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969B1 -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969B1
KR940008969B1 KR1019920007224A KR920007224A KR940008969B1 KR 940008969 B1 KR940008969 B1 KR 940008969B1 KR 1019920007224 A KR1019920007224 A KR 1019920007224A KR 920007224 A KR920007224 A KR 920007224A KR 940008969 B1 KR940008969 B1 KR 94000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hair
height
ca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446A (ko
Inventor
유효원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 알. 에스. 페텐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 알. 에스. 페텐길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969B1/ko
Publication of KR93002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높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높이 조절장치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승강판이 하강된 상태의 측면도, b도는 승강판이 상승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승강판 3,13 : 축
4 : 제동장치 뭉치 5 : 제1링
7 : 제2링크 8 : 연결링크
10 : 캠 11 : 지지판
14 : 스프링 걸이 15 :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의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의자중에서 운전석의 의자는 운전자의 앉은키가 체형에 따라 각자 다르므로 그 높이를 운전자의 앉은키에 맞추어 안락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장치의 설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의자높이 조절장치는 리프트의 원리에 의해 스크류를 운전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한쌍의 링크가 리드스크류의 회전으로 전, 후의 한쪽이 승강되어 경사각의 조절로 높이를 맞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체중이 실리면 조작이 곤란하여 운전자가 의자에서 일어나 의자의 하부에 설치된 리드스크류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조작으로 동작이 불편함에 따라 높이 조절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자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회전시켜 간편하게 의자의 높이를 체형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의자높이 조절장치는, 승강판의 일측에 설치시켜 레버와 축으로 연결되는 제동장치 뭉치와, 상기 제동장치 뭉치의 내측에 위치하는 외전원판과 편심으로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힌지 결합되고 연결링크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일측이 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캠으로 구성하여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원판과 결합된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통해 캠을 회전시켜 승강판을 일정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당초 의도대로의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의자 높이 조절장치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 그림에 나타난 바와같이, 시트(1)와 고정되는 한쌍의 승강판(2) 일측에 도시되지 아니한 레버와 축(3)으로 연결되는 제동장치 뭉치(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동장치 뭉치(4)의 회전원판에는 제1링크(5)가 편심 위치에서 핀(6)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승강판(2)의 양측에는 제2링크(7)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7)의 타측은 제1링크(5)와 연결링크(8)를 통해 핀(9)으로 연결시켜 이들이 상호 연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각 승강판(2)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7)는 승강판(2)의 저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캠(10)의 일측과 축설되어 있고, 캠(10)의 다른 일측은 지지판(11)과 또다른 핀(12)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판(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캠, 즉 제1링크(5)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캠(10)은 상호 축(13)으로 고정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13)상에는 스프링걸이(14)가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걸이(14)와 승강판(2)의 후방사이에 스프링(15)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 스프링(15)을 설치하는 이유는 의자의 높이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의자에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캠(10)이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인 제4a도에서와 같이, 승강판(2)과 접속되게 지지판(11)에 핀(12)으로 힌지 결합한 캠(10)이 수평을 이룬 상태는 의자의 높이가 하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자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의 일측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아니한 레버를 화살표 방향인,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동장치 뭉치(4)의 내측면에 위치한 회전원판과 편심으로 결합된 제1링크(5)의 일측이 회전원판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제2링크(7)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연결링크(8)를 통해 승강판(2)의 후방에 설치된 또다른 제2링크(7)에도 이를 전달시키게 되므로, 제2링크(7)와 연결된 캠(10)을 지지판(11)의 핀(12)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판(2)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운전자가 앉은키의 높이에 따라 제동장치 뭉치(4)의 축(3)을 적절히 좌, 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의자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동작은 각 승강판(2)에 설치된 일측에 캠(10)의 축(13)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이 상호 연동된다.
이때 축(13)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걸이(14)와 일측이 승강판(2) 사이에는 스프링(15)이 연결되어 있어 의자의 높이를 조절시킨 상태에서 의자에 작용되는 하중, 즉 운전자의 체중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승되어 있던 의자의 높이를 낮추고자할 경우에는 승강작동과는 역순으로 제동장치 뭉치(4)의 축(3)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에따라 제1링크(5) 및 제2링크(7) 그리고 캠(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판(2)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링크(5)와 제2링크(7)를 통해 캠(10)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의자의 높이를 간단히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의자의 높이조절 작업이 보다 용이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승강판(2)의 일측에 설치되어 레버와 축(3)으로 연결되는 제동장치 뭉치(4)와, 상기 제동장치 뭉치(4)의 내측에 위치한 회전원판과 편심으로 결합되는 제1링크(5)와, 상기 제1링크와 힌지 결합되어 연결링크(8)를 통해 상호 연동되는 제2링크(7)와, 상기 제2링크와 일측이 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판(11)에 힌지 결합되는 캠(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지지판(11)일측의 핀(12)에 설치한 캠(10)을 축(13)에 고정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축(13)상에는 스프링걸이(14)를 고정하여 스프링걸이(14)와 승강판(2)사이에 스프링(15)을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920007224A 1992-04-29 1992-04-29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94000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224A KR940008969B1 (ko) 1992-04-29 1992-04-29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224A KR940008969B1 (ko) 1992-04-29 1992-04-29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446A KR930021446A (ko) 1993-11-22
KR940008969B1 true KR940008969B1 (ko) 1994-09-28

Family

ID=1933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224A KR940008969B1 (ko) 1992-04-29 1992-04-29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91B1 (ko) * 2011-05-12 2011-08-09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백필터의 에어퍼징 기능을 갖는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91B1 (ko) * 2011-05-12 2011-08-09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백필터의 에어퍼징 기능을 갖는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446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8498C (zh) 显示器俯仰装置
JP4736170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38120Y2 (ko)
JPH1014695A (ja) 座席調節装置
JPS60199742A (ja) シ−トリフタ
KR940008969B1 (ko) 자동차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JPH059862Y2 (ko)
JP2584914Y2 (ja) 車両用シー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JPH0126510Y2 (ko)
JPS6371213A (ja) サイサポ−ト装置
KR100332589B1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터 장치
CN217477158U (zh) 一种零重力汽车座椅
JPH0524582Y2 (ko)
JPS6315062Y2 (ko)
JP2545073Y2 (ja) ナックル
JPH0741391Y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015861B2 (ja) シート前後チルト装置
JPH0139605Y2 (ko)
JPH0729872Y2 (ja) シート装置
KR900010575Y1 (ko) 모니터의 경사, 회전 및 높이 조절 장치
JPH0420288Y2 (ko)
KR100360249B1 (ko)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JPH0411867Y2 (ko)
KR960002249B1 (ko) 차량용 시트 승강장치
KR19990018087U (ko) 차량의 높이 조절식 요추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