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17B1 -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 Google Patents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17B1
KR910007217B1 KR1019890013527A KR890013527A KR910007217B1 KR 910007217 B1 KR910007217 B1 KR 910007217B1 KR 1019890013527 A KR1019890013527 A KR 1019890013527A KR 890013527 A KR890013527 A KR 890013527A KR 910007217 B1 KR910007217 B1 KR 91000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axis
image
value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038A (ko
Inventor
다까시 누마구라
이와호 누미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다까시 누마구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Priority to KR101989001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217B1/ko
Publication of KR91000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 G03C5/02Sensitometric processes, e.g. determining sensitivity, colour sensitivity, gradation, graininess, density; Making sensitometric we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제1도는 컬러필름감재의 각색(R, G, B) 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나타냄.
제2도는 제1도의 농도특성곡선상에, 각색판(C, M, Y)이 H부와 S부의 농도치를 가지고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의 레인지를 규정한 도면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농도특성곡선의 레인지에 있어서, X축상의 4관리점(XH, m1, m2, XS)와 D축상의 대응하는 4관리점(DH, m1, m2, DS)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도는 색흐림원인해석도(적색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로서, 제4도의 ①은 X축상의 각색판용화상정보의 4관리점중 XH와 XS를 일치시킨 도면, 제4도의 ②는 같은 방법으로 하여 D축에서 4관리점중 DH와 DS를 일치시킨 도면, 제4도의 ③은 D축상의 각색판용화상정보의 4관리점 DH, m1, m2, DS의 모두를 일치시킨 도면이다.
제5도는 색흐림원인해석도(황색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로서, 제5도의 ①은 X축상의 각색판용화상정보의 4관리점중 XH와 XS를 일치시킨 도면, 제5도의 ②는 같은 방법으로 하여 D축에서 4관리점중 DH와 DS를 일치시킨 도면, 제5도의 ③은 D축상의 각색판용화상정보의 4관리점 DH, m1, m2, DS의 모두를 일치시킨 도면이다.
[발명의 목적]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으로부터의 망점계조의 인쇄화상, 디지털복사화상등의 각종의 복제화상을 복제할 때의 불가결한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로 전자제판분야에 있어서의 컬러스캐너에 의해 색분해작업 및 기타의 분야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에 처리작업에 있어서, 컬러원고에 크건 작건 존재하는 색흐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는 소위 색흐림제거기술을 각종의 복제화상의 작성과정에 짜넣은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의 문제점]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으로부터, 인쇄에 볼 수 있는 망점계조표시(다치면적계조표시), 잉크제트기록에서 볼 수 있는 2차면적계조표시, 승화색소감열전사기록에서 볼 수 있는 직집농도계조표시등의 각종의 계조 변환에 의해 복제화상을 제작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들, 종래의 화상의 계조변환기술에 있어서, 공통된 문제점, 공통된 요구과제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의 점을 복제화상의 대표적 산업분야를 이루고 있는 인쇄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전자제판에 있어서, 고도로 메카트로닉스화된 컬러스캐너나 토탈스캐너등을 사용하여 색분해작업(이하 간단히 스캐너분해라 한다.)을 하고 있으나, 연속계조인 컬러원고화상을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화상의 계조변환이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즉, 작업수단으로서 전기한 바와 같이 고도로 메카트로닉스화되고 또한 고가인 컬러스캐너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상의 색분해실무에 있어서는, 의연하게도 작업자의 경험과 감에 크게 의존하여 스캐너분해를 행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것은, 컬러원고화상이 표준적화질의 것이 아니고 노광오우버나 언더등 농담의 차가 있는 경우, 또 색흐림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렇다. 특히 후자에 있어서는, 현실의 컬러원고화상에는 크건, 작건, 색흐림이 존재하나, 합리적인 색흐림의 제거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까닭에 스캐너분해에 의해 색흐림을 제거하고져 하는 경우, 작업자는 암돈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 현실이다.
전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다액의 투자를 요하는 컬러스캐너의 실질적 가동율은, 고도화되어 있기때문에 고능율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의연하게도 평균 약 30∼40%라고 하는 저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이것때문에 장시간에 이르는 시간외노동, 혹은, 심야작업을 보통으로 하는 노동환경의 개선(단납기화, 순발력의 강화), 및 기업의 경영력이나 경쟁력의 강화를 저지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본 발명자들은, 각종의 컬러원고화상으로부터 화상의 상태(계조와 색조)의 재현성은 물론이고, 더욱 나아가서 소망의 상태를 갖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중시되고 있는 색보정(수정) 기술보다 화상의 각화소의 농도계조(gradation)을 합리적으로 변환하는 기술이 중시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이 생각은, 컬러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화상의 농도계조의 변환기술보다 과학적인 해석이 비교적 용이한 색보정(수정)기술을 중시하고 있는 종래기술에 크게 반성을 촉구하는 것이다.
전기한 인식하에서 본 발명자동은, 먼저, 전기화상의 계조변환기술을 과학적, 합리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 특성의 계조변환식에 의거하여 계조변환을 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특개소 64-7770호 공보, 특원소 63-207326호, 미국특허 제4,811,108호, 미국특허 제4,833,546호등)
또한, 본 발명자등은, 복제화상의 참의 대상으로 되여야 하는 것은 피사체(실체화상, 실경)이여야 하기때문에 종래의 화상처리의 거의 전부가 피사체로부터 임수되어지는 화상정보를 어느기록매체(사진감광유체, 광전체, 광학전체등)에 축적하고, 거기에서 얻어지는 화상정보를 처리하고 있는 것, 즉 매체화상의 화상정보를 이용하고 있고, 피사체로부터의 참의 화상정보와 괴리되어 있는 것을 지적하고 그 때문에 대응책을 제안하였다. 즉, 인쇄화상인 경우, 종축(D축)을 농도치, 횡측(X축)을 노광량의 대수치로 하는 D-X 직교좌표계로 표시되는 감광유제의 농도특성곡선에 기인하여 결정되는 농도치를 화상정보의 출발점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사체(실체화상, 실경)으로부터 일차적인(생의, 원초적인)화상정보인, 노광량, 광량등의 참의 화상정보치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런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D축의 농도정보치를 감광유제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노광량, 광량을 나타내는 X축의 값으로 바꾸어 그 정보에 의거하고, 또한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거하여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한다고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특원평 1-35825호). 그러하지만, 전기한 복제의 대상으로되는 피사체의 화상정보를 중시한 새로운 복제화상의 제작기술은, 종래의 매체화상의 화상정보에 의존하는 기술보다 뛰어난 것이지만, 컬러원고화상이 크건, 적건 가지고 있는 색흐림의 합리적인 제거기술을 짜넣지 않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새로운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기초로 하는 것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컬러필름감재의 R, G, B 각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사용하고, 또 화상정보를 D축의 농도치로 바꾸어서 X축의 화상정보치(피사체로부터의 1차의, 생의, 원초적인 화상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전기한 색흐림이 있는 원고로부터에서의 합리적, 과학적으로 색흐림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색흐림의 제거기술을 짜넣어서 되는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을 개설하면, 본 발명은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으로부터 색흐림이 없는 망점계 조등의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있어서, (ⅰ) 컬러원고화상의 촬영에 사용한 컬리필름 감재의 적(R), 녹(G), 청(B)의 각색감광유제층의 각각의 농도특성곡선[종축(D축)이 농도치, 횡축(X축)이 노광량등의 화상정보치인, D/X 직교좌표계인 것]을 준비하는 것, (ⅱ) 컬러원고화상상에서 지정한 최명부(H부)와 최암부(S부)에 있어서의 각색감광유제층마다의 농도치 DH와 DS를, R[H안판(C)용], G[마젠다판(M)용], B[옐로우판(Y)용]의 각색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해서 D축상에 규정하는 것, (ⅲ) 각색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각유제층마다의 D축상의 DH∼DS의 농도치(Dn)로부터,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컬러원고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대응하는 X축상의 각색판용의 XH∼XS의 화상정보치(Xn)를 구하는 것, (ⅳ) X축상의 각색판용의 각 XH∼XS에 이르는 화상정보치(Xn)에 있어서, 계조변한을 관리하기 위한 소망하는 수의 관리점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치를 구함과 함께, 각 관리점의 XH∼XS에 있어서의 상대적 관계를 규정하는 것, (ⅴ) 전기 X축상에 있어서의 계조변환을 관리하기 위한 소망하는 수의 관리점의 화상정보치로부터, 전기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D축상에 대응하는 농도치를 구함과 함께, D축상의 각 관리점의 DH∼DS에 있어서의 상대적 관계를 규정하는 것, (ⅵ) 전기 X축상의 각 관리점의 각색판용의 XH∼X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와 대응하는 D축상의 각 관리점의 DH∼D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의해 색흐림의 객관적자료를 입수하는 것, (ⅶ) 전기(ⅲ)에서 구한 각색판용의 화상정보치(Xn)를 하기<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망점면적%등의 계조강치도(y)로 변환시킴에 있어, 하기 <계조변환식>중의 γ치로하여 전기(ⅵ)에서 입수한 색흐림의 객관적자료에 의거하여 설정한 소망의 값을 채용하여 하기 <계조변환식>을 운용하는 것, 이상으로 되는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의 각색필터농도인 농도치(Dn)로부터, 대응하는 각색판의 화소의 화상정보치(Xn)을 구함과 함께, 그 화상정보치(Xn)를 계조강도치(y)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로부터 색흐림이 없는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
<계조 변환식>
Figure kpo00001
단, 상기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
X : (Xn-XH)를 나타냄, 이 X치(기초농도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한 임의의 화소의 D축상의 농도치(Dn)를,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해서 X축상에 촬영하여 각색판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정보치(Xn)을 구한다. 같은방법으로 하여 컬러원고화상상의 H부의 D축상의 농도치(DH)에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XH)를 구한다. 그리고 X치는 전기 Xn치로에서 XH치를 차감하여 구한다.
y : 각색판에 있어서의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에 대응한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에 있어서의 망점면적 %등의 계조강도치.
yH :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에, D축상의 H부의 농도치 DH 또는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 XH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등의 계조강도치.
yS :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에, D축상의 S부(농도치 DS) 또는 대응하는 X축상의 XS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등의 계조강도치.
α : 복제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재의 표면반사율.
β : β=10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k :
Figure kpo00002
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단, XS는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한 D축상의 S부의 농도치 DS에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를 나타냄.
γ :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계속해서 본 발명을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 특히 크건 적건 색흐림(color cast, fog)을 갖는 컬러원고화상으로부터 망점계조의 인쇄화상을 제작하는 기술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컬러원고화상에 색흐림이 생기는 원인은 각종의 것이 있으며, 이것이 통일적인 색흐림을 제거하는 기술의 확립을 저지하고 있는 큰 요인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고도화된 컬러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너분해하는 경우, 전적으로 오퍼레이터의 암담적 대응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현재, 색흐림이 주된 발생원인으로서, 다음의 것을 열거하고 있다.
(1) 사진촬영시의 조명광원의 광질(색온도)이 부적절한 것, (2) 현상처리작업의 조건이 표준조건에 벗어나 있는 것, (3) 사진촬영시의 노광량이 적절하지 않는 것.
먼저,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이 각색감광유제의 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농도정보치(D축)으로부터 화성정보치(X축)을 구하고, 이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전기 <계조 변환식>에 의해 계조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더욱, 전기 <계조 변환식>은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농도공식(사진농도, 광학농도)
D=log Io/I=log 1/T
단, Io=입사광량, I=반사광량 또는 투과광량, 1/T=I/Io=반사율 또는 투과율
에서 유도한 것이다. 즉, 전기농도 D에 관한 일반공식을 제판·인쇄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제판·인쇄에 있어서의 농도
Figure kpo00003
단, A=단위면적, dn=단위면적내에 있는 각각의 망점의 면적, d=인쇄용지의 반사율, β=인쇄잉크의 표면 반사율
이상의 농도(D')를 기본으로 하고, 또 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점(화소)의 기초농도치(X)(즉, 화소의 실측농도치에서 원고화상상의 최명부의 농도치를 차감한 것)과 그 표면점(화소)의 망점면적%의 수치(y)와의 관련이 실측데이터와 합치하도록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구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04
yH=인쇄화상의 최명부(H)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yS=인쇄화상의 최암부(S)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이하여 구한 기본식의 새로운 운용에 관한 것으로 각 파라미터의 갖는 의미는 전기한 바와 같다.
그리하여,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이 어떠한 성격을 갖는 것인가, 그리고 그것이 본 발명에 의해 어떠하게 계조변환되는가를 설명한다.
<색흐림원고의 객관적자료의 입수>
우선, 색흐림원고가 어떠한 객관적 데이터(자료)에 의해 차지할 위치를 부여하게 되는가를 조사한다. 그러기위해서 컬러원고화상의 촬영에 사용된 농도특성곡선으로서 설명한다.
(1) 제1도에 EK사 코닥액타크롬 64(노광 : 데이라이트, 1/50초, 처리 : 프로세스 E-6, 농도측정 : 스테타스 A)의 R, G, B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이 나타내었다. 제1도는 종축(D축)이 농도를, 횡축(X축)이 노광량의 대수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2) 컬러원고상에 지정한 H와 S에 있어서의 R[시안판(C)용], G[마젠타판(M)용], B[옐로우판(Y)용]각색의 필터농도치 DH와 DS를 측정한다. 다음에 그 측정치를 그 농도특성곡선상에 플롯한다. 이것에 의해 각색마다의 농도특성곡선의 레인지가 규정된다. 이 과정을 제2도에 나타낸다. 또 R필터에서 C판용의, G필터에서 M판용의, B필터에서 Y판용의 화상정보를 얻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욱, 제2도에 있어서, 후술하는 실시예 1의 데이터가 첨가되어 있다.
(3) 다음에 각색마다에 규정된 농도특성곡선의 레인지를 X축에 투영하여 화상정보의 역치를 구한다. 이것에 의해 D축의 농도치(종래의 계조변환기술에 있어서 베이스로 한 정보치)로부터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X축의 화상정보치(본 발명의 계조변환기술에 있어서 베이스로하는 정보치)을 얻을 수가 있다. X축상의 화상정보치는 피사체(실체화상, 실경)에서 입수되는 광량이라는 물리량에 관련지워진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정보치이며, 한편 D축상의 농도정보치는 농도특성곡선에 의해, 본질적으로는 각유제층의 감도특성에 의해 뒤틀리고 기형화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처리에 있어서는 전자의 X축의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화상정보치를 사용하는 것이어서 종래기술과는 큰 상이함이 있다. 그리고, R, G, B 각색필터농도치에 대응하는 X축상의 C, M, Y의 각색판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정보치의 역치(XH∼XS)에 있어서, 화상의 계조변환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해서 관리점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XH(이는 D축상의 H의 DH에 대응), XH점 모임의 (XS-XH)/4=m2점, 중간점의 (XS-XH)/2=m1점, XS(이는 D축상의 S의 DS에 대응)의 4점을 관리점으로 한다. 또한 관리점의 설정수는 소망의 것으로 좋은 것은 말할나위도 없는 일이다.
X축상의 각색판을 제작하기위하여 사용되는 화상정보치의 역치(XH∼XS)에 설정된 전기 4점의 상대적관계는 말할나위도 없이, 일정하다. 그래서, 이들의 관리점을 역으로 각유제층(R, G, B)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D축상에 투영하고, 각 관리점의 대응하는 농도치(DH, Dm2, Dm1, DS)를 구하여 그의 상대적관계를 조사한다.
이들의 사정은 제3도에 나타내 있다.
본 발명자등은 제3도를 고찰하므로서 색흐림의 발생원인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즉, 각색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이것은 전기한 바와 같이 피사체로부터 입수되는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정보치이다). 이것이 농도특성곡선(R, G, B)에 의해 어떠한 허트러진 기형의 모습을 하여 컬러필름감재상에 컬러화상으로서 고정되어 D축상의 허트러진 기형의 모습을 갖는 농도정보치에 이르는가를 추적하여, 색흐림의 발생원인이나 색흐림의 내용을 상관지게 할 수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4) 다음의 더욱 상세히 색흐림의 내용이나 색흐림의 제거대책을 생각하기로 한다.
많은 실험결과에 의해서, 각색판(C, M, Y)을 제작하기 위하여 X축상의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화상정보치의 역치, 제3도에 의하면 XH, m1, m2, XS의 4점이 상대적관계와 D축상의 대응하는 각점(DH,Dm1, Dm2, DS)의 상대적관계가 똑같게 유지되어 있으면, 그 컬러원고에 색흐림이 없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크건, 적건 색흐림이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색흐림이 생겨있는 원인이나 내용에 관한 객관적자료(데이터)를 X축과 D축상의 관리점의 배열상태, 각색유제(R, G, B)의 농도특성곡선의 형식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합리적이고도 과학적으로 입수할 수가 있다.
제4도의 색흐림을 제거하기 위한 조사결과를 나타낸다.
X축의 화상정보치는, 당해 컬러원고화상을 촬영할 때에, 컬러필름감재에 도달하는 광량(노광량) 그 자체를 나타내고 있어,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화상정보치이며, 계조변환의 관리를 위해 설정한 4개의 관리점의 상대적관계는 모두 동일하다. 제4도의① 은, 이미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4도의 ①은 X축상의 각색판용(C, M, Y)화상정보치에 있어서, XH와 XS를 일치시켰을 때의 각 관리점의 배열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m1과 m2는 각판에 있어서 같은 배열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의 ②는, X축상의 각색판용(C, M, Y)화상정보치에 대응하는 D축상의 농도치(이것은, 종래의 색분해에 있어서 이용하는 구부러지고 기형인 정보치이다)이며, 또한 DH와 DS를 일치시켰을 때의 각 관리점의 배열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도의 ③은, 색흐림의 제거를 정량화하기 위한 극히 중요한 도면이다.
전기 제4도의 ②에 있어서, 종래의 색분해로 각색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 관리점의 농도치(뒤틀림이 있는 D축상의 농도정보치), 즉 X축상의 관리점에 대응하는 관리점(DH, Dm1, Dm2, DS)의 농도보정치에 있어서, m1, m2는 각색판(C, M, Y)마다에 완전히 어긋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시각이 컬러원고의 화질을 평가할 때 컬러원고의 전체를 총합화한 것, 즉 하나의 m1, 하나의 m2가 있는 것과 같이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 상황을 작도한 것이 제4도의 .③(후술하는 실시예 1의 수치데이터를 사용하고 있고, 적색흐림의 강한 원고의 것이다)이다. 제4도의 .①,②와 비교해서, 제4도의 ③에서는 Y판을 제작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DH∼DS간의 농도치가 M판의 상측에 위치(역전)하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등은, 이 상황(전기한 경우의 Y판의 역전현상)이 색흐림의 정성적이고도 정량화의 기초라고 생각하고 있다. D축상의 농도치에는, 전술한 색흐림의 발생요인(「발명의 구성」에서 언급한 (1) ∼ (3))이 전부 짜여 들어가 있으므로, 이 D축상의 농도치로부터 입수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에 의거하여 색분해(계조변환)할 때에는, 당연히 이점을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D축상의 농도치로부터 단순히 X축상의 화상정보치를 입수하여, 이것을 그대로 색분해하면, Y판의 망점면적%가 과대하게 되어 색흐림(적색흐림)을 합리적으로 제거할 수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제4도 ① ∼③ 의 고찰결과를, 전기 <계조 변환식>의 운용에 의해 각색판을 제작할 때에 반영시켜, 색흐림을 합리적으로 제거하고져 하는 것이다. 전기한 예로서 말하면 y판의 망점을 색흐림이 없을 때의 망점보다 감소시키지 않으면 안되나,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 망점면적%의 크기를 임의로 콘트롤할 수 있는 것은 γ치인 것으로부터(식의 성격으로부터 자명한 것이다), γ치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되는 것이다.
<계조변환작업에 대하여>
이상과 같이 색흐림의 해석작업을 마치고, 다음에는, 색분해작업으로 들어간다.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을 색분해하려면, X축에 나타내고 있는 뒤틀림이 없는 화상정보치를 전기 <계조 변환식>을 써서 망점계조화상의 망점의 망점면적%의 수치로 변환한다. 단, 이때 복제화상에 있어서 색흐림이 없이 그레이발란스가 잘 갖추워지도록 C판과 M판과 γ판간의 H, S 및 중간조의 망점면적%의 수치의 상호관계를 정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에는 α, β, yH, yS의 네개의 값을 변하게 하지 않는 한, 복제망점화상에 있어서 망점면적%의 수치의 배열상태, 즉 X축상의 화상정보치(노광량)와 망점면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X축 색분해커어브(각 화소의 Xn치에서 얻어지는 y치를 그래프상에 그린곡선)의 형태가 완전히 같게 된다고 하는 특질이 있으므로, 제4도의 ①로 표시 되어있는 색흐림은, 합리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된다. 또 제4도의 ③에서는 Y판이 M판보다도 농도가 높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Y판과 M판의 차에 상당하는 분을 망점계조화상을 만들 때, <계조 변환식>의 γ의 값을 바꾸어 조정하여, 예를 들면 Y판과 M판에서 같은 면적%의 망점이 얻어지도록 처리하면 된다. 이때, Y판을 M판에 맞추거나, M판을 Y판에 맞추어도 결과는 같다.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 γ의 값을 크게하면 얻어지는 망점의 망점면적 %의 값은 크게되고, 작게하면 작게된다고 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에 그의 운용은 극히 플랙시빌리티가 풍부한 것이다. 더구나 그의 망점면적%의 수치는, 상기 <계조 변환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계산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4도①~③에 의거하여 <계조 변환식>을 적절하게 운용하므로서, 합리적으로 색흐림을 제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계조 변환식>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D축상의 농도치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X축상의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화상정보치를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농도특성곡선을 바르게 수식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식화에 있어서는 적당한 방법에 의해 수식화하면 되고, 하등의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축=D=log=Io/I, 횡축=X=노광량의 대수치(단, X축의 눈금스케일을 D축과 동일하게 등간격의 눈금을 붙인 것이다.)로 하고, 또 a, b, c, d, f를 상수로 하여,
(가) 농도특성곡선의 다리의 부분(아래에 凸형상인 곳이며, D치가 적은 영역)
D=a·bc·(X+d)+e+f
(나) 거의 직선상인 부분(거의 직선상인 곳이며, D치가 중간치의 영역)
D=a·X+b 또는
D=a·X2+bX+C
(다) 어깨의 부분(위에 凸형상인 곳이며, D치가 큰 영역)
D=a·log{b+(X+C)}+d
등으로 수식화하면 된다(제1표(1)참조). 또 농도특성곡선의 전체를 소구분화하고, D=aX+b의 형식으로 수식화해도 된다.
또한, 전기한 (가)의 다리의 부분을 소구분화하여 D=aX+b의 형식으로 수식화하여도 된다(제1표(2)참조). 제1표 (1) (2)에 제1도에서 나타내는 EK사의 농도특성곡선을 수식화한 것의 결과를 나타낸다.
[제 표(1)]
Figure kpo00005
[제 표2(2)]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본 발명의 전기 <계조 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의의 가공, 변형, 유도하는 등으로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y=yH+E(1-10-kx)·(yS-yH)
단,
Figure kpo00008
전기의 변형예는, α=1로 한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인쇄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용지(기재)의 표면반사율을 100%로 한 것이다. α의 값으로서는,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으나, 실무상 1.0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 전기변형예(α=1.0)에 의하면,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yH를, 최암부 S에 yS를 예정한 바대로 설정할 수가 있고,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큰 특징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있어서는, 정의에 의해 X=0으로 되는 것, 또 최암부 S에 있어서는 X=XS-XH로 되는 것, 즉,
Figure kpo00009
로 되는 것으로부터 명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 (α-1의 변형예)를 이용함에 있어서, 항상 예정된 바대로의 yH와 yS를 복제화상인 인쇄화상에 설정하는 것이 되는 것은, 이용자가 작업결과를 고찰하는데에 극히 중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인쇄화상상에 있어서, yH와 yS에 소망하는 값을 설정하여 γ치를 변화시키면(단, α=1.0), 각종의 xX 축색분해커어브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X축색분해커어브 아래에서 얻은 인쇄화상을 γ치와의 관계로 용이하게 평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 <계조 변환식>을 사용한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피사체(실체화상)의 계조나 색조의 재현, 즉 피사체의 상태를 작업 규칙성을 가지고 인쇄화상에 1 : 1로 재현시키는데에 극히 유용하지만, 그의 유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기 <계조 변환식>은, 피사체의 특성의 충실한 재현성 이외에도, α, β, γ치, 더욱 yH, yS치를 적의 선택하므로서 피사체의 화상특성을 합리적으로 변경하거나 수정하거나, 하므로서 극히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응용면을, 이제까지 특히 인쇄화상의 제작과의 관련으로 설명해왔으나, 그의 응용면은 다만 인쇄화상의 제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의 응용예로서는, (ⅰ) 이미 상세히 설명한 64凸판, 평판, 망점그라비야, 실크·스크리인등의 인쇄화상, 혹은, 도트의 크기를 변하게(다치화)하는 것이 될 수 있는 용융전사형감열전사화상등에서 볼 수 있는 망점(도트)의 크기로 복제화상의 계조나 색조를 표현하고져 하는 경우(이것은 면적계조법이라고도 한다.)는 물론이고, (ⅱ) 승화전사형감열전사화상, (온염이용)열현상전사화상, 컨벤셔널·그라비야화상등에도 볼 수 있는 일정면적의 화소당(예로 1도트당)에 부착시키는 인쇄잉크등의 안료, 염료(색소)등의 농담에 따라 계조나 색조를 표현하고져 하는 경우(이것은 농도계조법이라고도 한다), (ⅲ) 디지털식의 복사기(컬러카피등), 프린터(잉크제트식, 버블제트식등), 혹은 팩시밀리등에 볼 수 있는 일정면적당의 기록밀도, 예를 들면, 도트수, 잉크의 입자의 수나 크기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계조를 표현하고져 하는 경우(이것은, 전기(ⅰ)의 면적계조와 유사한 것이다.), (ⅳ)비데오신호, 텔레비신호, 하이비젼신호등의 화상정보에 관한 전기신호로부터 단위면적의 휘도의 강약을 조정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CRT 화상이나 이것으로부터 계조가 있는 인쇄물이나 하아드카피등을 얻고져 하는 경우, (ⅴ) 전기한 거의 동등의 농도(휘도, 조도)영역에 있어서의 원고화상과 복제화상과의 사이의 화상의 변환처리인 경우뿐만이 아니라 공간적, 휘도적, 파장적 및 시간적불가시역에 있어서의 촬영, 예를 들면, 원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극히 낮기 때문에 원화상과 복제화상과의 사이의 농도역차가 작은, 저조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의 입력변환(고감도카메라에 의한 촬상등)인 경우(이러한 경우, 화상의 계조의 변환이라고 하기보다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강조변환에 역점이 있다.), (ⅵ) X선사진등의 검사 때문에 의료용정밀화상으로서, 피사체(환부 병소등)에 충실한 화상을 제작하고져 하는 경우, (ⅶ) 이밖에, 농도표시와 함께 망점면적도%등도 표시하도록 한 농도·계조변환기구부농도계, 색분해사전점검용(예를 들면, 교정용 컬러푸르우프)이나 색분해교육용 슈미레이터등의 인쇄관련기기 등에 응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전기한 각종의 응용분야에 적용하려면, 각종 응용분야의 기기의 화상변환 처리부(계조변환부)에서 전기 <계조 변환식>아래에서 처리하고, 그의 처리치인 y치(계조강도치)에 대응시켜서 기기의 기록부(기록헤드)의 전류치나 전압치, 혹은 그의 인가시간등을 제어하며, 망점면적, 일정면적(1화소)당의 도트수, 일정면적(예로 1도트)당의 농도등을 변화시켜서 피사체(실체화상)의 농도계조를 1 : 1로 충실하게 재현한 망점계조등의 복제화상을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사용하여, 망점계조화상인 인쇄화상의 원판, 즉 인쇄용원판을 제작하려면 당업계에 있어서의 주지인 기존시스템을 이용하면 되고, 시판의 전자적색분야장치(컬러·스캐너, 토오탈·스캐너)등의 색분해 망촬영기구에,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짜넣으므로서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컬러사진등의 연속계조화상인 원고화상(매체화상)에 대하여 작은 스폿광을 조사하여, 이의 반사광 혹은 투과광(화상정보신호)를 광전변환부(photomultiplier)로 수광하여, 광의 강약을 전압의 강약으로 변환해서, 얻어지는 화상정보전기신호(전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소망의 정리·가공을 행하고, 컴퓨터로부터 아웃풋되는 가공한 화상정보전기신호(전압치)에 의거하여 노출용 광원광의 제어를 행하고, 이어서 생필름에 레이저의 스폿광을 쬐어 인쇄용원판을 작성하는 주지의 기존시스템을 이용하면 된다. 이때에, 원고화상(매체화상)의 화상정보전기신호를 정리·가공하기 위한 컴퓨터의 계산처리기구부에 있어서, 원고화상(매체화상)의 농도에 관련한 정보치를 대응하는 피사체(실체화상)의 화상정보치에 조정시키는 동시에, 전기 <계조 변환식>을 이용하여 연속계조의 화상정보전기신호를 망점계조의 화상정보전기신호를 할 수가 있는 소프트를 짜넣으면 될 뿐이다.
이와 같은 소프트로서는, 소정의 농도특성곡선하에서 원고화상(매체화상)의 농도에 관련하는 정보치(Dn)를 피사체(실체화상)의 화상정보치(Xn)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전기 <계조 변환식>의 알고리듬을 소프트웨어로서 보유하고 또한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 D/A의 I/F(인터페이스)를 갖는 범용컴퓨터, 알고리듬을 로직으로하여 범용 IC에 의해 구체화한 전기회로, 알고리듬 연산결과를 보지한 ROM을 포함하는 전기회로, 알고리듬을 내부로직으로서 구현화한 PAL, 게이트어레이, 커스텀 IC 등등, 각종의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모듈화가 발달되어 있어, 본 발명의 전기 <계조 변환식>을 베이스로하여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할 수가 있는 연산실현기구는, 전용의 IC, LSI,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등의 모듈로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광전주사용의 스폿광을 순차, 점으로 분할하면서 진행시키며, 한편, 레이저노광부도 이것과 동기되도록 행하면, 전기 <계조 변환식>에 의해 도출되는 망점면적%의 수치(y)를 갖는 망점계조의 인쇄용원판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는 컬러원고화상에 있는 색흐림을 합리적으로 제거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무슨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기기류는 하기의 것이다.
(1) 컬러원고화상으로서 EK사제 액타크롬 64, 프로페셔날필름(데이라이트), 4"×5"로 촬영된 것을 사용했다.
(2) 스캐너색분해는, 크로스필드사제 마그나스캔 646-M(컬러스캐너)를 사용했다.
(3) 컬러교정은 듀폰사제의 크로마린을 채용했다.
(4) 컬러원고화상의 농도측정때문에 마구베스사제 마구베스 「R-927」(농도계)를 사용했다.
1. 색흐림원고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으로서, 화상의 전면에 적색의 흐림이 있는「부채」의 화상(이하「원고(1)」이라함)과, 마찬가지로 전면에 황색의 흐림이 있는「과실」(이하 「원고(2)」라함)을 선택하였다. 더욱 이들 두개의 화상의 색흐림의 정도는, 어느것이나 통상의 색분해작업의 기법에 의해서 처리한다고하면, 극히 난도가 높은 것이다.
2. 색분해작업의 준비
(1) 색분해커어브, 즉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을 운용해서 구하여지는 X축색분해커어브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전기 EK사제 필름에 관한 컬러필름감재의 D축/X축 직교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는 농도 특성곡선을 입수하였다(제1도). 제1도에는 R, G, B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이 나타내있다.
또, 제1도에 의거하여, D축치→X축치로 변환하기 위한 관계(함수화)일람표를 작성하였다(제1표). 함수화에 있어서, X축의 화상정보치로 노광량의 대수치(D축과 동일하게 X축에 등간격의 눈금을 붙이고 읽는 값)를 선정하였다.
(2) 컬러원고화상 및 복제인쇄화상의 제조변환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관리포인트로서, 각색판(C, M, Y)을 제작하기 위한 X축상의 화상정보치에 4점을 선정했다.
이 4점은, XH(DH에 대응하는 점), XS(DS에 대응하는 점), m1(XH∼XS의 중간점), m2(XH에 가까운쪽의(XS-XH)/4의 점)이다.
또한 이들 각색판용의 X축상의 4개의 관리점(XH, XS, m1, m2)는 농도특성곡선에 개재하여, 각각 D축상에 있어서의 DH, DS, m1, m2의 4개의 점에 대응하는 것이다.
(3)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 제판·인쇄작업의 현상을 고려하여, α=1.0으로하고, 또 식중의 γ치를 C판용으로 γ=0.45를 선택하였다. 더욱, γ치의 선택은 C판의 중간조(H쪽에 가까운 (S-H/4 점))에서 망점이 약 50%가 되도록 한 것으로 이것은 제판·인쇄의 실무를 반영한 것이다.
(4) 복제된 컬러인쇄화상에서의 그레이발란스를 정비하기 위하여, C, M, Y 각색판의 H, S 및 중간조에 있어서의 망점면적%의 상관관계는 당업계의 상법에 따라 하기 제2표와 같이 정하였다.
[제 2표]
색분해커어브설정을 위한 각색판용 표준망점면적%치 일람표
Figure kpo00010
(주) 표중의 수자는, 망점면적%의 수치
3. 색흐림의 해석(解析)
(1) 전기 2개의 컬러원고화상의 H 및 S의 농도치를 각색판용필터를 사용하여 농도계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제표3에 나타낸다.
[제 표3]
컬러화상농도치 일람표
Figure kpo00011
(2) 전기 D축상의 농도치를 제1도의 각 R, G, B별 농도특성곡선상에 플롯하고, 컬러원고화상의 C, M, Y의 각색판의 H∼S에 이르는 화상정보를 동곡선상에 규정한다.
이어서, X축상에 투영하여 X축상에 각색판(C, M, Y)의 화상정보치의 치역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 치역에 4개의 관리점(전술한 XH, m1, m2,XS)을 플롯한다.
다음에 D축상에 전기한 4개의 관리점에 대응한 관리점(전술한 DH,m1,m2,DS)을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D축상에 투영한다.
(3) X축상의 4개의 관리점의 위치관계, 대응하는 D축상의 4개의 관리점의 위치관계를 비교하여, 그들의 차이를 조사하고 색흐림의 내용 및 그의 제거를 위한 자료를 입수한다. 이들의 작업결과를, 적색흐림의 강한 원고(1)에 대하여서는 제4도 ①②③에 황색흐림이 강한 원고(2)에 대하여서는 제5도 ①②③에 나타낸 (3)-1. 제4도 ①②③에 의거하여 원고(1)의 색흐림의 내용을 해석한다. 많은 관찰자가 이 컬러원고화상을 관찰했을때 단순히 적색흐림이 화면전체에 나와있다고 판단한다. 그렇지만, 동도 ③을 보면 중간조에 있어서 Y판의 농도가 M판의 농도보다도 높은 것이 판명된다. 따라서 Y판과 M판의 농도차에 대하여 하등의 대책도 강구하지 않는다면, 복제컬러인쇄화상의 중간조에 있어서 황색이 많게 되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의 대책으로서 화상의 계조변환시에,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이 운용을 망점계조화상의 중간조에서 Y판의 망점이 작게 되도록, 동식중의 Y의 값을 0.135에 대신해서 0.100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후술하는 제4표에는 γ=0.100에서 얻어지는 망점면적%와, γ=0.135에서 얻어지는 것과를 대비하기 위하여 양자의 데이터가 나타내었다.
(3)-2. 같은 방법으로해서, 제5도 ①②③에 의거하고 원고 (2)의 색흐림의 내용을 해석한다. 제5도 ③의 각색판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하고 있다.
즉, 이 황색흐림이 강한 컬러원고 (2)는, 색분해가 곤란하여 어떻게 손을 쓸 수가 없다고 하는 당업계의 스캐너·오퍼레이터의 통념과는 반대로 R, G, B 각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에 의거하는 별개의 X축상의 화상정보치에 의하고, 또한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에 이해 색분해(계조변환)한다면, 특별한 색흐림제거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도 그레이발란스가 정돈된 상태(계조와 색조)의 좋은 복제화상이 얻어진다고 예상되었다.라고 하는 것은 본 발명의 <계조 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전기 제4도의 ③과 같지않고 단순히 D축상의 각색판의 농도레인지가 크건 적건 상이한 때에는, C판을 제작하기 위한 X축상의 화상정보치(각판용의 별개의 화상정보치가 아닌)을 사용하여 타판(M, Y)의 색분해커어브를 결정했을 때, 극히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고 하는 경험을 쌓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고 (2)용의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는 특별한 색흐림의 제거대책을 강구하지 않았다.
(4) 색분해커어브의 설정과 색분해
전기 (3)-1, 2의 색흐림의 제거에 대한 생각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자료를 작성하였다.
제4표에 원고(1)(부채)의 색분해커어브 설정자료의 일람표를, 제5표에 원고 (2)(과실)의 색분해커어브 설정자료의 일람표를 나타내었다.
[제 표4]
원고(1)-부채-색분해커어브설정자료 알람표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제 표5]
원고(2)-과실-색분해커어브설정자료 일람표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제 표4 및 제 표5의 자료에 의거하여 컬러스캐너용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여 색분해를 행하고, 컬러교정인쇄화상을 작성해 본즉, 어느 것이나 예측된 바와 같이, 색흐림이 제거되고 더구나 농도구배가 자연스러운 좋은 화질의 복제화상을 만들 수가 있었다.
이 결과를 종래 기술의 작품과 대비해 보면 다음의 점이 개량되어 있었다.
① 어느 화상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얻어진 컬러교정인쇄화상인 쪽이 화상전체의 농도구배가 인간의 보고 느낌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이며, 특히 중간조의 농도나 계조가 잘 재현되어 있어, 소위 볼륨이 있는 상태(많은 인쇄물발주자가, 볼륨이 있는 상태의 화상을 입수를 강하게 요망하고 있음.)를 얻을 수가 있었다.
② 색흐림에 대하여서는, 어느화상도,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제거할 수가 있었다. 컬러교정인쇄화상에서, 상기 2개의 기술에 의한 색흐림제거의 차는 원고(1)에 대하여서는, 전 ①항의 볼륨감의 상이를 제거하고, 그다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원고 ②에 대하여서는 큰 차이를 인정할 수가 있었다.
종래 기술의 작품은 컬러원고화상에 있는 황색흐림의 상태가 복제컬러화상에까지 미쳐서 전체적으로 황색이 많아진 상태의 화상으로되나, 본 발명에 의한 작품에서는 복제컬러교정화상의 전체적 색조가 컬러원고화상의 황색미가 낀 상태가 해소되고, 더구나 컬러화상의 피사체를 인간의 눈으로 봤을 때에 느끼는 것에 가까운 것이 얻어졌다.
③ 원고(2)에서는, 이미 화상전체에 강한 황색의 흐림이 있기 때문에 소위, 그레이의 색은 존재하지 않고 있으나, 색분해를 할 때 전체적상태, 또는 특정의 부분을 그레이로하면서 화상전체의 색조를 흐트러짐이 없도록 끝마무리 하는 것이 긴요한 기술이다. 그리고 이런 것은, 인쇄물발주자로부터의 강한 희망이기도 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해 이들의 요구에 답하는 것은, 극히 곤란한 일이지만,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할때에는 합리적이고도 합목적적으로 색분해할 수가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 전기한 것을 합리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되느냐 아니냐가, 색흐림을 합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색분해기술의 요점이기도 하다.
④ 색흐림을 제거하는 작업을, 기술이라고 하는 입장에서 검토해보면, 종래기술에서의 색흐림제거작업은, 작업수단으로서 고도화된 전자적장치(컬러스캐너)를 이용하고는 있으나, 그 작업에 합리적인 이론의 뒷받침이 없고, 기본적으로는, 전혀 암담적인 경험적 수법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할 때는 종래의 색흐림수법을 규칙성과 보편성과 탄력성이 있는 합리적인 색흐림제거기술로 바꾸어 놓을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컬러원고화상에 있는 색흐림을 합리적으로 제거하면서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인쇄화상등의 각종의 복제화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조금이라도 색흐림을 갖고있는 컬러원고화상(사진감광유제, 광전제, 광도전체등의 기록매체에 축적되어있는 각종의 매체화상)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색흐림을 제거하여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이 제공된다.
종래의 색흐림의 제거기술은, (ⅰ) 전혀 작업자의 경험과 감에 의거하여 색흐림을 제거하고져 하는 것, (ⅱ) 제판·인쇄에 있어서는(이것을 본 발명자가 앞서 제안한 것이지만), 원고의 촬영에 사용된 필름감광재의 농도특성곡선의 농도치(명세서중에서 설명한 D축의 농도치)를, 그것도 각색판에서가 아니라 하나의 대표적인 곡선(구체적으로는 C판을 제작하기 위한 R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으로부터 얻어진 농도치를 이용하여 색흐림을 제거하고져 하는 것, (ⅲ) 이것도, 본 발명자가 앞서 제안한 것이지만, 전기(ⅱ)의 기술을 다시 진행시켜서 필름감광재의 농도특성곡선으로부터 노광량치(명세서중에서 설명한 X축의 화상정보치)를 입수하여, 그것에 의거하여 색흐림을 제거하고져 하는 것(단, 이 경우도, R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으로부터 X축의 화상정보치를 이용하고 있다), 등이 있으나 전기 (ⅰ)s는 전적으로 비합리적이며 (ⅱ)/(ⅲ)은 상당한 전진을 한 것이지만 아직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화상의 제조변환시에 숙명적으로 색흐림을 수반하는 컬러원고로부터 객관적인 색흐림에 관한 자료를 입수함과 함께, R, G, B의 각색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에서 얻어지는 각색판(C, M, Y)용의 X축의 뒤틀림이 없는 정직한 화상정보치를 이용하고, 특정의 <계조 변환식>아래에서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하므로서, 합리적으로 색흐림을 제거하는 것이며, 복제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불가결한 것이다.

Claims (3)

  1.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상으로부터, 색흐림이 없는 망점계조등의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있어서, (ⅰ) 컬러원고화상의 촬영에 사용한 컬러필름감재의 적(R), 녹(G), 청(B)의 감색감광유제층의 각각의 농도특성곡선[종축(D축)이 농도치, 횡축(X축)이 노광량등의 화상정보치인, D/X 직교좌표계인 것]을 준비하는 것, (ⅱ) 컬러원고화상상에서 지정한 최명부(H부)와 최암부(S부)에 있어서의 각색감광유제층마다의 농도치 DH와 DS를, R[시안판(C)용], G[마젠타판(M)용], B[옐로우판(Y)용]의 각색필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여, D축상에 규정하는 것. (ⅲ) 각색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각색감광유제층마다의 D축상의 DH∼DS의 농도치(Dn)로부터,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컬러원고화상의 제작하기 위한 대응하는 X축상의 각색판용의 XH∼XS의 화상정보치(Xn)를 구하는 것, (ⅳ) X축상의 각색판용의 각 XH∼XS에 이르는 화상정보치(Xn)에 있어서 화상의 계조변환을 관리하기 위한 소망하는 수의 관리점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치를 구함과 함께, 각 관리점의 XH∼X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를 규정하는 것, (ⅴ) 전기 X축상에 있어서의 계조변환을 관리하기 위한 소망하는 수의 관리점의 화상정보치로부터, 전기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하여 D축상에 대응하는 농도치를 구함과 함께, D축상의 각 관리점의 DH∼D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를 규정하는 것, (ⅵ) 전기 X축상의 각 관리점의 각색판용의 XH∼X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와 대응하는 D축상의 각 관리점의 DH∼DS에 있어서의 상대적관계를 비교하여, 양자간의 차이에 의해 색흐림의 객관적자료를 입수하는 것, (ⅶ) 전기(ⅲ)에서 구한 각색판용의 화상정보치(Xn)를 하기<계조 변환식>을 사용하여 망점면적%등의 계조도강치(y)로 변환할 때에 하기 <계조변환식>중의 γ치로서, 전기(ⅵ)에서 입수한 색흐림의 객관적자료에 의거하여 설정한 소망의 값을 채용하여 하기 <계조 변환식>을 운용하는 것, 이상으로 되는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화상의 각색필터농도인 농도치(Dn)로부터, 대응하는 각색판의 화소의 화상정보치(Xn)을 구함과 함께, 그 화상정보치(Xn)를 계조강도치(y)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색흐림이 있는 연속계조의 컬러원고로부터 색흐림이 없는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
    <계조 변환식>
    Figure kpo00016
    단, 상기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
    X : (Xn-XH)를 나타냄, 이 X치(기초농도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한 임의의 화소의 D축상의 농도치(Dn)를, 각색감광유제층의 농도특성곡선을 개재해서 X축상에 촬영하여 각색판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정보치(Xn)을 구한다. 같은방법으로 해서 컬러원고화상상의 H부의 D축상의 농도치(DH)에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XH)를 구한다. 그리고 X치는 전기 Xn치로부터 XH치를 차감하여 구한다.
    y : 각색판에 있어서의 색흐림이 있는 컬러원고화상상의 임의의 화소에 대응한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상의 화소에 있어서의 망점면적%등의 계조강도치.
    yH :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에, D축상의 H부의 농도치 DH 또는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 XH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등의 계조강도치.
    yS :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에 D축상의 S부(농도치 DS) 또는 대응하는 X축상의 XS에 미리 설정되는 망점면적%등의 계조강도치.
    α : 복제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재의 표면반사율.
    β : β=10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k :
    Figure kpo00017
    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단, XS는 컬러원고화상을 각색필터에 의해 측정한 D축상의 S부의 농도치 DS에 대응하는 X축상의 화상정보치를 나타냄.
    γ :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냄.
  2. 농도특성곡선이 사진용감광재료의 흑화도 (농도 D)를 종축(D축), 노광량 E의 대소치(log E)를 횡축(X축)에 갖는 직교 D-X축 좌표계로 나타낸 사진특성곡선인 청구항 제1항에 기재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3. 농도특성곡선을 규정하는 직교 D-X축 좌표계의 D-X축의 눈금에 있어서, X축에 D축의 눈금과 마찬가지로 등간격의 눈금을 넣은 것인 청구항 제2항에 기재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KR1019890013527A 1989-09-20 1989-09-20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KR91000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527A KR910007217B1 (ko) 1989-09-20 1989-09-20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527A KR910007217B1 (ko) 1989-09-20 1989-09-20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38A KR910006038A (ko) 1991-04-27
KR910007217B1 true KR910007217B1 (ko) 1991-09-20

Family

ID=1929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527A KR910007217B1 (ko) 1989-09-20 1989-09-20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34B1 (ko) * 1999-10-08 2002-05-03 박호군 고투자율의 금속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38A (ko) 199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166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2796718B2 (ja) 画像の階調変換方法
JP2939270B2 (ja) 画像の階調変換法
JP2787231B2 (ja) 色カブリのない複製画像を製作するための画像の階調変換法
GB2301253A (en) Tonal control of halftone colour image
KR910007217B1 (ko) 색흐림이 없는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화상의 계조변환법
JP3129755B2 (ja) 多色製版用墨版カーブの設定法
KR920005056B1 (ko) 화상 특성의 변환 처리법
JP2787216B2 (ja) インクジエットプリンタ
KR930001614B1 (ko) 화상의 계조 변환처리법
CN1077375C (zh) 制作无偏色的复制图像所用的图像灰度变换法
KR930004062B1 (ko) 더어멀프린터
JPH06225145A (ja) 画像の階調変換法
JP2787217B2 (ja) レーザービームプリンタ
KR930002877B1 (ko) 원고화상으로부터 복제화상을 제작할 때의 계조변환법
JP2791325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920008903B1 (ko) 화상의 계조변환 방법
JP29384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920009979B1 (ko) 레이저비임 프린터
KR930004061B1 (ko) 잉크제트프린터
CN1040799C (zh) 从原稿的图象制作复制图象时的调色变换方法
JP2844480B2 (ja) 画像の階調変換法
JP2788920B2 (ja) 原稿画像から複製画像を製作するときの階調変換方法
KR920008900B1 (ko) 화상형성 장치
KR950000285B1 (ko) 퇴색컬러사진 원고의 계조변환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