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288Y1 -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288Y1
KR0117288Y1 KR92011338U KR920011338U KR0117288Y1 KR 0117288 Y1 KR0117288 Y1 KR 0117288Y1 KR 92011338 U KR92011338 U KR 92011338U KR 920011338 U KR920011338 U KR 920011338U KR 0117288 Y1 KR0117288 Y1 KR 0117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attachment
sheet
too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414U (ko
Inventor
타쯔오 아라이
마사아키 나카야마
마사유키 오오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무라 마사야
미쯔비시 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무라 마사야, 미쯔비시 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무라 마사야
Publication of KR930000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plate-like cutting inserts of special shape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shank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9Tri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4Fixation screws, bolts or pins of particul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의 선단에 공구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면(12A)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부착면(12A)에 끼워맞춤구멍(12B)을 뚫어 설치한다.
이 부착면(12A)에 강재, 또는 소결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팁부착시이트(14)가 형성됨과 아울러, 끼워맞춤돌출부(13E)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팁부착부재(13)를 고정한다.
이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으로부터 끼워맞춤돌출부(13E)에는 클램프나사구멍(13F)이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팁(15)에 클램프나사(16)를 끼워 통하게 하여, 이 클램프나사구멍(13F)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체결하므로써 팁(15)을 장착한다.
팁(15)에 작용하는 절삭력(F)에 대하여 높은 강도가 확보되어, 팁부착부재(13)의 분단이 방지되며, 또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이 증가되어 방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크류온식으로 했을 경우에도 생크부(12)에 나사부를 절삭할 필요는 없고, 또한 공구선단부의 강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제 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공구선단부의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의 경사진 상측에서의 측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공구선단부의 축선(O)방향 선단측에서의 정면도.
제 4도는, 제 3도에 있어서의 AA단면도.
제 5도는, 제 1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
제 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공구선단부의 평면도.
제 7도는, 제 6도에 있어서의 CC단면도.
제 8도는, 제 6도에 있어서의 DD단면도.
제 9도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의 선단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10도는, 제 9도에 표시하는 종래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공구본체,
(12) -------------------- 생크부,
(12A) ------------------- 부착면,
(12B) ------------------- 끼워 맞춤 구멍,
(13) -------------------- 팁부착부재,
(13A) -------------------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
(13B),(13C),(13G) --------- 팁부착부재(13)의 외주면,
(13D) ------------------- 팁부착부재(13)의 다른 쪽면,
(13E) ------------------- 끼워 맞춤 돌출부,
(13F)-------------------- 클램프 나사구멍,
(14) --------------------- 팁부착시이트,
(14A) --------------------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
(14B) -------------------- 팁부착시이트(14)의 벽면,
(15) --------------------- 팁,
(15C) -------------------- 절삭날,
(16) --------------------- 클램프 나사,
(O) ---------------------- 공구축선,
(T) ---------------------- 팁부착부재(13)의 팁부착시이트
(14)의 저면 (14A)으로부터
다른쪽면(13D)까지의 두께.
본 고안은 공구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에 드로우어웨이 팁(이하, 팁이라 칭함)이 장착된 바이트, 보오링바아, 엔드밀 등에 관하며, 특히 생크부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팁부착시이트 부분이 강재나, 기계가공 가능한 소결합금으로 된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바이트, 보오링바아,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에는 방진성을 높여 불규칙 소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생크부에 초경합금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절삭날에 팁을 사용한 드로우어웨이식의 절삭공구에 있어서는, 공구본체전체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한 것으로는, 팁부착시이트의 형성이 어려워지므로, 이 팁이 장착되는 공구본체의 선단부를 강재나 혹은 기계가공이 가능한 소결합금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초경합금제의 생크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실시되어 오고 있다.
제 9도 및 제 10도는, 이와 같은 드로워웨이식 절삭공구의 일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공구본체(1)는 초경합금으로 된 원주형상의 생크부(2)와 강재 혹은, 소결합금으로 된 팁부착부재(3)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팁부착부재(3)의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4)에 팁(5)이 장착되어 클램프기구(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팁부착부재(3)는, 기단부(3A)측이 생크부(2)와 직경이 같은 원주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3B)측은 상기한 원주의 축선(O)을 포함하는 평면(3C)에 의하여 절취되어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팁부착부재(3)의 기단면을 생크부(2)의 선단면에 납땜하므로써 공구본체(1)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팁부착부재(3)의 상기한 평면(3C)에 팁부착시이트(4) 및 클램프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팁(5)은, 이 예에서는 레이크면으로 되는 일단면(5A)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포지티브형상의 팁이며, 상기한 일단면(5A)과 여유면이 되는 3개의 외주면(5B)이 이루는 교차능선부에는 각각 절삭날(5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팁(5)이 정착되는 팁부착시이트(4)는, 상기한 평면(3C)보다도 1단(一段)낮추어 성형된 팁부착시이트 저면(4A)과, 이 팁부착시이트 저면(4A)에서 기립하여 상기한 평면(3C)에 연속되는 2개의 팁부착시이트 벽면(4B),(4C)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팁부착시이트 벽면(4B),(4C)이 이루는 협각은 60°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팁부착시이트(4)는. 팁(5)을 장착한 상태로 팁(5)의 절삭날(5C)이 축선(O)에 수직이며, 또한 그 축선(O)방향으로 팁부착부재(3)의 선단보다도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클램프기구(6)는, 클램프나사(6A)를 돌려 넣으므로써 클램프새들(6B)의 선단에 설치된 누름부(6C)는 팁부착시이트(4)에 장착된 팁(5)의 상기한 일단면(5A)을 누르고, 이 누름력에 의하여 팁(5)의 부착면이 되는 타단면(5D)을 상기한 팁부착시이트 저면(4A)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잇다. 그리고, 3개의 팁(5) 외주면(5B)중의 2개를 상기한 팁부착시이트 벽면(4B),(4C)에 맞닿게 한 후에, 이 클램프기구(6)에 의하여 팁(5) 을 고정하므로써 팁(5)은, 그 위치가 결정된다. 또, 도면 중에 부호 4D는 팁(5)이 외주면(5B)끼리 이루는 각부(角部)와 팁부착시이트(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부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구본체(1)는 원주형상의 생크부(2)의 선단면과, 이것과 직경이 같은 팁부착부재(3)의 기단면을 납땜 등에 의하여 고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자의 납땜면은 공구축선(O)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드로우어웨이식 공구에 의한 절삭에 있어서, 절삭시에 공구에 작용하는 절삭력(F)은, 제 10도에 백색 화살선으로 표시하듯이 축선(O)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예의 경우에는, 절삭력(F)이 작용하는 방향과 생크부(2)와 팁부착부재(3)와의 접합면이 이루는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 상기한 절삭력(.F)은 이 접합면을 전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해 버린다.
그러므로, 팁부착부재(3)에 팁(5)을 거쳐서 과대한 절삭력(F)이 작용했을 때에는, 이 접합면에서 팁부착부재(3)가 생크부(2)로부터 분단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 분단이 되지는 않더라도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강재 등으로 이루어진 팁부착부재(3)가 점유하는 부분이 비교적 커지지 않을 수가 없어, 그로 인하여 공구 선단부에 있어서 공구의 강성이 낮아지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방진성이 손상되어 절삭 시의 진동이나 불규칙 소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사태를 피하기 위하여, 예컨대 생크부(2)의 선단을 V자형으로 돌출하는 볼록면으로 하는 동시에, 팁부착부재(3)의 기단면을 이 볼록면에 합치하는 V자형 골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한 생크부(2) 선단을 원추 볼록면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한 기단면을 이것에 합치하는오목면으로 한 절삭공구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삭공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볼록면과 오목면을 정확하게 합치시켜야 하는 이들 면의 형성이 대단히 어려웠고, 또 납땜도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팁부착부재를 평판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한쪽면 측에 팁부착시이트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팁부착부재의 다른 쪽면에는 상기한 팁부착시이트 저면의 이면측 부분에서 돌출하도록 끼워맞춤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돌출부 팁부착시이트 저면에서 클램프 나사구멍을 나사식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한 생크부의 선단에는 그 생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부착면에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에 끼워 맞추어 지는 끼워맞춤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이 끼워맞춤구멍에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를 끼워 넣은 후에 상기한 다른 쪽면을 부착면에 밀착시켜, 팁부착부재를 고정하는 동시에 팁에 클램프나사를 끼워 통하게 하여 이 클램프나사를 클램프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팁을 팁부착시이트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팁부착부재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팁부착부재가 설치되는 부착면이 생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그로 인하여, 공구본체의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절삭력은 상기한 부착면에 대해서도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절삭시에는 부하가 가중되는 방향에 대하여, 이것에 수직인 면에서 부하를 받게 되어, 절삭력이 팁부착부재와 생크부를 전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또, 팁부착부재가 고정되는 부착면을 생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므로써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그 생크부가 공구선단에서 돌출하는 팁의 절삭날 근방까지 연장하게 되어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해당 절삭공구의 강성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제 1도 내지 제 5도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의 선단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표시되듯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구본체(11)는, 생크부(12)와 팁부착부재(13)로 구성되며, 이 공구본체(11)의 선단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14)에 팁(15)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크부(12)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초경합금으로 대략 원주상 부재이지만, 그 선단부는 공구축선(O)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그 공구축선(O)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의하여 공구축선(O)을 포함하는 부분이 절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생크부(12)이 선단부에는 공구축선(O)에 평행한 대략 정사각형상의 팁부착부재(13)의 부착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부착면(12A)의 기단측은 일단 그 부착면(12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후 경사하여 생크부(12)의 외주면에 연속되는 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부착면(12A)에 설치되는 팁부착부재(13)는 외형이 부착면(12A)의 평면형상에 대응한 대략 정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강재 혹은 기계가공 가능한 소결합금 등과 같이 생크부(12)를 구성하는 초경합금보다도 강인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측에는 이 한쪽면(13A)으로부터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 내측으로 1단(一段) 낮추어지도록 하여 오목하게 들어가고, 이 한쪽면(13A)과 그 팁부착부재(13)의 공구본체(11) 선단측의 외주면(13B) 및 그 외주면(13B)에 교차되는 외주면(13C)에 개구하도록 하여 티부착시이트(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에에서는 이 팁부착시이트(14)에 장착되는 팁(15)은 상기한 종래예와 같이 레이크면이 되는 일단면(15A) 측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포지티브형의 팁으로서, 상기한 일단면(15A)과 여유면이 되는 3개의 외주면(15B)이 이루는 교차능선부에는 각각 절삭날(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팁(15)에는 상기한 일단면(15A)의 중앙으로부터 그 팁(15)의 두께방향으로 후술하는 클램프나사(16)가 끼워져 통하여 지는 설치구멍(15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응하여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되는 팁부착시이트(14)도, 그 저면(14A)이 상기한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보아 대략 삼각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저면(14A)으로부터 상기한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에 연속되는 팁부착시이트(14)의 2개의 벽면(14B)은 그 협각이 6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벽면(14B)은 팁(15)의 외주면(15B)이 여유부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그 한쪽면(13A)의 가장자리부가 약간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 이 팁부착시이트(14)는, 상기한 팁(15)을 장착한 상태에서, 그 팁(15)의 1개의 절삭날(15C)이 팁부착부재(13)의 선단측 외주면(13B)보다 돌출하고, 또한 그 1개의 절삭날(15C)이 상기한 공구축선(O)에 수직인 면내에 설치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14C는 팁(15)의 외주면(15B)끼리의 각부(角部)와 팁부착시이트(1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부이다.
그리고, 본 실시에에서는 이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과는 반대측인 다른쪽면(13D)에 팁부착시이트(14) 저면(14A)의 이면부분으로부터 다른쪽면(13D)에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원통형상의 끼워맞춤돌출부(13E)가 팁부착부재(1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생크부(12) 선단이 부착면(12A)에는 상기한 팁부착부재(13)를 고정했을 때에 끼워맞춤돌출부(13E)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부착면(12A)에 수직으로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13E)를 끼워 맞출 수 있는 원형단면의 끼워맞춤구멍(12B)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끼워맞춤돌출부(13E)는 끼워맞춤돌출부(13E)가 이루는 상기한 원통의 중심선이 팁부착시이트(14)에 팁(15)을 장착했을 때에 그 팁(15)의 중앙에 설치된 설치구멍(15D)의 중심선으로부터 근소하게 여유부(14C)가 형성된 팁부착시이트(14)의 코너로 편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끼워맞춤구멍(12B)은 부착면으로부터 생크부(12)의 외주면으로 향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구멍(12B)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맞춤돌출부(13E)의 생크부(12) 외주면에 노출하는 선단면은 그 외주면에 원할하게 연속되도록 돌출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팁부착부재(13)의 끼워맞춤돌출부(13E)에 그 끼워맞춤돌출부(13E)의 중심선에 동축으로 상기한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으로부터 그 끼워맞춤돌출부(13E)의 선단으로 향하여 클램프나사(16)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클램프나사구멍(13F)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팁부착부재(13)가 그 끼워맞춤돌출부(13E)를 끼워맞춤구멍(12B)에 끼워 넣고, 또한 그 공구축선(O) 방향 기단측의 외주면(13G)을 생크부(12)의 부착면(12A) 기단측의 공구축선(O)에 수직인 면(12C)에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한 다른쪽면(13D)을 부착면(12A)에 밀착시켜 이들 다른쪽면(13D)과 부착면(12A)을 납땜하므로써 생크부(12)의 선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고정된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14)에 팁(15)이, 3개의 외주면(15B)중의 2개를 팁부착시이트(14)이 2개의 벽면(14B)에 맞닿게 한 상태로 장착되며, 설치구멍(15D)에 클램프나사(16)가 끼워져 통과되고, 이 클램프나사(16)를 끼워맞춤돌출부(13E)에 형성된 클램프 나사구멍(13F)에 나사식으로 결합시켜 체결하므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의하면, 절삭시에 팁(15)에 작용하는 절삭력(F)은, 그 팁(15)으로부터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을 거쳐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의 공구축선(O)에 평행한 방향, 즉, 생크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부착면(12A)에 작용하게 되고, 이 절삭력(F)이 생크부(12)와 팁부착부재(13)와의 접합면에 이것을 전단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절삭부하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서 과대한 부하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공구이 분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가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2A)으로서, 절삭날(15C) 부근까지 연장하여 팁(15)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공구선단부에 있어서도,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진성 향상을 꾀할 수가 있어서 절삭작업 중의 불규칙 소진동 등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의하면, 부착면(12A)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2B)에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된 끼워맞춤돌출부(13E)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팁부착부재(13)가 생크부(12)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생크부(12)와 팁부착부재(13)의 접합을 보다 강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절삭부하에 대한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 끼워맞춤돌출부(13E)와 부착면(12A)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2B)을 끼워 맞추므로써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되는 팁부착시이트(14)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팁(15)의 절삭날(15C)도 보다 더 정혹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팁부착부재(13)의 1개의 외주면(13G)이 생크부(12)의 공구축선(O)에 수직면(12C)으로 맞닿은 상태로 팁부착부재(13)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13E)와 끼워맞춤구멍(12B)의 끼워 맞춤과 함께 팁부착시이트(14)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면이 회전방지되어 팁부착부재(13)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서는, 팁(15)에 설치구멍(15D)을 설치하고, 설치구멍(15D)에 클램프나사(16)를 끼워 통하게 하고, 이 클램프나사(16)를 팁부착시이트(14)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클램프나사구멍(13F)에 나사식으로 부착한 다음, 그 클램프나사(16)를 체결하여 직접적으로 팁(15)을 고정하는 이른바 스크류온식으로 했을 경우에도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에 클램프나사구멍(13F)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팁부착부재(13)를 평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팁부착부재(13)를 설치하는 부착면(12A)을 생크부(12)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했을 경우 팁(15)을 스크류온에 의하여 고정하려면 팁부착부재(13)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또는 팁부착부재(13)를 관통하여 생크부(12)에까지 클램프나사구멍(13F)을 뚫어 설치해야 된다. 그러나 팁부착부재(13)의 두께를 크게 한다는 것은 단적으로 말해서 공구본체(11) 선단부에 있어서의 생크부(12)의 두께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그 선단부에 있어서의 공구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가 않다. 한편, 초경합금으로 된 고경도의 생크부(12)에 나사구멍을 형성한다는 것도 용이하지가 않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서는, 강재 혹은 소결합금으로 된 팁부착부재(13)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끼워맞춤돌출부(13E)에 상기한 클램프나사구멍(15D)을 설치하므로써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에 나사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팁(15)을 스크류온에 의하여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뿐 아니라,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생크부(12)의 두께가 작아지는 일도 없으므로 그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팁(15)의 설치구멍(15D)에 대하여 끼워맞춤돌출부(13E)의 상기한 중심선이 팁부착시이트(14)의 여유면(14C) 측으로 편심케 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그 끼워맞춤돌출부(13E)에 형성된 클램프나사구멍(13F)도 그 중심이 상기한 여유면(14C) 측으로 편심하고 있는 까닭에 팁(15) 설치시에 그 외주면(15B)이 팁부착시이트(14) 벽면(14B)에 강력하게 눌리어 보다 강고하게 팁(15)을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잇점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제 6도 내지 제 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 1도 내지 제 5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도 내지 제 5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팁부착부재(13)가 생크부(12)의 부착면(12A)에 납땜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팁부착부재(13)에 그 두께방향으로 나사구멍(17)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나사구멍(17)의 부착면(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8) 및 스폿페이싱부(19)를 형성하고, 이들에 고정나사(20)을 끼워 통하게 하고,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팁부착부재(13)를 부착면(12A) 측으로 끌여들여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웨어식 절삭공구에 있어서도 팁부착부재(13)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부착면(12A)이 생크부(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부착면(12A)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2B)에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된 끼워맞춤돌출부(13E)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팁부착부재(13)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팁부착부재(13)가 나사고정되어 있는 까닭에 팁부착부재(13)의 해체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팁부착부재(13)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이것을 교환하는 것 만으로 생크부(12)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팁(15)의 형상에 따라서 각종형상의 팁부착시이트(14)가 형성된 팁부착부재(13)를 준비하므로써, 1개의 생크부(12)에 복수종류의 팁(15)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들 실시예에서는 평판형상의 팁부착부재(13)이 한쪽면(13A) 측에 그 한쪽면(13A)보다 한층 낮춰서 팁부착시이트(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 까닭에, 그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에서 팁부착부재(13)의 다른쪽면(13D)까지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부분이 되어 버린다. 그런데, 이 부분의 두께(T)를 너무 얇게 설정하면 팁부착부재(13)의 성형이 극히 곤란하게 되어 버리는 까닭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이와는 반대로 두께(T)가 너무 크게 되면 팁부착부재(13) 자체의 두께가 크게 되어 버려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구선단에 있어서의 생크부(12)의 두께가 작게 되어 버리는 까닭에 역시 바람직 하지 못하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상기한 두께(T)는 0.1㎜ 내지 2.0㎜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했듯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팁부착부재가 고정되는 부착면이 절삭력이 가중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까닭에, 이 절삭력이 팁부착부재와 생크부와의 접합면을 전단하도록 작용하는 일은 없고, 그 절삭력에 대한 높은 강도가 확보되며, 또 과대한 절삭부하가 작용하였을 경우에도 팁부착부재의 분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가 공구선단의 절삭날 부근까지 연장하기 때문에 공구 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이 증가하여 방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불규칙 소진동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팁부착부재에 형성된 끼워맞춤돌출부와 생크부의 부착면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2B)을 끼워 맞춤시키므로써 양자의 접합을 더 한층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돌출부에 클램프나사구멍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팁을 스크류온에 의하여 장착할 경우에도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에 나사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공구본체에 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생크부(12) 선단에 강재 또는 소결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팁부착부재(13)가 고정되고, 이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4)에 드로우어웨이 팁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팁부착부재(13)를 평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한쪽면(13A) 측에 팁부착시이트(14)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팁부착부재(13)의 다른쪽면(13D)에는 그 팁부착시이트(14) 저면(14A)의 이면측 부분에서 돌출하도록 끼워맞춤돌출부(13E)를 형성하며, 이 끼워맞춤돌출부(13E)에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으로부터 클램프나사구멍(13F)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한 생크부(12)의 선단에는 그 생크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착면(12A)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부착면(12A)에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13E)에 끼워 맞추어 지는 끼워맞춤구멍(12B)을 뚫어 설치하고, 이 끼워맞춤구멍(12B)에 상기한 끼워맞춤돌출부(13E)를 끼워 넣은 후에, 상기한 다른쪽면(13D)을 부착면(12A)에 밀착시켜 팁부착부재(13)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에 클램프나사(16)를 끼워 통하게 하고, 그 클램프나사(16)를 클램프나사구멍(13F)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을 팁부착시이트(14)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KR92011338U 1991-06-28 1992-06-24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KR01172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50119U JP2573098Y2 (ja) 1991-06-28 1991-06-28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91-050119 199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14U KR930000414U (ko) 1993-01-20
KR0117288Y1 true KR0117288Y1 (ko) 1998-06-01

Family

ID=1285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338U KR0117288Y1 (ko) 1991-06-28 1992-06-24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3098Y2 (ko)
KR (1) KR01172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310A (zh) * 2017-06-23 2017-08-29 册亨奇松林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木板修整刀
DE102018126283A1 (de) * 2018-10-23 2020-04-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erkzeug zum Schneiden eines Werkstüc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048Y2 (ko) * 1976-11-20 1982-05-19
US4315706A (en) * 1980-04-07 1982-02-16 General Electric Company Holder assembly for an indexable insert for use in a cutting tool
JPS61205704U (ko) * 1985-06-13 1986-12-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14U (ko) 1993-01-20
JPH0512004U (ja) 1993-02-19
JP2573098Y2 (ja) 199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975B1 (ko) 압착부재, 공구홀더 및 인덱서블 절삭공구
JPH07314234A (ja) 工具ホルダ
JP2001515794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JPH032604B2 (ko)
KR0117288Y1 (ko)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JP2002178203A (ja) 切削機械加工用工具
KR20010023807A (ko) 칩제거 가공용 공구
KR20020074383A (ko) 내경 가공용 공구
KR0117289Y1 (ko)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US4555202A (en) Tool holder with tool
JPH11291102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装着した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KR0121347Y1 (ko)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및 부착나사
JPH0453613A (ja) 面取りカッター
JPS5936331Y2 (ja) 穴あけ工具
JPS5824206B2 (ja) 穴あけ工具
JPH0511930Y2 (ko)
JPH10263917A (ja) 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用ホルダ及びこれを含む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
JPH0314252Y2 (ko)
JP2549499Y2 (ja) 切削工具
JP200619253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121701Y2 (ko)
JP3724856B2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2550500Y2 (ja) 切削刃ホルダヘッドを取付けるシャンク
JPS6348333Y2 (ko)
KR100517460B1 (ko) 고 이송 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