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326Y1 -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326Y1
KR940007326Y1 KR2019910019266U KR910019266U KR940007326Y1 KR 940007326 Y1 KR940007326 Y1 KR 940007326Y1 KR 2019910019266 U KR2019910019266 U KR 2019910019266U KR 910019266 U KR910019266 U KR 910019266U KR 940007326 Y1 KR940007326 Y1 KR 940007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undercut
core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44U (ko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9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326Y1/ko
Publication of KR930010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제3도 (a)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b)는 제3도 (a)의 A-A'선 결합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1차 개방상태의 횡단면도, (b)는 2차 개방상태의 횡단면도, (c)는 3차 개방상태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의 요부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1차 개방상태의 종단면도, (b)는 2차 개방상태의 종단면도, (c)는 3차 개방상태의 종단면도.
제6도는 종래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c, 9c' : 탄성부재 12 : 상형판
14 : 고정축 상부고정판 21 : 녹킹캠
21a : 경사면 22b, 23b : 코어부
22a, 23a : 경사면 22, 23 : 슬라이드 코어
22c, 23c : 경사구멍 24a, 24b : 앵귤러핀
26 : 돌기 27 : 슬라이드홀더
27a : 슬라이드홈 28 : 스트로크 조정핀
본 고안은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언더컷을 용이하게 처리토록하여 제품의 외관품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사출금형이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고정판(A)에 녹킹캠(B)을 결합고정하고, 상기 상고정판(A)의 하측에는 스트리퍼판(C), 상형판(D)을 차례로 결합하며, 상기 상고정판(A)의 하측에는 슬라이드 코어(E)가 탄발설치되고 상기 상형판(D)의 하측에는 하형판(F)이 위치되어 지는데, 이때 금형이 열리게 되면 상기 녹킹캠(B)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승하면 슬라이드 코어(E)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되어 성형품(W)의 언더컷이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성형품(W)의 상측에 녹킹캠(B) 및 슬라이드 코어(E)의 선단이 직접 접촉됨에 따라 접촉부위에 파팅라인이 형성될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밀핀(B)의 작동시 파팅라인부에 플래시가 형성되어 제품외관의 품질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드 코어와 앵귤러핀의 상호동작에 의해 양측면 언더컷의 처리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성형시 파팅라인 및 플래시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품질을 더욱 향상시킨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는 고정측 상부 고정판에 스트리퍼판, 상형판이 장착되는 상부금형과 가동축 하부 고정판에 스페이스 블럭을 개재하여 하형판이 장착되는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형판의 양측면 언더컷부내에서 삽입, 이탈가능케 되는 코어부를 보유하고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는 돌기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단에는 하측으로 경사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 슬라이드 코어와, 이앙 슬라이드 코어의 경사면에 면접촉되는 경사면을 양측 하단에 보유하며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녹킹캠과, 상기 고정측 상부 고정판에 고정 설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경사구멍내에 삽입설치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를 슬라이드시키는 앵귤러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전체 횡단면도로서, 부호(1)은 가동측 하부고정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동측 하부고정판(1)은 그 중앙부에 에젝트봉(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가이드핀(3)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동측 하부 고정판(1)의 상측에는 스페이스 블럭(4)이 위치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상기한 에젝트봉(2)의 선단이 접촉된 밀판(5)이 위치되어 있고, 이 밀판(5)의 상단에는 성형품(W)을 취출하기위한 밀판(6)과 상기 밀판(5)을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핀(7)을 고정설치한 핀지지판(8)이 상기한 가이드핀(3)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리턴핀(7)은 탄성부재(9)의 탄발력에 의해 밀판(5) 및 핀지지판(8)을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한 스페이스 블럭(4)의 상단에는 하형판(10)이 장착되어 있고, 이 하형판(10)의 상측에는 하코어(1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하코어(11)는 성형품(W)의 하측부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밀판(6)의 선단이 성형품(W)의 하측에 접촉됨으로써 금형의 개방시 밀판(6)의 상승에 따라 성형품(W)의 취출이 가능케 된다.
상기한 하형판(10)의 상측에는 성형품(W)의 상측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상형판(12)이 탄성부재(9a)에 의해 탄발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안내구멍(13a)이 형성된 스트리퍼판(13)과 고정측 상부고정판(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의 일측에는 작동부시(15)를 개재한 볼트(16)가 삽입 설치되어 있고, 이 볼트(16)의 선단에는 인장봉(17)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인장봉(17)은 1차 개방시 작동하게 되며, 이때 머리부(17a)가 상형판(12)에 형성된 걸림턱(12a)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한 머리부(17a)가 이동한량 만큼이 1차 개방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볼트(16)와 고정측 상부고정판(14) 사이에 개재된 작동부시(15)는 2차 개방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작동부시(15)가 하강하여 걸림턱(14a)에 맞닿게 되는 그 양만큼 2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에는 삼단봉(18)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삼단봉(18)에는 3차 개방시 상기한 하형판(10)이 슬라이드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의 대략 중앙부에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 부시(19)가 삽입 설치되고, 그 상측에는 상기 스프루부시(19)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로케이트 링(20)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언더컷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상기한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의 하측에는 양측면에 경사면(21a)을 보유하는 녹킹캠(21)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있고, 이 녹킹캠(21)의 양경사면(21a)에는 상기 녹킹캠(21)의 상하이동에 따라 횡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코어(22)(23)가 탄성부재(9c)(9c')에 의해 탄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22)(23)는 상기한 녹킹캠(21)의 경사면(21a)과 대략 동일한 기울기를 갖고 면접촉되는 경사면(22a)(23a)를 내측에 보유하고 있으며, 성형품(W)의 언더컷부에 위치되는 코어부(22b)(23b)를 그 하측에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 코어(22)(23)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경사구멍(22c)(23c)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구멍(22c)(23c)에 삽입된 앵귤러핀(24a)(24b)은 상기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상기 앵귤러핀(24a)(24b)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25a)(25b)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3도(a)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슬라이드 코어(22)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그 A-A'선 결합 단면도로서, 상기한 슬라이드 코어(22)의 상기 녹킹캠(21)과 면접촉되는 방향과 직각방향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돌기(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26)와 대응하는 측방에는 상기 돌기(26)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27a)이 내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 홀더(2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홀더(27)의 슬라이드홈(27a) 내에는 녹킹캠(21)의 승강작동에 따라 측방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성형품(W)의 언더컷부에서 이탈되어지는 슬라이드 코어(22)(23)의 스트로크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트로크 조정핀(28)이 소정위치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스트로크 조정핀(28)은 슬라이드 코어(22)(23)가 슬라이드 될 때 돌기(26)의 선단이 이 스트로크 조정핀(28)에 부딪히게되어 더이상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드 코어(22)(23)의 스트로크의 조정을 가능케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9는 1, 2차 개방시 상형판(12)과 하형판(10)을 억제하기 위한 안전고리장치이며, 30은 밀판(5)이 후퇴시 이를 정지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정지핀이고, 31은 칼퀴핀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는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루 부시(19)를 통하여 수지물을 주입하면 성형품(W)의 사출이 완료된다.
이렇게 성형품(W)의 사출이 완료되면 금형이 열리게 되는데 이때, 탄성부재(9a)의 탄발력에 의해 1차적으로 상형판(12)과 스트리퍼판(13)의 사이가 제1도에 도시한 인장봉(17)의 L량만큼 제4도(a)와 도시와 같이 성형품(W)에서 핀포인트 게이트가 절단됨과 동시에 제5도(a)에 도시와 같이 고정측 상부 고정핀(14)이 녹킹캠(21)과 함께 상승됨에 따라 양슬라이드 코어(22), (23)에 형성된 코어부(22b)(23b)는 성형품(W)의 양측면 언더컷부에서 이탈된다.
즉, 상기 녹킹캠(21)의 상승에 따라 탄성부재(9c), (9c')의 탄발력이 슬라이드 코어(22), (23)에 작용하게 되면, 그 일측에 형성된 돌기(26)가 슬라이드 홀더(27)의 슬라이드 홈(27a)내를 슬라이드하여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성형품(W)의 언더컷부에 삽입되어 있던 코어부(22b), (23b)가 이탈됨으로써 양측면 언더컷이 용이하게 처리되어 진다.
이때, 양 앵귤러핀(24a), (24b)이 양 경사구멍(22c), (23c) 내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상승하면 양 슬라이드 코어(22), (23)는 내측으로 힘을 받게되어 슬라이드 되어 진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되는 양 슬라이드 코어(22), (23)는 스트로크 조정판(28)에 의해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량(S) 만큼 슬라이드 되고 더이상은 슬라이드 되지 않게 된다.
한편, 1차 개방이 끝남과 동시에 작동부시(15)가 고정측 상부고정판(14)의 걸림턱(14a)에 닿게되는 L1량 만큼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는 고정측 상부 고정판(14)과 스트리퍼판(13)이 분리되면서 스프루 부시(19) 및 칼퀴핀(31)에 형성되어 있는 런너가 분리되어 제4도(b) 및 제5도(b)의 도시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어서 상형판(12)과 하형판(10)이 삼단봉(18)의 L2량만큼 분리가 되는 3차 개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는 1, 2차 개방시 억제하고 있던 안전고리장치(29)가 해제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하형판(10)이 하강하게 되면 상형판(12)이 성형품(W)으로부터 분리되어 제4도(c) 및 제5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품(W)의 상측은 완전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에젝트봉(2)을 상승시키게 되면 밀판(5) 및 핀지지판(8)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따라 밀핀(6)이 상승하여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품(W)을 취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리턴핀(7)은 밀판(5) 및 핀지지판(8)의 상승시 탄성부재(9)를 압축시키게 되고, 성형품(W)의 취출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판(5) 및 핀지지판(8)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에 의하면 양측면 언더컷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코어부(22b), (23b)를 보유하는 양 슬라이드 코어(22), (23)가 탄성부재(9c), (9c')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상기 양 슬라이드 코어(22),(23)사이에 경사면(21a)을 보유하는 녹킹캠(21)이 면접촉되어 있으며, 경사구명(22c)(23c)내에 앵귤러핀(24a)(24b)이 삽입됨으로 인해 금형개방시 상기 녹킹캠(21)및 앵귤러핀(24a)(24b)에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코어(22),(23)가 탄성부재(9c),(9c')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코어부(22b), (23b)가 양측면 언더컷부로 부터 이탈되어 양측면 언더컷 처리가 신속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가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홀더(27)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7a)의 일측에 스트로크 조정핀(28)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의 스트로크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되고, 특히 종래와 같은 녹킹캠 및 슬라이드 코어가 직접 성형품(W)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파팅 라인 및 플래시가 형성되지 않은 외관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는 슬라이드 코어와 녹킹캠 및 앵귤러핀의 상호 작동에 의해 코어부가 언더컷부로부터 삽입, 이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양측면 언더컷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후에도 파팅 라인 및 플래시가 형성되지 않는 외관 품질이 더욱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정측 상부 고정판에 스트리퍼판, 상형판이 장착되는 상부금형과 가동측 하부 고정판에 스페이스 블럭을 개재하여 하형판이 장착되는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형판(12)의 양측면 언더컷부내에서 삽입, 이탈가능케 되는 코어부(22b)(23b)를 보유하고 내측면에는 경사면(22a), (23a)이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는 돌기(26)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구멍(22c)(23c)이 경사지게 형성된 양 슬라이드 코어(22),(23)와, 이 양슬라이드 코어(22), (23)의 경사면(22a),(23a)에 면접촉되는 경사면(21a)을 양측 하단에 보유하며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가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녹킹캠(12)과, 상기 고정측 상부 고정판(14)에 고정 설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경사구멍(22c)(23c) 내에 삽입설치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를 슬라이드 시키는 앵귤러핀(24a), (24b)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의 돌기(26)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27a)이 형성된 슬라이드 홀더(2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슬라이드 코어(22), (23)는 탄성부재(9c), (9c')에 의해 탄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홀더(27)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2), (23)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기 위한 스트로크 조정핀(28)을 슬라이드 홈(27a)의 일측에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KR2019910019266U 1991-11-12 1991-11-12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KR940007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66U KR940007326Y1 (ko) 1991-11-12 1991-11-12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66U KR940007326Y1 (ko) 1991-11-12 1991-11-12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44U KR930010644U (ko) 1993-06-23
KR940007326Y1 true KR940007326Y1 (ko) 1994-10-19

Family

ID=1932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266U KR940007326Y1 (ko) 1991-11-12 1991-11-12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3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3B1 (ko) * 2009-06-09 2011-02-14 김무형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KR101119938B1 (ko) * 2011-01-06 2012-03-12 김무형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3B1 (ko) * 2009-06-09 2011-02-14 김무형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KR101119938B1 (ko) * 2011-01-06 2012-03-12 김무형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44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342B1 (ko) 사출성형금형
US3060509A (en) Forming apparatus
US4009979A (en) Molding die apparatus
CA1315059C (en) Molding apparatus with improved ejector pin
JP4659286B2 (ja) 円筒成形品の射出成形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940007326Y1 (ko) 사출금형의 양측면 언더컷 처리장치
JPS5944979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2671356B2 (ja) 成形装置
JPS5922713A (ja) プラスチツク成形型のアンダ−カツト処理装置
JPH068287A (ja) 金型装置
KR20100002934A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US6220848B1 (en) Injection moulding die locking and opening device
JP3734738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910005177B1 (ko) 사출성형 금형
JPS61235117A (ja) 成形金型
JP2716750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9323342A (ja) 射出成形用金型
KR0138134Y1 (ko) 3단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JP3114161B2 (ja) 金型装置
KR890002578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커트 처리장치
JPH07329119A (ja) 射出成形金型
JP2692348B2 (ja) 射出成形金型
JPH06114874A (ja) 射出成形金型
KR910002499Y1 (ko)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