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163Y1 - 커터체결기구 - Google Patents

커터체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163Y1
KR940008163Y1 KR2019880009498U KR880009498U KR940008163Y1 KR 940008163 Y1 KR940008163 Y1 KR 940008163Y1 KR 2019880009498 U KR2019880009498 U KR 2019880009498U KR 880009498 U KR880009498 U KR 880009498U KR 940008163 Y1 KR940008163 Y1 KR 940008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utter body
cutter
arb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498U (ko
Inventor
다쯔오 아라이
다까노부 사이또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6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터체결기구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터체결기구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나사봉을 다른쪽 끝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커터체결기구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볼트를 머리부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버(arbor) (공구부착축) 1b : 나사구멍
5 : 커터본체 5a : 사사구멍
6 : 나사봉 6b, 6c : 수나사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정면밀링커터(milling cutter)등의 커터를 공작기계에 부착하기 위한 커터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터체결기구로서는,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1)는 공작기계의 주축에 부착되는 아버(공구부착축)부호(2)는 아버(1)선단의 축경부(縮徑部)(1a)에 끼워 맞추어지는 커터본체, 부호(3)는 커터본체(2)를 아버(1)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커터본체(2)는, 그 선단면 주위에 드로우어웨이팁(4)이 부착되는 것으로, 축중심부에는 볼트(3)의 나사부가 삽입관통되는 관통구멍(2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2a)의 기단쪽에는 아버(1)의 축경부(1a)에 끼워맞추는 오목부(2b)가 헝성되고, 관통구멍(2a)의 선단쪽에는 볼트(3)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스포트페이싱(spotfscing)(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커터체결기구에 있어서는, 볼트(3)의 머리부를 드로우어웨이팁(4)의 선단쪽으로 돌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반드시 스포트페이싱(2c)이 필요하다. 이때문에, 스포트페이싱(2c)에 의하여 커터본체(2)선단면의 면적이 나뉘어져, 드로우어웨이팁(4)의 클램프나사 등을 부착할 장소가 협소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한 클램프나사를 부착하는 부분의 설계가 어렵고, 또 협소한 부분에 클램프나사 등을끼우는 나사구멍을 설치하기 때문에, 커터본체(2)의 강성이 저하되어 절삭성능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커터본체 선단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커터체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공구부착축의 선단부에 축중심을 맞춰서 끼워맞추어지는 커터본체와, 이 커터본체를 공구부착에 고정하는 나사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전기한 나사봉의 한쪽 끝에는 전기한 공구부착축의 선단면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또한 다른쪽 끝에는 전기한 한쪽 끝과는 역나사인 수나사가 형성되고, 커터본체에는 전기한 나사봉의 다른쪽 끝의 수나사에 나사맞춤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커터본체를 공구부착축에 고정하는 데에는, 우선 나사봉을, 그 한쪽 끝을 공구부착축의 나사구멍에 개구부에 배치하고, 다른쪽 끝을 커터본체의 나사구멍 개구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사봉을 돌려서, 나사봉의 한쪽 끝을 전기한 공구부착축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여 간다. 이때. 커터본체를 나사봉과 함께 돌아가지 않도록 지지해 두면, 나사봉의 다른쪽 끝도 커터본체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어 간다. 이와같이 하여, 커터본체는, 공구부착축 쪽으로 이동하여, 결국은 공구부착축에 압접하여, 그 공구부착축에 고정된다.
또, 나사봉을 상기한 바와는 역방향으로 돌리면, 공구부착축과 커터본체는, 떨어지기 시작하여, 결국에는 커터본체가 공구부작축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하에, 제1도 내지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가지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하는 종래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1)는 아버(공구부착축), 부호(5)는 커터본체, 부호(6)는 나사봉이다.
아버(1)의 선단면에는, 아버(1)와 동일축상에 축경부(1a)가 형성되고. 축경부(1a)선단면 축중심에는, 오른나사의 나사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아버(1)의 선단면에는, 오목부(1c)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c)에는 키이(key)(7)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키이(7)는 나사(8)에 의하여, 아버(1)에 고정되어 있다.
커터본체(5)는, 그 선단면의 주위에 드로우어웨이팁(4)이 부착되는 것으로, 축중심부분에는 왼나사의 나사구멍(5a)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본체(5)의 아버(1)에 대면하는 기단(其端)쪽에는, 나사구멍(5a)과 동일축상에, 아버(1)의 축경부(1a)에 끼워맞춰지는 오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터본체(5)의 기단면에는, 진기한 키이(7)가 끼워지는 홈(5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6)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환상의 릴리이프흠(6a)이 형성되고, 릴리이프홈(6a)으로부터 한쪽 끝에 아버(1)의 나사구멍(1b)과 나사맞춤하는 수나사(6b)가 형성되고, 릴리이드홈(6b)으로부터 다른쪽 끝에 커터본체(5)의 나사구멍(5a)에 나사맞춤하는 수나사(6c)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나사봉(6)의 다른쪽 끝면에는 6각구멍(6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커터체결기구에 있어서, 커터본체(5)를 아버(1)에 부착하자면, 우선 나사봉(6)의 한쪽 끝을 아버(1)의 나사구멍(1b)의 개구부에 배치하고, 다른쪽 끝을 커터본체(5)의 기단측 나사구멍(5a)의 개구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사봉(6)의 6각구멍(6b)에 6각렌치(wrench)를 넣고 돌려서, 나사봉(6)의 한쪽 끝을 아버(1)의 나사구멍(lb)에 나사끼움하여 간다. 이때, 커터본체(5)는, 나사봉(6)과 함께 돌아가지 않도록 지지해 둔다. 그렇게하면, 나사봉(6)의 다른쪽 끝도 본체(5)의 나사구멍(5a)에 나사끼움되어 간다. 이와같이 하여, 커터본체(5)는 아버(1)쪽으로 이동하여, 커터본체(5)의 오목부(5b)가 아버(1)의 축경부(la)에 기워맞춰짐과 아울러, 키이홈(5c)이 키이(7)에 끼워진다. 그리고, 결국에는 아버(1)의 선단면에 커터본체(5)이 기단면이 압접하여, 커터본체(5)는 아버(1)에 고정된다.
또, 나사봉(6)을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돌리면, 커터본체(5)는 아버(1)로부터 차츰 떨어져, 결국에는 아버(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커터체결기구에 의하면, 머리부가 없는 나사봉(6)에 의하여, 커터본체(5)를 아버(1)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커터본체(5)의 선단면에 볼트머리부를 수용하는 스포트페이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터본체(5)의 선단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서, 드로우어웨이팁(4)의 클램프나사등의 부착부분 설계가 간단해진다. 또, 상기한 클램프나사를 나사끼움하는 나사구멍을 설치함에 의한 커터본체(5)의 강성저하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커터의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나사봉(6)의 수나사(6b)(6c)는, 각각 길이, 직경, 피치등을 변화시킨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수나사(6b)쪽의 길이를 수나사(6c)에 대하여 길게하거나, 혹은 수나사(6c)쪽의 피치를 수나사(6b)의 피치에 대하여 길게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나사봉(6)을 아버(1)의 나사구멍(1b)에 나사맞춤한 상태로 커터본체(5)를 아버(1)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커터본체(5)의 착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머리부가 없는 나사봉으로 커터본체를 공구부착축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커터본체의 선단면에 볼트머리부를 수용하는 스포트페이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커터본체에 선단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드로우어웨이팁 등을 커터본체 선단면의 주위에 부착할 경우, 드로우어웨이팁의 클램프나사 등의 부착부분설계가 간단해진다. 또, 상기한 클램프나사를 나사끼움하는 나사구멍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커터본체의 강성저하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커터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공구부착축(1)의 선단부에 축심을 맞추어서 끼워맞추어지는 커터본체(5)와, 이 커터본체(5)를 공구부착축(1)에 고정하는 나사봉(6)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전기한 나사봉(6)의 한쪽 끝에는 전기한 공구부착축(1)의 선단면에 설치된 나사구멍(1b)에 나사맞춤하는 수나사(6b)가 형성되고, 또한 다른쪽 끝에는 전기한 한쪽끝과는 역(逆)나사인 수나사(6c)가 형성되고, 커터본체(5)에는 전기한 나사봉(6)의 다른쪽 끝의 수나사(6c)에 나사맞춤하는 나사구멍(5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체결기구.
KR2019880009498U 1987-09-18 1988-06-21 커터체결기구 KR9400081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42675 1987-09-18
JP1987142675U JPS6450010U (ko) 1987-09-18 198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498U KR890006498U (ko) 1989-05-13
KR940008163Y1 true KR940008163Y1 (ko) 1994-11-29

Family

ID=1532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498U KR940008163Y1 (ko) 1987-09-18 1988-06-21 커터체결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450010U (ko)
KR (1) KR9400081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306B2 (ja) * 2017-09-04 2022-06-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50010U (ko) 1989-03-28
KR890006498U (ko) 198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9804657D1 (de) Schwenkbares Befestigungssystem an einer Knochenschraube
KR940008163Y1 (ko) 커터체결기구
JP2698974B2 (ja) 自動車の前照灯における反射鏡傾斜角の調節装置
JP2503842B2 (ja) カッタ締結機構
ATE253693T1 (de) Selbstzentrierende schraubbefestigung
SU1696175A1 (ru) Сверло-зенкер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H0239690Y2 (ko)
JPS637699Y2 (ko)
KR870001147Y1 (ko) 스크류 체결용 스프링너트
KR0117288Y1 (ko)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SU1013132A1 (ru) Втулка переходна дл закреплени инструмента в шпинделе станка
JPS5856108Y2 (ja) カイテンカツタ−トリツケグ
RU1811992C (ru) Патрон дл креплени осевого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KR910007342B1 (ko) 볼트(bolt)
KR880000964Y1 (ko) 트로우어웨이팁의 크램프 기구
KR100416726B1 (ko) 공구 연결장치
KR0139005Y1 (ko)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KR940004921Y1 (ko) 커터 체결장치
KR880003236Y1 (ko) 스크류의 평행 고정장치
SU1632640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SU12847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ма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 шпинделе станка
KR940004920Y1 (ko) 팁 클램프 기구
KR200201627Y1 (ko) 가이드부가 형성된 너트
KR950006364Y1 (ko) 레피어직기 크리퍼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