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682B1 -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682B1
KR940007682B1 KR1019910007600A KR910007600A KR940007682B1 KR 940007682 B1 KR940007682 B1 KR 940007682B1 KR 1019910007600 A KR1019910007600 A KR 1019910007600A KR 910007600 A KR910007600 A KR 910007600A KR 940007682 B1 KR940007682 B1 KR 94000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alue
color
color separation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37A (ko
Inventor
다까시 누마구라
이와호 누마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 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 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 쇼오까이
Priority to KR101991000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682B1/ko
Publication of KR92002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제 1 도는 제 1 도는 컬러사진필름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을 나타내며,
제 2 도는 표준적인 색판(C,M,Y)와 각종 먹판(B)용 X축색분해 커어브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 3 도는 실시예에서 채용한 색판(C,M,Y)와 먹판(B)용 X축색분해 커어브와의 관계를 나타냄.
제 4 도는 UCR하의 각판용 X축 색분해커어브를 나타내며,
제 5 도는 GCR하의 각판용 X축 색분해커어브를 나타낸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다색제판, 즉 시안판, 아젠다판, 앨로우판(이하 C,M,Y판이라고도 함)과 조합시켜서 사용되는 먹판(이하, B판이라고도 함)의 합리적인 설정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발명은 C판 등의 기준으로 되는 색분해커어브의 결정은 물론이고 이들 기준으로 되는 색판과의 관련으로 B판용의 색분해커어브를 특정의 계조변환시(연속계조의 화상종보치를 망점면적 %치로 변환하기 위한 관계식)을 기초로해서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신규의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기술]
종래로부터 다색제판에 있어서, 먹판(B)의 중요성은 널리 인식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 B판은 컬러인쇄화상의 계조(Gradation)와 색조(color tone)을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판으로서 위치가 부여되어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색분해작업은 연속계조의 원조화상의 화상정보치(농도정보치 또는 이에 상관되는 물리량)를 인쇄화상의 망점계조에로 계조변환 (Tonal conversion)하는 작업과 색수정(color correction)의 작업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문자그대로의 원고화상의 충실한 복제, 색조의 재현(color reproduction) 상에서 전자의 계조변환기술(Tone reproduction)의 중요성이 점점 중시되어 오고 있다.
이것은 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원고화상이 갖고있는 미묘, 미세한 계조(Tone)를 날려 보내고 말렸을때 아무리 색수정테크닉으로 이것을 커버하려고 해도 일단 소실되고만 제조를 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것으로부터 당연한 귀결이다. 그러나 오랜 당업계에 있어서는 그리고 오늘날에 있어서도 인쇄물의 제작에 있어서는 색수정(Scanner)이런 생각방법에 오염되어 있다.
어찌되었든, 전기한 계조변환작업은 색분해커어브를 자업기준으로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이 색분해커어브란 원고화상의 농도치(횡축)와 망점면적%치(종축)이 직교좌표계로 표시되어지는 커어브이며 계조변환(연속계조의 망점계조로의 변환)을 규정하는 극히 중요한 것이며 계조재현커어브, 상태재현커어브라고도 일컫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색제판은 각각의 색판(C,M,Y) 및 먹판(B)에 대하여 규정된 색분해커어브의 기초하에서 행하여 진다. 이중 먹판(B)은 다음과 같이하여 다색제판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①각색판(C,M,Y)의 삼색제판에서는 잉크의 불순성에 의해 즉 잉크의 분광반사율곡선이 이상적인 것과 크게 괴리되기 때문에 블랙(혹)을 내지않는다. 주로 이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먹판(B)을 채용한다.
③또 먹판(B)은 스캔너작업에 있어서의 하색제거 UCR(Under color Removal) 기술과의 관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전기한 하색제거 UCR과 먹판(B)의 관계는 섀도우바란스의 조정(섀도우부의 진해짐, 흐림, 농도의 조정), 중간조 또는 전영역의 그레이발란스유지, 인쇄적정(인쇄의 고속화, 잉크의 건조시간의 조정) 잉크코스트의 저감화등을 위하여 색판(C,M,Y)의 일부를 감하는(하색제거)것과 함께 B판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계에 있어서는 B판의 사용양태는 각색판에 대하여 어느농도로 부터 넣을 것인가(이는, starting point STP라고함)에 의해서, 또 어느정도의 양을 넣을 것인가(UCR양) 등에 의하여 구분할 수가 있다. 전자의 STP를 쇼오트레인지, 예를 들면, 1,0의 농도로 부터 넣는것을 스켈레톤 블랙 (Skeleton Black)이라 하며, 또 먹판(B)의 하이라이트포인트를 색판과 같은 모양이 저농도로부터 넣는 것을 풀 블랙(Full Black)이라 하여 이것은 아크로막(Acromac) 제판에서는 주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후자의 풀블랙은 GCR (Gray Component Replacemest)라 하며, 유럽에서는 "아크로마틱컬러 리푸로덕선"(Acromatic color reproduction)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B판에 있어서 그의 색분해커어브는 전기한 관점이나 인쇄물을 연조 혹은 경조한 것으로 마무리하느냐 하는 등의 관점에서 스캔너 오퍼이레이터 등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지고 있다.
전기한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점은 다음의 점에 있다.
즉,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각색판(C, M, Y)용의 색분해커어브는 스캔너 오퍼이레이터의 경험과 감에 의해 설정된 것을 사용하든지, 혹은 스켄너메이커의 경험에 의해 설정되고 또 스켄너의 기억부에 축적된 것을 사용한다고 하는 점이다.
한편 먹판(B)용의 색분해커어브는 색판(C,M,Y)용 색분해커어브가 전기한 상황에 있는 것을 반영하여, 이 색분해커어브도 극히 경험적인 것이며, 색판과 먹판의 색분해커어브를 합리적인 생각하에서 설정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크게 불만족한 것이다.
전기한 색판(C,M,Y)와 먹판(B)의 색분해 커어브의 설정에 관한 합리적인 생각방법이란 원고화상의 H(하이라이트부) ∼ S(섀도우부)에 이르는 각화소의 농도계조를 1 : 1이 충실도를 가지고 인쇄화상애 재현시키는 것, 다시 말하면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 극히 자연스러운 농도계조가 얻어지도록 원고화상의 화상정보를 계조변환한다고 하는 생각방법이며, 이 생각방법에 입각해서 각판의 유기적관계를 고려에 넣어서 각판용의 색분해커어브가 설정되어야 한다.
원래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그의 합리적인 접근을 허락하지 않는 곤란한 요인이 있다.
그것은 미시적으로 본 망정(dot)의 배열구조에 있다.
이것을 특히 UCR 혹은 GCR을 기초로 하여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합리적으로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는 C,M,Y의 세개의 인쇄잉크가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그레이 및/또는 혹의 성분을 기초로하여 설정됨과 함께 이것과 병행하여 B판에 의해서 하색제거된 각색판(C,M,Y)용 색분해커어브가 설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C,M,Y의 세개의 잉크를 포갰을 때 컬러인쇄화상의 H부∼S부의 전영역에 있어서, 어떠한 상태에서 그레이 및 /또는 혹의 성분이 형성되는가에 대해서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전영역을 통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론의 뒷받침이 되어 있지가 않다.
이점은 컬러인쇄화상의 각화소에 설정되어지는 망점의 미세구조, 즉 H부영역, 중간조영역, S부영역으로 설정되어지는 망점의 크기와 배열구조가 상이되여있는 것으로 부터 그의 이론의 구축의 곤란도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있으나, 인쇄기술의 향상을 위하여서는 타파하지 않으면 안되는 점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각색판(C,M,Y)용 색분해커어브를 기준 (통상은 C판)으로 하면서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합리적인 설정방법으로 다가서고져 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문제점]
본 발명자들은 색분해작업의 중핵을 이루는 색분해커이브(계조변환커어브, 상태재현커어브)의 설정기술을 합리적인 것으로 하고져 예의검토를 가해오고 있었다.
그중에서 종래의 각색판, 예를 들면 C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보새관계 R(적)필터를 개재하여 입수되는 농도정보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되는 C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에 대신하여 그 농도정보치를 원고화상이 촬영되어져 있는 컬러사진필름의 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노광량치(후술하는 바와같이 본발명은 이것을 이광량치라고하는 개념중에 포함시키고 있으므로, 이하 광량치라고하는 용어를 사용한다.)로 변화하고, 그 광량치를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계조변환하여 망점면적%치를 구할 때 즉 광량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로 규정되는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할 때 그 커어브의 기초하에 원고화상의 화질이 어떠한 것이라도(예를 들면 언더/오우버 노광인것, 하이키/로우키라고하는 복제가 극히 곤란한 원고, 각종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등) 우수한 제조특성을 갖는 인쇄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특원헤이1-135825호, 동1-212118호).
또한 이하 전기한 종래의 농도정보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되어지는 각색판용 색분해커어브는 사진필름감재의 특성곡선에 있어서 농도(Density)축으로 부터의 화상정보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D축색분해커어브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광량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되어지는 각색판용 색분해커어브는, 그 특성곡선에 있어서 횡축(X축)의 광량축으로 붙이 화상정보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X축 색분해커어브라하고, 전자와 명확하게 구별한다.
전기한 X축 색분해커어브하에서 H부로 부터 S부에 이르는 농도계조가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 지극히 자연스러운(바꿔말하면 농도리니어한) 인쇄화상이 제작되고 또 색조도 우수한 것이 얻어지도록 되었으므로, 본 발명자 등은 다음이 스탭으로서 이들의 색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에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을 짜넣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런결과, 광량치를 중시한 각색(C,M,Y) 용 X축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에 대해서, 먹판(B) 설정을 위하여 기준으로 하는 색판용 X축 색분해커어브, 예를 들면 C판용 X축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고, 이것과의 관계로 같은 모양으로 광량치를 중시한 B판용 X축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여, 다색제판했을 때, 극히 만족할 수 있는 화질의 인쇄화상이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같이 B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법에 있어서 종래와는 전혀 다른 광량치를 중시하는 것이며, 또한 어떠한 제판방법(Skeleton black이나 Full black 등)에 대하여서도 사용할 수가 있는 신규의 B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을 개설하면 본 발명은 색분해 커어브를 설정하여 다색제판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색판과 먹판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ⅰ) 컬러필름의 원고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사진필름의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사용하여 컬러필름 원고화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Dn)로 부터 광량치(Xn)와 기초광량치(xn)를 구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기초광량치(xn)를 하기 〈계조변환식(1)〉에 의해 계조변환하여 망점면적 %치로 변환하는 단계와, 이것에 의해서 먹(B)판 이외의 C(시안판), M (마젠타판), Y(엘로우판)중 어느 것인가 하나로 미리 결정되어진 기준색판의 색분해 커어브를 상기 기초광량치와 망점면적%치 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나타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진 공정과, (ⅱ) 상기기준으로 되는 색판용의 색분해커어브에 대하여 먹(B)판을 설정하기 위한 광량치의 범위(XBXH∼XBXS) 및 망점면적 %치(aBH∼aBS)의 범위를 결정하는 공정과, (ⅲ) 먹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광량치 범위(XBXH∼XBXS) 내의 임의의 화소의 광량치(BXN)를 망점면적 %치로 변환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ⅱ) 공정에서 결정된 초기조건하에서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여 먹판용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 공정과, (ⅳ) 상기 (ⅰ) 공정에서 결정된 기준으로되는 색판용의 색 분해커어브에 따라서 색판을 제작하는 공정 및, (ⅴ) 상기(ⅲ)공정에서 설정된 먹판용의 색분해커어브에 따라서 먹판을 제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조변환식 (1)]
anN=aH+α(1-10-k.xn) (aS-aH)/(α-β)...............................(1)
상기식에 있어서 ;
xn : 이것은 xn=[Xn- XHn]로 나타내는 기초광량치를 나타낸다. 즉, axn은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색판용의 원고화상상의 화소의 농도정보치 (Dn)로 부터 구한 대응하는 화소의 광량치(Xn)로 부터 원고화상상의 최명부(H부)의 농도정보치(DHn)로 부터 구한 대응하는 최명부 광량치(XHn)를 차감하여 구하여지는 기초광량치를 나타낸다. 단, 먹판의 최명부(H부)는 먹을 넣기 시작하는 부위(먹시점부)라고 바꿔 부른다.
axn: 원고중의 임의의 화소에 대응한 각색판(C,M,Y) 및 먹판 (B)상의 화소에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aH: 각색판의 최명부 혹은 먹판의 먹시점부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 %치.
aS: 각색판의 최암부 혹은 먹판의 먹을 넣음이 끝나는 부위(먹종점부)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α: 인쇄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이의 표면반사율
β: β= 10-r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k : k = r/(Xsn∼XHn)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단, Xsn에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기준으로 되는 색판용의 원고화상상의 최암부(S부)의 농도정보치(Ds)로 부터 구한 대응하는 최암부의 광량치를 나타낸다.
단, 먹판에 있어서는 먹종점부의 광량치를 나타낸다.
r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 색판(C,M,Y) 및 먹판(B)에 관하여 xn, n, Hn, Sn, H,S의 앞에 C,M,Y,B의 첨자를 붙여서 〈계조변화식(1)〉을 운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하여서는, 기준으로 되는 각색판(C,M,Y)의 (X축) 색분해커어브를 전기한 〈계조변환식(1)〉을 사용하여 구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 라고 하는 것은, 본발명에 있어서는 이 기준이 되는 색판의 색분해커어브와의 유기적인 관계하에, 즉, 같은 〈계조변환식(1)〉을 이용하여 먹판(B) 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고자 하는 입장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점은 종래의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이, 전기한 바와같이 스켄너오페레이터 등의 경험 등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먹넣는 범위의 각화소마다라고 하는 미시적인 입장에 서서 화소에 어떠한 크기의 망점을 넣어야 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부터 본발명과 종래기술은 지극히 상이하여 있다.
이하, 기준이 되는 색판으로서 C판을 사용하여 그의 X축색분해커어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다른 색판(M, 또는Y)을 기준으로 해도 좋은 것은 말할필요도 없는 것이다.
전기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C판의 X축색분해커어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종래의 컬러 사진원고로부터 보색관계인 R(적)필터를 통하여 입수되는 농도정보치를 직접 계조변환시키는 것은 아니다.
제판대상으로 되는 컬러원고(포지형, 네가형, 투과형, 반사형 등 어느것이라도 좋다)의 화질에 좌우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우버/노말/언더노광의원고,, 하이키/로우키위원고, 각종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 혹은 퇴색(Fading)된 원고 등으로 부터 우수한 화질의 인쇄물을 작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계조변환의 화상정보로서 농도정보치가 아니라 광량치를 사용한다.
이것은 종래기술과 뛰어난 상이를 이루고 있는 점이다.
본말명에 있어서 전기 광량치는 당해원고화상이 촬영되어져 있는 컬러사진필름감재(감광성유제)의 특성곡선, 소위 사진농도특성곡선(photographic characteristic Curve)을 사용하여, 사진농도(photographic density)로 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가 있다.
본발명에 있어서 계조변환(연속계조의 망점제조에로의 변환)에 즈음하여 원고화상을 갖는 「농도정보치」가 아니라「광량치」를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전기한 화질이 다른 여러가지의 원고화상을 합리적으로 계조변환하기 위하여서는 컬러필름감재가 각각 고유적으로 갖는 사진농도특성곡선에 의존하고만 「농도정보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그 컬러필름감재에 입사되는 피사체(원고화상의 문자그대로의 베이스가 되는것, 실체화상, 실경.)으로 부터의 광량치를 이용하면, 그 사진농도특성곡선에 의존하지 않는 화상정보이기 때문에 어떠한 화질의 원고라도 : 합리적으로 통일적으로 계조변환될 수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본발명자 등의 창의에 기초를 둔 것이다.
C판용 X축색분해커어브의 실정법을 도표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ⅰ)(1) 본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원고화상이 촬영되어져 있는 컬러사진필름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을 함수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에 의해원고화상중의 임의의 화소점(n점)의 농도정보치(Dn)로 부터 대응하는 화소의 광량치(Xn)값을 구할 수가 있다. 사진농도특성곡선은 각 사진감재메이커로부터 기술자료 등으로서 주어지고 있는 것을 함수화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 1 도에 EK사제엑다크롬64, 푸로훗뇨날필림(데이라이트)의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다음에 제 1 도에 나타내는 사진농도특성곡선의 수식화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진농도특성곡선의 수식화에 있어서는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수식화하면 되고 하등의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예로 종축=D=log IO/I, 횡축=X(단, X축의 눈금스케일을 D축과 일치시키도록 하였다)로 하여 a,b,c,d,f를 상수로 하면, (가) 사진농도특성곡선의 다리의부분(아래에 凸형상인 곳으로 D치가 작은 영역)
D = aㆍbcㆍ(X+d)e+f
(나) 거의 직선상의 부분(거의 직선상인 곳으로 D치가 중간치인 영역)
D = aㆍX+b 또는
D = aㆍX2+ X+c
(다) 어깨의 부분 (위에 凸형상인 곳으로 D치가 큰 영역)
D = a. log{b+(x+c)}+d
등으로 수식화하면 된다.
혹은 다리의 부분∼거의 직선부분∼어깨의 부분을 소분할하여 각각을 직선으로 근사시키도록 함수화하여도 좋다. 그때에 다리의 부분과 어깨의 부분의 계조를 잘 재현시키기 위하여 이 영역을 가능한한 작게 분할하여 직선으로 근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컬러사진필름의 감재는 R/G/B의 각 감광유계의 특성곡선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을 각색판에 대응시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간편법으로서 하나의 유제충의 특성곡선을 이용하여도 좋다.
표 1 에 그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 표 1 에는 가능한한 정확하게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수식화하기 위하여, 수식화구분을 복수로 하고 있다.
[표 1]
[표 2]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사진농도특성곡선을 함수화할 때 컬러사진원고의 농도치를 나타내는 D축의 눈금(스케일)과 피사체(실체화상)의 log E로 나타내어지는 광량치를 나타내는 X축의 눈금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D와 X의 함수화가 행하여졌다.
이 D축과 X축에 관한 스케일링은 다음의 관점으로부터 행한 것으로 본발명자동에 있어서 완전히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즉 사진농도특성곡선에 있어서는 그 X축에는 노광량 E이 대서치(log E=log I xt)가 정하여지고 이것이 인간의 시각의 명암에 대한 대수적인 변별특성에 의해서 평가된다.
한편 D축은 문자그대로 대수적인 물리량을 나타내며 이것도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는 대수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D축과 X축을 상관시킬 때 동일 스케일링하에서 행하여도 하등의 불합리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눈금붙이기는 일종의 간편법이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 1 도에 나타내는 D축과 X축의 수치관계로 함수화하여도 좋고, 이의상태적인 의미에 있어서 본발명에 있어서는 X축의 물리량으로 하여 노광량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광량치」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ⅰ) (2)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같이 컬러사진원고의 농도정보치(Dn치)를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실체화상, 실경)이 주게되는 화상정보치, 즉, X축에서 나타내어지는 광량치(Xn치)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전기한 바와같이 사진농도특성곡선이 표 1 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Dn치와 Xn치와는 X=f(D)의 함수식에서 의하여 상관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Dn치로부터 Xn치를 구할수가 있다.
(ⅰ) (3) 이상과 같이해서 피사체(실체화상)가 주는 광량치(Xn)을 얻을 수가 있다. 이어서 이와같이해서 합리적으로 구한 Xn치와 전기 〈계조변환기(1)〉을 사용하여 색분해커어브, 즉 종래의 농도정보치를 중지한 D축색분해커어브에 대신하는 광량치를 중시한 X축색분해커어브를 구하면 되는 것이다. 즉 소정의 사진 농도특성곡선 하에서 컬러사진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에 있어서의 농도치(Dn)로 부터 대응하는 피사체 (실제화상)상의 화소의 광량치(Xn)를 구하고 그 Xn치를 전기 〈계조변환식(1)〉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제조강도치인 망점면적%치가 계산되며 X축색분해커어브가 설정된다. 또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있어서 광량치(Xn)는 전기한 바와같이 기초광량치(Xn)로 변환시켜 두지않으면 아니되나, 이것은 H부가 S부에 미리 설정된 망점면적%치(aH,aS)를 넣기 때문에 필요한 조처이다. 그리고 C판을 제작히기 위하여는 컬러스켄너의 망점발생시(DOT CENERATOR)가 C판용 X축색분해커어브에 따라서 작동하도록 하면 될 뿐이다.
본 발명의 전기한 〈계조변환식(1)〉의 유도과정을 여기서 간단히 설명한다. 망점제조인 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원고화상중의 각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의 수치(aXn)를 구하는 〈계조변환식(1)〉은 일반식으로 인정되는 농도공식(사진농도, 광학농도)즉,
D=log Io/I=log 1/T
단, Io = 입사광량
I =반사광량 또는 투과량량
T =I/Io=반사율 또는 튜과율을 기초로 하여 유도한 것이다.
이 농도 D에 관한 일반공식을 제판ㆍ인쇄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제판 인쇄에 있어서의 농도(D')=log Io/I=log(단위면적x종이의 반사율)/{(단위면적-망점면적)x종이의반사율+망점면적x잉크의 표면반사율}=logαA/[α{A-(d1+d2+…dn)}+β(d1+d2+…dn)}
여기서
A : 단위면적
dn : 단위면적내에 있는 각각의 망점의 면적
α: 인쇄용지의 반사율
β: 인쇄잉크의 표면반사율
이다.
본 발명은 이 제판ㆍ 인쇄에 관한 농도식(D')를 기본으로 하여 화상정보로서 농도치가 아니라 광량치를 사용함과 함께 연속계조인 원고화상상의 표본점(화소) (n점)에 있어서의 기초광량치(Xn)와 이것에 대응한 망점계조인 인쇄화상상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망점의 망점면적%치의 수치(aXn)와의 관련지으기가 이론치와 실측치가 합치하도록 전기 〈계조변환식(1)〉을 유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있어서는 일반으로 ah,as의 파라미터는 정수화되어 있어, 예를 들면 C판의 aCH에 5%, aCS에 95%, M 및 Y판에서는 aMH=aYH에 3%, aMS=aYS에 90%라고하는 망점면적%가 사용된다. 또 전기 〈계조변환식(1)〉 의 운용에 있어서, 농도계에 의해서 측정한 Dn치와의 관련에서 구한 Xn치를 사용하고, aH와 aS에 백분율수치를 사용하면 axn치도 백분율수치로 산출된다.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있어서 다른 중요한 파라미터 r의 값을 이하에 나타내는 이유로 C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의 일반적으로 정수화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즉 C판용 X축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 r치 0.45로 고정해도 좋다. 이것은 본발명자등에 의해서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1)〉의 개발과정에서 화상정보치로서 농도치를 채용하는 계조변환식을 개발한 경위로 부터 이끌어지는 것이다. 이 계조변환식의 골격은 본발명의 것과 대차가 없으나 그때의 r치로서 r치=0.9∼1.0이라는 노란 잉크의 민짜농도치를 채용하였다. 노란잉크의 민짜농도치를 채용한 것은 인쇄잉크중에서 노란잉크가 인간의 시각에 대하여 다른 잉크와 비교해서 가장 큰 자극치를 갖는다고 하는 이유때문이며 이것에 의해서 색분해 작업의 실무와 잘 정합하는 D축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할 수가 있었다. 화상정보치로서 농도정보치로부터 광량치로 변환한 본발명의 경우 r치는 그의 약반분인 r=0.45로 좋다고 하는 것이 많은 실험예에서 지지되었다. 계조변환에 즈음하여 농도정보치로부터 광량치로 변경했을 때, r치를 r=0.45로 변경하지않으면 안되는 이유는 사진농도특성곡선의 형성에 의해 설명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이와같이 r치를 합목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인식해 두는 것은 본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 그 파라미터 r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색분해커어브의 형상을 합목적으로 변화시킬 수가 있는 것, 바꿔말하면 r치를 합목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의 제조특성을 갖는 인쇄물을 제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극히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r치는 전기한 값으로 고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1)〉의 파라미터의 수치설정은 주어진 피사체(실체화상)의 상태를 어디까지나 충실하게 인쇄화상에 재현시킨다고 하는 입장과 의식적으로 상태를 조정(수정 또는 변경)한 인쇄화상을 제작하고져 하는 입장에 따라 상이해진다. 후자인 경우, r치를 의식적으로 변화시키므로서, X축색분해커어브의 형상을 소망의 것으로 변경할 수가 있는 까닭에, 여러가지 상태의 인쇄화상이 얻어진다. 예를들면 X축색분해커어브의 형상을 위에 凸형상으로 하고져 할 때(H부∼중간조의 상태를 강조하고져 할 때)에는, r치를 0보다 큰 값으로 하고, 거의 직선상으로 하고져 할 때에는 r치를 0에 근접시키고, 역으로 아래에 凹형상으로 하고져 할때(중간조∼새도우부의 상태을 강조하고져 할 때)에는, r치를 마이너스의 값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은 말할것도 없고, 임의의 가공, 변형, 유도하는 등 하여서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axn=aH+E(1-10-k ㆍXn)ㆍ(aS-aH)........................................(2)
단, E=1/(1-β)=1/(1-10-r)
전기의 변형예는, α=1로 한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인쇄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용지(기재)의 표면반사율을 100%로 한것이다. α의 값으로서는, 임의의 값을 취할수 있으나, 실무상 종이의 백색도에 영점조정하기위해 1.0으로 해도 무관하다.
또한, 전기변형예(δ=1.0)에 의하면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aH를, 최암부 S에 aS를 예정한 바와같이 설정할수가 있고, 이것은 본발명에 있어서 큰 특징을 이루고 있다. 이런것은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있어서의 정의에 의해 Xn=0으로 되는것, 또 최암부 S에 있어서의 Xn=XSn-XHN로 되는 것, 즉
-kㆍXn= -rㆍ(XSn- XHn)/(XSn- XHn) = -r
로 되는 것으로부터 명백하다. 이와같이 본발명이 〈계조변환식(1)〉 (α=1의 변형예)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항상 예정한 바대로의 aH와 aS를 인쇄화상상에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은 이용자가 작업결과를 고찰하는데에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것이다. 예를들면 인쇄화상이 있어서의 aH와 aS에 소망하는 값을 설정하여 r치를 변환시키면(단, α=1.0), 각종의 X축색분해커어브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것들의 X축색분해커어브하에서 얻은 인쇄화상을 r치와의 관계에서 용이하게 평가할 수가 있다.
특히 계판실무에 있어서 중요한점은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X축색분해커어브가 종래의 D축색분해커어브와 상이하여 최정제품으로서의 인쇄화상의 H~S에 이르는 계조특성,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고 하는 점이다. 즉 제판작업자는, 소정의 aH, aS, 및 r치 아래에서 얻어지는 X축색분해커어브로부터, 그의 형상의 고찰을 통해 최종 인쇄화상의 마무리(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있다. 이것은, 화질이 상이하는 (예를들면 노광조건이 상이하는) 복수의 원고화상에 대하여, 각각에 설정되는 X축색분해커어브가 모두 하나의 같은 커어브에 수렴한다고 하는 본발명의 계조변환법의 큰 특징에 의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D축색분해커어브(같은 aH,aS및 r치를 채용한다.)는, 화질이 상이한 각각의 원고화상에 대응하는 커어브가 얻어지며, 그의 형상은 복잡한 것이다. 따라서 제판작업은 그의 커어브를 고찰한 것만으로는 최종의 인쇄화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없다. 전기한 것의 의미는 극히 중요하며, 제판작업자는 각색판(C,M,Y)와 먹판(B)의 X축색분해커어브를 예를 들면 모니터표시 시키므로서 최종인쇄화상의 마무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조의 교정작업을 불요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여 직접제판(Direct plate 제판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있어서, k치가 r치가 되도록, 즉, (Xsn-XHn)치가 1.0으로 되도록 정규화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XHn∼Xsn의 다이나믹레인지를 0~1=1.0으로 정규화하면 〈계조변환식(1)〉의 계산이 지극히 용이한 것으로 된다. 원래 다이나믹레인지내의 각화소의 광량치(Xn)도, 그 정규화에 준해서 변화하지만, 상대적이니 변화인 까닭에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하등의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은 전기한 정규화 후의 값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을 사용한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피사체(실체화상)의 계조나 색조의 재현, 즉, 피사체의 상태를 작업규칙성을 가지고 인쇄화상에 1 : 1로 재현시키는데 있어 지극히 유용하나 그의 유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은 피사체의 특성의 충실한 재현성이외에도 α,r치, 또한 aH,aS치를 적의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피사체의 화상특성을 합리적으로 변경하거나 수정하거나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까닭에 지극히 유용한 것이다.
다음에 다색제판(일반으로C, M판, Y판, B판의 4판의 일조라고 생각되고 있다.)에 본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여 각각의 X축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전기 〈계조변환식(1)〉은 다색제판중에서 가장 중요한 판인 C판을 합리적으로 결정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계조변환식(1)〉의 운용에 의해 먼저 C판용의 X축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고 기타의 M판, Y판용의 X축색분해커어브는 그레이발란스나 컬러발란스를 유지하도록 당업계에 있어서 주지의 적절한 조정치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하면 된다.
또한 먹판(B)용 X축색분해커어브의 설정법은 이하에 나타낸다.
(ⅱ) 상기와 같이하여 기준으로 되는 C판용색분해커어브가 설정되면 다음에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한다.
이것은 그 기준으로 되는 C판용색분해커어브에 대하여 먹판(B)을 어느 범위로 또한 어느정도의 양의 먹을 넣을 것인가 하는 초기조건의 설정이다. 즉, 먹판(B)을 어떤 광량치범위(XBXH∼XBXS)로 설정할 것인가 (XH는 먹시점부의 화소를 또 XS는 먹종점부의 화소를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먹시점부와 먹종점부에 어느정도의 망점면적%치(aBH∼aBS)를 설정하는가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은 먹판(B) 설정용의 초기조건이 결정되어지면, 전기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여 C판과 같은 모양으로 해서 B판 X축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할수가 있고, 각 화소 마다에 최적의 망점면적%치가 설정된다.
C판용 X축색분해커어브에 대하여 망점면적%치로서 예를들면 50%(acxn=50) 이상의 영역에 먹을 넣는다고하면, 먹시점부의 기초광량치(BXn)는 하기식으로 구하여진다.
Bxn= -1/rㆍlog{1-(acxn-aH)(1-10-r)/(aS-aH)}.........................(3)
단, acxn=50등의 50이상의임의의 수치, 기타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r=0.45, aS=95, aH=5로 한다.
또한 (3)식에서 먹시점부가 acxn=as인 때, Bxn는 1.0로 된다. 따라서 먹시점부∼먹종점부의 광량치 레인지(xBXH∼XBXS)는 C판용색분해커어브와의 관련으로 (BXn∼1.0)으로 설정된다.
(ⅲ) 전기한 먹시점부와 먹종점부에 먹판(B)용의 망점면적%치 aBH, aBS(예를 들면 5%, 65%)를 설정하고 또한 소정의 r치 아래에서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는 것에 의해서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를 구할 수가 있다. 또〈계조변환식(1)〉을 운용할 때, C판용 색분해커어브를 구할 때에 채용한 정규화수속을 채용한다. 즉, 먹시점부∼먹종점부의 다이나믹레인지(XBXH∼ XBXS)=(Bxn∼1.0)을 (0∼1.0)으로 정규화해둘때, 〈계조변환식(1)〉의 계산 극히 용이한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정규화하여도 얻어지는 B판용색분해커어브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않는 것은 C판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방법인 곳에서 기술할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방법을 보다 구체적인 수치등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ⅰ) 먹판 설계자료
기준으로 될 C판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조건.
① 컬러사진필름 : EK사제코닥엑타크롬 64(제 1 도 참조)
② 컬러사진필름의 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의 관계식 : 표 1 참조
③ 〈계조변환식(1)〉의 운용조건 : aCH=5%, aCS=5%, rC치=0.45
2.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조건.
① 먹판을 넣는 범위 : C판용색분해커어브에 있어서 망점면적%치가 50%∼95%의 범위
② 먹판의 망점면적%치 : (먹시점부)5%∼(먹종점부) 65%
③ 먹판설정용의 〈계조변환식(1)〉의 운용조건 : aBH=5%, aBS=65%, rB치(표 2 참조)
(ⅱ)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
①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계산치) : 표 2 참조
②먹판(B)용 색분해커어브 : 제 2 도참조(표 2 를 도시한 것.)
표 2 에 있어서 acxn는 C판의 소정화소 (Xn)의 망점면적%치, CXn는 C판의 소정화소(Xn)에 있어서의 기초광량치, BXn은, 전기 CXn을 1.0으로 정규화하여 구한 B판의 소정화소(Xn)에 있어서의 기초광량치를 나타낸다.
[표 2]
또 제 2 도의 C판용색분해커어브가 나타내 있으나 이것의 데이터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제 2 도에는 M판, Y판용의 색분해커어브도 나타내 있으나 이들은 C판에 대하여 중간조(C판에서 50%의 망점이 되는 부위)에서 10%, H부에서 2%, S부에서 5%의 망점면적%치의 차를 취하여 그레이발란스가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설정한 것이다.
[표 3]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기준으로되는 C판용색분해커어브와의 관계로 합리적으로 B판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먹시점부∼먹종점부의 전영역에 걸쳐서 〈계조변환식(1)〉에 의해 B판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영역의 일부에 〈계조변환식(1)〉을 적용하는 것과 함께 타의영역에 타의 방정식(식선, 2차곡선등)을 적용하여 B판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긴 사진제판 급 색분해의 기술개발의 역사중에서 「먹판은, 컬러인쇄화상의 계조와 색조를 최종적으로 정돈하는 중요한 판이다」라고 말하였왔다. 그리고 오랜 세월의 역사중에서 먹판을 각색판(C,M,Y)의 화상의 밝은 부분에 까지 적용하여 중간조에 있어서는 계조구배를 완만하게 하도록 또 새도우부에 걸쳐서는 계조구배를 크게 하는 것등의 노우 하우가 가꾸어져 왔다.
그러하지만 전기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컬러사진원고의 화질이 천변만화하고 있다는 것, 색분해작업으로 만들어지는 각색판(C,M,Y)의 망점계조화상의 계조가 불안정, 불만족한 것이라는 중첩되어있는 까닭에 먹판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한 방법에의해 합리적으로 먹판을 설정할 수가 있고, 다색제판에의해 지극히 만족할 수 있는 계조를 갖는 인쇄물이 제작되어진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먹판(B)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컬러사진원고
컬러사진원고로서, EK사제 4"x5" 포지컬러필름(엑타크름 64)로 여성을 촬영한 표준화질인 것을 선정하였다.
또 컬러사진원고의 H부와 S부의 R(적), G(녹), B(청)의 각색필터를 통하여 계측된 농도치는 표 4와 같다.
[표 4]
(2) 색분해작업조건(각색판)
각색판(C,M,Y)의 색분해는 당업계의 상법에 따라서, 각색판간에서 그레이발란스가 유지되는 조건에 기초하여서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판의 H부에 5%, 중간조에 50%, S부에 95%의 망점면적 %치를 M판과 Y판의 H부에 3%, 중간조에 40%, S부에 90%의 망점면적%치를 설정하여서 행하였다. 또 C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 〈계조변환식(1)〉의 rc치로서 rc=0.45를 채용하였다. 한편 M판, Y판의 r치로서, 상기 그레이발란스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rM=ry=0.1850을 채용하였다.
C판용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조건은 표 3 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설정조건은 제 1 도에 나타내는 코닥, 엑타크롬 64 프로페쇼날(테이라이트)을 표 1 에 나나태는 바와 같이 함수화하고, 이것에 의해 Dn치→광량치(Xn)→기초광량치(Xn-XHn)→정규화광량치(Xn) 을 구하고, 〈계조변환식(1)〉에 의해 C판용망점면적%치(acxn)를 구한 것이다.
(3) 먹판의 제판설계
먹판의 사용범위를 전기한 바와같이 구한 기준으로 되는 C판의 망점면적%치에 기초하여 정하는 것과 함께 먹시점부와 먹종점부에 설정하는 망점면적%치 및 먹판용 색분해커어브를 구하기 위한 〈계조변환식(1)〉의 rB치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 5와 같이 이들의 조건을 설정하여 이들의 조건에 의하여 구한 B판용 X축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 표 6 의 자료에 기초하여 제 3 도에 B판용 X축색분해커어브를 각색판(C,M,Y)과 함께 나타낸다.
[표 5]
[표 6]
(4) 제판
스켄너로서 크로스필드사제 마구나스칸 646을 사용하고 색교정으로서 듀퐁사제 구로마린교정법을 채용했다.
이상과 같이해서 제작된 컬러인쇄화상은 제판설계단계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먹판(B)의 먹시점부가 라이트부(C판의 20%망점)에 설정되어져 있는것으로부터 라이트부에 있어서의 데리케이트한 상대가 잘 재현되어 있고 또 중간조도 먹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태가 밝고 섬세한 계조가 유지되며, 더구나 새도우부의 상태의 끝맺음이 좋아서 지극히 만족이 가는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4색인쇄기로 웨스트법에 의해서 또 UCR(하색제거) 아래에서 컬러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먹판(B)과 각색판(C,M,Y)의 작성을 시도하였다.
(1) 컬러 사진원고
컬러사진원고로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모양으로 EK사제 4"x5" 액타크롬 64로 시골의 물방앗간을 촬영한 표준화질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 컬러사진의 원고화상은 촬영시간및 촬영방법의 관계로부터 전체로 비교적 음영부가 많은 것이었다.
또 컬러사진원고의 H부와 S부의 R,G,B의 각색필터를 통해서 계측된 농도치는 표7과 같다.
[표 7]
(2) 먹판(B) 및 하색제거후의 각색판(C,M,Y)의 제판설계
먹판(B)의 제판설계의 작업수속은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나, 하기의 제판조건을 고려해서 제판설계를 행하였다.
컬러사진원고의 화상의 전체에 음영이 많은 까닭에 먹판(B)을 넣는 양을 당업계에서 통상 채용되고 있는 것보다 약간 적게되도록 하였다. 또 웨스드프린팅법에 의하여 컬러인쇄를 행하므로 S부에 있어서의 C,M,Y 및 B의 4판의 망점면적%치의 합계량을 종래법으로 채용되고 있는 약 270%를 목표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약 280%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C판의 S부에 70%, M판과 Y판의 S부에 60%, B판의 S부에 90%(합계 280%)의 망점을 넣는 것으로 하였다. 또 먹판(B)을 넣는 레인지 즉, 먹시점부(STP)와 먹종점부(EDP)는 정규화광량치에 기초하여 0.25-1.00으로 하였다. 따라서 각색판(C,M,Y)의 하색제거(UCR)를 행할 때의 X축색분해커어브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먹판(B)를 넣는것을 고려하고, 또 전기한 S부에 있어서의 망점면적%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X축색분해커어브의 형상은 〈계조변환식(1)〉의 r치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상의 제판설계의 조건을 표8에 나타냈다. 또 이들의 조건에 의하여 구한 하색제거(UCR)를 행할 때의 먹판(B) 및 각색판(C', M', Y')의 X축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표9에 또 표9의 자료에 기초하는 각색판 (C',M',Y' 및 B)의 X축색분해커어브를 제 4 도에 나타냈다. 또 제 4 도에는 제 3 도와 같은 모양으로 UCR을 행하지 않을 때의 각색판(C,M,Y)의 X축색분해커어브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표 8]
* 이 수치는 C판에 70%의 망점면적%치를 설정할 때 M판을 중첩인쇄했을 때에 그레이발란스가 얻어지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요청을 만족하기 위한 M판과 Y판의 망점면적%치이다. 또한 이 수치는 본 발명자등에 의해서 작성한 C판과 M, Y판의 그레이발란스보지에 관한 망점면적%치의 상관표로부터 구한 것이다.
[표 9]
(3) 제판
사용한 스켄너 및 색교정법은 실시예 1과 완전히 같은 것이다.
이상의 제판설계에 따라서 만들어진 컬러인쇄화상의 끝마무리의 상태는 제판설계의 단계에서 예정한 바와 같은 것이 얻어지며, 웨스드프린팅법용의 제판으로서 지극히 만족이 가는 것이었다. 또 컬러원고의 전체에 있었든 특히 밝은 부분으로부터 중간조에 걸쳐져 있었든 음영을 엷게 할 수가 있어서, 인간의 시감에 있어서 예상한바대로의 밝은 감이 있는 양호한 인상을 주게 되는 상태로 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지금까지 인쇄에 관련하는 문헌등에 있어서 발표되는 있으면서 실무적으로는 지극히 관란한 것으로 되어 있는 GCR(Long range UCR, Full black) 을 행할 때의 먹판(B)의 설정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GCR하에서의 중요한 판인 먹판(B)이 본 발명에 의해 어떻게 하여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지는가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먹판의 (B)의 제판설계
GCR하에서 설정되어지는 먹판(B)의 망점면적%치와 그 먹판(B)하에서 하색제거(UCR)되는 각색판(C', M, Y')에 설정되는 망점면적%치의 합계가 하색제거(UCR)되지 않을 때 (이하「 GCR전」이라함)의 표준적인 각색판(C, M, Y)의 합계의 망점면적%치에 같다고 하는 조건으로 GCR하의 먹판(B)을 설정한다.
전기한 GCR전의 표준적인 각색판(C, M, Y)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은 표10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설정데이터 아래에서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여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할 때, 그 색분해커어브하에서 H부∼S부에 이르는 계조가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컬러인쇄화상을 제작할 수가 있다. 이런 것은 전기 실시예 2의 UCR하에서의 각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GCR하에서의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도 〈계조변환식(1)〉을 이용한다고 하는 조건하에서 얻어지는 것이다.
[표 10]
다음에 GCR하에서 먹(B)을 넣는 정규화광량치역은 실시예 2 의 UCR(레인지 0.250∼1.000)보다 길게 취하여 0.050∼1.000으로 하고 먹시점부(STP)와 먹종점부 (EDP)에 설정하여야 할 망점면적%치를 각각 0.00%와 100.00%로 하였다.
또한 GCR하에 있어서의 각색판(C', M', Y')용의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조건을 다음과 같이 해서 결정하였다.
즉, 웨스드프린팅법에 의해 컬러인쇄를 행할 때 S부에서의 4색의 망점면적%치가 약 270%라고 하는 당업계의 설정치(이는 잉크의 전이불량등으로부터 실무적으로 결정된 합리적인 값임) 및 그레이발란스를 고려하여 더욱 실시예 2 에서 나타낸 UCR하에서 각색판(C', M', Y')용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r치를 참고로해서 표11과 같이 결정하였다.
또 표11의 데이터에 의하여 S부의 합계의 망점면적%치 C'+M'+Y'+B(상술)=275는 표9의 GCR전의 합계치 C+M+Y=275와 일치하는 것이다.
[표 11]
다음에 각 정규화광량치에 있어서의 GCR전의 C, M, Y의 세개의 색판과 GCR후의 C', M', Y'의 세개의 색판의 각각의 망점면적%치의 합계를 구하여 양자의 차(이하 △DOT라함)로부터 GCR하의 B판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작성하였다.
그때에 B판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편리하도록 광량치역을 0.05∼ 0.35, 0.35∼0.65, 및 0.65∼1.00의 세개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분에 있어서 적용되는 〈계조변환식(1)〉의 r치를 적절히 선택하여 각 구분마다의 B판 용색분해커어브를 구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때의 각 구분의 최명부와 최암부에 설정되는 aBH, aBS의 값(이것은 △DOT로부터 결정된다)및 각 구분에 사용된 r치의 값을 표12에 나타낸다.
[표 12]
이상의 GCR하의 각판 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표13에 모았다. 또 이들의 조건으로부터 구한 GCR하의 먹판(B) 및 각색판(C', M', Y')의 X축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표14에 또한 표14의 자료에 기초한는 각색판(C', M', Y' 및 B)의 X축색분해커어브를 제 5 도에 나타낸다. 또 표13의 자료에서 먹판 B(1)(2)(3)의 X축색분해커어브의 데이터를 구할 때, 세개의 광량치역(0.05∼0.35, 0.35∼0.65, 0.65∼1.00)의 각각을 1.0으로 정규화하여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면 계산이 효율적이다. 또 제 5 도에는 B(1), B(2), B(3)의 구분표시가 되어져 있지않다. 또 제 5 도에는 제 3 도, 제 4 도와 같은 모양으로 GCR전의 각색판(C, M, Y)의 X축색분해커어브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표 13]
[표14]
전기표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먹(B)을 넣은 전영역(STP∼EDP)에 있어서의 △ DOT의 값과 GCR하의 먹판(B)용색분해커어브의 설정데이터를 비교하면, 극히 좋은 일치성을 나타내고 있고, 이와같이해서 설정한 먹판(B)는 제판실무에 있어서 문제없이 적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합리적으로 GCR하의 각색판 용색분해커어브, 특히 설정을 위한 이론이나 방법론이 없고, 또한 설정이 곤란하다고 해오고 있는 먹판(B)용색분해커어브를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합리적으로 먹판(B)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각색판(C, M, Y) 용색분해커어브는 물론 먹판(B)용색분해커어브도 스켄너메이커 혹은 스켄너오퍼레이터의 경험과 감에 의해서 제작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즉, 인간의 시각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계조의 인쇄화상을 원고화상의 H부∼S부의 전영역에 있어서, 하나하나의 미크로적인 화소 (망점dot)에 어떻게 하여서 적절한 망점면적%치를 설정할 것인가라는 것에 대하여서는 이론도 방법론도 개발되어 있지않으므로 이들의 색분해커어브는 경험과 감에 의해서 제작된다고 하여도 좋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화질의 컬러사진원고를 통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원고의 화상정보치로서 「광량치」를 사용함과 함께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하여 각색판(C, M, Y)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여 이것과의 관계로 먹판(B)용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어서 지극히 합리적인 것이다.
(ⅱ) 광량치 (특히 정규화된 광량치)와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구한 「망점면적 %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X축)색분해커어브는 제품으로되는 컬러인쇄화상의 H부∼S부에 이르는 각색판 및 먹판(C, M, Y 및 B)의 계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그 커어브의 형상을 고찰하는 것에 의해서 최종제품으로 되는 컬러인쇄화상의 화질을 사전에 평가할 수가 있는 까닭에 컬러사진원고로부터 직접 쇄판을 작성할 수가 있다. 이것은 먹판을 짜넣은 다색제판에 의한 다이렉트 플레이트제판법에 길을 여는 것이다.
(ⅲ) 임의의 먹판을 합리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될 수 있게 되었으므로 고객의 희망에 부합하는 화질의 컬러인쇄화상을 먹판의 특질을 살리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ⅳ) 기타 먹판의 진가 예를 들면 섀도우부의 조정, 그레이발란스의 유지, 잉크사용량의 저감화, 인쇄속도의 고속화, 인쇄후의 잉크건조의 에너지절감화등의 진가를 향수할 수가 있다.
(ⅴ) 전기(ⅰ)과도 관계하여 먹판(B)의 설정법을 포함하여 색분해작업의 중핵적인 작업인 계조변환(물론, 이중에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기술이 포함된다)에 합리적인 이론의 뒷받침이 되었으므로 어쨌든 난해시되어져온 색분해에 관한 기술교육을 합리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여 다색제판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색판과 먹판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i)컬러필름의 원고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사진필름의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사용하여 컬러필름 원고화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 정보치(Dn)로부터 광량치(Xn)와 기초광량치(Xn)를 구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기초 광량치(Xn)를 하기 〈계조변환식(1)〉에 의해 계조변환하여 망점면적%치로 변환하는 단계와, 이것에 의해서 먹(B)판 이외의 C(시안판), M(마젠타판), Y(엘로우판)중 어느 것인가 하나로 미리 결정되어진 기준색판의 색분해커어브를 상기 기초광량치와 망점면적%치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나타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진 공정과, (ⅱ) 상기 기준으로 되는 색판용의 색분해커어브에 대하여 먹(B)판을 설정하기 위한 광량치의 범위(XBxH∼XBxS) 및 망점면적%치(aBH∼aBS)의 범위를 결정하는 공정과, (ⅲ) 먹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광량치범위(XBxH∼XBxS)내의 임의의 화소의 광량치(Bxn)를 망점면적%치로 변환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i) 공정에서 결정된 초기조건하에서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여 먹판용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는 공정과 (ⅳ) 상기 (ⅱ) 공정에서 결정된 기준으로 되는 색판용의 색분해커어브에 따라서 색판을 제작하는 공정및, (ⅴ) 상기 (ⅲ) 공정에서 설정된 먹판용의 색분해커어브에 따라서 먹판을 제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계조변환식(1)]
    axn=aH+α(1-10-K·xn)(aS-aH)/(α-β)...............................(1)
    상기식에 있어서 ; xn : 이것은 xn=[Xn-XHn]로 나타내는 기초광량치를 나타낸다. 즉, aXn은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색판용의 원고화상상의 화소의 농도정보치(Dn)로부터 구한 대응하는 화소의 광량치(Xn)로부터 원고화상상의 최명부(H부)의 농도정보치(DHn)로부터 구한 대응하는 최명부의 광량치(XHn)르 차감하여 구하여지는 기초광량치를 나타낸다. 단, 먹판의 최명부(H부)는 먹을 넣기 시작하는 부위(먹시점부)라고 바꿔 부른다. axn: 원고중의 임의의 화소에 대응한 각색판(C, M, Y) 및 먹판(B)상의 화소에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aH: 각색판의 최명부 혹은 먹판의 먹시점부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aS: 각색판의 최암부 혹은 먹판의 먹을 넣음이 끝나는 부위(먹종점부)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α : 인쇄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이의 표면반사율, β : β=10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k : k=γ/(Xsn∼XHn)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단, Xsn에 사진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기준으로 되는 색판용의 원고 화상상의 최암부(S부)의 농도정보치(DS)로부터 구한 대응하는 최암부의 광량치를 나타낸다. 단, 먹판에 있어서는 먹종점부의 광량치를 나타낸다. γ=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 색판(C, M, Y) 및 먹판(B)에 관하여 xn, n, Hn, Sn, H, S의 앞에 C, M, Y, B의 첨자를 붙여서 〈계조변환식(1)〉을 운용하는 것으로 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사진원고의 사진필름 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이 종축을 농도치, 횡축을 노광량치로 한 직교좌표계로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의 스케일을 종축의 농도치 스케일에 일치시켜 상기 종축의 농도치로부터 횡축의 광량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이 되는 색판의 색분해커어브가 C판용 색분해커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판 이외의 다른 판의 농도정보치로부터 구한 광량치(XHn∼XSn)의 범위를 1.0(0∼1.0)으로 정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KR1019910007600A 1991-05-11 1991-05-11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KR94000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600A KR940007682B1 (ko) 1991-05-11 1991-05-11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600A KR940007682B1 (ko) 1991-05-11 1991-05-11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37A KR920021337A (ko) 1992-12-18
KR940007682B1 true KR940007682B1 (ko) 1994-08-22

Family

ID=1931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600A KR940007682B1 (ko) 1991-05-11 1991-05-11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37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2917A (en) Method for a reproduction of colored masters in four-color printing using color reduction
JP2796718B2 (ja) 画像の階調変換方法
EP0282305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EP034166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2939270B2 (ja) 画像の階調変換法
KR940007682B1 (ko)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JP3129755B2 (ja) 多色製版用墨版カーブの設定法
JPH0611771A (ja) 退色カラー写真原稿の階調変換法
KR920005056B1 (ko) 화상 특성의 변환 처리법
JP2787216B2 (ja) インクジエットプリンタ
KR930002877B1 (ko) 원고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계조변환법
JP2788920B2 (ja) 原稿画像から複製画像を製作するときの階調変換方法
KR940006098B1 (ko) 연속계조의 사진원고화상으로 부터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
KR930001614B1 (ko) 화상의 계조 변환처리법
KR920009979B1 (ko) 레이저비임 프린터
KR920008903B1 (ko)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JP29384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930004062B1 (ko) 더어멀프린터
JP3083581B2 (ja) ネガカラー原稿の階調変換方法
JP2791325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950000285B1 (ko) 퇴색컬러사진 원고의 계조변환법
KR0164030B1 (ko) 컬러스캐너
KR930004061B1 (ko) 잉크제트프린터
JP286325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754019B2 (ja) 製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