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95Y1 -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95Y1
KR940007895Y1 KR2019880020855U KR880020855U KR940007895Y1 KR 940007895 Y1 KR940007895 Y1 KR 940007895Y1 KR 2019880020855 U KR2019880020855 U KR 2019880020855U KR 880020855 U KR880020855 U KR 880020855U KR 940007895 Y1 KR940007895 Y1 KR 940007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roup
free
load
convey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53U (ko
Inventor
고기씨 하도우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후꾸
사또우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058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640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3430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712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120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2100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6119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712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625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712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5293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52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6529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072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5292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69512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후꾸, 사또우 오사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후꾸
Publication of KR890012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제 1 도는 실시예 1에서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반장치에서 로울러컨베이어의 부분확대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로울러컨베이어의 부분측면도.
제 5 도 - 제 13 도는 실시예 1에서 로울러컨베이어의 작동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 14 도 - 제 16 도는 실시예 1에서 로울러컨베이어의 작동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 17 도는 실시예 2에 의해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에 있어서 로울러컨베이어의 비구동형 자유로울러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로울러컨베이어의 부분측면도.
제 19 도는 제 17 도의 로울러컨베이어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 20 도는 실시예 3에서 로울러컨베이어 전체의 개략측면도.
제 21 도는 실시예 4에서 로울러컨베이어 전체의 개략측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로울러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23 도는 제 22 도의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24 도는 제 22 도의 선반장치의 평면도.
제 25 도는 실시예 5에서 로울러컨베이어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제 26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6에서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27 도는 제 26 도의 선반장치에서 로울러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정면도.
제 28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7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29 도는 제 28 도의 선반장치에서 로울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정면도.
제 30 도는 제 29 도의 로울러컨베이어의 부분측면도.
제 3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선반장치의 정면도.
제 32 도는 제 31 도의 선반장치에서 로울러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공기실린더장치 25 : 구동장치
27 : 로울러샤프트 28 : 자유로울러
29 : 로울러축 34 : 모우터
37 : 팰리트 38 : 이송로
41 : 솔레노이드밸브 46 : 광센서
47 : 이송방향 50 : 선반프레임
51 : 전방필터 52 : 후방필터
53 : 전방횡부재 54 : 후방 횡부재
55 : 연결부재 56 : 스토퍼
68 : 지게차 81 : 액튜에이터로드
104A, 104B : 주프레임 121, 122, 123 : 로울러컨베이어
본 고안은 하물을 직접 또는 팰리트(pallet)로 저장하거나 필요에 따라 꺼내는데 사용되는, 로울러를 이용한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실용신안출원공고 1986-18750호와 같은 이러한 종류의 선반장치는 다수의 휘일(wheel)을 보유하며, 프레임내에서 이송방향(미끄럼)으로 경사지고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둔 복수의 층에 설치된 휘일레일(wheel rail)로 구성된다.
이 종래선반장치에 의하면, 구배(slope)의 상부에 공급된 하물(load)은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stopper)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휘일 위를 미끄러져 내려오고, 계속해서 공급된 하물은 그 앞의 하물에 의해 정지되어 저장된다.
저장된 하물은 구배의 하부로부터 필요에 따라 꺼내어지며, 그로 인해 생긴 빈 곳은 그 빈 곳을 채우기 위해 계속 미끄러져 내려오는 하물로 채워진다.
이 종래 예에서, 하물의 출입은 수동으로 행하여지지만, 대규모 선반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지게차(forklift cart)가 하물을 운반하여 넣거나 꺼내는데 사용된다.
전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하물이송은 휘일의 자유회전을 이용하는 미끄럼운동에 의해 수행되며, 따라서 휘일의 자유회전이 원활하지 않거나 하물의 중량에 변화가 발생하면, 미끄럼운동이 양호하지 않게 되어 신뢰성이 저하된다.
더욱이, 마찰저항의 관점에서 볼 때, 재질의 문제 때문에 사용될 수 없는 몇종류의 팰리트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충분한 경사각을 설치하여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경사각이 크면 미끄럼속도가 높게 되고 변화하므로, 하물이 스토퍼에 의해 정지될 때, 큰 충격이 발생된다.
따라서 하물은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구배에 무효공간(dead space)이 증가하여 저장이 불충분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방향이 수평으로 만들어지고 하물이 일정한 속도로 확실하게 움직일 수 있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반프레임과, 수평이송방향을 보유하며, 전기한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둔 복수의 층에 설치되고, 전기한 이송방향에 설치된 다수의 자유회전구조의 자유로울러를 보유하며, 전기한 자유로울러가 상기한 이송방향에서 복수아의 그룹으로 분리되는 로울러콘베이어(roller conveyor)와, 각 그룹의 자유로울러에 작동되게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적응시키고 작동연결될 때 전기한 자유로울러를 강제로 회전시키도록 설계된 구동장치와, 각 그룹에 이동되는 하물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한 각 그룹에 구비되어, 이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그룹에서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하물검출장치가 적어도 비검출상태(non-detecting state)에 있을 때, 양 그룹의 구동장치가 동시에 자유로울러에 작동되도록 연결되고, 이송방향의 최하류그룹에서, 하물검출장치가 검출작동을 할 때, 구동장치가 자유로울러에의 작동 연결부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하물검출장치로 구성된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적어도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하중 검출장치가 비검출상태일 때, 이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그룹의 구동장치는 자유로울러에 동시에 작동되도록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송된 하물은 로울러컨베이어의 하류 끝으로부터 상류 끝으로 계속해서 저장된다.
최하류그룹에서, 자유로울러는 하물의 검출에 기인하여 비구동상태로 되어 하물이 꺼내어지도록 대기한다.
하물이 하류끝으로부터 모두 꺼내어져 이송될 하물이 없는 그룹이 있으면, 이 그룹과 인접하는 상류측그룹의 자유로울러는 상류측 그룹에 있는 하물을 하류측 그룹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동시에 구동된다.
그것에 의하여, 하물은 계속해서 하류측으로 되어 로울러컨베이어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빽빽하게 저장될 수 있다.
필요한 하물은 강제로 선반장치에 이동되어 하물의 중량과 형태의 변화에 무관하게 계속해서 이송될 수 있다.
더구나, 로울러컨베이어는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무효 공간이 종래 경사구조의 선반장치보다 적어 저장효율이 개선된다.
제 1 도 - 제 16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부호(50)은 횡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방 필터(front pillar)(51), 횡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방필터(rear pillar)(52), 전방필터(51)에 연결된 전방횡부재(front transverse member)(53), 후방필터(52)에 연결된 후방횡부재(rear transverse member)(54)와 전후방필터(51)(52)에 연결하는 연결부재(55)로 구성된 선반프레임을 표시한다.
다수의 자유로울러를 보유하며, 이송방향이 수평인 로울러컨베이어(60)는 선반프레임(50)의 필터(51)(52) 사이에 한정되어 수직 및 횡으로 구분된 다수의 구획에 수용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로울러컨베이어(60)의 주프레임(1)은 한쌍의 횡프레임(1A)(1B)와 이 횡프레임(1A)(1B)의 하부에 연결된 베이스프레임(1C)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C)이 이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횡프레임(1A)(1B)은 각 베이스프레임(1C)에 윗쪽으로 볼트(61A)(61B)를 삽입하고 횡프레임(1A)(1B)의 밑면에 형성된 더브테일홈(devetail groove)(62A)(62B)에 끼워져 있는 판너트(plate nut)(63A)(63B)와 체결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횡프레임(1A)(1B)의 측면에는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2장소(복수장소)에 더브레일홈(64A)(64B)가 형성되어 있고, 전기한 더브테일홈(64A)(64B) 안에 판너트(65A)(65B)가 끼워져 있다.
볼트(66A)(66B)는 필터(51)(52)에 횡으로 삽입되어 판너트(65A)(65B)에 체결되어서, 주프레임(1)은 선반프레임(50)에 고정된다.
횡부재(1A)(1B)의 반대쪽 측면에는 L자형 안내부(2A)(2B)가 형성되어 있고, 전기한 횡프레임(1A)(1B)의 상부에는 너트(3A)(3B)가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더브테일홈(4A)(4B)이 형성되어 있다.
횡프레임(1A)(1B)의 반대쪽 내측에 있는 수지제 지지프레임(9A)(9B)은 안내부(2A)(2B)에 하단이 끼워져 설치되어, 그 위치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하단부를 미끄럼 운동하여 변화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9A)(9B)은 그 변화 위치에서 볼트(10A)(10B)를 그것의 수직중간부에 형성된 부착구멍(11A)(11B)에 삽입하고 너트(3A)(3B)에 체결하여 고정된다.
한쪽 지지프레임(9A)은 안내부(2A)에 끼워지도록 하단에 형성된 베이스단부분(12)과 부착구멍(11a), 상기한 베이스판부(12)의 하반부로부터 다른쪽 지지프레임(9B)을 향해 뻗어 있는 한쌍의 덮개판부(13)와, 전기한 덮개판부(13) 사이에 뻗어있는 연결판부(14)로 구성된 케이스형태이다.
한쌍의 상, 하 관통구멍(15a)(15b)은 베이스판부(12) 내에 상기한 부착구멍(11A)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상, 하 관통구멍(15a)(15b)은 베이스판부(12) 내에 상기한 부착구멍(11A)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 지지프레임(9B)은 한쌍의 부착구멍(11B)을 보유하는 장방형판이다.
전기한 부착구멍(11B)의 사이에 있는 상하측면에는 지지프레임(9B)의 상.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끝면과 지지프레임(9B)을 향하고 있는 끝면이 개방되어 있는 맞물림홈(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맞물림홈(16a)(16b)의 밑부분으로부터 부착구멍(11B)까지의 거리(L1)(L2)는 지지프레임(9A)에서 부착구멍(A)으로부터 관통구멍(15a)(15b)까지의 거리(L1)(L2)와 같다.
수지제 자유로울러(28)는 로울러샤프트(27)를 통해 지지프레임(9A)(9B)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수지제 자유로울러(28)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로울러샤프트(27)는 한족끝이 관통구멍(15a)(15b)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은 맞물림홈(16a)(16b)에 위로부터 끼워져서, 로울러샤프트가 적당하게 설치되어 자유로울러가 로울러축(roller axis)(29)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된다.
로울러샤프트(27)를 따라 뻗어있는 지지샤프트(18)는 지지프레임9A)에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판부(12)의 하단에는 베어링부(19)가 형성되어 있어, 그안에 지지샤프트(18)의 한쪽 끝이 끼워지고, 다른쪽 끝은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지제 L 형판부(23)는 덮개판부(13)의 자유단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샤프트(18)의 다른쪽 끝은 수직요동운동영역을 한정하는 L형판부(23)의 수직판에 형성된 수직으로 뻗어있는 오목한 부분(24) 내에 끼워진다.
지지샤프트(18)는 그 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프로킷(20)을 보유하며, 이송로울러(21)는 스프로킷(20)의 보스부에 끼워져 2부분(20)(21)이 하나로서 회전할 수 있다.
이 이송로울러(21)는 우레탄고무로 만들어지며 지지샤프트(18)의 수직요동운동에 의해 자유로울러(28)의 외부둘레에 접촉하거나 자유로울러(28)의 외부둘레의 하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과 분리운동을 수행하는 공기실린더장치(17)는 지지샤프트(18)의 다른쪽 끝과 L형판부(23)에 부착된 실린더고무지지(22) 사이에 설치된다.
이 부재(17) - (24)들은 단일체의 구동장치(25)를 구성한다.
구동장치(25)는 세트를 형성하기 위해 지지프레임(9A)(8B)을 통해 자유로울러(28)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다수의 세트는 컨베이어(60)의 이송방향으로 주프레임(1)에 고정된다.
스프로킷(32)에 공통의 구동체인 체인(30)은 안내스프로킷(33)을 경유하여 구동스프로킷(31)과 종동스프로킷(32)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한 구동스프로킷(31)은 모우터(3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장치(25)에 각각 연결된 자유로울러(28)는 소정의 피치(P)로 주프레임(1)에 설치되어, 이송로(38)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39)는 이송될 대상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팰리트(37)로 이송된다.
이송로(38)의 종단(terminal end)에는 선반프레임(50)에 연결된 쪽에 고정된 스토퍼(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8 도에 표시된 예에서, 구동장치(25)와 각각 연결된 6개의 자유로울러(28)는 그룹을 형성하고, 그러한 8개의 그룹(A)(B)(C)(D)(E)(F)(G)(H)에는 소정의 방식으로, 각 그룹 내에서 자유로울러(28)에 접촉 또는 차단되는 구동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그룹에는 공기실린더(17)와 직렬로 연결된 공기급배기호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급배기호스(40)는 그들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41)을 경유하여 공통공기공급호스(43)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부호(44)는 레귤레이터를 나타내고 부호(45)는 소음기를 나타낸다.
이송방향(47)에 있는 각 그룹(A)(B)(C)...(H)의 하류측 끝에는 하물검출기의 한가지 예로서 광센서(photosensor)(46)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방향으로 연결하는 두 그룹에서, 상류측그룹의 광센서(46)가 하물을 검출하였으나 하류측 그룹의 광센서(46)가 하물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 두 그룹의 구동장치(25)는 동시에 자유로울러(28)에 압점(press contact)된다.
즉, 공기공급호스(43)는 공기급배기호스(40)에 접촉된다.
두 그룹의 광센서(46)가 하물을 동시에 검출하거나 동시에 검출하지 않으면, 두 그룹의 구동장치(25)는 분리된다.
즉, 공기공급호스(43)가 공기급배기호스(40)로부터 차단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솔레노이드밸브(41)가 각각의 제어장치(48)에 설치된다.
최하류측그룹(A)만 조정되어 그것의 광센서(46)가 하물을 검출할 때, 구동장치(25)가 분리된다.
상기배열에 기초한 이송작동을 설명한다.
제 3, 4 도는 솔레노이드밸브(41)가 공기실린더장치(17)를 확장시키기 위해 공기급배기호스(40)에 공기공급호스(43)를 연결시키도록 전환되어 이송로울러(21)가 자유로울러(28)에 대해 윗쪽으로 누르도록 지지샤프트(18)를 위로 요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체인(30)은 모우터(34)에 의해 일정하게 구동되어, 체인(30)과 맞물리는 스프로킷(20)이 지지샤프트(18) 주위를 회전한다.
더우기, 이송로울러(21)가 대응하는 자유로울러(28)의 바깥둘레 하부에 접촉하므로, 자유로울러(28)가 강제로 회전되어 팰리트(37)가 이송로(38) 위로 이송될 수 있다.
로울러컨베이어(60)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방법으로 팰리트(하물)(37)를 이송하지만, 실제로 이송제어는 광센서(46)에 의한 검출과 비검출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이송로(38)가 비어 있어, 이송로(38)의 상류측 끝에서 팰리트(37)가 그룹(H) 위에 하물을 내릴 때, 그룹(H)의 광센서(46)는 검출작동을 한다.
이때, 그룹(G)의 광센서(46)는 비검출상태이므로, 두 그룹(H)(G)의 자유회전로울러(28)는 제어장치(48)와 솔레노이드 밸브(41)의 작동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팰리트(37)가 그룹(H)으로부터 그룹(G)으로 이송된다.
팰리트(37)가 그룹(G)으로 들어가면, 이 그룹(G)의 광센서(46)는 그것을 감지하여 그룹(G)과 그룹(F)이 연결되어 팰리트(37)를 그룹(F)에 이송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속해서 하류측으로 이송되는 팰리트(37)는 마침내 스토퍼(56)에 접촉하여 그룹(A) 내에 저장되도록 정지한다.
광센서(46)는 이 팰리트(37)를 검출하여, 그룹(A) 내의 이송 로울러(A)가 자유로울러(28)로부터 분리된다.
두 번째 팰리트(37)도 그룹(A)의 팰리트(37)에 접촉할 때까지 마찬가지로 이송되어 그룹(B)에 저장된다.
이때, 그룹(B)의 광센서(46)는 팰리트(37)를 검출하지만, 그룹(A)의 광센서(46) 역시 첫 번째 팰리트(37)를 검출하므로, 이 그룹(B)의 이송로울러 역시 자유로울러(28)로부터 분리된다.
제 5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으로 팰리트(37)가 그룹(A)부터 그룹(H)까지 모두 저장되고 모든 이송로울러(21)가 자유로울러(28)로부터 분리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 6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A)의 팰리트(37)를 지게차(68)가 꺼낸다면, 그룹(A)의 광센서(46)는 비감지(non-sensing) 상태로 되고, 따라서 그룹(A)(B)의 구동장치(25)가 연결되어, 그룹(B)의 팰리트(37)가 제 7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A)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그룹(B)의 광센서(46)는 비검출상태를 취하여, 그룹(B)(C)의 구동장치(25)가 연결되므로, 제 8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C)의 팰리트(37)가 그룹(B)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제 9 도 - 제 13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팰리트(37)의 계속적인 송급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1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F)의 광센서(46)가 비검출상태임을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 14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A)의 팰리트(37)가 제거되면, 계속적인 송급은 제 15, 16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47)으로 2장소에서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3장소 또는 그 이상의 장소에서의 계속적인 송급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제 17 - 제 19 도에 표시된다.
이 경우에, 구동장치(25)는 이송방향(46)에서 그 밖의 모든 자유로울러(28)와 각각 연결된다.
제 17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가 없는 경우에, 지지프레임(9A)은 단순히 지지프레임(9B)의 경우와 같이, 자유로울러(28a)의 로울러샤프트(27)의 한쪽 끝을 끼우기 위해 형성된 관통구멍(15a)(15b)을 보유하는 장방형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배열에 의하면, 구동장치(25)와 연결된 자유로울러(28)는 구동장치(25)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팰리트(37)가 이송로(38) 위로 이송된다.
이때, 비구동자유로울러(28a)도 함께 회전한다.
단지 몇 개의 자유로울러(28)(28a)가 구동되므로, 구동장치(25)의 코스트가 자유로울러 전체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코스트에 비해 감소된다.
상기한 예는 구동자유로울러(28)와 비구동자유로울러(28a)가 교대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지만, 자유로울러(28)는 3개 걸러 한 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우기, 각 그룹(A) - (H)에서, 구동자유회전로울러(28)가 이송방향(47)의하류측 끝에 설치되면, 팰리트(37)가 수지제일지라도, 각 그룹으로부터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이 자동창고(automatic warehouse)에 설치되면, 하물을 넣고 꺼내는 장치의 자동작동이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0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각 그룹(A) - (H)에서, 이송방향(47)의 상류측과 하류측 자유로울러는 비구동 자유로울러(28a)이고, 나머지 4개의 자유로울러는 각각 구동장치(25)와 연결된 자유로울러(28)이다.
상기한 배열에 의하면, 하물저장상태에서 이송방향(37)의 상류측의 각 그룹(B)-(H)가 팰리트(37)를 계속해서 송급하기 위하여 자유로울러(28)(28a)가 구동될 때, 단지 이 그룹의 중간자유 로울러(28)만이 구동된다.
그 결과, 팰리트(37)에 전달되는 이송력(transport force)가 감소되어, 팰리트(37)이 계속적인 송급이 느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접촉저장상태에서 그 앞의 상류측 팰리트(37)와 계속해서 송급되는 팰리트(37) 사이의 분리가 확실히 수행된다.
더우기, 상기한 실시예 2 의 경우과 같이, 구동장치(25)의 수와 모우터(34)의 용량이 모든 자유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제 21 도 - 제 24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4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25)는 모든 자유로울러(28)와 연결되고, 각 그룹에는 직렬로 연결된 공기실린더장치(17)를 보유하는 공기급배기호스(40)가 설치되어 있어, 이 공기급배기호스(40)의 각 하류측 끝은 각 밸브장치를 통해 공기공급장치(42)로부터 확장되어 있는 공통공기 공급호스(43)에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가능하다.
최하류그룹(A)을 제외하고 그룹(B) - (H)의 밸브장치는 기계밸브(82)로 구성되어 있다.
윗쪽을 향해 있는 액튜에이터로드(actuator rod)는 그룹(B) - (H)에서 각각의 최하류측 자유회전로울러(28)의 바로 윗족에서 이송면 위로 돌출되어 있다.
최하류 그룹(A)은 검출광선을 윗쪽으로 직사(直射)하는 하물검출용 광전지(photocell)(83)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84)를 보유한다.
어느 액튜에이터로드(81)가 하물이 없어 윗쪽으로 돌출하면, 연결된 기계밸브(8)가 공기급배기호스(40)를 공기공급호스(43)에 연결하고, 반변에 팰리트(37)가 존재하여 액튜에이터로드(81)를 누르면, 기계밸브(82)는 공기급배기호스(40)를 공기공급호스(43)로부터 차단한다.
솔레노이드밸브(84)는 팰리트(37)가 없어서 광센서(83)가 비검출상태이며, 호스(40)(43)를 연결하고, 팰리트(37)가 존재하여 광센서(83)가 검출상태이면 호스(40)(43)을 차단한다.
하류측그룹(A)(B)이외의 그룹(C) - (H)에서, 공기급배기호스(40)의 하류측 끝은 각 연결호스(85)를 통해, 각각 한그룹 하류측에 위치한 그룹(B) - (G)에서 공기급배기호스(40)의 상류측 끝에 연결된다.
하류측 2그룹(A)(B)에서, 공기급배기호스(40)의 하류측 끝은 연결호스(86)에 함께 연결된다.
호스(40)(43)(85)(86)는 구동장치(25)와 그 안에 위치한 밸브 장치를 포함하여 작동회로(87)를 구성한다.
작동회로(87)는 이송방향(47)에서 인접하는 두 그룹중 하류측 그룹에 하물이 없으면, 자유로울러(28)에 2개의 구동장치(25)가 연결되고, 최하류그룹(A)에 하물이 있으면, 구동장치(25)가 자유로울러(28)로부터 차단되도록 작동한다.
제 22 - 제 24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물취급장치(70)는 최하류 그룹(A)에 대해 맞은 편에 선반프레임(50)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하물취급장치(70)는 선반장치의 열(row)을 따라 소정통로(71)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주행기계본체(travelling machine body)(72)와, 전기한 주행기계본체(72)에 설치된 승강 프레임(73)과, 횡으로 전진, 후퇴되도록 승강프레임(73)에 설치된 포오크(74)로 구성되여 있다.
선반장치열의 맞은편에 있는 소정통로(71) 쪽에는, 운반컨베이어(75), 복귀컨베이어(76)와 빈팔레트컨베이어(77)가 있다.
상기한 배열에 의한 이송작동을 설명한다.
이송로(38)가 비어 있으면, 기계밸브(82)의 각 액튜에이터로드(81)가 돌출하여 비검출상태가 되고, 솔레노이드밸브(84)의 광센서(83)도 비검출상태로 되어, 공기공급호스(43)로부터의 공기가 모든 공기급배기호스(40)에 기계밸브(82)와 솔레노이드밸브(84)를 경유하여 공급되며, 그것에 의해 공기실린더장치가 전그룹(A) - (H)의 모든 자유로울러(28)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확장된다.
이 상태에서, 팰리트(37)가 지게차로 상류측 그룹(H)에 하물을 내려 놓으면, 그룹(H)의 기계밸브(82)가 그 액튜에이터로드(81)를 내리눌러 차단된다.
그러나, 전기한 바자와 같이 한 그룹 하류에 위치한 그룹(G)의 기계밸브(82)가 비검출상태이므로, 이 그룹(G)에 공급된 공기 부분은 연결호스(85)를 경유하여 공기급배기호스(40)에 공급되어, 그룹(H)의 공기실린더장치(17)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그룹(G)(H)의 자유로울(28)는 그룹(H)로부터 그룹(G)으로 팰리트(37)를 이송시키기 위해 강제로 회전된다.
팰리트(37)가 그룹(G)으로 들어가면, 이 그룹(G)의 기계밸브(82)가 검출작동을 하지만, 전기한 바와 같이 그룹(F)가 비검출 상태이므로, 그룹(G)의 자유로울러(28)가 팰리트(37)를 그룹(G)으로부터 그룹(F)으로 이송하기 위해 강제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팰리트(37)는 그룹(A)에 저장될 때까지 계속해서 하류측으로 이송된다.
그룹(A)의 광센서(83)는 이 팰리트(37)를 검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84)가 분리되도록 하므로 그룹(A)의 공기급배기호스(40)에 공기공급이 중단되며, 그와 동시에 공기급배기호스(40)가 개방되어, 그룹(A)의 구동장치(25)가 이 그룹(A)의 모든 자유로울러(28)의 강제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분리된다.
두 번째 팰리트(37)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되어 그룹(A)에 있는 팰리트(37)와 접촉하여 그룹(B)에 저장된다.
이때, 그룹(B)에서 검출이 수행되지만, 그룹(A)도 검출상태이므로, 그룹(B)에서 분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룹(A)의 팰리트(37)가 하물취급장치(70)에 의해 꺼내어지면, 그룹(A)의 광센서(83)는 비검출상태로 되므로, 그룹(A)(B)이 연결되어, 그룹(B)의 팰리트(37)가 그룹(A)으로 이송된다.
그후, 제 21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룹(B)의 액튜에이터로드(81)가 비검출상태로 되므로, 그룹(B)(C)이 연결되어, 그룹(C)의 팰리트(37)가 그룹(B)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작동이 반복되어, 제 9 도 - 제 13 도의 경우와 같이 필리트(37)의 계속적인 공급이 수행된다.
하물취급장치(70)에 의해 그룹(A)으로부터 팰리트(37)를 꺼내는 것은 주행기계본체(72)의 주행과, 승강프레임(73)의 상승, 하강운동과 포오크(74)의 횡방향 전진, 후퇴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꺼내어진 팰리트(37)는 유사한 조작으로 운반컨베이어(75)에 이송된다.
실수로 운반된 팰리트(37)는 복귀컨베이어(76)에 이송되고, 반면에 빈 팰리트(37)는 쌓여져서 빈 팰리트 컨베이어(77)에 이송된다.
이 팰리트(37)는 하물취급장치(70)의 역조작에 의해 별도의 이송로(38)에 이송되며, 이 별도 위치에서, 이송방향(47)은 다른 위치에 대해 역전된다.
하물취급장치(70) 또는 지게차(68)의 포오크로 팰리트(37)를 꺼내는 도중에 포오크의 오동작이 가끔 발생한다.
이 경우에, 팰리트(37)가 제거를 위해 완만하게 들어올려져 이동될 때와 같이, 팰리트(37)가 광센서(83)에 의한 검출영역 내에 있으며, 솔레노이드밸브(84)는 호스(40)(43)의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전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B)도 차단상태이므로, 이 그룹(B)의 팰리트(37)는 이송되지 않으며, 운전자가 포오크의 오동작을 알게 되면, 팰리트(37)를 그룹(A)으로 복귀시킨다.
더욱기, 광센서(83)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그룹(A) 내의 하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하물검출신호와 같이 지상관제에 사용될 수 있다.
또, 팰리트(37)가 하물취급장치(70) 대신에 지게차에 의해 꺼내어질 때, 하물검출신호에 의해 하물존재지시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제 25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5를 나타낸다.
전기한 실시예 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물존재검출장치로서 액튜에이터로드(81)가 있는 기계밸브(82)를 보유한다.
더욱이, 본실시예에서는, 그룹(B) - (H) 뿐만 아니라 그룹(A)도 액츄에이터로드(81)가 있는 기계 밸브(82)를 보유한다.
하류측 두 그룹(A)(B)이외의 그룹(C) - (H)에서, 공기급배기호스(40)의 하류측 끝은 각각 한 그룹 하류측에 위치하는 그룹(B) - (G)의 공기급배기호스(40)의 하류측 끝에 연결호스(85)를 통해 연결된다.
하류측 두 그룹(A)(B)에서, 공기급배기호스(40)의 상류측 끝은, 그 안에 시간지연밸브(88)를 보유하고 있는 연결호스(86)에 의해 연결된다.
하물취급장치(70)를 사용하는 실시예 4에 비교하여, 제 25 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제 1, 2 도에서와 같이 지게차(68)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더욱이, 지게차(68)에 의해 그룹(A)의 팰리트(37)를 꺼내는 도중에 포오크의 오동작이 가끔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어떤 수단도 취해지지 않으면, 그룹(A)은 비검출상태로 되어, 그룹(B)의 팰리트(37)는 그룹(A)으로 공급되므로, 포오크로 들어올려진 팰리트(37)는 그룹(A)으로 복귀될 수 없다.
그러나, 본실시예에 의해 연결호스(86)는 시간지연밸브(88)에 의해 어느 시간 정도 폐쇄되므로, 그룹(B)에서 분리가 행하여져 소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실시예에 의해 연결호스(86)는 시간지연 밸브(88)에 의해 어느시간정도 폐쇄되므로, 그룹(8)에서 분리가 행하여져 소정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포오크의 오동작을 알아차리면, 팰리트(37)를 그룹(A)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시예 4, 5에서, 자유로울러(28)는 모두 구동형으로 되어 있지만, 실시예 2, 3에서와 같이 비구동자유로울러가 추가될 수도 있다.
제 26, 27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6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 프레임(50)의 필터(51)(52) 사이에 한정된 각 구획은 다수의 자유로울러를 보유하는 2열의 로울러컨베이어(91)(92)로 구성되어 있는 이송장치(93)를 보유한다.
로울러컨베이어(91)는 구동장치(25)에 연결된 자유로울러(28)를 보유하여, 제 3 도의 로울러컨베이어(6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로울러컨베이어(91)의 자유로울러중 몇 개는 구동장치와 연결되지 않는 제 17 도와 같은 구조의 자유로울러로 대치될 수 있다.
다른 로울러컨베이어(92)는 제 17 도에 표시된 로울러컨베이어(60)의 경우와 같이 비구동로울러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컨베이어(91)(92)에서 필터(51)(52)와 연결된 쪽의 횡프레임(1A)(1B)에는 이송로(38)에 횡으로 위치한 안내장치(94A)(9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장치(94A)(94B)는 횡프레임(1A)(1B)에 있는 이동프레임(95A)(95B)과, 전기한 프레임(95A)(95B)의 윗면에 설치된 안내로울러(96A)(96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안내장치(94A)(94B)는 안내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한 배열에 의해, 팰리트(37)는 한쪽 로울러컨베이어(91)로부터 이송력을 받고 안내로울러(96A)(96B)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두 개의 로울러컨베이어(91)(92) 위에 지지되어 이송된다.
로울러 컨베이어(91)(92)를 반대쪽에 설치하고 두 로울러컨베이어 중 한쪽만을 구동형으로 설계함에 의해, 구동시스템이 단순화되고 값싸게 될 수 있다.
한쪽 구동형임에도 불구하고, 팰리트(37)는 이송되는 도중에 안내로울러(96A)(96B)에 의해 지그재그(zigzag)하게 이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8 도 - 제 30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을 나타낸다.
실시예 6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2열의 로울러컨베이어(101)(102)는 이송장치(103)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로울러컨베이어(101)는 구동장치(25)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한쪽 로울러컨베이어(101)는 베이스프레임(105)에 볼트와 같은 파스너(fastener)로 고정된 한상의 채널(channel) 형상 주프레임(104A)(104B)을 보유하며, 전기한 베이스프레임은 전방필터(51)와 후방필터(5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한쪽 주프레임(104)은 주프레임의 하부 내면부에 볼트(107)로 고정된 레일브라케트(108)를 보유하며, 전기한 레일브라케트(108)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상, 하 레일(7)(8)를 보유한다.
더욱이, 수지제인 다수의 지지프레임(9)은 한쪽 주프레임(104)의 하부 내면에 주프레임(104A)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프레임(9)은 각기 중간부에 형성된 부착구멍(11) 속에 바깥쪽을 향해 삽입된 볼트(10)에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각 지지프레임(9)은 부착구멍(11)에 형성된 베이스판부(12)와, 주프레임(104B)을 향해 전기한 베이스판부(12)의 하반부로부터 뻗어있는 한쌍의 덮개판부(12)와, 전기한 덮개판부(13)의 하단 사이에 뻗어있는 연결판부(14)로 구성된 형태이다.
관통구멍(15)은 전기한 부착구멍(11) 위의 베이스판부(12)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 주프레임(104B)의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가 개방된 맞물림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자유로울러(28)는 로울러샤프트(27)를 통해 주프레임(104A)(104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특히, 자유로울러(28)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로울러 샤프트(27)의 한쪽 끝은 관통구멍(15)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은 로울러샤프트를 세트하기 위해 맞물림 홈(16)에 위로부터 끼워진다.
따라서, 자유로울러(28)는 로울러 축(29)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자유로울러(28)는 구동장치(25)와 연결된다.
다른쪽 로울러컨베이어(102)는 주프레임(112A)(112B)을 보유하며, 주프레임(112A)(112B)은 볼트와 같은 파스너(113)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5) 위에 고정된다.
주프레임(112A)(112B)의 각 상부모서리에는 상부가 개방된 맞물림홈(114A)(114B)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인 비구동형자유로울러(115)는 로울러샤프트(116)를 통해 주프레임(114A)(114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유로울러(115)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로울러 샤프트(116)의 양쪽 끝은 로울러 샤프트(116)를 세트하기 위해 위로부터 맞물림홈(114A)(114B)에 끼워진다.
상기한 배열에 의해, 자유로울러(28)는 체인(30)으로부터 힘을 받는 구동장치(25)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팰리트(37)는 이송로(38) 위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팰리트(37)가 그 위에 도달하지 않아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울러(28)의 로울러샤프트의 다른 쪽 끝은, 맞물림홈(16) 안에서 부상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자유로울러(28)는 이송로울러(21)에 견고하게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로울러(28)를 구동하는 데에는 그다지 큰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
팰리트(37)가 이러한 자유로울러(28)에 도달하면, 하물이 자유로울러(28)를 이송로울러(21) 쪽으로 억누르므로, 회전력의 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져 강제회전에 의한 이송을 확실하게 한다.
강제회전에 의한 이송도중에, 다른쪽 로울러컨베이어(102)의 자유로울러(115)도 회전하게 된다.
더욱이, 팰리터(37)가 비스듬히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반프레임(50) 또는 주프레임(104A)(104B)에는 실시예 6과 유사한 측면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 1-실시예 6에 표시된 로울러컨베이어(60)(91)는 제 29 도에 표시된 로울러컨베이어(101)로 대치될 수 있다.
제 31, 32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3열의 로울러컨베이어(121)(122)(123)가 이송로(124)를 구성하고 있으며, 중간로울러컨베이어(121)에 구동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구동형로울러컨베이어(121)는 실시예 7의 한쪽 로울러컨베이어(101)와 동일구조로 되어 있고, 양쪽에 있는 비구동형로울러 컨베이어(122)(123)는 실시예 7의 다른쪽 로울러컨베이어(102)와 동일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배열에서, 하물지지판(125)과 3개의 다리(126)(127)(128)로 구성된 팰리트가 사용되면, 중간다리(126)는 중간로울러컨베이어 위에 지지되고, 양쪽의 다리(127)(128)는 양쪽 로울러컨베이어(122)(123) 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다리(126)(127)(128)를 보유하는 팰리트(37)도 안정하고 확실하게 이송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평면 팰리트(37)도 3개의 로울러컨베이어(121)(122)(123)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Claims (9)

  1. 선반프레임(50)과 다수의 자유로울러(28)를 보유하며, 이송방향이 수평으로 되어 상하로 복수개의 층을 형성하고 있는 로울러컨베이어(60), 각 층의 자유로울러(28)를 이송방향에서 각각 1개의 피반송물 마다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전기한 로울러컨베이어(60)을 따라 배설된 공통의 구동체와, 전기한 구동체와 자유로울러 사이에 자유로울러의 외주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로울러(21)와 각 그룹별로 자유로울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구동장치(25) 각 그룹 별로 1개의 하물검출기가 설치되어, 이송방향(47)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그룹에서 적어도, 이송방향(47)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그룹에서 적어도 이송방향(47)의 하류측에 있는 하물검출장치가 비검출상태에 있을 때, 양 그룹의 구동장치(25)가 동시에 자유로울러(28)에 작동되도록 연결되고, 이송방향(47)의 최하류그룹에서, 하물검출장치가 검출작동을 할 때, 구동장치(25)가 자유로울러(28)에의 작동연결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하물검출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25)는 각 그룹의 몇 개의 자유로울러에만 연결작동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25)는 이송방향(47)으로 보아 상류측에 위치하는 단일자유로울러 또는 다수의 자유로울러와, 이송방향(47)으로 보아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일자유로울러 또는 다수의 자유로울러 이외의 이송방향(47)으로 보아 각 그룹에서 중간자유로울러에만 연결작동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방향(47)으로 보아 인접하는 두 그룹의 구동장치(25)는, 이송방향으로 보아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물검출장치가 비검출상태일 때와 이송방향으로 보아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물검출장치가 검출상태일 때, 자유로울러(28)에 동시에 연결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구동장치(25)는 작동유체에 의해 자유로울러(28)에 연결작동되거나 차단되며, 상기한 선반장치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작동유체회로와, 각 그룹에 이송되는 하물을 검출할 수 있는 액튜에이터로드(81)를 보유하여, 하물이 검출되면 각 그룹의 구동장치(25)와 자유로울러(28) 사이의 작동연결이 전기한 작동 유체에 의해 해제되도록, 이송방향(47)으로 보아 최하류측 그룹 이외의 각 그룹의 작동유체회로 내에 설치된 제 1 차 밸브장치와, 이송방향(47)으로 보아 최하류측 그룹에서, 이 그룹에 이송되는 하물이 광센서(46)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하물이 검출되면 이 그룹의 구동장치(25)와 자유로울러(28) 사이의 작동연결이 해제되도록, 최하류측 그룹의 작동유체회로 내에 설치된 제 2 차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구동장치(25)는 작동유체에 의해 자유로울러(28)에 연결 작동되거나 차단되며, 상기한 선반장치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작동유체회로와, 각 그룹에 이송되는 하물을 검출할 수 있는 액튜에이터로드(81)를 보유하여, 하물이 검출되면 각 그룹의 구동장치(25)와 자유로울러(28) 사이의 작동연결이 전기한 작동유체에 의해 해제되도록, 각 그룹의 작동유체회로내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한 개의 하물이 이송될 수 있는 이송로(38)를 한정하는 2열의 로울러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장치와, 하물을 안내하기 위해 각 이송로(38)의 양쪽에 위치하는 장치와, 한쪽 로울러컨베이어에만 연결된 구동장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로울러컨베이어는 한쌍의 수직 주프레임(104A)(104B)을 보유하며, 각 자유로울러(28)는 수평의 로울러샤프트(27)를 보유하고, 각 자유로울러(28)는 전기한 로울러 샤프트(27)의 한쪽 끝이 로울러샤프트(27)의 축방향으로 한쪽 주프레임(104A)에 삽입될 수 있고 로울러샤프트(27)의 다른 쪽 끝은 주프레임(104B)의 위로부터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한 개의 하물을 위한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3열의 로울러컨베이어(121)(122)(123)와, 중간로울러컨베이어(121)에만 연결된 구동장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KR2019880020855U 1987-12-15 1988-12-15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KR9400078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58587U JPH0196404U (ko) 1987-12-15 1987-12-15
JP(U)190585 1987-12-15
JP(U)13430 1988-02-02
JP1343088U JPH0547124Y2 (ko) 1988-02-02 1988-02-02
JP1612088U JPH01121008U (ko) 1988-02-09 1988-02-09
JP(U)16120 1988-02-09
JP1611988U JPH0547125Y2 (ko) 1988-02-09 1988-02-09
JP(U)16119 1988-02-09
JP3562588U JPH0547126Y2 (ko) 1988-03-17 1988-03-17
JP(U)35625 1988-03-17
JP(U)65293 1988-05-18
JP6529388U JPH061521Y2 (ja) 1988-05-18 1988-05-18 ローラ使用の棚設備
JP1988065294U JPH0520723Y2 (ko) 1988-05-18 1988-05-18
JP(U)65292 1988-05-18
JP6529288U JPH01169512U (ko) 1988-05-18 1988-05-18
JP(U)65294 1988-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53U KR890012853U (ko) 1989-08-08
KR940007895Y1 true KR940007895Y1 (ko) 1994-10-24

Family

ID=2757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855U KR940007895Y1 (ko) 1987-12-15 1988-12-15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20823B1 (ko)
KR (1) KR940007895Y1 (ko)
CA (1) CA1320695C (ko)
DE (1) DE38759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5440A (en) * 1990-03-08 1994-10-31 Daifuku Kk Roller conveyor.
IT1247840B (it) * 1991-03-19 1995-01-02 Augusto Marchetti Unita' di accumulo per articoli trasportati lungo un percorso orizzontale, in particolare scatole di cartone
US8996160B2 (en) * 2010-12-27 2015-03-31 Itoh Denki Co., Ltd. Article storage device and conveyor used therein
CN109775223B (zh) * 2019-03-20 2020-03-13 燕山大学 可内部运输的钢卷立体仓及其钢卷入库方法
JP7476819B2 (ja) * 2021-02-16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9395A1 (de) * 1970-06-15 1971-12-23 Stöhr Förderanlagen Salzer GmbH, 6050 Offenbach Rollenbahn-Förderer
DE3537410A1 (de) * 1985-04-15 1986-10-16 Interroll-Fördertechnik GmbH & Co KG, 5632 Wermelskirchen Vorrichtung zum abhaengigen steuern aufeinanderfolgender abschnitte oder geregelter bereiche, insbesondere zum akkumulierenden foerdern von gue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20695C (en) 1993-07-27
EP0320823A1 (en) 1989-06-21
EP0320823B1 (en) 1992-11-11
KR890012853U (ko) 1989-08-08
DE3875924D1 (de) 1992-12-17
DE3875924T2 (de) 199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447B1 (ko)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JPH0141683Y2 (ko)
US5090558A (en) Shelf apparatus utilizing rollers
KR940007895Y1 (ko) 로울러를 사용한 선반장치
KR950001819B1 (ko) 포대 다단적재용 콘베이어
JPH061522Y2 (ja) ローラ使用の棚設備
JPH0620742Y2 (ja) パレット使用のコンベヤ装置
JPH0547126Y2 (ko)
JP2660764B2 (ja) コンベヤ棚を有する倉庫設備
JPH0585443B2 (ko)
JP2707847B2 (ja) コンベヤ棚を有する倉庫設備
JPH0547125Y2 (ko)
JPH0412930A (ja) バーチカルソータ
JPH0420410A (ja) 棚設備
JPH04313509A (ja) ガイド装置付きローラコンベヤ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JPH0547124Y2 (ko)
JPH0419132B2 (ko)
JPH059322B2 (ko)
JP3603986B2 (ja) 自動倉庫の物品搬送システム
JP2002347914A (ja) コンベヤ設備
JPS6229333B2 (ko)
CN114873130A (zh) 一种仓储物流系统用堆垛机
JPH06199421A (ja) ケース積下ろし装置
CN116550612A (zh) 一种全流程智能物流分拣线及货物分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