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80Y1 -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 Google Patents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80Y1
KR940006580Y1 KR92008926U KR920008926U KR940006580Y1 KR 940006580 Y1 KR940006580 Y1 KR 940006580Y1 KR 92008926 U KR92008926 U KR 92008926U KR 920008926 U KR920008926 U KR 920008926U KR 940006580 Y1 KR940006580 Y1 KR 940006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door frame
frame
inclined contac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884U (ko
Inventor
김경득
오정훈
이형기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석강봉
주식회사 금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강봉, 주식회사 금 강 filed Critical 석강봉
Priority to KR92008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80Y1/ko
Publication of KR930025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 E06B3/9682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동상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4도의 제4a, b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2 : 밑틀 또는 윗틀부재
2' : 선틀부재 3, 3' : 중공부
5, 5' : 경사접면부 7a, 7b, 7a', 7b' : 체결부재
7' : 호형 접지판 7" : 원추형 지지돌기
8 : 호형 접면부
본 고안은 시멘트 혼화물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문틀부재를 건물에 시공함에 있어, 각 부재의 연귀를 접합시키기 위한 압출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시멘트 문틀(창틀)은 건물의 설치규격에 맞추어 윗틀과 밑틀부재 및 양측의 선틀부재로 구분하여 절단하되, 각 부재의 접합부를 ∠45。 가되도록 절단 하므로서 경사 접면부를 형성시킨 다음 이 경사접면부 상호간을 강력 접착제로 접합하여 문틀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접합작업을 수행키 위하여는 ∠45°로 절단된 경사접면부가 경사각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고 정교하게 접합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경사접면부 사이의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의 미끄러짐 방지와 각 부재의 직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각 부재의 압출시 기히 형성되는 중공부나 요홈에 "ㄱ"자형 체결부재를 끼워 고정하는 구성이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89-7059(이하 "선출원고안 1"이라 함) 및 동제89-7060(이하 "선출원고안2"라 함)로 선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체결부재는 중공부 또는 요홈에 끼워진 상태로 경사접면부가 접합되기 때문에 회수가 불가능한 소모품이므로, 각 부재를 미끄러지지 않도록하는 지지력을 보유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만을 부여하는 한도내에서 가급적 원자재가 적게 소모되는 염가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절실히 요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출원고안 1은 체결부재의 양측이 동형으로 형성되어 원자재를 과다하게 소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윗틀 또는 밑틀부재의 중공부에 체결부재의 일측봉을 끼운다음 선틀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4각 단면을 갖거나 돌조가 형성된 체결부재의 경우는 일단 중공부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축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되나 체결부재의 단면과 대응하는 중공부는 세멘트제라는 재질상의 특성과 이를 압출성형케 되는 제조상의 특성으로 그 단면 형상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므로 체결부재의 삽입이 어려워 시공시 많은 제약이 따랐으며, 원형단면을 갖는 체결부재는 자중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선틀부재의 조립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였고, 선출원고안 2는 체결부재의 양 체결간의 부재의 요홈에 끼워지느니 만치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절곡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취약점이 있으며, 더우기 그 고정을 고정나사로 나사공에 고정케하므로서, 부수적 부품의 추가 소요와 함께 작업공정을 복잡하게 하여 작업성을 저하시켰던 것이다.
특히, 이들 모두는 도면 제4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11a)의 직경(두께)을 중공부(3)(3')및 요홈(4)(4')에 꽉 끼이도록 형성하게 되면 각 부재(2)(2')의 경사접면부(5)(5')절단시 생성되는 분말(chip)이 체결부재(11a)의 내측절곡부와 경사접면부(5)(5')사이의 예리한 부분에 잔존되므로서 각 경사접면부(5)(5')가 밀접되지 못하고 간극(S)이 발생되어 각 부재(2)(2')의 접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기에 도면 제4도의(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11b)의 직경을 중공부(3)(3')및 요홈(4)(4')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여 체결케하므로서 간극(S)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체결부재(11b)가 헐겁게 끼워진 상태이므로 자연이탈될 우려가 있어 체결부재(11b)와 중공부(3)(3')사이에 접착제를 충진시켰던 바, 이에 따라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켰고 더우기 체결부재(11b)의 직경과 중공부(3)(3') 내경과의 오차로 인해 각 부재(2)(2')가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임의의 각도(∠χ)로 기울게 되어 건물에 설치후 선틀부재(2')와 창문 또는 문(도시된바 없음)이 정확히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중대한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원자재를 절감하여 제품을 염가로 제공토록하며, 체결부재가 중공부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부재를 완벽하고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동상의 조립상태 종단면도로서, 시멘트 혼화물을 압출 성형하여 필요길이로 절단하므로 밑틀과 윗틀부재(2) 및 양측 선틀부재(2')로 구분되어 문틀(1)을 형성함에 있어, 각 부재(2)(2')의 끝단을 ∠45°로 절단하여 경사접면부(5)(5')를 형성하고, 압출시 기히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3)(3')에 2개 이상의 체결부재(7a)(7b)를 끼워 고정하되 밑틀 또는 윗틀부재(2)의 중공부(3)에 호형 접지판(7')을 접착제로 접착한 다음 원추형 지지돌기(7")에 선틀부재(2')의 중공부(3')를 삽입하여 양측 경사접면부(5)(5')를 접착제로 접합토록 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도면의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상태 종단면도로서 체결부재(7a')(7'b)는 원추형 지지돌기(7")저면에 호형접면부(8)를 형성하여 이 호형접면부(8)를 밑틀 또는 윗틀부재(2)의 중공부(3) 내면에 접착제로 접착한 다음 원추형 지지돌기(7")에 선틀부재(2')의 중공부(3')를 삽입토록 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안내레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7a)(7b)의 호형 접지판(7')을 밑틀 또는 윗틀부재(2)의 중공부(3)에 강제로 밀어넣고 접착제로 접착시킨 다음 선틀부재(2')의 중공부(3')를 원추형 지지돌기(7")에 삽입시키게되면 선틀부재(2')는 자중에 의해 중공부(3')가 원추형 지지돌기(7")에 꽉 끼어진 상태가 되어 각 경사접면부(5)(5')가 밀접되게 되는데 양측 경사접면부(5)(5')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므로서 문틀(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호형접지판(7')의 지름을 중공부(3')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므로서 호형 접지판(7')이 자체 탄력에 의해 외방으로 벌어지면서 양단이 중공부(3')의 내연을 탄지하도록 하여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체결부재(7a)(7b)가 축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선틀부재(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원추형 지지돌기(7")는 상부가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하되, 하단의 지름을 중공부(3')의 내경과 같게 하므로서 선틀부재(2')의 자중에 의해 양측 경사접면부(5)(5')가 밀접되도록 하여 각 부재(2)(2')가 직각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체결부재(7a')(7b')는 호형 접지판(7')을 형성하지 않고, 원추형 지지돌기(7")의 저단면에 중공부(3')의 지름과 동일한 호형접면부(8)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접착시 약간의 주의를 요하게 되나 운반, 보관의 용이함 및 원자재 절감의 부수적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 설치에 따른 각 부재의 연귀맞춤을 완벽하고도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재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시멘트 혼화물을 중공부(3)(3')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단부가∠45°의 경사접면부(5)(5')를 갖도록 밑틀과 윗틀부재(2) 및 양측 선틀부재(2')로 구분 절단하고 이들 경사접면부(5)(5')를 접합하므로서 문틀(1)을 형성토록 한 것에 있어서, 직교되는 양측 중공부(3)(3')를 체결부재(7a)(7b)로 체결하되, 밑틀 또는 윗틀(2)의 중공부(3)에 이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 호형 접지판(7')을 강제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착하고, 하단의 외경이 중공부(3')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한 원추형 지지돌기(7")에는 선틀부재(2')의 중공부(3')가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 각 부재(2)(2')를 체결토록 한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지지돌기(7")의 저면에 중공부(3')의 직경과 동일지름의 호형접면부(8)를 갖는 체결부재(7a')(7b')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구조.
KR92008926U 1992-05-22 1992-05-22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KR940006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926U KR940006580Y1 (ko) 1992-05-22 1992-05-22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926U KR940006580Y1 (ko) 1992-05-22 1992-05-22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884U KR930025884U (ko) 1993-12-24
KR940006580Y1 true KR940006580Y1 (ko) 1994-09-26

Family

ID=1933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926U KR940006580Y1 (ko) 1992-05-22 1992-05-22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5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884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712B2 (en) Extruded composite interlocking corner assembly
KR940006580Y1 (ko)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US4943180A (en) Interlocking corner plug system
KR940006579Y1 (ko)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JPH10117854A (ja) 天板付き家具
KR940006635Y1 (ko) 압출 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US6352382B1 (en) Corner moulding and improved corner construction
KR200394073Y1 (ko)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JPH09132952A (ja) 組立式化粧柱及び該組立式化粧柱における芯柱への化粧カバー部材の取付工法
KR200257880Y1 (ko) 건축부재 고정용 패킹
JP3774553B2 (ja) 縦材と横材の接合構造
KR960003573Y1 (ko) 압출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 구조
KR200357494Y1 (ko) 인접하는 부재간의 접합용 체결구
JP5290824B2 (ja) 建具面材の固定方法および建具
JP4982904B2 (ja) パネル接続用連結具。
KR200399754Y1 (ko) 합성수지 창틀의 코너부 접합구조
JPH0115832Y2 (ko)
JPH1150553A (ja) 木材連結方法と構造並びに木材連結部材
JP2000154639A (ja) 床見切り材
IT8320704A1 (it) Telaio intercalare per vetrata multipla
JPH0321650Y2 (ko)
JP2002038634A (ja) 間仕切りパネルの連結構造
KR92000891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 보강재
JP3688388B2 (ja) 外壁の防水構造
JP2000199297A (ja) 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