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665A -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665A
KR20010059665A KR1019990067186A KR19990067186A KR20010059665A KR 20010059665 A KR20010059665 A KR 20010059665A KR 1019990067186 A KR1019990067186 A KR 1019990067186A KR 19990067186 A KR19990067186 A KR 19990067186A KR 20010059665 A KR20010059665 A KR 20010059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forwarding
destination
presen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718B1 (ko
Inventor
이권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7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호연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특정 시간대에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전화로 전화를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에 대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전환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이 설정되었으면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이면 기 저장된 해당 번호로 착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단말기에서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CALL CONNECTING METHOD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착신 전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시간대에 걸려온 전화를 다른 전화로 전환하여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시스템은 콜포워딩(Call Forwarding)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결려온 전화에 대하여 다른 번호로 돌려받을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그런데 상술한 기능은 단지 통화중인 상태에서만 기능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화중 상태 이외의 상황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는 전화를 다른 유선전화망을 통해 받고자 하여도 이와 같은 기능의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낮 시간대에는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저녁에는 집에 있는 사용자는 걸려오는 전화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와 사무실 및 집에 있는 유선전화기 모두에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시간대에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다른 전화로 착신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에 대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전환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이 설정되었으면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이면 기 저장된 해당 번호로 착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 전환을 위한 시간 및 전화번호 설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 전환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 전환을 위한 시간 및 전화번호 설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 전환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호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 및 알파벳 키와 기능키(FCN), 저장키(STO), 볼륨 다운/업키, 네비게이션 키(상하좌우) 등을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 데이터를 발생한다. 메모리(12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30)는 상기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표시 및 동작 상태 등의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RF부(150)는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을 통해 변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처리부(16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디지털화하고 RF부(150)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 및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제어 흐름을 하기에 설명한다.
2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착신전환을 위한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한다. 착신 전환을 위한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210 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전환을 위한 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2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착신전환 번호를 입력받아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즉, 210 및 220 단계에 의해 착신전환을 요하는 시간과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메모리(120)에 저장하게 된다.
하기 표는 저장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정 시간 전화번호
0 20:00부터 08:00까지 02-111-2222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320 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전환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한다.
착신전환이 설정되었으면 33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이면 340 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전화번호와 착신전환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340 단계).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요구하는 시간과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에 설정된 시간대에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착신이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전환을 요구하는 시간과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에 설정된 시간대에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기 저장된 전화번호로 착신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착신을 전환 할 수 있다.

Claims (2)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기에 걸려온 전화에 대한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전환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전환이 설정되었으면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현재 시간이 착신전환을 요구한 시간대이면 기 저장된 해당 번호로 착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기 저장된 전화번호와 착신 전환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KR1019990067186A 1999-12-30 1999-12-30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KR10061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186A KR100617718B1 (ko) 1999-12-30 1999-12-30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186A KR100617718B1 (ko) 1999-12-30 1999-12-30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665A true KR20010059665A (ko) 2001-07-06
KR100617718B1 KR100617718B1 (ko) 2006-08-28

Family

ID=1963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186A KR100617718B1 (ko) 1999-12-30 1999-12-30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96A (ko) * 2001-03-06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85B1 (ko) * 2010-04-28 2016-08-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예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64B1 (ko) * 1998-11-28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전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96A (ko) * 2001-03-06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718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344A (zh) 双待移动终端的视频通信设备和方法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JP3353293B2 (ja) 携帯電話の電源オフ通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17718B1 (ko) 무선단말기에서의 호 연결 방법
KR20000044484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상태 표시 방법
KR100315711B1 (ko) 통신 단말기에서 호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034620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호 연결 방법
KR20040020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JPH08163639A (ja) 番号自動設定方式及びその装置
US20040166836A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JP2000236581A (ja) 通信システム
US20030119560A1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3097787B2 (ja) 無線電話装置制御方式
JP3824435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44706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전환방법
JP3201149B2 (ja) 電話装置
JP3676164B2 (ja) コードレス電話接続装置
JP200020932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960575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2002261943A (ja) 携帯電話機
KR100649134B1 (ko)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KR20040049931A (ko) Vms에 바로 접속하는 방법
KR20040049930A (ko) Vms에 바로 접속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