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389B1 -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389B1
KR940009389B1 KR1019880006300A KR880006300A KR940009389B1 KR 940009389 B1 KR940009389 B1 KR 940009389B1 KR 1019880006300 A KR1019880006300 A KR 1019880006300A KR 880006300 A KR880006300 A KR 880006300A KR 940009389 B1 KR940009389 B1 KR 94000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gate
reference ti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862A (ko
Inventor
조택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10198800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389B1/ko
Publication of KR89001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방법 흐름도.
제3도는 제1도의 입력신호에 따른 적분기의 출력파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적분기 1,12 : 전치분주기
2,3,11,13 : 래치 5 : 신호발생기
6 : 제어기 7 : 램
8 : 롬 9 : 발진기
10 : 분주기 15 : 키보드
16 : 펄스카운터부 17 : 기준시간발생부
A1,A2,A3: 앤드게이트
본 발명은 학습기능을 가진 적외선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제어코드를 읽어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한 형태의 제어코드를 재생할 수 있게 한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는 각 리모콘마다 해당기기만을 원격제어할 수 있을 뿐 제어코드가 상이한 다른 기기에 대해서는 원격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정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제어코드를 읽어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사용하여 해당 제어코드를 판별하고 이후의 제어시는 해당제어코드에 의해 제어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받는 기기(단, 여러 제어코드별 디코딩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는 상기의 판단에 의해 해당제어코드로 디코딩하여 제어를 하므로 어떤 유형의 리모콘에 의해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창안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정보(반송펄스 갯수, 기간, 주파수)에 의해 제어코드를 복원할 수 있으므로, 특정 리모콘의 제어코드를 다른 리모콘에 학습시켜 재생할 수 있게 창안한 것이다.
즉, 반송펄스의 갯수와, 반송펄스가 존재하는 기간 및 존재하지 않는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원래의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한 기본정보인데, 그 기본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으면 원래의 제어코드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6)와, 이 제어기(6)의 제어를 받아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5)와, 제어코드입력신호(S1)를 적분하여 캐리어가 존재하는 기간 및 존재하지 않는 기간의 판별신호로 출력하는 적분기(0)와, 상기 적분기(0)의 출력신호 및 상기 신호발생기(5)의 동작제어신호를 앤드조합하여 상기 제어기(6)에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1
를 인가하는 앤드게이트(A1)와, 이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코드입력신호(S1)를 통과시키는 앤드게이트(A2)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제어를 받고 상기 앤드게이트(A2)를 통과한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펄스카운터부(16)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제어를 받고, 발진기(9)의 출력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10)의 출력신호를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앤드게이트(A3)를 통해 입력받아 카운트하는 기준시간발생부(17)와, 상기 앤드게이트(A1)로부터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2
가 인가될때 상기 펄스카운터부(16)의 카운터값 및 상기 기준시간발생부(17)의 카운트값을 읽어,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 및 반송펄스의 주파수를 판별하는 상기 제어기(6)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펄스카운터부(16)는 앤드게이트(A2)의 출력신호를 분주하는 전치분주기(1)와, 이 전치분주기(1)의 출력신호를 카운트하는 타이머(4)와, 상기 제어기(6)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치분주기(1)의 분주비를 래치하는 래치(2) 및 타이머(4)의 시간을 래치하는 래치(3)로 구성한다. 또한, 기준시간발생부(17)는 기준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9) 및 분주기(10)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분주기(10)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앤드게이트(A3)와, 이 앤드게이트(A3)의 출력신호를 분주하는 전치분주기(12)와, 이 전치분주기(12)의 출력신호를 카운트하는 타이머(14)와, 상기 제어기(6)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치분주기(12)의 분주비 및 타이머(14)의 시간을 각기 래치하는 래치(11), (13)로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7은 처리데이타등을 저장하는 램(RAM)이고, 8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이며, 15는 키보드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2도의 흐름도 및 제3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코드입력신호(S1)가 제3a도와 같이 입력되면, 이 제어코드입력신호(S1)는 앤드게이트(A2)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적분기(0)에서 적분되어, 캐리어가 존재하는 기간 및 존재하지 않는 기간을 나타내는 판별신호로 출력된다. 즉, 제3b도와 같이 캐리어가 존재하는 기간에서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서는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1)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런데, 제어기(6)를 제어를 받는 신호발생기(5)에서 고전위의 동작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분기(0)의 출력신호에 상관없이 그 앤드게이트(A1)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제어코드입력신호(S1)가 앤드게이트(A2)를 통과할 수 없음과 아울러 전치분주기(1) 및 타이머(4)가 리세트되고, 또한 분주기(10)의 출력신호가 앤드게이트(A3)를 통과할 수 없음과 아울러 전치분주기(12) 및 타이머(14)가 리세트된다.
그러나, 특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코드가 입력됨을 나타내는 키신호가 키보드(15)로부터 제어기(6)에 입력되면, 그 제어기(6)의 제어에 의해 신호발생기(5)에서 고전위의 동작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앤드게이트(A1)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적분기(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그 앤드게이트(A1)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 앤드게이트(A1)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전치분주기(1), (12) 및 타이머(4), (14)가 리세트상태에서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코드입력신호(S1)가 앤드게이트(AS2)를 통해 전치분주기(1)에 입력되어 그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펄스수가 카운트된다. 즉 제어코드입력신호(S1)가 전치분주기(1)에서 분주된 후 그 분주신호가 타이머(4)에 입력되어 카운트된다. 일예로,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주파수가 8MHz이고, 전치분주기(1)의 분주비가 1/16이라면, 그 전치분주기(1)의 출력신호는 500KHz의 신호로 되고, 이 출력신호를 타이머(4)에서 입력받아 카운트하는데, 그 카운트값이 “5”이라면, 제어기(6)에서 그 카운트값 “5”에 분주비인 “16”를 곱함으로써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어느 기간내 펄스수가 “80”으로 된다.
여기서, 제어기(6)는 데이타 버스(DB)를 통해 전치분주기(1)의 분주비 및 타이머(4)의 시간을 래치(2), (3)에 래치시켜, 그 전치분주기(1) 및 타이머(4)를 가변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앤드게이트(A1)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발진기(9)의 발진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10)의 분주신호가 앤드게이트(A3)를 통해 전치분주기(12)에 입력되어 전치분주되고, 이 전치분주기(12)의 출력신호가 타이머(14)에서 카운트되므로, 제어코드입력신호(S1)중에서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을 제어기(6)에서 알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발진기(9)의 발진신호 주파수가 8MHz이고, 분주기(10)의 분주비가 1/16이라면, 앤드게이트(A3)를 통해 전치분주기(12)에 입력되는 기준주파수는 500KHz가 되고, 이를 전치분주기(12) 및 타이머(14)에 의해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이 “5”이라면 5×16=80의 펄스가 카운트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초동안에 분주기(10)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수가 “C”라면, 1초 : C= x초 : B(상기 펄스카운트값 80)가 되므로, x초=B/C가 된다.
결국, 제어코드입력신호(S1)중에서 반송펄스가 있는 시간 x초(t1이라 함)를 상기와 같이 기준시간발생부(17)의 카운트값에 따른 펄스카운트값(B)으로부터 계산하여 알 수 있고, 상기 제어코드입력신호(S1)중에서 반송펄스가 있는 시간(t1)내의 반송펄스의 주파수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게 된다.
주파수=1/주기 즉, 주파수=사이클(펄스)/1초이므로,
Figure kpo00003
여기서, A는 펄스카운터부(16)의 카운트값에 따른 펄스수이다.
결국,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기본정보인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인 시간(t1)정보와, 그 반송펄스의 주파수(F) 정보를 제어기(6)에서 계산하여 램(7)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기(6)의 제어에 의해 데이타를 초기화시킨 후 키보드(15)로부터 제어코드의 입력을 나타내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그 제어기(6)의 제어에 의해 신호발생기(5)에서 고전위의 동작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상기와 같이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횟수(i)를 “1”로 설정한 후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앤드게이트(A1)로부터 저전위의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4
가 입력되는가를 판별하여,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5
가 입력되면, 제어기(6)에서 펄스카운터부(16)의 카운트값을 읽어 즉, 전치분주기(1)의 분주비와 타이머(4)의 카운트값을 읽은 후 그 전치분주기(1)의 분주비에 타이머(4)의 카운트값을 곱해 반송펄스의 펄스수(Ai)를 계산하고, 기준시간발생부(17)의 카운트값을 읽어 즉, 전치분주기(12)의 분주비와 타이머(14)의 카운트값을 읽은 후 그 전치분주기(12)의 분주비에 타이머(14)의 카운트값을 곱해 기준시간펄스수(Bi)를 계산하며, 이후 그 기준시간펄스수(Bi)가 이전의 기준시간펄스수(Bi-1)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횟수(i)를 곧바로 “1”증가시키고, 큰 경우에는 현재 반송펄스의 펄스수(Ai) 및 기준시간펄스수(Bi)를 반송펄스의 펄스수(A) 및 기준시간펄스수(B)로 저장한 후 상기 횟수(i)를 “1”증가시킨다. 이후 키보드(15)로부터 키신호가 오프되었는가를 판별하여, 키신호가 오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저전위의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6
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이유는 제어코드입력신호(S1)중의 반송펄스의 주파수가 각 제어코드마다 동일하므로,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이 긴 기간중에서 그 반송펄스의 주파수를 체크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에서 키신호가 오프된 경우에는 분주기(10)에서 출력되는 기준펄스신호의 1초동안 펄스수(C)를 읽고, 그 1초동안 펄스수(C)를 상기 기준시간펄스수(B)로 나누어,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을 계산한 후 그 기간에 상기 반송펄스의 펄스수(A)를 곱하여 반송펄스의 주파수(F)를 계산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제어코드입력신호로부터 그 제어코드의 기본정보인 반송펄스의 펄스수,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 및 반송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하여 저장하게 되므로, 특정리모콘의 제어코드를 학습시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5)와, 제어코드입력신호(S1)를 적분하여 반송파가 존재하는 기간 및 존재하지 않는 기간의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적분기(0)와, 상기 적분기(0)의 출력신호를 상기 신호발생기(5)의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과시키는 앤드게이트(A1)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코드입력신호(S1)를 통과시키는 앤드게이트(A2)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제어를 받고 상기 앤드게이트(A2)를 통과한 제어코드입력신호(S1)의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펄스카운터부(16)와,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제어를 받고, 발진기(9) 및 분주기(10)에 의한 기준펄스신호를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라 앤드게이트(A3)를 통해 입력받아 카운트하는 기준시간발생부(17)와, 키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발생기(5)에서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게 제어하고, 상기 앤드게이트(A1)의 출력신호에 따른 인터럽트신호
    Figure kpo00007
    가 인가될때 상기 펄스카운터부(16) 및 기준시간발생부(17)의 카운트값을 입력받아 반송펄스수 및 기준시간펄스수를 계산한 후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 및 반송펄스의 주파수를 판별하여 램(7)에 저장하는 제어기(6)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제어코드판별장치.
  2. 제어기(6)에 키신호가 입력될때 그 제어기(6)의 제어에 의해 신호발생기(5)에서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횟수(i)를 “1”로 설정하는 단계와, 이후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별하여,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될때 펄스카운터부(16)의 카운트값을 읽어 반송펄스의 펄스수(Ai)를 계산하고, 기준시간발생부(17)의 카운트값을 읽어 기준시간펄스수(Bi)를 계산하는 단계와, 이후 현재 기준시간펄스수(Bi)가 이전 기준시간펄스수(Bi-1)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크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상기 횟수(i)를 “1”증가시키고, 큰 경우에는 상기 현재 반송펄스의 펄스수(Ai) 및 기준시간펄스수(Bi)를 반송펄스의 펄스수(A) 및 기준시간펄스수(B)로 저장한 후 상기 횟수(i)를 “1”증가시키는 단계와, 이후 상기 키신호가 오프되었는가를 판별하여, 오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하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시간발생부(17)에서 1초동안 발생되는 기준펄스수를 읽고, 그 기준펄스수를 상기 기준시간펄스수(B)로 나누어 반송펄스가 있는 기간을 계산한 후 그 기간에 상기 반송펄스의 펄스수(A)를 곱하여 반송펄스의 주파수(F)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제어코드판별방법.
KR1019880006300A 1988-05-28 1988-05-28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KR94000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300A KR940009389B1 (ko) 1988-05-28 1988-05-28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300A KR940009389B1 (ko) 1988-05-28 1988-05-28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862A KR890017862A (ko) 1989-12-18
KR940009389B1 true KR940009389B1 (ko) 1994-10-07

Family

ID=682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300A KR940009389B1 (ko) 1988-05-28 1988-05-28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3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862A (ko) 198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1010A (en) Digital encoder for door operator
JPH0326700Y2 (ko)
US3981217A (en) Key assigner
US4244027A (en) Digital open loop programmable frequency multiplier
KR940009389B1 (ko) 리모콘의 제어코드 판별장치 및 방법
RU2019907C1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ый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US5381451A (en) Trigger signal generating circuit with extraneous pulse prevention during accelerated pulse counting
KR900014963A (ko) 맥박 체크용 디지탈 손목시계
JPS5552652A (en) Frame synchronizing unit
JPH0749879Y2 (ja) 二値化信号出力装置
US6459752B1 (en)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er reading of a counter has reached a predetermined value or not
JP3425175B2 (ja) ランダムパルス生成装置及びランダムパルス生成方法
JPS5561116A (en) Sound volume control system
SU1062698A1 (ru) Генератор потоков случайных событий
SU1610596A1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ый таймер
KR940001828Y1 (ko) 신호발생 회로
SU1462469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со случайной длительностью
SU902030A2 (ru) Логариф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SU379975A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ступенчатой формы
JPS56116350A (en) Suprious noise generator for software discrimination demodulation
SU1383346A1 (ru) Логариф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RU2079206C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серий импульсов
KR940011758B1 (ko) 다용도 원격 제어장치
JPH0330876Y2 (ko)
SU1190505A1 (ru) Адаптивный селектор импульсов по длитель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