어지는 방향으로 앞부분인 전단부(123a)가 고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걸어맞춤돌기(121)가 후단부에 누름돌기(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랫치 암(Latch Arm)(123)이 만들어져 있고, 캡 하우징의 상단부 내벽면에는 플러그 하우징과의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춰지는 돌기부(111)가 만들어져 있다.
두 하우징을 끼워맞출 때 플러그 하우징(110)이 캡 하우징(120)안에 삽입되면 상기 랫치 암(123)이 휘어져서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랫치 암(123)의 걸어맞춤 돌기(121)과 동기 돌기부가 걸어맞춰지고, 두 하우징을 끼워맞춰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해제할때는 상기 누름돌기(122)를 눌로서 제2도의 점선으로 보인 위치까지 랫치 암(123)을 휘게하여 랫치 암의 걸림 돌기(121)과 캡 하우징의 돌기부(11)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콘넥터는 상기 랫치 암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 본체의 상단벽(124)보다 한층 윗쪽에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커지고 콘넥터 전체도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킬때는 상기 누름돌기(122)를 눌러서 걸어맞춤 돌기(121)와 돌기부(111)의 걸림을 해제토록 되어 있고, 누름돌기(122)는 걸어맞춤돌기(121)보다 버팀점이 있는 랫치 아암의 앞쪽끝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걸림돌기를 돌기부와의 걸림이 풀리는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누름돌기(122)를 걸림돌기(121)보다 한층더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거리 S만큼 이동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누름돌기의 아래쪽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누름 돌기와 하우징 본체의 상단벽과의 사이에 거리 S 이상의 높이를 갖는 공간부를 만들 필요가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 및 콘넥터 전체가 상하방향을 더욱 대형화된다는 부당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확실히 유지시킴과 동시에 끼워맞춤의 해제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넥터는 플러그 하우징으 상단에 구멍트인 곳이 만들어져 있고 그 트인곳안에 끼워맞춤 방향으로 전단부가 고착되어 있고 후단부의 윗면에 윗쪽으로 돌출한 걸어맞춤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랫치 암이 만들어져 있고 캡 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의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를 윗쪽으로 돌출케하는 구멍트인곳이 있으며, 그 끼움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어 맞춰져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걸림부가 만들어져 있는 점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콘넥터에 있어서는 종래의 플러그 하우징이 하우징 본체의 상단벽의 한층 윗쪽에 랫치 암을 갖고 있었던 것에 반하여 플러그 하우징의 상단을 트이게 하여 열린곳안에 랫치 암을 만들어 놓음으로써 랫치암의 위치를 종래의 콘넥터에 비하여 내릴 수 있고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만들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두 하이징의 끼워맞춤을 플때에는 캡 하우징에 만든 구멍에서 돌출한 랫치 암의 후단부에 만들어져 있는 걸림돌기를 직접 눌러줌으로써 랫치 암의 아랫쪽 변위량을 종전보다 적게 하여 콘넥터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한층더 축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콘넥터의 개요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콘넥터의 하우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한 콘넥터는 일예로서 2극의 콘넥터인바, 캡 하우징(10)에는 도선(1A)의 끝에 만든 숫콘덕터(1B)가 화살표 A방향으로 2개 삽입되어 지니게 하고 플러그 하우징(20)에는 도선(2A)의 끝에 만든 암 콘덕터(2B)가 화살표 B방향으로 2개 삽입되어 지니게 하였다. 또 두 하우징에는 연결밴드를 거쳐 홀더 캡(Holder Cap)(13), (25)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 하우징 내에 콘덕터가 끼워지면 각 홀더 캡은 제2도의 화살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의 단부를 봉쇄하고 콘덕터가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붙들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콘덕터를 지닌 두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10)안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20)이 상대적으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한몸처럼 끼워맞춰진다. 다음에 이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하우징(20)의 상단에는 열린곳(21)이 있고 이 열린곳 안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랫치 암(23)이 만들어져 있다. 이 랫치 암(23)은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넣기 방향의 전단부(23a)가 고정되고 있고 후단부의 윗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걸림턱(22)가 만들어져 있다.
한편 상기 캡 하우징(10)의 상단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0)과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22)이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멍트인곳(11)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캡 하우징의 상단에는 구멍트인곳(11)과 인접하여 상기 걸어맞춤 돌기(22)와 맞붙어 플러그 하우징의 빠짐을 방지하는 걸어맞춤부(12)가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걸어맞춤부(12)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단계진곳(12a)를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는 캡 하우징의 윗쪽으로 돌출한 모양을 하고 있다. 캡 하우징(10)안에 플러그 하우징(20)이 삽입되면 상기 랫치 암(23)의 걸림턱(22)이 상기 걸어맞춤부의 단계진곳(12a)에 맞닿고, 랫치 암(23)은 단계진 부분(12a)에 눌려서 휘어진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20)내에서는 상기 암 콘덕터(2B)가 삽입될 때 윗쪽으로 휘어지고 콘덕터의 지지위치에서 콘덕터에 만들어져 있는 걸림 구(2b)와 걸어맞춤하는 걸림편(24a)를 가진 콘덕터 고정용 런스(24)가 있고 이 런스(24)의 윗쪽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기 랫치 암(23)은 이 공간을 이용하여 아랫쪽으로 휘어 내려갈 수가 있다. 플러그 하우징(20)이 캡 하우징(10)과의 끼워맞춤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걸어맞춤 돌기(22)는 상기 구멍트인곳(11)의 아래에 오게되고 단계진곳(12)에 의한 놀림에 해제되므로 자신의 탄성에 의하여 윗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걸어맞춤턱(22)는 그의 측면(22a)가 걸림부의 측면(12b)과 걸어맞춰지게 되고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걸어맞춤으로 캡 하우징과의 끼워맞춤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콘넥터에 있어서는 플러그 하우징의 상단에 구멍트인곳이 만들어지고 이 구멍안에 랫치암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설계할 수가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은 캡 하우징 안으로 끼워 맞춰지므로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전면에 걸쳐 구멍트인곳이 만들어진다 해도 실용상의 지장은 없다.
제3도의 상기 두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를 보인 콘넥터의 측면도이다. 이 두 하우징의 끼어맞춤을 해제할때는 상기 걸림턱(22)를 아랫쪽으로 눌러 내려, 그림의 점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걸림턱(22)이 상기 걸어맞춤부(12) 측면(12b)과의 걸림을 빠져 나오는 위치까지 랫치 암(23)을 휘게하면 플러그 하우징(20)을 캡 하우징(10)에서 상대적으로 빼내어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콘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턱은 랫치암의 후단부에 있고 랫치암을 내리누르는 눌름턱의 기능도 겸하고 있으므로 랫치 암을 변위시켜 걸림턱을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 위치에서 빼낼 때 가장 아랫쪽에 있는 것은 걸림턱이 되므로 걸림턱보다 한층 후방에 눌름턱이 있는 종래의 랫치 암에 비하여 랫치 암의 변위에 필요한 상하 방향의 공간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한층 작게 설계할 수가 있고 콘넥터 전체도 상하 방향으로 한층 소형화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극의 콘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콘넥터의 극수는 몇극이라도 상관없다. 또 랫치 암이나 걸러맞춤부의 구체적인 형상도 도시한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두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걸어맞춤부의 내벽 및 걸어맞춤턱에 테이퍼(Taper)면을 만들어도 좋다. 또 걸어맞춤부는 반드시 윗쪽으로 돌출해 있을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넥터에 의하면 플러그 하우징의 랫치 암의 위치 및 구조에 개량을 가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콘넥터 전체의 상하 방향의 크기를 줄일 수가 있다.
또 종래의 콘넥터에 비하여 소형이면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하우징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제조 원자를 절감시킬 수 있는등 그 실용상의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1)

  1. 캡 하우징과 상단에 구멍트인곳이 있고 그 캡 하우징에 끼워 맞출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구멍트인 곳안에 끼워넣기 방향의 전단부가 고착되어, 후단부의 윗면에 윗쪽으로 돌출한 걸림턱이 있어서 상기 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랫치 암이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캡 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의 끼워맞춤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을 윗쪽으로 돌출케 하는 구멍 및 그 끼워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과 걸어맞춰져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부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860005024A 1985-06-27 1986-06-24 콘넥터 KR900001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1415A JPS622474A (ja) 1985-06-27 1985-06-27 コネクタ
JP60-141415 1985-06-27
JP141415 1985-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76A KR870000776A (ko) 1987-02-20
KR900001105B1 true KR900001105B1 (ko) 1990-02-26

Family

ID=1529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024A KR900001105B1 (ko) 1985-06-27 1986-06-24 콘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0135A (ko)
JP (1) JPS622474A (ko)
KR (1) KR900001105B1 (ko)
GB (1) GB2177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182A (en) * 1986-10-16 1988-07-19 Shinagawa Jidosha Densen Co. Ltd. Electric connector
JPH01103099A (ja) * 1987-10-15 1989-04-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制御用端末器
JPH0433666Y2 (ko) * 1988-05-13 1992-08-12
JPH02112180A (ja) * 1988-08-17 1990-04-24 Molex Inc 掛合片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4986766A (en) * 1988-08-17 1991-01-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ti-overstress latch
JPH0337771U (ko) * 1989-08-24 1991-04-11
US5145411A (en) * 1991-08-14 1992-09-08 Amp Incorporated Connector insert retention system
JPH05266941A (ja) * 1992-03-19 1993-10-15 Amp Japan Ltd 防水コネクタ
GB9622652D0 (en) * 1996-10-31 1997-01-08 Amp Great Britain Connector locking device
JP2003175237A (ja) * 2001-12-07 2003-06-24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USD916661S1 (en) * 2018-02-28 2021-04-20 Molex, Llc Connector housing
USD984382S1 (en) * 2019-05-09 2023-04-25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2499A (en) * 1961-01-05 1965-06-29 Gen Motors Corp Safety fastening means
NL300750A (ko) * 1962-11-28
GB1143396A (en) * 1965-06-11 1969-02-19 William Akon Quansah Device for measuring the extension of a body under loading
US3530424A (en) * 1968-08-23 1970-09-22 Essex International Inc Multiple connector
DE7110457U (de) * 1970-04-14 1974-06-27 Amp In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US3781760A (en) * 1972-03-28 1973-12-25 Du Pont Connector block
US3829821A (en) * 1972-09-29 1974-08-13 Amp Inc Latch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 tool for actuating said system
US3944312A (en) * 1975-04-04 1976-03-16 General Electric Company Locking device for spade-type electrical connectors
CH604388A5 (ko) * 1975-11-24 1978-09-15 Walter Fischer
US4089579A (en) * 1976-04-01 1978-05-16 Trw Inc.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JPS52134681U (ko) * 1976-04-05 1977-10-13
JPS5498987A (en) * 1978-01-20 1979-08-04 Nissan Motor Waterproof connector
JPS5726304Y2 (ko) * 1978-03-30 1982-06-08
JPS5659781U (ko) * 1979-10-15 1981-05-21
JPS5971578U (ja) * 1982-11-04 1984-05-15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S59148287A (ja) * 1983-02-14 1984-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US5135862A (en) * 1983-03-04 1992-08-04 University Of Maryland Method of isolating restriction fragment deletions in vibrio cholerae, products thereof
GB8308074D0 (en) * 1983-03-24 1983-05-05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GB2139018B (en) * 1983-04-29 1986-10-08 Amp Inc Coaxial plug and jack connectors
JPS60183380U (ja) * 1984-05-17 1985-12-05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接続子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77266B (en) 1989-01-05
GB8614291D0 (en) 1986-07-16
JPH027149B2 (ko) 1990-02-15
GB2177266A (en) 1987-01-14
JPS622474A (ja) 1987-01-08
US4710135A (en) 1987-12-01
KR870000776A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141A (en) Connectors with primary and secondary lock structure
US356090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mounting means
US4984998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EP1560298B1 (en) A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4969841A (en) Double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 in electrical connectors
US6280262B1 (en) Connector
KR900001105B1 (ko) 콘넥터
US4799896A (en) Socket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GB2230391A (en) Retaining terminals of an electrical connector
US5860834A (en) Double-lock-type connector
JP281371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4971580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ention latch
US5755587A (en) Connector with engagement confirming mechanism
EP0390449A2 (en) Electrical connector
KR940010426B1 (ko) 원형 딘-타입 코넥터의 걸림형 단일편 차폐물
KR100228438B1 (ko) 홀더부착 커넥터
JP3312645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3087810B2 (ja) 多極平形コネクタプラグ
JP3270638B2 (ja) 電気配線用コネクタ
JP3007975B2 (ja) 電気コネクタ
JPH0530306Y2 (ko)
US527345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atch
JPH08321347A (ja) コネクタの端子組付構造
JPH0740304Y2 (ja) 電気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