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062Y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062Y1
KR940008062Y1 KR2019940020470U KR19940020470U KR940008062Y1 KR 940008062 Y1 KR940008062 Y1 KR 940008062Y1 KR 2019940020470 U KR2019940020470 U KR 2019940020470U KR 19940020470 U KR19940020470 U KR 19940020470U KR 940008062 Y1 KR940008062 Y1 KR 940008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opening area
louv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요시 사가끼바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maintaining constant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온풍난방장치의 개략 측면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의 분출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풍난방장치(공기조화장치) 3 : 덕트
5 : 분출구 7 : 팬
8 : 루버 9 : 댐퍼(개구면적 가변수단)
본 고안은 온풍히터, 쿨러, 제습기 등 공기조화장치의 공기흐름의 분출부분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의 분출구의 개구면적은, 송풍기의 능력에 따라 일반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송풍기에 의한 송풍량이 작은 경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흐름이 늦어져, 공기조화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기흐름이 멀리까지 미치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구(101)에 설치된 복수의 루버(102)중에서 1개를 풍량에 따라 회전시켜 분출구(101)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나타낸 것은 유아등이 분출구(101)를 만지고 있을 때 풍량이 변화하여 루버(102)가 회전하게 되면 루버(102)에 손가락이 낄 가능성이 있다. 또, 외부에서 만질 수 있는 위치에 루버(102)가 설치되기 때문에, 루버(102)에 물체가 닿아 루버(102)를 구동하는 작동기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루버(102)를 건드려 루버(102)를 구동하는 작동기가 고장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 분출구(101)의 일부를 루버(102)가 막고 있는 것이 사용자에게 보이기 때문에, 외관이 나빠져 버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루버에 손가락이 끼지 않게 하고, 분출구의 개구면적을 가변시키는 작동기를 보호하며, 분출구의 개구면적이 작아져도 모양이 나빠지지 않는 공기조화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고안의 공기조화장치는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채용했다. 공기조화 장치는 실내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덕트와, 이 덕트에 있어서 실내로 향하는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량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팬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의 분출구에 풍향조절용 루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는 상기 루버의 상류부분에 상기팬에 의한 송풍량에 따라 상기 덕트내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개구면적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변수단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공기조화장치는 분출구에 설치된 루버의 상류부분에 개구면적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케 하는 가변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개구면적 가변수단은 루버에 의하여 보호됨과 동시에, 루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다. 그 결과, 유아등이 분출구에 손가락이 낄 가능성을 없앨 수가 있으며,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외부의 영향으로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분출구의 개구면적이 작아져도 보기싫게 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고안의 공기조화장치를 온풍난방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온풍난방장치의 개략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온풍난방장치(1)는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가열하고, 다시 실내로 되돌리는 것으로 하우징(2)내에 덕트(3)를 구비한다. 이 덕트(3)는 하우징(2)의 후면상부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를 구비하고, 하우징(2)의 전면하부에 실내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5)를 구비한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덕트(3)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가열수단(6)은 예를 들면 가스나 등유 등의 연료를 연소하여 그 연소가스를 덕트(3)를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하는 것이다. 가열수단(6)의 분출구(5)측의 덕트(3)내에는 팬(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팬(7)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하여 회전수가 제어되어 분출구(5)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이 변화된다. 제어장치에 의한 팬(7)의 풍량제어는 난방개시 시간이나 실온등에 의하여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덕트(3)의 분출구(5)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분출구(5)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루버(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루버(8)는 고정식이며, 각각의 루버(8)는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분출구(5)는 3개의 루버(8)에 의하여 4개의 개구로 나눠져 있으나, 최상부의 개구는 더미로서 온풍은 거의 분출되지 않는다.
결국 3개의 루버(8)에 의하여 4개로 나눠진 개구중 3개에서 온풍이 분출된다.
루버(8)의 상류부분에는 덕트(3)내의 개구면적을 가변시키는 개구면적 가변수단인 판상의 댐퍼(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9)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기에 의하여 구동 조작되고, 댐퍼(9)의 회동위치에 따라 3개의 루버(8)에 의하여 4개로 나눠진 개구중 아래 3개로 유도되는 공기유로의 면적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댐퍼(9)는 풍량이 변화하여도 분출구(5)로부터 분출되는 온풍의 유속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팬(7)의 회전수에 따라 제어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실온이 낮은 경우, 큰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큰 연소가 행해지고, 팬(7)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와같이 풍량이 클때는, 댐퍼(9)는 도면중 실선(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3)내의 개구면적을 막지않고, 전개방 상태가 된다. 실온이 상승하여, 중간 난방능력이 선택되어 있을때는, 팬(7)은 중속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풍량이 중일 때는 댐퍼(9)는 도면중 파선(B)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3)내의 개구면적을 1/3 내지 1/2 정도 작게하여 분출구(5)에서 분출되는 유속은 풍량이 큰때의 유속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실온이 상승하여, 소 난방능력이 선택되어 있을 때는 댐퍼(9)는 도면중 파선(C)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3)내의 개구면적을 1/2 내지 2/3정도 작게 하여 분출구(5)로부터 분출되는 유속을 풍량이 큰때의 유속과 동일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개구면적 가변수단을 루버(8)의 내측상류부분에 설치했기 때문에,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복수의 루버(8)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 결과, 유아등이 개구면적 가변수단의 댐퍼(9)에 의하여 손가락이 끼게 되는 염려를 없앨 수가 있는 동시에,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물체에 닿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복수의 루버(8)에 의하여 가려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개구면적을 작게하여도 외관이 나빠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에 연소장치를 사용했으나, 온수식 열교환기나, 전기히터 등 다른 가열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온풍난방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쿨러나 공기청정기 등 공기조화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하여도 좋다.

Claims (1)

  1. 실내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5)를 구비한 덕트(3)와, 이 덕트(3)에 있어서 실내로 향하는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량 가변가능한 팬(7)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3)의 분출구(5)에 풍향조절용 루버가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3)는 상기 루버(8)의 상류부분에 상기 팬(7)에 의한 송풍량에 따라 상기 덕트(3)내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개구면적 가변수단이 설치되어 대능력난방시는 덕트(3)내의 개구면적은 막지 않고 전부 열어서 팬(7)이 고속운전되도록 하고 소능력난방시에는 덕트(7)내의 개구면적을 1/2∼1/3로 닫아서 분출구(5)에서 분출되는 유속을 고속운전시에 같은 속도를 유지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19940020470U 1990-12-20 1994-08-13 공기조화장치 KR9400080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4084A JPH04217741A (ja) 1990-12-20 1990-12-20 空気調和装置
JP90-404084 1990-12-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707A Division KR920012842A (ko) 1990-12-20 1991-10-24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62Y1 true KR940008062Y1 (ko) 1994-11-18

Family

ID=185137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707A KR920012842A (ko) 1990-12-20 1991-10-24 공기조화장치
KR2019940020470U KR940008062Y1 (ko) 1990-12-20 1994-08-13 공기조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707A KR920012842A (ko) 1990-12-20 1991-10-24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17741A (ko)
KR (2) KR920012842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795A (ja) * 1985-02-13 1986-08-19 株式会社精工舎 報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842A (ko) 1992-07-27
JPH04217741A (ja) 199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685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US20210270292A1 (en) Nozzle for a fan assembly
JP3789426B2 (ja) 温風暖房器
KR940008062Y1 (ko) 공기조화장치
US5236393A (en) Bypass damper in series-type ventilation fan
JP7442412B2 (ja) 空気調和機
JPH03225140A (ja) 竜巻発生装置
US2781714A (en) Unit heat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JPS5918614B2 (ja) 流体偏向装置
JPH06257842A (ja) 空調装置
JPH0438985B2 (ko)
JPH1119053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960949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
JP2545590Y2 (ja) 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装置
JPS624913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JPH0443183B2 (ko)
JPS583177B2 (ja) 送風装置の風向変更装置
JPS62147259A (ja) 空気調和機
SE443224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omvexlande inblasning av varm resp kall luft vid luftkonditionering av rum
JP2004176987A (ja) 温風暖房器
KR950019528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US3450021A (en) Air-conditioner air flow control device
JPH1017006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SU1196616A1 (ru) Воздушно-теплова завеса
JPH07120037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