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660B1 -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 Google Patents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660B1
KR940009660B1 KR1019880006137A KR880006137A KR940009660B1 KR 940009660 B1 KR940009660 B1 KR 940009660B1 KR 1019880006137 A KR1019880006137 A KR 1019880006137A KR 880006137 A KR880006137 A KR 880006137A KR 940009660 B1 KR940009660 B1 KR 94000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jaw
arm
open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36A (ko
Inventor
야수노리 사가기
Original Assignee
스트라파크 코포레이션
시모지마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파크 코포레이션, 시모지마 도시오 filed Critical 스트라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88000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660B1/ko
Publication of KR89001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원위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각부품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원위치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당겨죄임 종료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당겨죄임 종료후 복귀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8 도는 종래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당겨죄임 아암 2 : 캠
3 : 아암축 5 : 조오 스프링
8 : 조절레버 9 : 중력 스프링
10 : 장력핀 11 : 조절핀
12 : 스톱퍼 13 : 조절캠
14 : 조절캠 축 15, 16, 35 : 핀
17 : 밴드안내홈 23 : 피이드 슈터
31 : 록크레버 31a : 핀
31b : 돌기부 31c : 록크레버 캠플로우어
32 : 로크 스프링 34 : 조오
36 : 개폐링크 36b : 장공
37 : 개폐레버
본 발명은 곤포기의 장력조절 가능한 밴드죄어매는 장치, 특히, 아암(Arm)을 회동행정(왕복거리)의 도중 조오(Jaw)에 의하여 밴드를 잡아서 죄어매는 형식의 당겨죄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오에 의한 밴드잡음의 해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아암회동형의 밴드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아암의 회동행정의 도중, 조기에 조오에 의하여 밴드를 쥐게 되면 강하게 밴드를 당겨죄고, 늦게 밴드를 쥐게되면 약하게 당겨 죄어지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 8 도에 예시하는 종래의 장치로는 어떤 아암 회전각을 설정하여 그 위치에서 당겨죄는 조오(4)가 전진로에 밴드(B)를 쥐도록 하면 복귀로에서의 아암은 같은 위치에 되돌아 갈때까지는 조오가 밴드를 해방하지 않는다.
이때 밴드의 한쪽은 한쌍의 피이드 롤러(21), (22)에 의하여 끼워져 있고 다른쪽은 상기와 같은 당겨죄임 조오(4)와 당겨죄임 아암(1)의 홈부분으로 잡고 있으므로 당겨죄임 아암(1)으로 당겨죄어져서 피이드슈터 (23)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있는 밴드는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됨에 따라서 피이드슈터(23)의 입구와 당겨죄임 아암(1)과의 사이에서 풍선형으로 굴곡되어 최종적으로는 끼워져 잡히게 된다.
따라서, 다음의 곤포준비를 위해 밴드를 도시되어 있어 아아치(Arch) 혹은 본체 밖으로 밴드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종래 이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겨죄는 아암(1)의 복귀시에 이것과 동조하여 피이드 롤러(21), (22)를 정지시켜 밴드의 느슨해진 분을 송출함과 동시에 아아치 혹은 본체외에 밴드를 공급하든지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 58-4224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텐션캠축에 형성된 캠에 접지된 연동간을 크랭크(Crank)기구로써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이드 롤러(21)를 강제적으로 해방하는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그렇지만, 당겨죄임 아암(1)의 복귀시에 같이 조절하여 피이드 롤러(21), (22)를 정지시키는 수단으로는 피이드 롤러(21), (22)의 회전을 지시하는 리미트 스위치등의 제어수단을 요하고 또 본체상의 아아치가 회동 및 진퇴하여 개폐 또는 연결 자유롭게 된 것으로 되었을 때에는 공급된 밴드가 아아치의 분할부에서 뛰어나와 버려서 일반의 곤포기에서 채용되지 않는다.
더 한층 피이드 롤러(21)를 강제적으로 해방하는 수단으로는 텐션캠축에 캠의 추가가공을 요하고 제조가 약간 번잡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밴드 당겨죄는 행정의 복귀의 초기에 밴드를 해방하여 동시에 그 밴드 해방기구가 종래에 비하여 당겨죄임 스트로우크(Stroke)의 여유가 극히 적고, 간단한 구조로 확실히 작동하는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는 조오의 해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 1 도-제 5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당겨죄임 아암(1)은 당겨죄임 캠(2)이 회전함에 따라 당겨죄임 아암축(3)의 주변에 피이드 슈터(23)의 밴드삽입구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열림작동하고 후에 다시 원위치에 복귀한다.
당겨죄임 아암(1)은 그 상단부의 밴드안내홈(17)에 설치한 핀(Pin)(16)에 회동하여 밴드를 상기 밴드안내홈(17)과의 사이에서 쥐는 당겨죄임 조오(34)를 구비하여 그 당겨죄임 조오(34)는 밴드(B)를 평상시에는 해당하도록 그 한끝에 끼어붙인 핀(15)을 끼고 조오스프링(5)에 의하여 밀고 있다.
한편, 당겨죄임 아암축(3)에 회동자유로 축받이한 개폐레버(37)와 조절레버(8)를 각각 설치하고 동시에 개폐레버(37)의 한끝에 끼어붙인 장력핀(10)과 조절레버(8)의 한끝에 끼어붙인 스톱퍼(17)를 장력핀(10)의 쪽이 스톱퍼(12)보다는 밴드당겨죄는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접촉이탈 자유로 걸어맞춤 시킴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조절레버(8)의 다른끝(8b)과 개폐레버(37)의 한끝(37a)을 조오스프링(5)보다 강한 장력 스프링(9)에 의하여 건너지르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개폐레버(37)와 조절레버(8)는 스톱퍼(12)의 제 1 도 지면하측의 면에 장력핀(10)이 접하면서 일체로 되어 회동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여 개폐레버(37)의 장력핀(10)은 당겨죄임 조오(34)의 핀(35)에 상단을 회동자유로 설치한 개폐링크(36)의 하단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는 잔공(36a)에 찔러 넣어져 걸어 맞추게 되어 있다. 조절레버(8)의 조절핀(11)은 조절캠(13)의 측면에 접하여 그 측면은 조절캠축(14)에 대하여 편심원호를 이루고 고정되어 있다.
이 조절캠축(14)의 한끝에 다이얼(Dial)(도시되지 않았음)을 만들고 이것을 돌려서 장력을 조절한다.
조절캠축(14)에는 록크 레버(31)가 회동자유로 부착되어 그 한끝에 설치한 핀(31a)은 록크 스프링(32)에 의하여 당겨죄임 캠(2)이 이면에 눌러붙이어져 있어 다른 끝의 돌기부(31b)는 개폐레버(37)의 외부면에 닫아 있다.
당겨죄임 아암(1)이 열림작동 종료에 가까운 위치 이상으로 회동할때(이 경우와 같이 일정 스트로우크 열림 회동하는 것에는 회동종료 직전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때에 록크레버(31)의 돌기부(31b)가 깨물어 넣는 것과 같이 개폐레버(37)의 외주면에 홈부분(37a)을 만든다.
그리하여 당겨죄임 아암(1)의 회동종료 후의 복귀시 록크 레버(31)가 상기 걸림위치를 통과직후에 개폐레버(37)가 로크레버(31)에 걸려서 이 직후에 당겨죄인 조오(34)가 밴드를 해방하는 것이 된다.
그리하여 당겨죄임 아암(1)은 원위치에는 복귀직전에 록크레버(31)가 개폐레버(37)의 홈부분에서 벗어남으로서 완전히 원위치에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겨죄임 아암(1)은 왕복운동시키는 당겨죄임 캠(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축(3)의 주변에 피이드 슈터(23)의 밴드 삽입구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열림 작동하지만, 이때 당겨죄임 조오(34)의 한끝에 만들어진 핀(15)이 조오스프링(5)에 힘을 더하는 것을 받는 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조오(34)는 핀(16)에 회동되어 당겨죄임 아암(1)의 밴드안내홈(17)과의 빈틈을 설치한데로의 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개폐링크(36)는 당겨죄임 조오(34)의 한끝에 부착한 핀(35)에 회동자유로 부착되어 있는 개폐링크(36)의 하단 가까이에 설치된 장공(36b)에 개폐레버(37)의 장력핀(1)이 찔러넣어져 있으므로 당겨죄임 아암(1)의 열림 동작에 따라서 장력핀(10)은 개폐링크(36)의 하단에 설치한 장공(36a)의 상단면에서 힘을 받는 것이 되어 개폐레버(37)는 당겨죄임 아암(1)의 열림 동작운동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것과 동시에 조절레버(8)는 장력스프링(9)에 의하여 개폐레버(37)에 걸치게 되어 있으므로 조절레버(8)도 당겨죄임 아암(1)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때의 장력스프링(9)에는 장력 작동하지 않고 있어 조오스프링(5)에 영향을 주시 않도록 조정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레버(8)의 조절핀(11)이 조절캠(13)의 측면에 부딪쳐 회동을 규제시키게 되면 당겨죄임 아암(1)이 열림 동작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개폐레버(37)는 조오스프링(5)의 힘을 더하는 힘이 당겨죄임 조오(34)에서 개폐링크(36)에 연동되어 더욱더 회동할려고 하여 장력스프링(9)을 잡아끌려 하지만 조절레버(8)가 조절캠(13)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으므로 역으로 조오스프링(9)은 개폐레버(37)의 회동을 규제 할려고 한다.
이때, 조절레버(8)의 타단에 설치한 스톱퍼(12)에 접하여 있는 장력핀(10)은 당겨죄임 조오(34)에서 개폐링크(36) 연동되는 것에 의한 당겨죄임 아암(1)의 회동력을 받아서 스톱퍼(12)에서 떨어지려고 하지만 조오스프링(5)은 장력스프링(9)보다는 약하므로 장력핀(10)이 개폐링크(36)이 장공의 상단부를 눌러올리는 것이 되어 개폐링크(36)의 상단부의 핀(35)에 걸린 힘은 핀(16)을 축으로 하여 당겨죄임 조오(34)가 당겨죄임 아암(1)의 안내홈과의 빈틈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 밴드를 쥐는 것이 된다.
이 상태 그대로 당겨죄임 아암(1)은 더욱더 열림 작동을 계속하여 상기 열림 작동종료에 가까운 위치(이 경우는 열림종료 직전이 바람직하다)에 도달할 때에 제 4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개폐레버(37)의 외주면에 설치한 홈에 록크레버(31)의 돌기가 들어가 당겨죄임 아암(1)의 열림 운동이 종료하여 복귀할 때 록크레버(31)는 개폐레버(37)를 록크하는 것이 된다.
이 위치의 전후, 어떤 범위의 위상각에 건네서 당겨죄임 캠(2)의 배면에 요부
(2a)(凹부)가 형성되어 있어 록크레버(31)에 설치한 핀(31a)상에 캠플로우어(31c)가 록크스프링(32)에 끌려서 그 요부(2a)에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록크레버(31)의 돌기부(31b)는 개폐레버(37)의 외주연에 접하는 것이 되어 개폐레버(37)의 회동에 의하여 홈부(37b)가 록크레버(31)의 이 돌기부(31b)에 도달하엿을때 이 홈부위에 들어가 로크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하여도 개폐레버(37)는 고정됨으로 장력스프링(9), 핀(10), 장공(36b), 핀(35)에 의한 당겨죄임 조오(34)를 닫을려 하는 힘은 없어져서 그 힘은 개폐레버(37)의 고정위치와 당겨죄임 아암(1)과의 위치관계 즉 개폐레버(37)의 장력핀(10)과 개폐링크(36)의 장공(36b)과의 위치관계에 의한 힘만으로 됨으로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하는데 따라서 조오스프링(5)에 의해 상쇄되어 당겨죄임 조오(34)는 밴드를 해방하는 것이 된다. 즉, 제 5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개폐레버(37)는 록크되어 있으므로 장력핀(10)의 위치는 고정되지만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하는데 따라서 개폐링크(36)의 장공(36b)의 상단부는 장력핀(10)에서 떨어져가서 조오스프링(5)의 힘에 의하여 당겨죄임 조오(34)가 해방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밴드는 당겨죄임 아암(1)의 복귀시의 빠른 시점에 해방되므로 당겨죄임 아암(1)과 피이드 슈터(23)와의 사이에서 밴드(B)를 굴곡되는 것이 없이 경겨죄임 아암(1)은 원위치에 복귀할 수가 있다.
당겨죄임 아암(1)이 원위치에 복귀하는 직전에 당겨죄임 캠(2)의 배면에 설치한 요부(2a)가 없어지고 록크레버(31)의 타단의 캠플로우어(31c)가 눌러내려 가는 것에 의하여 록크레버(31)의 돌기(31b)가 개폐레버(37)의 홈에서 떨어져 록크를 해제하도록 작동함으로 개폐레버(37)는 장력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원위치에 되돌아 간다.
[제2실시예]
이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같지만 그 틀림은 제1실시예의 경우는 개폐레버(37)가 개폐링크(36)를 핀(10), (35)에 끼워저 당겨죄임 조오(34)를 연동하고 있지만 제2실시예의 경우는 개폐레버(37)의 선단이 당겨죄임 조오(4)의 한끝에 끼어붙은 핀(15)에 접리자재로 걸어맞추고 또 조절레버(8)의 한끝(8b)의 취부위치가 틀린다고 말하고 있다. 하여간에 개폐레버와 당겨죄임 조오가 서로 작용을 주어진 만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개폐레버(7)에는 개폐레버(37)와 마찬가지 모양, 측면에 핀(10) 및 외주면에는 록크레버(31)의 돌리부(31b)가 깨물어 넣은 것과 같은 홈부(37b)가 설치되어 있다.
당겨죄임 아암(1)은 왕복운동 시키는 당겨죄임 캠(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축(3)의 주변에 피이드 슈터(23)의 밴드 삽입구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열림작동하지만, 이때 당겨죄임 조오(4)의 한끝에 끼어붙인 핀(15)이 조오스프링(5)에 힘을 더하여 받는 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조오(4)는 당겨죄임 아암(1)의 밴드안내홈(17)에 빈틈을 설치한 그대로 당겨죄임 조오(4)의 핀(15)에 걸어 맞추어진 개폐레버(7)가 당겨죄임 아암(1)의 열림운동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것과 동시에 조절레버(8)는 장력스프링(9)에 의하여 개폐레버(7)에 건너지르게 됨으로 조절레버(8)도 당겨죄임 아암(1)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때의 장력스프링(9)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조오스프링(5)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조정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레버(8)의 조절핀(11)이 조절캠(13)의 측면에 부딪쳐 회동이 규제되면 당겨죄임 아암(1)이 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개폐레버(7)는 조오스프링(5)에 눌려서 회동하려 하여 장력스프링(9)을 잡아다니려고 하지만 조절레버(8)가 조절캠(13)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으므로 역으로 장력스프링(9)은 개폐레버(7)의 회동을 규제하려 한다.
이때 조절레버(8)의 타단에 설치한 스톱퍼(12)에 접하고 있는 장력핀(10)은 당겨죄임 조오(4)에서 개폐레버(7)의 선단에 연동되는 것에 의한 당겨죄임 아암(1)의 회동력을 받아 스톱퍼(12)에서 떨어지려고 하지만 조오스프링(5)은 장력스프링(9)보다는 약함으로 당겨죄임 조오(4)가 핀(15)을 끼어서 개폐레버(7)에 의하여 닫는 방향으로 힘을 받어 밴드(B)를 쥐게 된다.
이 상태 그대로 당겨죄임 아암(1)은 더욱더 열림운동을 계속하여 작동종료의 가까운 위치(이 경우는 열림작동 종료직전이 바람직하다)에 도달하였을때에 개폐레버(7)의 회동부의 배면에 설치한 홈에 록크레버(31)의 돌기가 들어가 당겨죄임 아암(1)의 열림운동이 종료하여 복귀할때 록크레버(31)는 개폐레버(7)를 록크하는 것이 된다.
이 위치의 전후, 어떤 범위의 위상각에 도래하여, 제1실시예와 다름이 없는 모양, 당겨죄임 캠(2)의 배면에 요부(凹부)가 형성되어 있고, 록크레버(31)의 타단의 캠플로우어(31c)가 록크스프링(32)에 붙잡혀서, 그의 요부(凹부)에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록크레버(31)의 돌기부(31b)는 개폐레버(7)의 외주면에 마주 접하는 것이 되어 개폐레버(7)의 회동에 의하여 홈부(37b)가 그 돌기부(31b)에 도달하였을때 제 6 도의 (록크레버(31)의 2점쇄선부)에 표시함과 같이 이 홈부에 들어가 록크된다.
이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1)은 복귀하여도 개폐레버(7)는 제 6 도 2점쇄선에 표시함과 같이 고정되므로 장력스프링(9)에 의한 당겨죄임 조오(4)를 닫을려 하는 힘은 없어져서 그 힘은 개폐레버(7)의 고정위치와 당겨죄임 아암(1)과의 위치관계, 즉 개폐레버(7)의 선단과 핀(15)과의 위치관계가 됨으로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함에 따라서 조오스프링(5)에 의하여 상쇄되어 당겨죄임 조오(4)는 밴드를 해방하는 것이 된다.
즉, 제 6 도의 2점쇄선부는 개폐레버(7)가 록크되어 그대로 고정되어 당겨죄임 아암(1)이 복귀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이고 있고 당겨죄임 조오(4)는 밴드를 완전히 해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뱁드는 당겨죄임 아암(1)의 복귀시의 빠른 시점에 해당되는 것으로 당겨죄임 아암(1)과 피이드 슈터(23)와의 사이에서 밴드를 굴곡하는 것이 없어 당겨죄임 아암(1)은 원위치에 복귀하는 것이 된다.
당겨죄임 아암(1)이 원위치에 복귀하기 직전에 당겨죄임 캠(2)의 배면에 설치한 요부(凹부)가 없어지고, 록크레버(31)읜 타단의 캠플로우어부가 눌러 내려가는 것에 의하여 록크레버(31)의 돌기부(31b)가 개폐레버(7)의 홈에서 떨어져 록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개폐레버(7)의 장력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원위치에 되돌아간다.
[제3실시예]
이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 7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술의 제1,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당겨죄임 캠(2)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1)을 열림 회동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겨죄임 아암(1)의 상부에 에어 실린더(Air Cylinder)(39)의 로드를 연결하여 항상 일정한 힘으로 밴드를 당겨죄이는 방법에 의한 것이 있어도 본 발명을 같이 실시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당겨죄임 힘의 설정 즉, 공기압의 설정에 의하여 회동하는 량이 달라지지만 록크레버(31)의 돌기에 의하여 록크되는 개폐레버(7) 또는 개폐레버(37)의 홈부
(37b)를 탁상에 몇단계라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종료직전에서 록크되게 하여 회동종료후 되도록 빨리 복귀 시점에서 밴드(B)를 당겨죄임 조오(4) 및 당겨죄임 조오(34)에서 해당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당겨죄임 아암(1)에 후단을 고착한 록크 해제바(38)를 선단이 록크레버(31)상에 설치한 핀(31a)에 당겨죄임 아암(1)의 원위치 복귀직전에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당겨죄임 아암(1)이 원위치에 복귀하는 직전에 록크해제바(38)의 선단이 록크레버(31)의 다른쪽 끝의 핀을 눌러내리는 것이 되므로 록크레버(31)의 돌기가 개폐레버(37)의 홈에서 떨어져 록크를 해제하도록 작동하여 개폐레버(37)는 장력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원위치에 되돌아간다.

Claims (9)

  1. 일정 스트로우크로 열림동작이 자유로운 아암(1)의 상부 밴드안내홈(17)을 구비하여 이 안내홈(17)에 조오스프링(5)에 의하여 이 안내홈(17)에서 떨어지려는 한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게 조오(34)를 회동자유로 축받이하여 이 조오(34) 또는 이 조오(34)에 끼어 붙인 핀(15), (16), (35)에 상당이 회동 또는 걸림자재한 개폐레버(37)를 설치하는 한편 이 개폐레버(37)의 하단에 걸림맞춤이 자유롭게 조절레버(8)를 축받이 하고, 상기 조오에 힘을 가하는 조오스프링(5)의 탄성력 보다 큰 탄성력을 지니는 장력스프링(9)을 끼어서 상기 개폐레버(37)와 조절레버(8)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레버(37)에 걸림과 이탈이 자유로운 록크레버(3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레버(37)는 조오(34)에 상단을 회동자유로 축받이한 개폐링크(36)의 하단을 조절레버(8)에 돌설된 핀에 걸리도록 설치하여 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레버(37)에 홈을 형성시키로 록크레버(31)에는 개폐레버(37)의 홈에 걸리도록한 돌기부(31b)를 형성시켜서 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조오(34)에 상단을 회동자유로 축받이한 개폐링크(36)의 하단에 장공(36b)을 형성시켜 이 장공(36b)에 조절레버(8)에 돌설시킨 핀에 걸리도록 하는 핀을 가지는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조오(34)에 상단을 회동자유로 축받이한 개폐링크(36)의 하단을 조절레버(8)에 돌설된 핀에 걸리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레버(37)는 상단을 상기 조오(34)에 걸림자유로 설치하고 하단을 상기 조절레버(8)에 장력스프링(9)을 장치하여 연결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록크레버(31)는 아암(1) 하단근방에 축받이되어 아암(1)의 돌설된 바에 의하여 당겨죄임 반대작용 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1)은 당겨죄임 캠(2)에 의해 일정 스트로우크로 작동하고 이 당겨죄임 캠(2)에 상기 록크레버(31)를 회동하는 요부(凹부)를 형성하여 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1)은 에어 실린더에 의하여 일정 스트로우크로 동작 자유롭게 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록크레버(31)의 돌기부(31b)에 걸리도록 하는 홈을 다수 형성시켜됨을 포함한 곤포기의 밴드 죄는 장치에 있어서의 조오해방장치.
KR1019880006137A 1988-05-25 1988-05-25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KR94000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137A KR940009660B1 (ko) 1988-05-25 1988-05-25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137A KR940009660B1 (ko) 1988-05-25 1988-05-25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36A KR890017136A (ko) 1989-12-15
KR940009660B1 true KR940009660B1 (ko) 1994-10-15

Family

ID=1927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137A KR940009660B1 (ko) 1988-05-25 1988-05-25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0247A1 (de) * 2014-07-21 2016-01-21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Umreifungsbands, hiermit ausgestatteter Umreifungskopf und Verfahren zum Spannen eines Umreifungsba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0247A1 (de) * 2014-07-21 2016-01-21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Umreifungsbands, hiermit ausgestatteter Umreifungskopf und Verfahren zum Spannen eines Umreifungs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36A (ko) 198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994B1 (en) Device for adjusting and clamping the toothed strap of a fastening for sports footwear
US5887318A (en) Device for clamping a toothed strap, particularly for a closure for sports footwear
JPH032974B2 (ko)
US5509594A (en) Device to control the feeding of the strap in a strapping machine
KR940009660B1 (ko) 곤포기의 밴드 당겨죄는 장치에서의 조오(Jaw)해방장치
CZ245593A3 (en) Automatic circuit breaker mechanism
JP4058442B2 (ja) ループ形成装置用針
JP3798208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JPH02152495A (ja) ミシンの上糸たぐり装置
US5794664A (en) Weft feeding device for fluid weaving machine
KR101187027B1 (ko) 공박음장치
US4984436A (en) Thread exchange device, particularly for knitting machines
US3110511A (en) Yarn-tying device
EP0077141B1 (en) Knotters
US5160159A (en) Safety fastening, particularly for skis
JPH10266049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のための舌針
KR200301489Y1 (ko) 벨트용 자동 버클
US2981559A (en) Yarn knotter
JP2002155455A (ja) 特に緯編み機用のラッチニードル
JPH0317702B2 (ko)
JPH0146620B2 (ko)
JP4436956B2 (ja) 版板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R2466550A1 (fr) Dispositif de convoyage d'un fil de trame dans une machine a tisser sans navette
US20020069802A1 (en) Thread cutter
JP3969685B2 (ja) 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