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03B1 -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03B1
KR920008903B1 KR1019890010144A KR890010144A KR920008903B1 KR 920008903 B1 KR920008903 B1 KR 920008903B1 KR 1019890010144 A KR1019890010144 A KR 1019890010144A KR 890010144 A KR890010144 A KR 890010144A KR 920008903 B1 KR920008903 B1 KR 92000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nsity
gradation
value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996A (ko
Inventor
다까시 누마구라
이와호 누미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Priority to KR101989001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903B1/ko
Publication of KR91000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제1도는 컬러필름의 기본농도특성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도는 기본농도특성곡선상에 있어서의 각종의 원고화상의 농도역을 설명한 것이다.
제3도는 개별농도특성곡선과 기준농도특성곡선의 정합의 원칙을 모식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4a도는 단순정합에 의해서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정합시킨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4b도는 비례정합에 의해서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정합시킨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회화, 모노크로 나 컬러사진등의 인쇄용 원고나 복사용원고, 촬상관이나 CCD에 축적되어 있는 피사체에 관한 화상정보등(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원화상」이라함.)으로부터, 인쇄화상등의 하아드화상이나 CRT(비데오)화상등의 소프트화상(광에 의한 일과성의 표시화상)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복제화상」이라함.)을 작성할때의, 즉 원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작성할때의 신고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복제화상을 작성할 때, 원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성특성(이하, 「화질」이라함.)이 비표준적인 것을 표준적인 화질의 농도특성으로 변환하여, 변환후의 농도특성정보를 신규의(계조변환식)에 의거하여 처리하고, 항상 소망한 화질의 복제화상을 안정적으로 얻는 화상의 계조변환법, 및 그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이용해서되는 각종의 복제화상을 얻기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의 문제점]
원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작성할때의 화질의 변환처리기술에 있어서, 원화상의 품질(원화상의 계조와 색조를 말함. 이하 같음.)을 재현성좋게, 혹은 소망의 화질을 갖춘 복제화상으로 변환시킬 수가 있는, 기초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로 말하면, 원화상의 복제화상에 있어서의 품질재현, 혹은 소망한 화질을 갖춘 복제화상의 작성에 있어서, 그의 기본으로도 되는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비선형변화처리 기술」이 전혀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고 있어, 비과학적, 비합리적인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비선형 변환처리기술」(이하,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변환처리기술」, 혹은 단순히 「화상의 계조변환처리기술」이라함.)은, 공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처리, 공간주파수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처리, 소여의 화상을 통계적수법에 의한 화상처리, 혹은 부여된 화상의 패턴해석등에 관계되는 화상특성의 처리기술과는 근본적으로 상이되는 영역의 기술이며, 오히려, 전기 제화상처리기술의 기초가 되는 기술이다.
이것을 조금 구체적인 기술, 예를들면 원화상으로서의 컬러필름원고로부터 복제화상인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고찰하면, 원고화상의 최명부로부터 최암부에 이르는 농도특성을 합리적으로 파악하는 착상을 갖지않고, 또한 원고 화상과 인쇄화상의 화상특성의 상관관계를 결정할때(인쇄화상의 작성의 경우, 연속계조의 원고화상과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며, 통상 「(색) 분해 커어브의 설정」이라 일컬으고 있다.), 전혀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상의 계조변환처리에 관한 제문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화상의 작성에 있어서의 비표준적인 화질을 갖는 컬러필름원고의 색분해의 관계되는 제문제, 컬러복사기등의 디지털화상처리장치의 기능확충에 따르는 소프트 및 하아드웨어 기구의 복잡화의 문제, 사진화상소부(燒付)에 있어서의 노광량제어기구의 성능의 한계의 문제, 텔레비화상등의 휘도화상의 화질조정기능의 고도화대책의 문제, 레이저프린터, 잉크제트프린터, 더어멀프린터등에 있어서의 작업적규칙성을 갖는 스무우드(smooth)한 계조의 2치(망점계조, 다치를, 포함함.) 화상의 작성의 문제, 저조도영역에 있어서의 촬상기술의 시간 및 촬상기구의 제약의 극복의 문제, 화상을 응용한 각종검사 및 관리장치등의 기구의 간소화의 문제, 화상정보의 전송량의 감소화의 문제, 화상처리장치 일반의 기구의 간소화와 성능의 향상과 코스트의 저감화의 문제등, 모든 문제의 근원은, 기본적으로는, 원화상에 대해서 그의 최명부로부터 최암부에 이르는 농도특성을 합리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있다는 것, 및 원화상과 복제화상의 두 개의 화상을 상관시키는 수단, 방법을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고 있는 것에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과제]
본 발명자등은, 원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작성할때에 사용하는, 현재의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변환처리 기술은, 원화상, 예를들면, 복제화상인 인쇄화상을 작성할때의 사진원고에 대하여, 그의 최명부로부터 최암부에 이르는 농도특성을 합리적으로 파악하지않고 있다는 것, 및 화상특성의 변환처리의 기본으로는, 양화상(원고화상과 복제화상)의 상관관계의 결정이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존한대로 있는 것, 이라는 기본인식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기본인식하에서, 앞서 본 발명자등은, 전기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계조변환기술을 과학적, 합리적인 것으로 하기위하여, 특정의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전기 양화상의 화상특성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제안을 행하였다(특원소 62-148912호, 특원소 63-114599호 참조).
그러하지만, 본 발명자등의 그후의 연구의 결과, 전기한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거하여 행하는 화상의 계조변환처리기술은, 표준화질의 컬러필름원고를 스켄너에 의해 색분해하여 재판하거나, 타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극히 효과적이나, 비표준적인 화질의 컬러필름원고등에 대하여서는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는 것이다. 판명되었다. 즉, 이들 비표준적화질을 갖는 원고로부터 소망의 화질을 복제화상을 작성하려면, 시행실험을 필요로 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성특성이 표준적인것이든, 비표준적인것이든, 그의 화상특성성에 좌우됨이 없이, 항상 확실히, 소망한 화질을 갖추고 있는 복제화상을 작성할 수가 있는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구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을 개략하면, 본 발명은, 원화상을 계조변환하여 복제화상을 작성함에 있어서, (i) 원화상의 최명부농도치(Hn) 및 최암부농도치(Sn) 및 그 Hn-Sn에 이르는 개별농도특성곡선 fDn(X) (단, X는 원화상 및 복제화상의 농도(D)와 상관하는 노광량등의 물리량을 나타냄.)을 규정함과 함께, (ii) 인간의 시각감각에 있어서 적절한 화질의 복제화상을 주는 기준원화상을 최명부농도치(Ho) 및 최암부농도치(So) 또, 그 Ho-So에 이르는 기준농도특성곡선 fDo(X)를 규정하고, (iii) 이어서 전기 개별농도특성곡선 fDn(X)를 기준농도특성곡선 fDo(X)로 조정함과 함께, 원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 Dn에 대응하는 조정후의 농도정보치 Do를 구하고, (ⅳ) 다음에 전기한 바와 같이해서 얻어지는 원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 Dn에 대응하는 조정후의 농도정보치 Do에 의거하여, 하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방법, 및 전기화상의 계조변환법을 화상처리부에 짜넣은 각종의 복제화상을 작성하기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계조변환식]
Figure kpo00001
[전기 <계조변환식>에 있어서, [f(Do-Ho)] : 원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 Dn에 대응하는 조정후의 농도정보치 Do로부터, 기준원화상의 최명부농도치 Ho을 차감한 기초농도정보치. y : 원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에 대응한 복제화상상의 농도계조농도치. yH: 복제화상상의 최명부에 설정되는 농도치. ys: 복제화상상의 최암부에 설정되는 농도치. α : 복제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재의 표면반사율. β : β=10-γ로부터 구하여지는 수치. k : γ/(So-Ho)로부터 구하여지는 수치. γ : 임의의 수치.]를 각각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 본 발명의 전기한 (계조변환식)의 개발과정에 대하여, 우선,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개발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등은 앞서 인쇄화상등의 복제화상을 작성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특원소 62-148912호 참조).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자등은 화상의 계조변환처리기술로부터 인간의 경험이나 감을 배제하기 위하여 그 기술의 기본이되는 원화상과 복제화상의 두 개의 화상특성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때,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으로 그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가 있는 특정의 (변환식)에 의해 화상의 계조변환작업을 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구성은, 이의 앞서 제안한 화상의 계조변환처리기술을 더욱 일반화한 관계에 있고 앞서 제안한 계조변환시에 사용되는 (변환식)의 유도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구성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먼저, 앞서 제안한 인쇄화상등의 복제화상을 작성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시에 사용되는 (변환식)의 유도과정부터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복제화상으로서, 그의 최적의 대표예가 되는 다색인쇄화상의 작성에 과녁을 죄어 설명한다.
인쇄물의 작성시에 있어서 사진제판 카메라등을 사용하여, 연속계조의 컬러사진원고로부터,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을 작성할 때, 혹은 전자적색 분해장치(모노크로, 스켄너, 컬러, 스켄너)를 사용하여 컬러사진원고로부터 색분해작업을 행할때에, 원고화상의 계조를 연속계조로부터 망점계조로 변환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때에, 다음의 점을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인쇄화상인 망점계조화상에 있어서, ·인쇄화상의 농도계조를 표현하기위한 구체적 구성요소가 「망점의 면적」과 「잉크의 반사농도」의 두가지 라는 것, ·경험상, 전기「잉크의 반사농도」의 인자에 대하여서는, 인쇄판상의 최명부 H 및 최암부 S에 있어서의 망점을 바르게 인쇄용지상에 재현시켜서 인쇄하는 소위 적정한 인쇄를 행한다고하는 조건하에서는, 인쇄기상에서 가감되는 잉크의 량은 적성잉크량을 중심으로해서 ±약 10%이나(물건에 따라서는 화질이나 먹문자를 좋게하기 위해서, 흑판에서는 ±약 20%도 가감하는 수도 있으나), 잉크의 양이 계조나 색조를 변환시키는 정도가 적은 것, ·경험상, 인간의 시각감각은 「망점면적」백분율에 있어서의 1%의 차이라도 농도차로서 용이하게 식별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그 정도는 농도계보다도 뛰어나고 있다는 것, 또 제판 및 인쇄작업 공정에 있어서 동일 망점에 있어서의 면적 변동량은 수 10%에도 이른 다른 것, 이라는 객관적사실 및 경험칙을 생각한다며, 망점계조화상인 인쇄화상의 작성에 있어서 망점의 면적의 관리가 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안다.
또 전기한것과 관련하여 사진제판작업에 있어서는, 원고화상의 품질내용이 천차만별이라는 것, 사진제판작업에 이어지는 인쇄화상형성공정이 다양하며, 더구나 각각의 공정은 각각의 공정나름의 작업특질을 갖고 있는 것, 인쇄화상을 표현하는 인쇄용지등의 기재 및 인쇄잉크등의 색체의 특질이 다양하다는 것, 및 인쇄물 발주자의 인쇄화상에 대한 품질 평가기준이 한결같지 않다는 것 등의 배경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들 사진제판, 인쇄에 관계되는 복잡하며 불안정한 요인을 흡수하여 극복하기 위해서는, 컬러필름등의 연속계조화상인 제판용 원고화상을 망점계조화상인 인쇄화상으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작성하는 망점계조화상(인쇄화상)에 있어서 최명부 최소망점(yH)와 최암부최대망점(ys)를 소망의 것으로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고, 더구나 최명부로부터 최암부에 이른 화상의 계조를 소망한 바와 같이 계조에, 합리적이고도 간단히 설정하여 조정 관리할 수가 있는 수단을 설정하는 것이 절대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고방법에 입각해서, 본 발명자등은 하기에 나타내는 (변환식)을 이론적으로, 또한 제판실무와 정합되도록 도출하였다. 더욱, 여기서 주의를 환기하면, 하기의 인쇄화상의 작성시에 사용하는 (변환식)은, 본 발명의(계조변환식)과 언뜻보아서 같은 것 같지만, 각항의 의미나 수치나름으로 중요한 상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점은 후술하기로 하고, 하기의 (변환식)의 도출과정에 대해서 다시 설명한다.
(변환식)
Figure kpo00002
[단, x :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점 X의 기초농도치, 즉 동화상의 임의의 표본점 X에 있어서의 농도치와, 동화상의 최명부 H에 있어서의 농도치의 차, y : 인쇄화상상에 있어서의 전기표본점 X에 대응하는 Y의 망점의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 yH: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대하여 설정되는, 소망의 임의의 크기의 망점에 망점백분율의 수치, ys: 인쇄화상상의 최암부 S에 대하여 설정되는, 소망하는 임의의 크기의 망점의 망점면적 백분율의 수치, α : 인쇄용지의 반사율, β : 인쇄잉크의 표면반사율, k : (인쇄화상농도역)/(원고화상의 농도역)의 비를 각각 나타냄.]
전기한 망점계조인 인쇄화상의 작성시에 사용되는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y)를 구하는 (변환식)은, 일반으로 인정되는 농도공식(사진농도, 광학농도), 즉,
D=log Io/I=log 1/T
[Io=입사광량, I=반사광량 또는 투고광량, T=I/Io=반사율 또는 투과율]로부터 유도한 것이다.
이 농도 D에 관한 일반공식을, 제판·인쇄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A : 단위면적, dn : 단위면적내에 있는 각각의 망점의 면적, α : 인쇄용지의 반사율, β : 인쇄잉크의 표면반사율이다.]
본 발명은 이의 제판·인쇄에 관한 농도식(D')에, 전술한 연속계조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기초농도치(X)와, 이것에 대응한 망점 계조화상상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망점의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y)와의 관련지움의 요청을 짜 넣어서, 이론치와 실측치가 근사적으로 합치하도록, 전기(변환식)을 유도한 것이다.
전기(변환식)을 인쇄화상을 작성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방법에 적용하는 경우, 인쇄용지의 반사율(α), 인쇄잉크의 표면반사율(β), 및 인쇄화상농도역/원고화상농도역의 비(k)의 수치를 기초로하여, 인쇄화상의 H와 S에 놓고싶다고 소망하는 망점의 크기(yH, ys)를 임의로 선정하면서,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점(X)의 기초농도치(x)로부터 인쇄화상상의 대응한 표본점(Y)에 있어서의 망점의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y)를 구하도록 운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원고화상(연속계조화상)의 농도계조를 인쇄화상(망점계조화상)상에 1:1로 충실하게 재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다색제판(일반으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먹(BL)의 4판으로 1조라고 생각하고 있음)의 경우, 기준으로되는 판(다색제판의 경우, 주지한 바와 같이 시안판(C)이 기준의 판으로 됨.)의 작업기준 특성곡선, 즉 원고화상의 농도정보치를 인쇄화상의 망점면적치로 변환하기위한 기준으로되는 망점계조특성곡선이 결정되면, 그밖의 색판의 망점계조특성곡선은, 기준으로된 판의 y의 값에 인쇄잉크 각색의 그레이 바란스비에 기인하는 적절한 조정수치를 곱하므로서, 항상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 즉 화상의 계조변환을 전기(변환식)에 의거해서 행한다면, 다색인쇄에 있어서의 인쇄화상의 계조와 색조의 조정, 관리를 합리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등은, 이상과 같이해서 구한 (변환식)을 사용하므로서 종래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방법으로부터 탈각하여, 합리적으로 화상의 계조의 변환을 행할 수가 있고, 또한 계조와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색조에 대해서도 합리적으로 변환할 수가 있는 것을 앞서 제안하였다.
그러하지만, 그후의 연구에 있어서 전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일정한 학계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 한계란, 원고화상이 비표준적품질인 것, 특히 극단으로 나쁜품질 내용의 것(예를들면, 사진촬영시의 노광이 오우버 또는 언더인것)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계사항에 유효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등은 별도 γ치의 도입에 의해서 전기(변환식)중의 β치와 k치의 규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특원소 63-114599호 참조), γ치 자체의 결정에 시행실험의 반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완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γ치 자체를 정수화할 수 있는 화상의 계조변환처리기술을 확립하는 것은, 화상처리의 자동화, 에너지절약화(省力化)에 극히 중요한 것이다. 물론, 그와 같은 계조변환처리기술에 있어서, 인쇄화상의 화질을 의식적으로 변화시키고 싶을때에는, γ치로서 정수치 이외의 소정의 값을 채용할 수가 있다고하는 자유도가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는 일이다.
(ii)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에 의한 화상의 계조변환처리에 대하여,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화상의 계조변환처리를 행할때에는, 원고화상의 품질내용이 표준적인 것이든, 비표준적인 것이든 원고화상의 화질의 여하에 불구하고 유효하게 대응할 수가 있어, 소망의 화질을 갖는 복제화상(인쇄화상)을 항상,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전기 (i)항에서 설명한, 본 발명자등의 앞서 제안한 (변환식)의 운용상의 문제나 한계사항을 정리하면, (a) 원고화상의 농도특성곡선(컬러필름원고인 경우에는, 화상농도를 형성하기 이하여 가해지는 물리적처리양, 즉 노광량과 형성된 화상농도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곡선을 말함.)이, 직선 내지는 거의 직선적인 곡선인 경우에는,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으로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할 수가 잇으나, 그 이외의 경우(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가 항시 나타나는 상태인 것이다.)에는 유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것, (b) 제판메이커등에 입고 되어지는 원고화상의 농도특성곡선(이하, 개별농도특성곡선이라함.)을, 우선 소망하는 임의의 화질의 인쇄화상을 주기위한 기준으로되는 농도특성곡선(이하, 기준농도특성곡선이라함.)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조정후의 농도정보에 의거해서 (변환식)을 운용한다고하는 기술적구성이 짜넣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것에 있다.
이상의 점을 감안한다면, 화상의 계조변환처리에 있어서, 원고화상의 품질내용, 구체적으로는 그의 농도 특성곡선(개별 농도특성곡선)이 어떠한 것인가를 인식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규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본 발명자등은,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컬러필름원고에 있어서, 그의 사진감광재료는 농도특성곡선(전기한 노광량과 감광농도와의 상관곡선을 말함. 이하, 이것을 기본농도특성곡선이라함.)은, 현상처리조건이 일정한 경우(현상조건이 일정하고도 안정되어 있는 것은, 당업계에 있어서 주지의 것이다.),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즉, 사진감광재료의 기본농도특성곡선상에 주어진 원고화상의 최명부와 최암부의 두 개의 농도치를 특정하는 것으로서, 주어진 원고화상의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규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전기한 것은 인쇄화상을 얻을 때의 원고화상이외에, 다른 복제화상, 즉 정전화상, 레이저 복사화상, 잉크제트화상등의 하아드화상이나 소프트화상을 작성할때의 원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 말할수 있는 것이다.
컬러필름원고화상으로부터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그의 기초가 되는 최명부농도치(H)와 최암부농도치(S)를 포함한 전기의 기본농도특성곡선은, 사진잠재 메이커가 기술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 기존농도특성곡선의 일예로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나타내는 것이 채용된다. 이 기본농도특성곡선에 관한 화상정보는, 하아드, 소프트의 어느형태라 해도 무방하다.
원고화상의 H 및 S의 농도를 포함하는 개별농도 특성곡선은, 합리적으로 규정된것이라면, 예를들면 전기한 사진감광메이커의 발표하고 있는 사진감재의 기본농도특성곡선의 정보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고, 하아드이건, 소프트이것을 불문하고, 어떠한 기술정보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전기개별농도특성곡선을, 소망하는 적절한 화질의 복제화상을 위한 기준으로되는 원고화상의 농도특성곡선, 즉, 기준농도특성곡선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전기 기준농도특성곡선의 규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으로 어느화상처리기술에 의거하여 소망하는 화질의 복제화상을 항상 안정적으로 주는 기준이되는 원고화상의 기준농도특성곡선은, 전기한 기본농도특성곡선상의 소정의 영역(range)를 규정한 것이다.
이 경우, 기본농도특성곡선상에 있어서, 기준 농도특성곡선은 전기 개별농도특성곡선과 상이하는 여역(range)의 것이라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이런 상황은, 후술하는 제2도에 의해 나타낸다.)
그러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준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상에서 구하지 않아도, 소망의 화질을 갖춘 복제화상을 작성하기 위하여, 다른 농도특성을 갖는 곡선을 채용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즉, 전기기준농도특성곡선은, 기본농도특성곡선상의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 규정할 수가 있는외에도 직선적농도특성곡선, 혹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갖는 농도특성곡선등으로 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기술의 상법으로 되어있는, 표준화질인 컬러필름원고화상의 농도특성곡선을 가지고, 기준농도특성곡선으로 하는 것도 좋고, 또, 사용자의 좋아함, 스켄너의 특징, 필름으로부터 판재에로의 망점의 전이율, 인쇄에 있어서의 도트게인, 화상의 성질이나 이용목적등을 고려해서 곡선의 형태나 곡선의 수를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다음에, 전기한 두 개의 농도특성곡선의 조정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한 두 개의 곡선, 즉 개별 농도특성곡선과 기준농도특성곡선은, 예를들면 함수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으로 수학적처리등에 의하여 조정(여기에는, 완전히 적합시키는 경우를 포함)시킬 수가 있다.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접합시킬 경우, 예를들면 기본농도특성곡선상에, 각 최명부농도치(Ho, Hn), 최암부농도치(So, Sn)를 포함하는 기준농도특성곡선, 개별농도 특성곡선을 규정한 경우, 양자를 정합, 조정하려면 기본농도특성곡선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함수로 규정되기 때문에, 수학적처리 또는 수학적처리를 기본으로한 화상처리를 행하면 되고 화상의 계조변환은, 완전히 합리적으로 수행된다. 그의 수학적처리의 방법, 수단은 복수인데로 생각되나, 가장 경제적이며, 간판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조정시키기위한 조립, 수단, 방법은 전기한 수학적처리외에, 전자공학적처리방식, 테이블참조방식, 콘버어터 변환에 의한 기계적인 처리등, 어느 조정방법이라도 채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기한 (계조변환식)을 사용하는 것을 전체로 하여, 원고화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규정함과 함께, 소망의 화질을 갖춘 복제화상(인쇄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요건을 채우는 기준농도특성곡선을 설정하여 그의 양자를 수학적처리등의 합리적방법에 의해서 연결시킨다면, 원고화상이 표준화질의 것이든 아니든간에 관계없이, 어떠한 화질의 원고화상으로부터에서도, 전기(계조변환식)에 있어서의 γ치를 정수화하여, 항상, 확실하게, 소망한 화질을 갖는 복제화상을 작성할 수가 있다. γ치를 정수화할 수 있는 것의 의의(또한, 인쇄화상의 화질을 임의로 변화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γ치로서 소정의 값을 취할 수 있다고 하는 자유도가 확보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는 중요하며, 전기(계조변환식)의 항의 거의 모두를 정수화할 수 있는 것, 따라서 (계조변환식)의 계산도 그를 위한 기구도 간략화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기(계조변환식)의 운용면등의 특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농도정보치란 원화상(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이 인쇄화상을 작성할때의 컬러사진원고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각 화소의 갖고 있는 농도에 관한 물리량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나 좋으며,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동의어로서는 반사농도, 투과농도, 휘도, 강도, 광량, 전폭, 전류·전압치, 인쇄화상의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의의 가공, 변형, 유도하는 등을 하여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y=yH+E(1-10-k·[f(Do-Ho)])(ys-yH)
단,
Figure kpo00004
전기의 변형예는 α=1로 한 것이다. 이것은, 예로 인쇄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용지(기재)의 표면반사율은 100%로 한 것이다. α의 값으로서는,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으나, 실무상 1.0으로해도 관계없다. 이런 것은 비데오화상등의 휘도화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전기변형예(α=1.0)에 의하면,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yH를, 최암부 S에 ys를 예정한바대로 설정할 수가 있고,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큰 특징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복제화상(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있어서는, 정의에 의해 f(Do-Ho)=0으로 되는 것, 또 최암부 S에 있어서는 f(Do-Ho)=[기준화상농도역]으로 되는 것, 즉,
Figure kpo00005
따라서, -k·[f(Do-Ho)]=-γ로 되는것으로부터 명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α=1의 변형예)를 이용함에 있어서, 항상 예정한 바와 같은 yH와 ys를 인쇄화상상에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은, 이용자가 작업결과를 고찰하는데에도 극히 중요한 것이다. 예를들면, 인쇄화상에 있어서의 yH와 ys에 소망하는 값을 설정하여, γ치를 변환시키면(단, α=1.0), 각종의 다색제판시의 작업기준특성곡선, 즉 색분해특성곡선(이것은 망점계조특성곡선이라고도 한다.)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들의 색분해특성곡선하에서 얻은 인쇄화상을 γ치와의 관계로 용이하게 평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을 베이스로 한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방법은, 원고화상의 계조나 색조의 재현, 즉 원고화상의 품질을 복제화상(인쇄화상)에 1:1로 재현시키는데에 극히 유용하나, 그의 유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은 원고화상의 특성의 충실한 재현성이외에도 α,β,γ치 (또한 β와 k에 대하여 사용하는 γ치는 동일하거나 상의하여도 좋다.) 더욱 yH, ys치를 적의 선택하므로서 원고화상의 특성을 합리적으로 변경시키거나 수정시키거나 하므로서 극히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상특성의 변환」을 이와 같이 광의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을, 지금까지 특히 인쇄화상을 작성과의 관련으로 설명해왔으나, 그의 응용면은, 사실 인쇄화상의 작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응용면으로서는, (i) 이미 상세히 설명한 凸판, 평판, 망점그라비아, 실크.스크리인등의 인쇄화상, 혹은, 도트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가 있는 용융전자형감열전사화상등에서 볼수 있는 방점(도트)의 크기로 복제화상의 계조나 색조를 표현하려고 하는 경우(이것은 면적계조법이라고도 한다.)는 물론이거니와, (ii) 승화전사형 감열전사화상, (은염이용)열현상전사화상, 컨벤셔널.그라비야회상등에도 볼수 있는 일정면적의 화소당(예로, 1도트당)에 부착시키는 인쇄잉크등의 안료, 염료(색소)등의 농담에 의해 계조나 색조를 표현하려고 하는 경우(이것은 농도계조법이라고도 함.) (iii) 디지털식의 복사기(컬러복사기등), 프린터(잉크제트식, 버블제트식등), 혹은 팩시밀리등에서 볼수 있는 일정면적당의 기록밀도, 예를들면 도트수, 잉크의 입자의 수나 대소등을 변화시키므로서 계조를 표현하려고 하는 경우(이것은, 전기(i)의 면적계조와 유사한 것이다.) (ⅳ) 비데오신호, 텔레비신호, 하이비젼신호등의 화상정보에 관한 전기신호로부터, 단위면적의 휘도의 강약을 조정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CRT 화상이나 이것에서 계조가 있는 인쇄물이나 하아드복사를 얻으려고하는 경우, (ⅴ) 전기한 거의동등의 농도(휘도, 조도)영역에 있어서의 원화상과 복제화상과의 사이의 화상의 변환처리의 경우뿐만이 아니라, 공간적, 휘도적, 파장적 및 시간적불가시역에 있어서의 촬상, 예를들면 원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극히 낮기 때문에 원화상과 복제화상과의 사이의 농도역차가 작은, 저조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의 입력변환(고감도 카메라에 의한 촬상등)의 경우(이와 같은 경우 화상의 계조의 변환이라고 하기 보다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강조변환에 역점이 있다.). (ⅵ) 이밖에, 농도표시와 함께 망점면적 %등도 표시시키도록한 농도, 계조변환 기구부 농도계, 색분해 사전점검용(예를들면 교정용 컬러푸루우프)나 색분해교육용 시뮬레이터등의 인쇄관련기기등에 응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을 사용한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법을, 전기한 각종의 응용분야에 적용할 때, 연속계조(하아드한원고도, 소프트한 원고도 포함.)로부터 입수되는 화상농도에 관한 화상정보 및/또는 화상정보 전기신호(아나로그 이건 디지털이건 어느것이나 좋다.)를 전기한 각종 응용분야의 기기의 화상변환처리부(계조변환부)에서 행하여 그의 처리치인 y치(계조강도치)에 대응시켜서 기기의 기록부(기록헤드)의 전류치나 전압치, 혹은 그의 인가시간등을 제어하고, 망점면적, 일정면적, (1화소)당의 도트수, 일정면적(예로 1도트)당의 농도등을 변화시켜서 원화상의 농도계조를 1:1로 대응시킨 망점계조등의 복제화상을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을 베이스로한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법을 사용하여, 망점계조화상인 인쇄화상의 원판, 즉 인쇄용원판을 제작하려면, 당업계에 있어서 주지된 기존시스템을 이용하면되고, 시판의 전자적색분해장치(컬러, 스켄너, 토탈, 스켄너)등의 색분해.망촬영기구에, 본 발명의 화상의 변환처리법을 짜넣으므로서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컬러사진등의 연속계조화상인 원고화상에 대하여 작은 스폿광을 조사하여 이의 반사광 혹은 투과광(화상정부신호)를 광전변환부(Photomultiplier)로 수광하고, 광의 강약을 전압의 강약으로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정보전기신호(전기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소요의 정리, 가공을 행하고, 컴퓨터로부터 아웃풋되는 가공한 화상정보전기신호(전압치)에 의거해서 노출용 광원광의 제어를 행하고, 이어서 생필름에 레이저의 스폿광을 쬐어 인쇄용 원판을 작성하는 주지의 기존시스템에 있어서, 예를들면 원고화상의 화상정보 전기신호를 정리, 가공하기위한 컴퓨터의 계산처리기구부에서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서으로 조정시키는 것과 함께,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을 이용하여 연속계조의 화상정보전기신호를 망점계조의 화상정보 전기신호로 하는 것이 되는 소프트를 짜넣으면 좋을 뿐이다. 이와 같은 소프트로서는, 본 발명의 개별농도 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으로 조정하는 것과 함께 전기(계조변환식)의 알고리듬을 소프트웨어로서 보유하고 또한 A/D(아나로그-디지탈변환), D/A의 I/F(인터페이스)를 갖는 범용컴퓨터, 알고리등을 로직으로 하여 범용 IC에 의해 구체화한 전기회로, 알고리듬연산결과를 보지한 ROM을 포함하는 전기회로, 알고리듬을 내부 로직으로하여 구현화한 PAL, 게이트 어레이, 커스텀 IC 등등 각종의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모듀울화가 발달되어 있고, 본 발명의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으로 조정함과 함께, 전기 <계조변환식>을 베이스로하여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를 행할 수가 있는 연산실현기구는, 전용의 IC, LSI, 마이크로 푸로셋서, 마이크로컴퓨터등의 모듀울로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광전주사용의 스폿광을 순차적으로, 점으로 분활하면서 진행시키며, 한편 레이져노광부도 이것과 동기하도록 행하면, 전기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도출되는 망점면적백분율의 수치(y)를 갖는 망점계조의 인쇄용원판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특성의 변환처리는, 입력변환의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통상이지만, 출력변환, 기록, 전송, 해석, 표시등 어느과정에 있어서도 행할 수가 있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는 일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요를 검증하기 위하여, 화상처리중에서 가장 복잡한 요소를 안고있는 대표적인 사례인, 인쇄화상의 작성에 있어서의 화상의 계조변환, 즉, 스캔너분해를 예로해서 설명한다.
(i) 먼저, 원고화상의 개별농도특성곡선, 또는 소망의 화질을 갖춘 인쇄화상을 얻기위한 작업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농도특성곡선의 쌍방을 컬러필름원고의 감재메이커인 F 사가 일반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컬러필름기술자료에 기재되어 있는 기본농도 특성곡선에 구하였다. 이것을 제1도에 나타냈다. 또한, 종축은 컬러필름농도(D)를, 횡축은 노광량(X)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내는 기본농도특성곡선으로부터 X→D를 구하는 함수 fD(X), 그의 역함수가 되는 D→X를 구하는 함수 fx(D)를 구하면 하기 제1표와 같게된다. 또한 제1표에서는 기본농도특성곡선을 될 수 있는 대로 충실하게 규정하기 위하여, X 또는 D의 정의역마다 최적함수를 구하였다.
[표 1]
(기본농도 특성곡선의 함수표시)
Figure kpo00006
(ⅱ) 개별농도특성곡선을 특정하기 위하여, 동곡선상에 컬러필름 원고화상의 H와 S의 농도치인 DHn와 DSn(이하, 개별농도특성곡선의 것이란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n의 인덱스를 사용함.)를, 또 기준농도특성곡선을 특정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DHo=0.20, DSo=2.80, (이하, 기준농도특성곡선의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0의 인덱스를 사용함.)의 값을 플롯했다. 이 상황을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다.
(ⅲ) 개별농도특성곡선과 기준농도특성곡선의 조정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개별농도특성곡선을 수학적처리에 의해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조정하기로 하였다. 이 조정의 예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농도특성곡선의 Dn치로부터 Xn치(개별농도특성곡선의 X축의 값을 나타냄)를 구하고 이것을 XHo와 XHn의 차, 즉 m만 정 또는 부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제3도에는 원고화상이 노광언더에 의해 촬영된 것, 즉 XHo<HHn의 관계의 것이 나타내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노광오우버는 이의 역의 관계에 있다.
또,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에 있어서, 다음의 점을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XRo(표준 원고의 노광량레인지)와 XRn(비표준적인 개별원고의 노광량레인지)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정합(최명부농도치를 같은 값으로 정합시켜, 최암부의 정합을 불문으로하는 태도.)와 비례정합(최명부농도와 최암부농도의 양자를 정합시키는 태도.)에 의해서 양 농도특성곡선을 정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때의 정합작업에 사용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m : 필요평행이동량
XRo : X축상의 표준원고의 노광량레인지
XRn : X축상의 비표준적인 개별원고의 노광량 레인지
(ⅳ) 구체적인 정합 케이스에 대하여
구체적인 접합케이스로서, 컬러필름원고화질의 대표예인 표준화질(DHo=0.20, DSo=2.80), 하이키이(DHn=0.10, DSn=2.70) 및 로우키이(DHn=0.60, DSn=3.20)의 세 개를 취하였다. 그의 실험의 결과를 한데 모은 것이 제2표이다.
[표 2]
개별농도특성 곡선과 기준농도특성 곡선의 정합자료
Figure kpo00009
실험결과에 의하면, 그들의 개별농도특성곡선을 기준농도특성곡선에 비례적으로 정합시켜,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진촬영시의 노광량이 과다하여 하이키이한 화질로 된 컬러필름원고 화상으로부터도, 혹은 노광량이 너무적어서 로우키이인 화질로 된 컬러필름원고화질에서도, 표준노광량으로 촬영되어 표준화질을 갖는 컬러필름원고화상을 스켄너분해하여 얻어지는 인쇄화상의 화질과 같은 화질을 갖춘 인쇄화상을 얻을 수가 있었다.
또, 화상의 최명부를 같은 좌표점으로하여, 상기 두 개의 농도특성곡선의 형을 대비한 결과를 제4a도 및 제4b도에 나타낸다. 제4a, b도로부터, 개별농도특성곡선이 기준농도특성곡선에 정합되어진 경우, 농도계조, 특히 최명부 및 최암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농도계조가 훌륭하게 수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ⅴ) 인쇄화상의 작성에 대하여, 이어서, 상기자료에 의거하여, 표준화질, 하이키이, 로우키이의 세 개의 대표적화질의 컬러필름원고를, 상기 농도특성곡선정합용 소프트 및 <계조변환식>의 계산용 소프트를 짜넣은 퍼스널 컴퓨터 PC-9800을 개재하여, 컬러필름원고를 스켄닝해서 얻어진 전기신호(호상정보)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시행한 HELL 사제 DC-360ER 스켄너를 사용하여 색분해를 행하고, 듀퐁사의 크로마린교정법에 의해서 교정인쇄화상을 만들어, 그의 화질의 평가를 행하였다. 더욱, 이때의 γ치로서 1.0을 사용하였다.
그들 세 개의 교정인쇄화상은, 상호로, 거의 같은 품질, 즉, 같은계조, 같은색조로, 어느것이나 그레이 발란스나 컬러발란스가 갖춰진것이었다. 또 화질의 세부에 대하여 발하면, 당연한 결과이긴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서 만들어진 교정인쇄화상에서는, 하이키이의 컬러필름원고에서는 하이라이트부의 계조, 로우키이의 컬러필름원고에서는 암부의 계조를 보다 풍요로우며 자연스런 감각의 것으로 할 수가 있었다.
또, 동시에, 색흐림이 있는 복수점의 컬러필름원고로부터, 같은 공정을 거쳐서, 교정인쇄화상을 작성해 본즉, 어느것이나, 컬러필름 원고화상에 있는 색흐림은, 복제화상인 교정인쇄화상에서는 잘 제거되어 있었다. 즉, 발명의 기술은, 소위, 색흐림제거에 대하여서도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여, 화상처리의 최초의 공정에 있는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 특성의 변환처리 기술을, 미리 설정한 임의의 화질을 비치하고 있는 복제화상을, 항상 확실하게 작성할 수가 있는 과학적이고도, 합리적 기술로 개량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다음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1) 생산기술이나 제품품질에 불안정함과 혼란을 생기시켜왔든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거하는 종래의 화상특성의 변환처리기술, 즉, 화상의 계조나 색조등의 변환, 및 그들의 변경, 수정, 조정, 관리등의 기술을,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인 기술로 치환시킬 수가 있다.
(2) 화상특성의 변환처리기술, 즉 화상의 계조나 색조등의 변환, 및 이들의 변경, 수정, 조정, 관리등의 모든 기술에, 작업적규칙성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 때문에, 기술, 생산성, 코스트, 품질등의 고도화하고도 안정화에 대한 공헌은 지대한 것이 있다. 그의 구체예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스켄너나 시뮬레이터의기구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가 있어서, 그의 코스트를 저감화할 수가 있다. 현재의 스켄너에 있어서는, 필수의 기구인, 인간의 경험과 감에 의거하여 설정된 색분해특성곡선(망점계조특성곡선)등을 수식화하기 위한 전자계산기등의 계산기구나, 그들 특성곡선의 기억장치를 불필요하게 하거나 혹은 극히 간소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② 인쇄화상형성을 위한 제판공정에서 필수의 작업이었든, 시간과 노력과 코스트를 요하는 번접한 색분해 특성곡선(망점계조특성곡선)등의 설정수속 그 자체를 불필요하게 한다.
③ 더욱, 현재의 인쇄화상의 형성공정에서는, 일반으로 필수라고 이해되어있는 교정수속을 불필요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현재 필요 혹은 편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화상형성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품질이 좋은 제품이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④ 인쇄화상의 형성에 있어서는, 원화상의 품질이 표준적인 것, 혹은 비표준적인 것을 불구하고, 항상 같은 작업수속, 같은 작업시간에 안정적으로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판시간은 대폭으로 단축되어, 자료의 절약을 도모하며 나아가서 종래 30-40%에도 이르던 고쳐작업을 적어도 5%까지 감소시킬 수가 있어, 제판에 있어서의 순발력을 크게할 수가 있다.
⑤ 인쇄화상등에 있어서의 복제화상의 품질 즉 화상의 계조의 색조가, 항상, 인간의 시각감각에 있어서, 적절하고도 자연스러웁게 느끼는 화질을 갖는 화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게 된다.
(3) 모든 화상처리기술의 교육, 훈련과정을,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인 내용으로 변혁할 수가 있다.
(4) 모든 화상처리에 있어서, 그 화상특성이나 화상의 계조,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변환, 변경, 조정, 관리등의 일상작업이 합리적이며, 과학적, 계획적이고도 규칙적으로 된다.
(5) 저조도영역에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부족한 경우의 촬상(화상정보의 입력변환)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기이해 필요했든 광량자수적분촬영시간의 제약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촬상 대상물의 변동속도의 여하에 불구하고, 저조도역에 있어서의 촬상에 있어서도 선명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됨.
(6) 화상정보처리용 IC 혹은 LSI 등의 아아키텍튜어(Architecture)에 있어서, 화상정보의 연산회로의 설계를 합리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고, 또한 그의 기능을 고도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것은, 디지털화상등의 처리용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적어도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변환처리에 있어서는, 기능을 고도화하면서 설계를 간단하게하고, 소프트 웨어의 하아드웨어화를 용이하게 하여, 소프트웨어 코스트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7) 화상인식이나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이용한 검사, 관리용의 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화상부분의 콘트라스트만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그들 장치의 기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그의 제작코스트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8) 화상정보처리용 시뮬레이터, 농도계등의 기기종류에, 본 발명의 기술을 도입시키므로서, 그의 기능의 질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그들의 기기류의 위치와 역할과를, 시스템전체의 기술과, 보다 일층 긴밀한 정합성이 얻어지도록 한다.
(9) 모든 화상처리기기가, 구조나 기구가 합리적으로 간소화되어서, 사용 용이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Claims (4)

  1. 원고화상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기초로하여서 원고화상의 계조변화에 의하여 복제화상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제화상의 제작방법이 (i) 원고화상의 최명부농도치(Hn)와 최암부농도치(Sn) 및 상기 Hn~Sn의 영역에 있어서의 개별 농도특성곡선 fDn(x)를 규정하는 단계(단, x는 원고화상 및 복제화상의 농도치(D)와 상관하는 노광량등의 물리량을 나타냄.)와, (ⅱ) 인간의 시각감각에 있어 적절한 화질의 복제 화상을 제공하는 기준원고화상의 최명부농도치(Ho)와 최암부농도치(So) 및 상기 Ho~So의 영역에 있어서의 기준농도특성곡선 fDo(x)를 규정하는 단계와, (ⅲ) 상기 개별농도특성곡선 Dn(x)를 기준농도특성곡선 fDo(x)에 조정함과 함께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Dn)에 대응하는 기준원고화상상의 조정된 농도정보치(Do)를 결정하는 단계 및, (ⅳ) 이어서 상기와 같이하여서 결정된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Dn)에 대응하는 기준원고화상상의 조정된 농도정보치(Do)에 기초하여서 하기 <계조 변횐식>을 사용하여서 상기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조변환방법.
    [계조변환식]
    Figure kpo00010
    단, 상기 <계조변환식>에 있어서, (Do-Ho) :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의 농도정보치(Dn)에 대응하는 기준원고화상상의 조정된 농도정보치(Do)로부터 기준원고화상의 최명부농도치(Ho)를 차감한 기초농도정보치. y :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호소에 대응한 복제화상상의 화소의 농도계조강도치, yH: 복제화상상의 최명부의 화소에 설정되는 소망의 농도계조강도치, ys: 복제화상상의 최암부의화소에 설정되는 소망의 농도계 조강도치, α : 복제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재의 표면 바사율, β : 식 β=10-r에 의해서 구하여지는 수치, K : 식 K=r/(So-Ho)에 의해 구하여지는 수치, r :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가 원고화상을 광전적으로 주사함에 의해서 얻어진 농도정보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계조강도치(y), (yH) 및 (ys)가 각기 망점 면적율(퍼센티지)로 나타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화상이 인쇄화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방법.
KR1019890010144A 1989-07-18 1989-07-18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KR92000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144A KR920008903B1 (ko) 1989-07-18 1989-07-18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144A KR920008903B1 (ko) 1989-07-18 1989-07-18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96A KR910003996A (ko) 1991-02-28
KR920008903B1 true KR920008903B1 (ko) 1992-10-10

Family

ID=1928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144A KR920008903B1 (ko) 1989-07-18 1989-07-18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9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96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6718B2 (ja) 画像の階調変換方法
EP0282305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EP034166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US5072305A (en) Picture producing apparatus using picture information values correlated to light intensities in tonal conversion formula
US5313310A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GB2301253A (en) Tonal control of halftone colour image
KR920008903B1 (ko)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KR920005056B1 (ko) 화상 특성의 변환 처리법
KR930001614B1 (ko) 화상의 계조 변환처리법
JP2787216B2 (ja) インクジエットプリンタ
KR930004062B1 (ko) 더어멀프린터
JP2788920B2 (ja) 原稿画像から複製画像を製作するときの階調変換方法
KR910007217B1 (ko)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JP29384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920008900B1 (ko) 화상형성 장치
KR0156295B1 (ko) 잉크젯트 프린터
JP2743070B2 (ja) 画像特性の変換処理法
KR930002877B1 (ko) 원고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계조변환법
JP2844480B2 (ja) 画像の階調変換法
KR920009979B1 (ko) 레이저비임 프린터
JP286325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791325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3220869A (ja) 複製画像を製作するときの階調の管理法
KR940006098B1 (ko) 연속계조의 사진원고화상으로 부터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
KR940007682B1 (ko) 다색 제판용 장치에 있어서의 색판과 먹판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