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208B1 -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208B1
KR940010208B1 KR1019910005575A KR910005575A KR940010208B1 KR 940010208 B1 KR940010208 B1 KR 940010208B1 KR 1019910005575 A KR1019910005575 A KR 1019910005575A KR 910005575 A KR910005575 A KR 910005575A KR 940010208 B1 KR940010208 B1 KR 94001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chedule
signal
portable radiotelephon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470A (ko
Inventor
고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4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multi-step notification using statistical or historical mobility dat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 1실시예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무선 통신장치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나타낸 무선 통신장치에서의 무선 기지국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의 회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5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의 무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6 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발신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7 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쥴의 등록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8 도는 스케쥴을 등록하기 위한 조작순서를 예시한 도면.
제 9 도,제 10 도 및 제 11 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12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13 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캐줄 등록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14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15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16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순차도.
제 17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리스 전화 장치를 나바내는 블럭도.
제 18 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19 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등록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제 20 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 동작을 나타내는 순차도.
제 21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22 도는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도.
제 23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24 도는 본 발명에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25 도는 제9실시예에 있어서 스캐줄을 등록 하기위한 동조작의 순서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
제 26 도는 종래의 무선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선전화망 2-1∼2-3 : 유선회로
3-1∼3-3 : 무선기지국 4-1∼4-3 : 무선조
5 : 휴대용 무선 전화기 6 : 유선단말
31 : 회선제어부 32-1∼32k : 무선부
33 : 안테나 공용부 34 : 안테나
본 발명은 복수의 본국과 이동국을 구비하여 본국 각각의 무선존 내에서 이동국이 무선통신을 행할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것이며, 특히 착신을 각 본국중의 어느 한 본국에 서 이동국으로 통지하기 위한 무선통신 장치의 착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그런 종류의 무선통신장치는 제 2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26 도에 있어서 무선 제어국(101)은 유선 전화망(102)에 접속되고, 본국이 되는 각 무선 기지국(103-1)(103-2)(103-3)은 각각의 유선회선을 무선제어국(101)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무선 기지구(103-1)(103-2)(103-3)은 각각의 무선존(104-1)(104-2)(104-3)을 갖고 있다.
이동국이 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105)가 무선존(104-2)에 위치할 경우, 휴대 무선전화기(105)는 무선회선을 통해서 무선기지국(103-2)고 접속되고, 이때 무선 기지국(103-2) 및 무선 제어국(101)을 통해서 유선 전화망(102)에 대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용 무선전화기(105)로 발신할 경우 휴대용 무선전화기(105)가 각 무선존(104-1)∼(104-3)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어도 휴대용 무선전화기(105)로 부터 송신되는 발신신호가 각 무선 기지국(103-1)∼(103-3)중의 어느 하나에서 수신되고,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105)와 유선 전화망(102)사이의 접속 제어가 행해져 통신이 개시된다.
한편 유선 전화망(102)으로부터 휴대용 무선전화기(105)로의 착신이 있을 경우, 이 착신을 각 무선존(104-1)∼(104-3)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105)로 통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무선 제어국(101)의 제어에 의해 각 무선 기지국(103-1)∼(103-2)에서 각각의 착신 신호를 송신시키고, 휴대용 무선전화기(105)가 각 무선존(104-1)∼(104-3)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어도 전술한 착신신호를 휴대용 무선전화기(105)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이처럼 각 무선 기지국(103-1)∼(103-3)에서 각각의 착신신호를 송신할 경우 각 무선 기지국(103-1)∼(103-3)은 착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각각의 제어채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휴대용 무선전화기(105)가 소재하고 있지 않은 무선존에도 착신신호가 송신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특히 무선존이 작으며 무선존의 수를 많게하면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많아져 전파의 유효한 이용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105)가 각 무선존(104-1)∼(104-3)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학 있는가를 무선제어국(101)에 등록해 두어, 착신시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존의 무선 기지국에서 착신신호를 송신시키는 방법도 있었다.
이 경우, 대기상태의 휴대용 무선전화기(105)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채널에서 때때로 송신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의 무선존에 휴대 무선전화기(105)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무선제어국(101)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채널을 빈번히 사용하게 됨으로써, 여러 제어채널에 주의하지 않으면 트래픽 처리를 할 수 없게 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발신 동작을 방해하거나 하게 된다.
또한 등록을 위해서 신호를 휴대 무선전화기에서 반복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되는 전지를 소모시킨다는 불합리가 있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무선통신장치에서는 착신되었때에, 복수의 무선 기지국에서 착신신호를 가각 서로 다른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던가, 아니면 착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존을 등록해 두기 위한 신호를 휴대용 무선통화기에서 제어채널로 때때로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채널의 트래픽이 상승하고 이 때문에 다수의 제어채널을 필요로 하여 전파의 유효한 이용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무선존을 등록해 두기 위한 신호를 휴대 무선전화기에서 때때로 송신할 경우, 이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전지 소모가 빨라 진다는 불합리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파의 유효한 이용과 함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절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등록 동작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무선통신장치의 착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교환접속수단과 이 교환접수단을 통해서 전술한 유선망에 접속되고 복수의 본국과 이들 본국중 어느 한 본국의 무손존내에서 이 본국과 무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이동국등을 구비하며, 전술한 유선망으로 부터 전술한 교환접속수단을 통해서 전술한 이동구으로의 착신시에, 이 착신을 전술한 각 본국중 어느 한 본국의 무선존내에서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무선통지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스케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스케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전술한 이동국으로 착신될때에,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스케쥴에 의거하여 전술한 각 본국중의 어느 하나의 본국을 선택하고 이 본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술한 통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스케쥴을 입력수단에 입력시키면 이 스케쥴이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이 기억이 행해진후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본국을 선택하고 이 본국으로부터 전술한 이동국으로 착신을 통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유선전화망, (2-1)-(2-3)은 유선회선, (3-1)-(3-2)은 무선 기지국,(4-1)∼(4-3)은 무선존, (5)는휴대용 무선전화기이다.
또한 각 유선회선(2-1)∼(2-3)은 유선 전화망(1)의 일부에 포함되는 것이다.
각 무선존(4-1)(4-2) 및 (4-3)에는 예를 들면 각 국번 011, 012, 013이 각각 미리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들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 (4-2)내에 소재해 있다고 하면 휴대 무선전화기(5)의 전화번호는 무선존(402)의 국번 012를 부여받아 예를들면 012-0019가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유선전전화망(1)에 있어서의 교환기(도시않지 않음)에 등록된다.
유선전화망(1)은 예를들면 공중 전화망이며, 각 유선회선(2-1)∼(2-3)을 포함하는 회선의 교환 접속을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무선존(4-2)내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무선회선을 무선 기지국(3-2)에 접속된다.
그렇기 때문에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무선 기지국(3-2)을 통해서 유선 전화망(1)에 접속시켜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유선전화망(1)의 가입말단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각 무선 기지국(3-1)∼(3-3)은 멀리 채널 엑세스 방식에 의거한 통신제어를 행하고 있으며, 예를들어 1개의 제어채널과 복수의 통화채널을 이용함으로써, 각 무선존(4-1)∼(4-3)내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각각 통신할 수 있게된다.
예를들면 무선 기지국(3-2)은 1개의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각 통화 채널중에 비어있는 통화채널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기지국(3-2)은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통화를 위해 이용되는 통화 채널을 제외하고 다른 통화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음성신호이 통시을 행할 수 잇다.
따라서 1개의 무선존에서는 복수의 휴대용 전화기에 의한 각각의 통화를 행할 수 있게 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제 2 도와 같이 구성된다.
제 2 도에 있어서 송화기(5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및 제어부(59)로 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송신부(52)의 변조 입력이 되어 여기서 변조된다.
송신부(52)에서 출력된 피변조 신호는 전력 증폭기(53)에서 증폭되고 그후 안테나 공용기(54)를 통해서 안테나(55)로 가해진다.
이에 따라 안테나(55)로부터 전파가 송출된다.
한편 제 1 도에 나타낸 무선 기지국(3-2)으로 부터의 전파는 안테나(55)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입력이 안테나 공용기(54)를 통해서 수신부(56)에 가해진다.
수신부(56)는 복조 출력인 음성신호를 수화기(57)에 가하고 이에 따라 수화기(57)에서는 음성이 발음된다.
기타의 복조출력인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59)에 가해진다.
또한 신세사이져(58)는 사용되고 있는 무선 채널의 주파수 신호를 송신부(52) 및 수신부(56)에 가한다.
제어부(59)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있어서 각 부의 제어를 한다.
입력키는 훅보턴, 다이얼보턴, 기능보턴등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제어부(59)에 입력시키기 위해 조작된다.
표시기(62)는 예를들면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여러 가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전지(60)는 이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전원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무선 기지국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도에 있어서 회전 제어부(31)는 유전 전화망(1)으로 부터의 각 유선회선(2-2-1)∼(2-2-j)과 복수의 무선부(32-1)∼(32-K)사이를 교환 접속한다.
각 무선부(32)는 안테나 공요부(33)를 통해서 안테나(34)를 공용하고 있으며 이 무선 기지국의 무선존 내에 소재하고 있는 복수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의 사이에서 각각의 전파를 송수신한다.
즉 유선전화망(1)으로 부터의 음성신호는 회선제어부(31)를 통해서 1개의 무선부(32)의 변조입력으로 되며 여기서 변조된다.
또한 이 무선부(32)내에서 형성된 데이터 신호도 변조된다.
이 무선부(32)로부터 출력된 피변조 출력은 안테나 공용기(33)를 통해서 안테나(34)로 가해져 여기에서 전파가 송출된다.
한편 이 무선 기지국의 무선존 내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송출된 전파는 안테나(34)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입력이 안테나 고용부(33)을 통해서 1개의 무선부(32)에 가해져 복조된다.
복조출력으로서의 음성신호는 이무선부(32)로부터 회선 제어부(31)를 통해서 유선전화망(1)으로 전송되며 기타의 복조출력으로서의 데이터 신호는 이 무선부(32)내에서 처리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회선제어부(31)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유선회로(2-2-1)∼(2-2-J)과, 제 3 도에 나타낸 각 무선부(32-1)∼(32-K)로 부터의 각각의 통화라인(31A-1)∼(31A-K)사이를 교환 접속하는 스위치부(35)와 이, 스위치부(35)를 제어함과 동시에 각 무선부(32-1)∼(32-K)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라인(31B-1)∼(31B-K),(31C-1)을 통해서 각 무선부(31-2)∼(32-K)를 집중 제어하는 제어부(36)와 여러종류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37)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도에 나타낸 무선부(32)는 제 5 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5 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회로(41)는 제 4 도에 나타낸 스위치부(35)로 부터의 통화라인(31A)에 접속되며, 또한 송수신 공용기(42)는 제 3 도에 나타낸 안테나 고용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통화라인(31A)에서 하이브리드 회로(41)를 통한 음성신호 및 제어부(43)로 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송신부(44)의 변조입력이 되어 여기서 변조된다.
송신부(44)에서 출력된 피변조신호는 전력 증폭기(45)에서 증폭되어, 이후 송수신 공용기(42)로부터 제 3 도에 나타낸 안테나 공용부(33)를 통해서 안테나(34)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전파가 송신되게 된다.
한편 전파가 안테나(34)에서 수신되면 이 수신입력이 안테나 공용부(33)를 통해서 송수신 공용기(42)에 도달되며 이곳으로부터 수신부(46)로 가해진다.
수신부(46)는 복조 출력인 음성신호를 하이브리드 회로(41)를 통해서 음성라인(31A)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다른 복조출력인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43)에 가한다.
또한 신세사이저(47)는 사용되고 있는 무선채널의 주파수 신호를 송신부(44) 및 수신부(46)에 가하고 있다.
제어부(43)는 이 무선부에 있어서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각 데이터라인(31B)(31C)을 통해서 제 4 도에 나타낸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 (36)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다.
여기서 제 6 도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부터의 발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여 이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의 유선망, 무선기지국 및 휴대 무선전화기의 상호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해두기로 한다.
우선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온혹이 행해지면 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식별 코드(이하 ID코드라고 칭함)를 포함하고 있는 발신신호(가)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3-2)은 이 발신신호(가)를 수신하면 무선 기지국(3-2) 및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발호신호(나)를 유선회로(2-2)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으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3-2)은 전술한 발신신호(가)에 응답하여 빈 통화채널을 지시하는 응답신호를 제어채널로 송신하고, 그후 제어채널에서 통화채널로의 전환을 실시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전술한 발신 응답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 신호에 따라 지시되고 있는 전술한 통화채널로의 전환을 실시하고 다이얼 기능을 표시한다.
여기서 키조작에 의해 원하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이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다이얼신호(가)가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송신된다.
무선 기지국(3-2)은 이 다이얼신호(가)를 수신하면 전술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다이얼 신호(나)를 유선회선(2-2)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의 말단이 호출되고 이 상대말단이 응답하면 통화가 개시된다.
이때 유선전화망(1)의 유선회선(2-2)으로 부터의 음성신호는 무선 기지국(3-2)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전송되면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송신된 음성신호는 무선 기지국(3-2)→유선전화망(1)의 유선회선(2-2)으로 전송된다.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서 무선존(4-1)내의 A의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발신동작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무선 기지국(3-1)사이에서 행해지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무선 기지국(-1)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에 접속된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각 무선존(4-1)→(4-3)의 어느쪽에 소재하고 있어도 통화를 실시할 수 있지만 착신되었을대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소재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소재하는 무선존을 갖는 무선 기지국에서 착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때 다른 무선 기지국에서 착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끝나기 때문에 전파의 유효한 이용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소재지와 시각과를 대응시킨 것을 스케쥴로 하고 이 스케쥴에 의거하여 착신을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통지한다.
우선 제 7 도에 따라서 스케쥴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키조작에 의해 스케쥴을 등록할 수가 있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있어서 제 2 도에 나타낸 입력키(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쥴의 입력 요구를 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59)는 신세사이져(58)를 제어채널에 설정함과 동시에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를 형성하여 이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를 송신부(52)에 가한다.
이에 따라 이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는 제어 채널에서 송신된다.
또한 이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를 식별하기 위한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3-2)에서는 예를들면 무선부(32-1)가 대기 상태라고 하면 이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한다.
무선부(32-1)에서는 수신부(46)의 복조에 의해 얻어진 이 스케쥴 입력요구신호를 제어부(43)에 가한다.
제어부(43)는 이 스케쥴 입력 요구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부터의 스케쥴 입력요구가 있다고 판정하고 이 판정을 행한 후 ID 코드와 함께 스케쥴 입력요구를 데이터라인(31C-1)을 통해서 회선 제어부(31)의 제어부(36)에 통지한다.
제어부(36)는 이스케쥴 입력요구를 접수하게 되면 각 무선부(31-2)→(32-K)중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통화 채널을 판정하여 빈 통화채널을 데이커라인(31B-1)을 통해서 무선부(32-1)의 제어부(43)에 통지 한다.
제어부(42)는 이 통화채널을 통지받으면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지정신호를 형성하고 이 채널 판정신호를 송신부(44)에 가하여 송신한다.
그후 제어부(43)는 신세사이져(47)를 전술한 통화채널로의 전환시켜 통화채널로의 통신에 대비한다.
휴애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전술한 채널 지정신호를 수신부(56)의 복조에 의 해 얻고 이 채널 지정신호를 제어부(59)에 가한다.
제어부(59)는 이 채널 지정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이 채널 지정신호에 의거하여 통화채널을 식별하고 신세사이져 (58)를 이 통화채널에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8)는 스케쥴 입력요구를 접수하게 되면 스케쥴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기(62)에 표시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3-2)의 무선부(32-1) 및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동일한 통화채널로 설정된 것으로 되어 이후의 양측간의 통신을 통화 채널로 실시하게 된다.
이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입력키(620를 예를들면 제 8 도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입력시킨다.
즉 제 8a 도와 같은 순서로 입력키(61)를 조작하면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1)에 소재하고 있다는 표시를 입력한 것이 된다.
또한 제 8b 도와 같은 순서로 조작하면 오전 1시30분부터 2시30분까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3)에 소재하고 있다는 표시를 입력한 것이 된다.
또한 제 8c 도와 같은 순서로 입력키(61)를 조작하면 오전 10시부터 오전 0시 까지는 착신에 대한 응답을 행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입력한 것이다.
또한 스케쥴에 나타내지 않은 시간대에 있어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 소재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리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스케쥴이 입력되면 제어부(59)는 이 스케쥴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형성하여 이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가)를 송신부(52)에 가하여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신호(가)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이 데이터 신호(가)를 제어부(43)에 입력한다.
제어부(43)는 이 데이터 신호(가)에 의해 표시되는 스케쥴 데이터를 데이터라인(31C-1)을 통해서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로 전송하다.
제어부(36)는 이 스케쥴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스케쥴 데이터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와 함께 기억장치(37)에 기억 시킨다.
이상으로 스케쥴 데이터의 등록을 종료하게 된 것이 되지만, 계속해서 등록된 스케쥴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입력키(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쥴의 확인 요구를 실시한다.
이에 응답해서 제어부(59)는 확인 요구신호를 형성하여 이 확인 요구신호를 송신부(52)에 가하여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확인 요구신호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이 확인 요구신호를 제어부에(43)에 입력시킨다.
제어부(43)는 이 확인 요구신호에 의거하여 확인요구를 판정하여 이 판정을 행한후 확인 요구를 데이터라인(31C-1)을 통해서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에 통지한다.
제어부(36)는 이 확인요구에 응답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와 함께 기억장치(37)에 미리 기억시킨 스케쥴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시킨후, 이 스케쥴 데이터를 데이터라인(31B-1)을 통해서 무선부(32-1)의 제어부(43)에 전송한다.
제어부(43)는 이 스케쥴 데이터를 송신부(44)에 가하며 이에 따라서 스케쥴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나)가 송신되게 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신호(나)를 수신부(56)의 복조에 의해 얻고 이 데이터 신호(나)를 제어부(59)에 가한다.
제어부(59)는 데이터 신호(나)가 입력되면 이 데이터 신호(나)에 의해 나타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표시기(62)에 표시한다.
이렇게 표시기(62)에 스케쥴을 표시함을써 등록된 스케쥴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서 스케쥴의 확인을 종료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입력키(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종료요구를 행한다.
이에 응답해서 제어부(59)는 종료신호를 형성하고 이 종료신호를 송신부(52)에 가하여 송신한다.
이후 제어부(59)는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을 오프시켜 휴대용 무선전화기(5)를 대기상태로 만든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종료신호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이 종료신호를 제어부 (43)에 입력시킨다.
제어부(43)는 이 종료신호에 의거하여 종료오구를 판정하여 이 판정을 행한후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을 오프시켜 무선부(32-1)를 대시 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등록시킨 상태에서의 유선전화망(1)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동작을 제 9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 소재해 있다고 하기도 한다.
우선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착신되었을때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전화번호가"012-0019"이기 때문에 유선전화망은 착신을 무선기지국(3-2)으로 통지하게 된다.
즉 유선전화망(1)에서 유선회선(2-2-1)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의 회전제어부(31)로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대한 착신신호(가) 송출된다.
또한 이 착신신호(가)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를 표시하는 전화번호"012-0019"포함되어 있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착신신호(가)를 회선제어부(31)의 스위치부(35)를 통해서 제어부(36)로 가하고, 제어부(36)는 이 착신신호(가)가 입력되면 이 착신신호(가)에 포함되는 전화번호"012-0019"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임을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36)는 이판정을 행한 후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기억장치(37)에서 판독하여 출력시킨다.
여기서 예를들어 현재 시각이 오전 9시 30분이라고 하면 제어부(36)는 제 8 도에 나타낸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 소재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착신을 무선기지국(3-2)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통지하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즉 무선기지국(4-2)에서는 예를들어 무선부(32-1)가 대시상태에 있다고 하면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는 무선부(32-1)를 선택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 및 빈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지정신호를 포함하는 착신신호(나)를 데이터라인(b-1)을 통해서 무선부(32-1)로 송출한다.
무선부(32-1)에서는 전술한 착신신호(나)를 제어부(43)에 입력시키고 제어부(43)는 이 착신신호(나)를 송신부(44)로 가하여 이 착신 신호(나)를 제어 채널로 송신한다.
이 착신 신호(나)는 무선기지국(3-2)의 무선존(4-2)에 소재하고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수신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전술한 착신신호(나)를 수신부(56)의 복조에 의해얻고 이 착신신호(나)에 포함되는 ID 코드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대한 착신임을 판정하여, 이 판정이 끝난후 도시되지 않은 소리를 울리게 하는 동시에 표시기(62)에 착신이 있음을 표시하여 착신을 알린다.
여기서 착신에 응답하여 입력키(61)에 포함되는 훅버턴(도시하지 않음)이 온 되면, 제어부(59)는 오프 훅 상태가 된 것을 판정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를 포함하는 착신응답신호(가)를 송신부(52)에 가하여 송신하다.
그후 제어부(59)는 진술한 착신신호(나)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 지정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통화채널로 신세사이저(58)를 전환해준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착신응답신호(가)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이 착신응답신호(가)를 제어부(43)에 가한다.
제어부(43)는 착신응답신호(가)가 입력되면 착신응답이 있음을 데아터라인(31C-1)을 통해서 회전제어부 (31)의 제어부(31)에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43)는 전술한 채널 지정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통화채널로 신세사이저(47)를 전환해 둔다.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는 착신응답이 있음을 통지받으면 착신응답신호(나)를 스위치부(35)를 통해서 유선회선(2-2-1)을 송출하고 이에 따라서 착신응답신호(나)를 유선전화망(1)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6)는 스위치부(35)를 제어함으로써 유선회선(2-2-1)과 통화 라인(31A-1)사이를 교환 접속하는 동시에 유선회선(2-2-1)의 통화 루프를 작성함으로써 무선부(32-1)와 유선 전화망(1)사이의 전송경로를 형성한다.
그후 무선부(32-1)의 제어부(43)는 통화루프의 작성완료를 나타내는 루프신호를 송신부(44)에 가하여 송신하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수신부(56)의 복조에 의해 전술한 루프신호를 얻고 이 루프 신호를 제어부(59)에 가한다.
제어부(59)는 이 루프신호가 입력되면 회선의 루프작성 완료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59)는 송화기(51)→송신부(52)→전력증폭기(53)→안테나 공용기(54)→안테나(55)등의 경로 및 안테나(55)→안테나 공용기(54)→수신부(56)→수화기(57)등으로 된 음성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유선전화망(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유선회선(2-2-1)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으로 전송되고 또한 무선기지국(3-2)에서 송신되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수신된다.
한편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 송신된 음성신호는 무선기지국(3-2)에서 유선회선(2-2-1)을 통해서 유선 전화망(1)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통화가 행해지게 된다.
이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스케쥴대로 예를들어 오전11시에 무선존(4-2)에서 무선존(4-1)내의 A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있는 경우의 착신동작을 제 10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유선전화망(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을 무선기지국(3-2)으로 통지하기 위해서 착신신호(가)를 예를 들면 유선전화회선(2-2)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으로 송출된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착신신호(가)를 제어부(36)에 가하고 제어부(36)는 이착신신호(가)가 입력되면 이 착신호(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012-0019"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착신임을 판정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스케쥴을 기억장치(37)에서 판독하여 출력시킨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각이 오전 11시이기 때문에 제어부(36)는 제 8 도에 나타낸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1)에 소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행해빈 경우 무선존(4-2)을 갖는 무선기지국(3-2)으로부터의 착신신호를 송신하여도 아무 쓸모없기 때문에 제어부(36)는 무선기지국(3-2)으로부터의 송신을 행하지 않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을 무선존(4-1)을 갖는 무선기지국(3-1)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즉 제어부(36)는 이 착신을 무선기지국(3-1)으로 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전송요구신호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한다.
또한 이 전송요구신호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가 포함된다. 유선전화망(1)에서는 이 전송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을 나타내는 착신신호(다)를 무선기지국(3-1)으로 송출한다.
이후에는 제 9 도에 나타낸 동작과 같이 무선기지국(3-1)은 착신신호(다)에 응답하여 착신신호(나)를 무선존(4-1)내로 송신한다.
이 착신신호(나)에 응답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착신응답신호(다)가 송신되고 이 착신응답신호(가)가 무선기지국(3-1)에서 수신되면 무선기지국(3-1)은 착신응답신호(나)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하여 통화루프를 작성하고 루프신호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유선전화망(1)사이의 전송경로가 무선기지국(3-1)을 통해서 형성되고 이 전송경로를 음성신호가 송·수신되고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케쥴에 따라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3)으로 이동하며 이때에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이 무선기지국(3-2)에 있을 경우 무선기지국(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착신을 무선존(4-3)을 갖는 무선기지국(3-3)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기지국(3-3)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착신이 통지되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의 착신응답이 있으면 통화가 행해지게 된다.
이어서 예를들어 현재 시각이 오후 11시이며, 따라서 제 8 도에 나타낸 스케쥴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착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을 제 11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유선전화망(1) 은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을 무선기지국(3-2)을 통지하기 위해서 착신신호(가)를 무선기지국(3-2)으로 송출한다.
무선 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착신신호(가)를 제어부(36)가하고, 제어부(36)는 이 착신신호(가)가 입력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기억장치(37)에서 판독하여 출력시킨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각이 오후 11시이기 때문에 제어부(36)는 전술한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착신에 응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착신동작을 행하여도 소용없기 때문에 제어부(36)는 착신제어를 행하지 않은채 부채신호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한다.
유선전화망(1)은 착신응답신호 또는 전송요구신호 대신에 전술한 부재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이 부재신호에 응답하여 통화중 신호 또는 호출 불가능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발신자 말단으로 송출한다.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각 무선존(4-1)∼(4-3)의 어느 쪽에도 소재하고 있지 않을 때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착신에 응답하지 않을때는 각 무선기지국(3-1)∼(3-3)의 어느쪽에도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의 착신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 11 도와 같은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등록해 두면 착신이 되었을때에는 이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소재하고 있는 무선존을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무선기지국에서 착신신호를 각각 송신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무선기지국에서 착신호를 송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그에 따라서 전파의 유효한 이용면에서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스케쥴로서는 시각과 무선존을 대응시키는 것만 아니라 연월일가 무선존을 대응시켜도 좋다.
현재의 시각으로부터 수시간후에 다른 무선존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무선존을 대응시켜도 좋다.
또한 무선존내의 복수의 지명을 각 무선존 마다 미리 설정해 두어 스케쥴의 등록시에 소정의 지명을 입력 시키면 이 지명이 속하는 무선존을 등록하개 하는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각 무선존(4-1)∼(4-3)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지역으로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이동했을때에는 이 별개지역의 무선존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전화번호를 등록해 두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전화번호의 등록과 함께 스케쥴의 등록이 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각 무선부(32-1)∼(32-K)중에 소정의 무선부를 제어채널 전용으로 하고 다른 무선부를 통호채널 전용으로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의 통신이 제어채널에 의한 것인지 또는 통화채널에 의한 것인가에 따라서 각 무선부(32-1)∼(32-K)를 나누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각 무선존(4-10)∼(4-3)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제어채널을 부여하여 이들 무선존이 중복되어도 각 무선기지국(3-1)∼(3-3)에서 각각의 제어채널로 동시에 통신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채널 지정신호에 시각정보를 포함시키고, 이 시각정보에 의거하여 시각을 휴대용 무선전화기(5)측으로 표시함으로써 무선기지국에서 기준으로 하고 있는 시각을 알려주도록 해도 좋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도에 나타낸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기억장치(63)를 부설한 구성이며, 이 기억장치(63)로서는 예를들면 RAM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를 사용하여 스케쥴을 등록할때의 동작을 제 13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입력키(61)의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쥴의 등록요구를 입력시킨다.
이에 응답해서 제어부(59)는 등록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기(62)에 표시하여 스케쥴의 등록조작을 제촉한다.
이 메시지가 표시된후 제 8 도에 나타낸 순서와 같이 입력키(61)를 조작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입력시키면, 제어부(59)는 이 스케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장치(63)에 기억함과 동시에 이 스케쥴을 표시기(62)에 표시한다.
이때 잘못 조작하여 스케쥴을 틀리게 입력했을 경우에는 표시기(62)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조작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원하던 스케쥴을 입력하였으면 계속해서 입력키(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쥴의 입력요구를 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59)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를 포함하는 스케쥴 입력요구신호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이 스케쥴 입력요구신호는 제어채널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스케쥴 입력요구신호를 예를들면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의 스케쥴 입력요구가 회선제어부(31)로 통지된다.
회전제어부(31)는 이 입력요구에 응답하여 빈 통화채널을 무선부(32-1)에 통지한다.
무선부(32-1)는 이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지정신호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한후, 통화채널로 제어채널에서 전환시킨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전술한 통화채널 지정신호를 수신하면 이 지정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통화채널로 제어채널에서 전환시킨후 제어부(59)는 기억장치(63)내의 스케쥴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여 이 스케쥴 데이터의 송신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는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나)가 송신되게 된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신호(나)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무선부(32-1)는 이데이터신호(나)로 나타내는 스케쥴 데이터를 회선제어부(31)에 통지한다.
회선제어부(31)는 이 스케쥴 데이터를기억장치(37)에 기억시키고 ,기억장치(37)에서는 이 스케쥴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여 무선부(32-2)로 반송시킨다.
무선부(32-1)는 회선 제어부(31)로부터 스케쥴 데이터를 통지받으면 이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다)를 송신한다.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신호(다)를 수신하면 데이터 신호(다)를 제어부(59)에 가하고 제어부(59)는 이 데이터 신호(다)를 입력하여 이 데이터 신호(다)로 나타나는 스케쥴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케쥴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기(62)에 표시되는 스케쥴이 전술한 조작에 의해 입력된 스케쥴과 동일하다면 스케쥴이 틀림이 없이 무선기지국(3-2)에 등록되기 때문에 예정된 순서로 입력키(61)를 조작함으로써 조합종료를 입력시킨다.
이에 응답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는 조합 종료신호가 송신되고 이후의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이 단절되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대기 상태로 되돌아 간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전술한 조합 종료 신호를 무선부(32-1)에서 수신하고 이에 응답해서 무선부(32-1)는 통호채널의 무선회선을 단절시킴과 동시에 이 조합종료를 회선제어부(31)에 통지한다.
회선 제어부(31)는 이 통지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 등록을 완료하였다고 판정하여 이후의 기억장치(37)내의 스케쥴 데이터를 유지한다.
한편 무선기지국(3-2)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다)에 의거하여 데이타신호(다)의 표시기(62)에 표시된 스케쥴 데이터와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지정한 스케쥴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예정된 순서로 입력키(61)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기억장치(63)내의 스케쥴 데이터를 무선기지국(3-2)으로 재차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3-2)에서는 재차 수신한 스케쥴 데이터를 회선 제어부(31)의 기억장치(37)내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스케쥴 데이터 대신에 기억하여, 이후의 기억장치(37)내에 새롭게 기억된 데이터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다)를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는 이 데이터 신호(다)에 의거한 스케쥴을 표시기(62)에 재차 표시하여 그 표시내용을 갱신한다.
여기서 표시된 스케쥴이 틀리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기억장치(63)내의 스케쥴을 재차 송신하며 도한 표시된 스케쥴이 바르게 되어 있다면 조합종료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무선기지국(3-2)에 원하는 스케쥴 데이터를 틀리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등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기억장치(63)내에 스케쥴 데이터를 일단 기억시키고 기억된 스케쥴 데이터를 무선기지국(3-2)으로 송신하도록 하면 스케쥴데이터의 입력조작중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무선기지국(3-2) 사이에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이 스케쥴을 일단 기억시키고 나서 무선 회선을 형성시키면 충분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기억장치(63)내의 스케쥴장치(63)내의 스케쥴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3-2)으로 단시간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파의 유효한 이용에 효과를 거들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3-2)에 기억된 스케쥴 데이터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반송하여 스케쥴 데이터가 틀림이 없이 등록되었는지를 확인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페이딩의 영향으로 무선회선의 질이 저하되어 데이터의 전송에러가 생겼을 때에 스케쥴 데이터가 잘못 등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제 14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시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도에 나타낸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판독장치(64)에 접속된 제1접속 커넥터(65)와 제2접속 커넥터(66)에 접속된 메모리(67)를 갖는 외부기억장치(68)등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 외부기억장치(68)는 예를들면 IC카드이며 내장 메모리(67)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외부기억장치(68)를 접속하여 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스케쥴의 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68)의 메모리(67)로 옮김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외부기억장치(68)에는 스케쥴 데이터의 다른 데이터를 기억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는 외부기억장치(68)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외부기억장치(68)의 제2접속 커넥터(66)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제1접속 커넥터(65)에 접속시키면 외부기억장치(68)의 메모리(67)와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판독장치(64)가 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입력키(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하여 스케쥴 등록요구를 끝내면 제어부(59) 는 판독장치(64)를 작동시킨다.
판독당치(64)는 외부기억장치(68)의 메모리(67)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 데이터를 로드하고 이 스케쥴 데이터를 제어부(59)에 부여한다.
제어부(59)는 이 스케쥴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일단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스케쥴을 표시기(62)에 표시한다.
여기서 입력키(61)를 조작하여 표시되어 있는 스케쥴을 변경하면 제어부(59)는 이변경에 의거하여 스케쥴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후 입력기(61)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쥴 입력요구를 끝내면 제 13 도와 같이 스케쥴 요구신호가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송신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기지국(3-2)에서는 채널 지정신호가 송신된다.
이에 따라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무선기지국(3-2)사이에서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이 형성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제어부(59)는 전술한 판독장치(64)에서 입력하여 기억된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나)를 송신부(52)에 가하여 송신한다.
이후 제 13 도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무선기지국(3-2)사이에서 데이터 신호(다) 및 조합 종료신호가 송수신되고 이에 따라서 스케쥴 데이터가 무선기지국(3-2)에 있어서의 회선제어부(31)의 기억장치(37)에 등록된다.
또한 등록시에는 등록된 스케쥴 데이터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확인하거나 등록된 스케쥴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케쥴 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68)에 미리 기억시켜두면 스케쥴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조작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각종의 스케쥴의 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68)에 등록해 두고 이들 스케쥴 데이터중에서 원하는 스케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 15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유선전화망(1)에 유선회선(2-4)을 통해서 접속되는 유선단말(6)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 유선단말(6)은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며 무선존(4-2)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유선단말(6)에서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을 호출하며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유선단말(6)에서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으로 전송하여 이 스케쥴 무선기지국(3-2)에 등록되도록 한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유선단말(6)은 오프훅 상태이며, 무선기지국(3-2)의 전화번호가 예를들어 "012-0000"이라고 하고 이 전화번호를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유선단말(6)에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다이얼 신호가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되고 유선전화망(1)은 무선기지국(3-2)을 호출한다.
무선기지국(3-2)의 회선제어부(31)는 이 호출에 응답하여 유선회선(2-2)을 스위치부(35)를 통해서 제어부(36)에 접속 시킨다.
이에 따라 유선단말(6)과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사이는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접속된 것이 된다.
이리하여 유선단말(6)과 무선기지국(3-2)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유선단말(6)인 퍼스널 컴퓨터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 코드와 함께 스케쥴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3-2)에 있어서 회선제어부(31)의 제어부(36)는 전술한 ID 코드 및 스케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이들은 기억장치(37)에 기억시키고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 등록을 완료한다.
또한 ID 코드를 유선단말(6)에서 송신할 때에는 ID 코드를 IC 카드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퍼스널 컴퓨터에 부설한 판독장치에 의해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출력시킴으로써 이 ID 코드를 자동적으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유선단말(6)을 무선존(4-2)내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있지만 유선단말(6)의 설치위치를 소정위치에만 한정하지 않고 무선존(4-2)에서 떨어지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유선단말(6)에서 무선기지국으로의 스케쥴 등록과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무선기지국으로의 스케쥴 등록을 병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계한 착신방식의 제5실시예를 제 1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이세는 제 15 도에 나타낸 유선단말(6)에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미리 등록시키고 유선전화망(1)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이 있을때에는 유선단말(6)을 일단 호출하며 유선단말(6)은 이 호출을 받으면 전술한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소재하고 있는 무선존을 판정하여 이무선존에 전술한 호출을 전송하게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동작을 제 16 도를 참조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이 있을때에는 유선전화망(1)에서 유선단말(6)을 호출하기 위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전화번호를 유선단말(6)에 부여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 전화번호 대신에 전송상태 전화번호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부여해 둔다.
그리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전화번호가 유선단말(6)에 부여되면 이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이 있을 경우 유선전화망(1)은 착신신호(가)를 유선단말(6)로 전송한다.
유선단말(6)은 이 착신신호가(가)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각 무선존(4-1)∼(4-3)중의 어느 무선존에 소재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예를들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 소재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유선단말(6)은 무선기지국(3-2)으로의 전송을 나타내는 전송요구신호를 유선회로망(1)로 전송한다.
유선전화망(1)은 전송요구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착신신호(다)를 무선존(4-2)을 갖는 무선기지국(3-2)으로 전송한다.
무선기지국(3-2)은 착신신호(다)를 수신하게 되면 착신신호(나)를 송신한다.
이때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2)에 소재하고 있으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는 착신신호(나)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알린다.
이 착신에 응답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 착신응답신호(가)가 송신되고 이 착신응답신호(가)가 무선기지국(3-2)에서 수신된다.
무선기지국(3-2)에서는 이 착신응답신호(가)를 수신하게 되면 착신응답신호(나)를 유선전화망(1)을 전송하는 동시에 루프신호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송신한다.
그 이후에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유선전화망(1)사이에 무선기지국(3-2)을 통하여 통신상태로 되어 통화가 게시된다.
이와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유선단말(6)에 미리 등록해 두고 유선단말(6)에서 받은 착신을 이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전송하도록 해두면 유선전화망, 무선기지국,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키지 않아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있다.
또한 전송상대로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용 무선전화기(5) 및 다른 유선단말등도 포함시켜 유선단말(6)로의 착신을 이들에게 나누어서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제 17 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착신방식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실시예에서는 제 15 도에 나타낸 유선단말(6)로서 코드리스 전화장치를 적용하였으며 이 코드리스 전화장치는 유선회선(2-4)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에 접속되어 있는 본체(6-1)에 무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부속기(6-2)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속기(6-2)는 제 2 도에 나타낸 휴대용 무선전화기(5)와 같은 구성이며 제어부(59)에 의해 전력증폭기(53)의 증폭률이 조정된다고 하는 다른점이 있다.
이 증폭률의 조정에 의해 부속기(6-2)의 송신출력을 작게하거나 크게하거나 할 수 있다.
부속기(6-2)의 송신출력을 작게 했을 경우 무선기지국(3-2)의 무선존(4-2)보다도 작은 본체(6-1)의 무선존 내에서, 부속기(6-2)는 무선회선을 통해서 본체(6-1)와 접속되고 이 본체(6-1)를 통해서 유선전화망(1)에 대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속기(6-2)의 송신출력을 크게 했을 경우 무선기지국(3-2)의 무선존(4-2)내에서 부속기(6-2)는 무선회선을 통해서 무선기지국(3-2)와 접속되고 무선기지국(3-2)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에 대한 통신을 행하게 된다.
본체(6-1)는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8 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회로(71)는 유선회선(2-4)에 접속되면 안테나 공용기(72)는 안테나(73)에 접속된다.
유선회선(2-4)으로부터 하이브리드 회로(71)를 통한 음성신호 및 제어부(74)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송신부(75)의 변조입력으로 되어 여기서 변조된다.
송신부(75)에서 출력된 피변조신호는 전력 증폭기(76)에서 증폭되어 이후 안테나 공용기(72)를 통해서 안테나(73)로 도달되며 여기에서 전파가 송신되게 된다.
한편 전파가 안테나(73)에서 수신되면 이 수신입력이 안테나 공용기(72)를 통해서 수신부(77)에 가해진다.
수신부(77)는 복조 출력인 음성신호를 하이브리드 회로(71)를 통해서 유선회선(2-4)을 송출하는 동시에 다른 복조출력인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74)로 가한다.
또한 신세사이저(78)는 사용되고 있는 무선채널의 주파수를 송신부(75) 및 수신부(77)에 가하고 있다.
기억장치(79)는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녹음 재생부(80)는 음성신호의 녹음과 재생을 실시하는곳이다.
제어부(74)는 이 본체 (6-1)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곳이다.
이러한 구성의 코드레스 전화장치에 잇어서는 본체(6-1)와 부속기(6-2)사이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회선의 주파수 대역이, 무선기지국(3-2)과 부속기(6-2)사이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회선의 주파수 영역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양쪽의 무선통신이 혼선되는 일이 없다.
그리하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6-1)의 기억장치(79)에는 부속기(6-2)의 스케쥴이 등록된다.
이 등록을 위한 동작을 제 19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부속기(6-1)의 입력키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하여 스케쥴의 입력요구를 행하면 부속기(6-2)로부터 본체(6-1)로 제어 채널에서의 스케쥴 입력요구신호가 송신된다.
이 스케쥴 입력요구신호에서 이 코드리스 전화장치에 있어서 부속기(6-1)에 부여되고 있는 코드레스용 ID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코드레스용 ID 코드는 부속기(6-1)와 무선기지국간의 통화시에 사용되는 ID 코드와 별개의 것이다.
전술한 스케쥴 입력요구신호에 응답하여 본체 (6-1)에서 부속기(6-2)로 빈 통화채널을 나타내는 채널지정신호가 송신된다.
여기서 본체(6-1)와 부속기(6-2)는 제어채널에서 이 빈 통화채널로의 전환을 각각 행하여 이후의 통화채널로의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이때 부속기(6-2)의 표시기는 스케쥴의 입력이 가능함을 표시한다.
이어서 부속기 (6-2)의 입력키를 조작하여 부속기(6-2)의 스케쥴을 입력시키면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가)가 부속기(6-2)에서 본체(6-1)로 송신된다.
본체(6-1)에서 이 스케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74)는 이 스케쥴 데이터를 기억장치(79)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부속기(6-2)의 입력키를 예정된 순서로 조작하여 등록딘 스케쥴의 확인요구를 행하면 부속기(6-2)에서 본체(6-1)로 확인요구신호가 송신된다.
본체(6-1)에서는 이 확인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74)에서는 기억장치(79)에 앞서 기억시킨 스케쥴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여 이 스케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나)에 송신부(75)로 가하여 송신한다.
부속기(6-2)에서는 데이터 신호(나)를 수신하여 이 데이터 신호(나)로 나타나는 스케쥴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케쥴을 표시기에 표시한다.
이 표시기에 표시된 스케쥴을 확인하고, 그후에 입력키를 순서로 조작하여 종료요구를 행하면 부속기(6-2)에서 본체(6-1)로 종료신호가 송신되고 이에 응답해서 부속기(6-2)와 본체(6-1)사이의 무선 회선이 단절된다.
이렇게 하여 등록된 부속기(6-2)의 스케쥴에 있어서 부속기(6-2)가 존재할 수 잇는 무선존으로서는 각 무선기지국(3-1)∼(3-3)의 각각의 무선존(4-1)∼(4-3)과 본체(6-1)의 무선존(6-3)등이 있다.
부속기(6-2)가 스케쥴에 따라서 각 무선존(4-1)∼(4-3)중의 어느 하나에 소재하고 있으 경우 유선전화망(1)에서본체(6-1)로서의 착신은 제 16 도에 나타낸 순서와 같이 전송된다.
즉 본체(6-1)는 스케쥴에 의거하여 부속기(6-2)가 소재허고 있는 무선존을 판정하여 이 무선존의 무선기지국을 나타내는 전송요구신호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착신은 부속기(6-2)가 소재하고 있는 무선존의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착신신호가 송신되면 부속기(6-2)가 응답하여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통화가 개시된다.
또한 부속기(6-2)가 스케쥴에 따라서 본체(6-1)의 무선존(6-3)에 소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 20 도와 같은 순서로 착신이 본체(6-1)로부터 부속기(6-2)로 통지된다.
우선 유선전화망(1)에서 본체(6-1)로 착신신호 (가)가 전송되고 본체(6-1)에서 이 착신신호 (가)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 (74)는 기억장치(79)내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부속기(6-2)가 본체 (6-1)의 무선존(6-3)에 소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이 판정을 행한 후에 부속기(6-2)의 코드리스용 ID코드를 포함하는 착신신호 (라)를 송신부 (75)로 가하여 송신한다.
부속기(6-2)는 이 착신신호 (나)를 수신하게 되면 착신을 알린다.
이때 착신에 응답하면 부속기(6-2)로부터 착신응답신호 (나)가 송신된다.
본체(6-1)는 이 착신응답신호(나)를 수신하면 착신응답신호 (다)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하는 동시에 이 코드리스 전화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 통화채널 중에서 빈 통화채널을 판정하여 이 빈 통화채널을 알리는 루프신호를 전송한다.
그후 본체(6-1)는 제어채널에서 통화채널로의 전환을 행한다.
부속기(6-2)는 전술한 루프신호를 수신하면 이 루프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통화채널로의 전환을 행하는 동시에 음성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순서를 거친후에 유선전화망(1)과 부속기(6-2) 사이가 본체 (6-1)를 통해서 접속되어 통화가 개시된다.
그런데 본체(6-1)에서는 녹음 재생부(80)를 구비하고 있어 이 녹음 재생부(80)를 사용한 자동응답기능을 부속기(6-2)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스케쥴 등록시에 예를들어 제 8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순서로 어느 무선존에도 소재하기 않음을 등록해두면 자동응답전화 기능을 지정한 것이 되어 본체(6-1)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0시의 시간대에 착신이 있으면 스케쥴에 의거하여 자동응답전화 기능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녹음 재생부(80)에 미리 녹음해둔 메세지를 재생시켜 통화상대에게 송출하거나 통화상대로부터의 메세지를 녹음 재생부(80)에 녹음하거나 할 수 있다.
제 21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각 무선기지국(3-1)~(3-3)과 유선전화망(1) 사이에 무선제어국(201)을 삽입하여 구성된다.
이 무선제어국(201)은 각 무선기지국(3-1)~(3-3)을 유선전화망(1)에 교환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이들의 무선기지국(3-1)~(3-3)을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무선기지국(3-2)에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제어국(201)의 내장 기억장치(202)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이 있을때에 무선제어국(201)에서는 기억장치(202)내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각 무선존(4-1)~(4-3)중의 어느 무선존에 소재하고 있는가를 판정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착신을 무선기지국(3-2)에 일단 통지하고, 스케쥴 내용에 따라서 이 착신을 다른 무선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의 착신은 제 22 도와 같은 순서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통지된다.
우선 유선전화망(1)에서 무선제어국(201)에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신호 (가)가 전송된다.
무선제어국(201)은 이 착신신호 (가)를 수신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기억장치(202)에서 판독 출력하여 이 스케쥴에 의거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각 무선존(4-1)~(4-3)중의 어느 무선존에 소재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예를들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무선존(4-1)에 소재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제어국(201)은 착신신호(다)를 무선존(4-1)을 갖는 무선기지국(3-1)으로 송출한다.
무선기지국(3-1)은 이 착신신호(다)를 수신하면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착신신호(나)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기지국(3-1)은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부터의 착신응답신호(가)를 수신하면 착신응답신호(다)를 무선제어국(201)으로 송출하는 동시에 루프신호를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송신한다.
이때 무선기지국(3-1)과 휴대 무선전화기(5) 사이에는 통화채널의 무선회선을 통해서 접속된다.
한편 무선제어국(201)은 무선기지국(3-1)으로부터의 착신응답신호(다)를 수신하면 착신응답신호(나)를 유선전화망(1)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무선기지국(3-1)과 유선전화망(1) 사이는 무선제어국(201)을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유선전화망(1)과 휴대용 무선전화기(5) 사이에 전송경로가 형성된다.
즉, 유선전화망(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무선제어국(201)에서 무선기지국(3-1)을 통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전송되고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5)에서 송신된 음성신호는 무선기지국(3-1)에서 무선제어국(201)을 통해서 유선전화망(1)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가 각 무선존(4-1)~(4-3)중의 어느 무선존에 소재하고 있던간에 무선제어국(201)은 착신을 한개의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휴대용 무선전화기(5)로 통지할 수 있어 무선기지국에서 다른 무선기지국으로 착신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제 23 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1 도에 나타낸 유선전화망(1)에 유선회선(2-4)을 통해서 접속되는 유선단말(6)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 유선단말(6)은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며 무선존(40-2)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유선단말(6)에서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무선제어국(201)을 호출하고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을 유선단말(6)로부터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무선제어국(201)으로 전송하며 이 스케쥴을 무선제어국(201)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유선단말(6)에서 유선전화망(1)으로 무선제어국(201)의 전화번호를 발신하면 유선전화망(1)은 무선제어국(201)을 호출한다.
무선제어국(201)이 이 호출에 응답하면 유선단말(6)과 무선제어국(201) 사이가 유선전화망(1)을 통해서 접속되어 양측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유선단말(6)에서 무선제어국(201)으로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ID코드와 함께 스케쥴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들이 무선제어국(201)의 기억장치(202)에 기억되어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스케쥴 등록을 완료한다.
또한 유선단말(6)의 설치위치는 특정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 24 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방식을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다수의 무선존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무선존은 각각의 무선기지국(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으며 이들 무선기지국에는 유선전화망(1)으로부터의 각각의 유선회선(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무선존은 복수의 무선존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예를들면 각 무선존(A1-1)~(A1-4)은 무선존 그룹(A1)에 속하고 각 무선존(B2-1)~(B2-3)은 무선존 그룹(B2)에 속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선존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5), 또는 부속기(6-2)의 스케쥴을 예를들면 제 25 도와 같은 순서로 조작하여 입력시킴으로써 무선존 또는 무선존 그룹의 등록을 할 수 있다.
즉 제 25a 도와 같은 순서로 입력키를 조작하면 오전 8시부터 9시까지는 무선존(A1-1)에 소재하고 있음이 등록된다.
또한 제 25b 도와 같은 순서로 조작하면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는 무선존 그룹(A1)에 소재하고 있음이 등록되고 착신시에는 무선존 그룹(A1)내에서 무선존(A1-1)→(A1-2)→(A1-3)→(A1-4)→(A1-1)의 순서로 반복하여 착신신호가 송신되며 응답이 있는 무선존 내에서 통화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제 25c 도와 같은 순서로 조작하면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는 각 무선존(B2-1)과 (B2-3)에 소재하고 있음이 등록되고 착신시에는 무선존(B2-1)→(B2-3)→(B2-1)의 순서로 반복하여 착신신호가 송신되어 응답이 있는 무선존내에서 통화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유선전화망, 무선기지국, 무선제어국 및 휴대용 무선전화기 등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를 예시하였지만 교환수단과 본국 및 이동국을 갖고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전화기 및 코드리스 전화장치에 있어서의 부속기를 예시하였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않고 자동차 전화 장치, 페이저 등이라도 좋으며 혹은 이러한 이동단말을 복합화 한 것으로서 페이저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라도 좋다.
또한 유선망으로는 공중망을 예시하였지만 이헤 한하지 않고 금속케이블, 광케이블 등을 사용한 교환망이라면 아날로그 전송, 디지탈 전송등에 의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착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의 스케쥴을 미리 등록해 두고 이 스케쥴에 의거하여 이동국으로 착신을 통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동국이 이동할 때마다 위치등록을 하지 않아도 좋아 전파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등록을 위해 낭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의 전지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유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교환접속수단과, 이 교환접속수단을 통해서 전술한 유선망에 접속되는 복수의 본국과, 이들 본국중의 어느 한 본국의 무선존내에서 이 본구과 무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이동국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술한 유선망에서 전술한 교환접속수단을 통한 전술한 이동국으로의 착신시에, 이 착신을 전술한 각 본국중의 어느 한 본국의 무선존내에서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스케쥴을 입력시키는 입력수단과, 이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스케쥴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전술한 이동국으로서의 착신시에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잇는 스케쥴에 의거하여 전술한 각 본국중의 어느한 본국을 선택하여 이 본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술한 착신을 통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을 하는 무선통지장치의 착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스케쥴에 의거하여 각 본국중의 어느 한 본국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 각 본국중에서의 예정된 본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착신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지장치의 착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유선단말을 구비하고 입력수단은 이동국 및 전술한 유선단말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설치된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스케쥴을 미리 기억시킨 외부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수단은 전술한 외부기억수단에서 전술한 스케쥴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의 착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유선단말을 구비하고, 기억수단은 본국, 교환접속수단 및 전술한 유선단말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의 착신 시스템.
KR1019910005575A 1990-04-04 1991-04-04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KR940010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9543A JP2868577B2 (ja) 1990-04-04 1990-04-04 無線通信装置
JP??02-89543 1990-04-04
JP02-89543 1990-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70A KR910019470A (ko) 1991-11-30
KR940010208B1 true KR940010208B1 (ko) 1994-10-22

Family

ID=1397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575A KR940010208B1 (ko) 1990-04-04 1991-04-04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57406A (ko)
JP (1) JP2868577B2 (ko)
KR (1) KR940010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8950B2 (ja) * 1991-10-07 1997-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登録方法
US5353331A (en) * 1992-03-05 1994-10-0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using wireline/wireless integration
US5459761A (en) * 1992-06-29 1995-10-17 Motorola, Inc. Intelligent repeater for trunked communications
FI96656C (fi) * 1992-11-27 1996-07-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adiojärjestelmä
US5483664A (en) * 1993-07-26 1996-01-09 Motorola, Inc. Cellular communications with scheduled handoffs
JP3085154B2 (ja) * 1994-08-26 2000-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
JP2773676B2 (ja) * 1995-04-05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6108563A (en) * 1996-03-29 2000-08-22 Kabushiki Kaishi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for providing management and call control of mobile station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970416A (en) * 1996-07-31 1999-10-19 Motorola Provision of distributed call handling over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US20040097218A1 (en) * 1996-08-12 2004-05-20 Vossler Stephen P.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US6317593B1 (en) * 1996-08-12 2001-11-13 Gateway, Inc.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US6477374B1 (en) * 1997-01-03 2002-11-0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alendar based call routing
US6119006A (en) * 1997-01-03 2000-09-12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endar-based cellular smart switching
US7149514B1 (en) 1997-07-30 2006-12-1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Cellular docking station
US20080207197A1 (en)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devices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JP3225915B2 (ja) * 1998-02-19 2001-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3065023B2 (ja) * 1998-05-15 2000-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発呼方式及び移動無線端末
KR100368758B1 (ko) * 1998-06-20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단말기의등록요구메시지표시방법
US6597906B1 (en) * 1999-01-29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based station communication based on relative geographical position information
US6501949B1 (en) * 1999-12-14 2002-12-31 Ericsson Inc. Acquisition of mobile station power source capacity lev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6721572B1 (en) 2000-03-24 2004-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optimization near wireless dead zone regions
US7487252B2 (en) * 2001-11-16 2009-02-03 Gateway Inc. Vehicle based intelligent network interactivity
US7120454B1 (en) * 2001-12-26 2006-10-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es
US8543098B2 (en)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US8554187B2 (en) 2002-07-15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s and devices
US7200424B2 (en) 2002-07-15 2007-04-03 Bellsouth Inte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the use and movement of telephony devices
US8526466B2 (en) * 2002-07-1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416804B2 (en) 2002-07-15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275371B2 (en) * 2002-07-15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oriented services to devices
US8380879B2 (en) 2002-07-15 2013-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rface devic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communications networks
US8533070B2 (en) * 2002-07-15 2013-09-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ccessing data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2328A (ja) * 1986-11-12 1988-05-26 Nec Corp 構内コ−ドレス電話機位置登録方式
JP2693761B2 (ja) * 1987-04-03 1997-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方式
JPH02119325A (ja) * 1988-10-27 1990-05-07 Nec Corp 位置登録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68577B2 (ja) 1999-03-10
JPH03289294A (ja) 1991-12-19
KR910019470A (ko) 1991-11-30
US5257406A (en) 199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208B1 (ko) 무선통신장치의 착신 시스템
EP0932973B1 (en) Local time manager
KR910003416B1 (ko) 무선 전화의 등록과 취소의 제어 방법 및 장치
GB2296630A (en) Registering abbreviated dialing numbers
JP2004007190A (ja) 無線通信端末
US5943614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plurals authentication parameters
KR100319271B1 (ko)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JPH1051855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H08163639A (ja) 番号自動設定方式及びその装置
US20030119560A1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74871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3338793B2 (ja) 携帯無線端末位置情報表示方法
JP2001160856A (ja) 移動体端末への発着信規制システム、発着信規制方法、及び発着信規制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224513A (ja) 個別受信機を利用した遠方連絡システム
JPS5831144B2 (ja) 追跡電話方式
JP2912262B2 (ja) 返答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S62264734A (ja) 転送機能付コ−ドレス電話装置
JPH1023133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0178810B1 (k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의 단말기 호출방법
US7155187B2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KR20010059665A (ko)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JPH1014854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04583A (ja) 位置登録表示機能付き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0165932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