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07B1 - 박막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07B1
KR940006707B1 KR1019910019451A KR910019451A KR940006707B1 KR 940006707 B1 KR940006707 B1 KR 940006707B1 KR 1019910019451 A KR1019910019451 A KR 1019910019451A KR 910019451 A KR910019451 A KR 910019451A KR 940006707 B1 KR940006707 B1 KR 94000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urce
drain
length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289A (ko
Inventor
장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07B1/ko
Publication of KR93001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33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thin film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
제 1 도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도면으로 (a)도는 종래의 매트릭스 상에서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배치를 보인 개략 설명도, (b)도는 (a)도의 소오스, 드레인 전극부의 부분 확대도, (c)도는 (a)도의 등가회로.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관한 도면으로 (a)도는 소오스, 드레인 전극부에 대한 평면도, (b)도는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의 단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 발명은 SRAM 및 액정표시장치의 액티브 소자로 이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스 얼라인에 의한 불량감소 및 게이트 전극과의 중첩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게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구조를 개선한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박막트랜지스터는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화소전극의 선택적 구동을 의해 전기적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모스 트랜지스터의 역스태거드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소자는 기판, 예를 들면 유리기판 위에 게이트 전극을 증착 패터닝하고 이 위에 절연층과 채널 형성을 위한 비정질 실리콘층 그리고 신호라인에 연결된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패넌 형성되어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이러한 소자는 매트릭스 상으로 다수 배치된다.
제1(a)도는 종래의 매트릭스 상에서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배치를 보인 개략 설명도이다.
제1(a)도에서, 게이트 라인(1)과 소오스 라인(2)이 서로 겹치는 형태를 하고 드래인 전극(3)이 소오스라인(2)과 이격되게 배치된 형태를 하게 된다.
게이트 라인(1)의 게이트전극(1')과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2') (3)간에는 절연층과 반도체층(6)이 개재된다.
소오스, 드레인 전극(2') (3)이 트랜지스터 형성영역에 배선되고 소오스 전극(2')으로부터의 신호는 그 하부에 배치된 채널층 즉, 반도체층(6)을 경유하여 드레인 전극(3)으로 전달되는데 이 채널층의 폭은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폭에 의해 제한되므로 채널폭은 전극 패턴의 형태에 좌우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이하 TFT라 한다)의 고유의 문제점을 제1(b)도 및 (c)를 참조하여 지적한다.
제1(b)도는 종래의 소오스, 드레인 전극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b)도에서, 반도체층(6)위에 형성되는 소오스 전극(2')의 단부(e)가 게이트 전극(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2')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3)도 그의 단부(f)가 소오스 전극(2')의 단부(e)와 평행하게 상기 소오스 전극(도①)의 단부(e)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전극(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W"는 채널폭이고 "L"은 채널길이이며 GW는 게이트 전극의 폭이다.
통상 게이트 전극의 폭(GW)이 16μm일 경우에 채널길이(L)는 8μm정도가 되게 형성되는데, 게이트 전극(1')과 소오스, 드레인 전극(2') (3)이 중첩되는 길이는 미스 얼라인을 고려하여 양쪽으로 약 4μm를 허용하게 되어 게이트 전극(1')과 중첩되는 드레인 전극(3)의 면적이 다소 크게 설계된다. 중첩되는 면적(빗금친 부분)은 소자특성에 좋치 못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크게 설계되는 이유는 전극 패턴 형성시 노광장치에서 발생하는 미스 얼라인 때문이다.
제1(c)도는 제1(a)도의 등가회로이다. 도면에서 Cgs, Cgd, Cds는 각각 TFT의 게이트와 소오스전극, 게이트와 드레인 전극, 드레인과 소오스 전극 사이의 기생용량이다. 주사선의 전위(VG)가 △VG만큼 내려갈 때 화소전극 P점의 전위는 Cgd, 액정용량(C1c) 및 축적용량(Cstg)의 용량 분할에 의해 어느 전압만큼 시프트한다. 이 전압의 크기는
로 표기된다. 이 전압의 시프트는 비디오 신호의 정부에 상관없이 향상 화소전극 전위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화소전극에 유지되는 신호는 신호선의 비디오 신호에 대해 식(1)으로 표기된 오프셋 전압(△Vgd)만큼 낮게 된다. 이 오프셋 전압의 강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소위 플리커(Flicker. 화면의 가물거림) 및 잔상이나 동일 패턴을 장시간 표시하면 화면이 변화해도 전의 패턴이 지워지지 않는 흔적이 남는 등의 현상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오프셋 전압(△Vgd)은 여러가지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급적 이 값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오프셋 전압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1)에서 게이트의 드레인 사이의 기생용량(Cgd)을 줄여야 하겠지만 상술 하였듯이 게이트와 드레인이 중첩되는 면적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오프셋 전압을 줄이기 위해서는 축적용량(Cstg)을 크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TFT는 통상 절연 기판상에 증착된 수백 Å의 매우 얇은 반도체 박막을 사용하므로 채널영역에 유기되어있는 전자는 대부분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에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기생용량은 게이트와 드레인 전극간의 겹친용량만이 아니라 채널 영역의 전체 용량의 상당부분을 가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생용량에 대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또 TFT는 넌셀프 얼라인(Non self align) 구조를 만들어지는 수가 많아 겹친 용량도 크게 되는 외에 미스 얼라인에 의한 소자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채널폭 및 채널길이의 변화없이 Vgd를 줄일 수 있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오스, 드레인 전극을 형성할 때 문제시 되었던 미스 얼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오스, 드레인의 전극 구조를 제시하여 공정 불량을 줄인 박막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간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게이트 전극, 절연층, 채널 전도층인 반도체층, 소오스,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렌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는 소오스 전극의 단부가 상기 게이트 전극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소오스 전극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도 그의 단부가 소오스 전극의 단부와 평행하게 상기 소오스 전극의 단부와 마찬가지의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성 및 적용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는 이 발명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극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2(a)도에서, 기판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G) 위에는 전기적 분리를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절연층이 형성되며 이 위에 채널 형성을 위한 전도층인, 예를들면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형성되는 반도체층(9)이 마련된다. 이어서 이 위에는 소오스 전극(S)이 패턴 형성되고 이 전극에 소정 거리를 두고 드레인 전극(D)이 형성된다. 반도체층 간에 형성되는 오믹접촉을 위한 오믹층을 도시되지 않았다.
반도체층(9) 위에 형성되는 소오스 전극(S)의 단부가 게이트 전극(G)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소오스 전극(S)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D)도 소오스 전극(S)의 단부(g)와 대향되는 쪽의 드레인 전극(D)의 단부(h)도 마찬가지로 소오스 전극(S)의 단부(g)의 평행하게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채널폭(W')은 종래의 채널폭(W)과 같게 되도록 소오스, 드레인 전극(S) (D)이 형성된다.
한편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S, D과 게이트 전극(G)이 중첩되는 부분의 긴 변의 길이를 a, 작은 변의길이를 b라고 하면, 경사각(θ)는 다음과 같은 범위를 갖는다.
이렇게 되면 채널폭을 결정하는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폭(ML')이 줄어 든다. 이는 제2(b)도를 보면더욱 명백해진다.
제1(b)도는 이 발명의 전극 구조의 이해를 돕고자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단부를 도식화한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게이트 폭(W)이 되는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폭(W)은 게이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오스, 드레인 단면을 θ만큼 경사지게 형성했을 경우 경사진 전극의 단면 폭은 이 발명의 채널폭(W′)이 되고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폭은 ML'가 되어, 결국 소오스, 드레인 전극 폭만이 줄어든다. 즉, ML'=ML-W°Sinθ가 되어 종래의 채널폭(W)에 비해 이 발명의 채널폭(W')이 줄어듬 없이 소오스, 드레인의 폭(ML')만이 ML-W°Sinθ만큼 줄어들어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제2(a)도에서, 빗금친 사다리꼴의 도형은 소오스, 드레인 전극(S) (D)이 게이트 전극(G)과 중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소오스 전극측의 도형(20)은 드레인 전극측의 도형(30)과 합동이다. 그런데 이발명에서 소오스, 드레인 전극의 폭(ML')이 줄어들기 때문에 드레인 전극측의 도형(30)의 면적 역시 줄어든다. 이 도형의 면적은 오프셋 전압(△Vgd)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한다. 이 명세서의 서두에 밝힌 식(1)에 의하면 게이트와 드레인 전극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기생용량(Cgd)이 감소하면 오프셋 전압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 전극의 폭 (GW)을 16μm로 했을 경우에 소오스, 드레인 전극(S) (D) 형성시 미스 얼라인을 고려하여 대략 6∼10μm정도의 채널 길이(L)를 형성한다고 했을 때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측의 중첩부분을 나타낸 사다리꼴의 도형(30)에서, 윗면(c)의 길이는 2μm, 밑면(D)의 길이는 6μm정도가 되게 θ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드레인의 전극 구조를 게이트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여 개구율을 향상하고 채널폭 및 채널길이의 변화없이 Vgd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스 얼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게이트 전극, 절연층, 채널 전도층인 반도제층, 소오스,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렌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반도제층 상에 형성되는 소오스 전극의 단부가 상가 게이트 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소오스 전극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도 그의 단부가 소오스 전극의 단부와 평행하게 상기 소오스 전극의 단부와 마찬가지의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θ)는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이 중첩되는 긴 변의 길이를 a, 작은변의 길이를 b라고 할 때,
    를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KR1019910019451A 1991-11-01 1991-11-01 박막트랜지스터 KR94000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451A KR940006707B1 (ko) 1991-11-01 1991-11-01 박막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451A KR940006707B1 (ko) 1991-11-01 1991-11-01 박막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289A KR930011289A (ko) 1993-06-24
KR940006707B1 true KR940006707B1 (ko) 1994-07-25

Family

ID=1932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451A KR940006707B1 (ko) 1991-11-01 1991-11-01 박막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818B2 (en) 2001-01-29 2006-09-26 Seiko Epson Corporation Semiconductor film transis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818B2 (en) 2001-01-29 2006-09-26 Seiko Epson Corporation Semiconductor film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289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567A (en) Thin film transistors without capacitances between electrodes thereof
US5614427A (en) Method of making an array of TFTs having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KR19990026586A (ko) 평면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제조 방법
US5796448A (en) Structure for a parasitic capacitor and a storage capacitor in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95001986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30022127A (ko) 액정표시장치
US5835170A (en) Active matrix LCD with storage capacitors connect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gate lines, none of which is a gate line for driving the pixel
KR100333179B1 (ko)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소자및그의제조방법
JPH0633200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00041955A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JPH071319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940006707B1 (ko) 박막트랜지스터
US6392623B1 (en) Method for driving active matrix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3021869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nken gate electrod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H05251700A (ja) 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KR10049468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소자
KR100351874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KR940008220B1 (ko) 박막트랜지스터
JPS62247569A (ja) 半導体装置
KR100336885B1 (ko)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소자
US80592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3321949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88583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961786B2 (ja) 液晶表示装置
JP3369664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