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758Y1 -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 Google Patents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758Y1
KR940005758Y1 KR2019910020832U KR920020382U KR940005758Y1 KR 940005758 Y1 KR940005758 Y1 KR 940005758Y1 KR 2019910020832 U KR2019910020832 U KR 2019910020832U KR 920020382 U KR920020382 U KR 920020382U KR 940005758 Y1 KR940005758 Y1 KR 940005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guide
bar frame
fram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츠 조세프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울리히 마이에르 · 프릿츠 페. 마이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3828469A external-priority patent/DE3828469A1/d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울리히 마이에르 · 프릿츠 페. 마이에르 filed Critical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Priority to KR201991002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758Y1/ko

Link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제1도는 가이드 바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상세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얻어진 횡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가이드 바 베어링 장치 부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바 10, 11 : 스플릿 링
2, 7 : 선형 베어링 볼트 12, 13 : 경계면 리브
3, 8 : 볼 베어링 슬리이브 14 : 횡단 리브
5, 9 : 실린더형 슬리이브 15 : 샤프트
4 : 브랙킷 18 : 가이드
6 : 가이드 바 프레임 24, 25 : 나사
본 고안은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용 가이드 바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인바, 이 경편기는 연결장치를 통해 함께 연결된 가이드 바 브랙킷 및 가이드 바 프레임을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최소한 하나의 선형 베어링 볼트 및, 가이드 바 프레임에 부착된 가이드 바 뿐만 아니라 베어링 볼트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독일 실용신안 DE-GM 1857100에 소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 가이드 바는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며, 선형의 베어링 볼트(linear bearing bolt)는 고정된다. 선형 베어링 볼트는 가이드 바 브랙킷(guide bar bracket)내의 롤러 베어링 슬리이브(roller bearing sleeve)에 위치하며 그곳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같은 장치에 있어서, 상당한 마찰 손실이 구동수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구체적으로는, 섬유디자인 특성상 필요한 축 운동(axial movement)을 가이드 자체에 전달하는 롤러 및 캠에서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되는 부품들이 상호작동할때 마찰손실이 작게 발생하는 가이드 바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을 예시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경편기용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바 브랙킷(guide bar bracket) 및 가이드 바 프레임을 포함한다. 가이드 바는 가이드 바 프레임에 부착된다. 또한 가이드 바 프레임과 가이드 바 브랙킷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포함된다. 연결 장치는 가이드 바 브랙킷에 부착된 최소한 하나의 선형 베어링 볼트를 지닌다. 연결 장치는 또한 선형 베어링 볼트에 대해 활주할 수 있는 베어링을 지닌다. 이 베어링은 가이드 바 프레임에 설치된다.
따라서 선형 베어링 볼트가 가이드 바 브랙킷에 설치되고, 베어링 자체가 가이드 바 프레임에 설치될때 향상된 가이드 바 베어링 장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 양식은 운동하는 부품들의 충분한 감량을 가져온다. 이것은 가중되어야만 하는 질양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구동수단은 응력을 덜 받게 된다.
더우기 가이드 바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은 크기가 축소될 수 있으며, 복귀 작용에 필요한 동력도 마찬가지로 줄일 수 있다. 보다 작은 복귀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구동 수단에 작용하는 힘을 줄인다.
본원의 신규한 장치에 있어서, 부여된 역할의 수행때문에 통상 무겁게 형성된 볼트는 또다른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장치를 제작하는 설계자는 볼트 크기를 일정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볼트는 크기가 축소될 수 있는바, 이는 볼트가 그 자신의 중량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제조단가를 절감할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트의 중량은 구동될 가이드바의 무게에 대해 무관하므로, 볼트가 이전보다 더 크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가이드바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도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바 브랙킷은 가이드 바 프레임보다 용이하게 뒤틀림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볼트가 가이드바 브랙킷에 견고히 고정될때, 베어링 상호간의 뒤틀림에 대한 확고한 안정성(security)이 제공된다. 이전에는 이러한 뒤틀림이 볼트의 정상적인 평행 관계로부터 정렬상태 이탈을 야기시켰던 것이다.
중량이 감소하면 마찰 손실의 증가없이 장치의 높은 작업 속도를 가능케 한다. 중량 감소분은 가이드 바를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너무 쉽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바가 안정적일수록 가이드 바 프레임의 수를 갑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중량면에서 부가적인 중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비용을 절감케하는, 보다 작은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을 필요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 프레임의 무게 중심이 베어링의 수직 하부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베어링에 매우 작은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정렬 이탈(misalignment)에 기인한 바인딩(binding)에 대해 베어링을 보호할 필요가 없다.
가이드 바 프레임이 가이드 바 부착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플랜지의 폭은 가이드 바 프레임폭의 1½내지 2½배(바람직스럽게는 2배)이다. 그러한 장치는 가이드 바 프레임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가이드 바 베어링의 안정성(stability)의 여분 손실(marginal loss)은 가이드 바를 보다 견고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보상될수 있다.
또한 부착용 플랜지는 가이드 바 프레임의 중심 축에 대해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하학은 베어링의 회전 모멘트를 가능한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바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부 영역에는 베어링으로서 작동하는 한쌍의 상호 평행 슬리이브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이드 바 프레임은 가이드 볼트위에서 단지 전후로만 활주이동할 필요가 있으므로, 볼트자체를 지지하여야만 할때보다 훨씬 가벼울 수 있다. 가이드 바 프레임이 슬라이드 볼트를 서로 평행하게 고정시켜 유지하여야 할때, 즉 뒤틀림에 대해 안정시켜야 할때 가이드 바 프레임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다.
슬라이브는 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장치는 가이드바 프레임에 대한 견고하고 육중한 제작 형태에 비하여 더욱 중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단면이 H형상인 가이드 바 프레임에 두개의 경계면 리브 및 하나의 횡 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재료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제공한다.
경계면 리브의 폭이 슬리이브 외측 단면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폭"이라는 용어는 경계면 리브의 높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볼트의 축에 수직인 편면에서의 디멘죤(dimension)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가이드 바 프레밍 형태를 콤팩트(compact)하게 하여, 베어링의 유지에 유용하고 또한 제작에도 유리하다.
횡 바의 폭, 즉 볼트 축 방향에서의 디멘죤이 슬리이브의 길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가이드 바 프레임에는 한편으로 가이드 바 프레임의 축 운동 가능성을 간섭하지 않은 콤팩트한 형태가 제공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최대한으로 가능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횡 리브는 경계면 바를 지나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경계면 바는 슬리이브의 단부에 위치할 필요는 없지만 다소간 슬리이브의 중간을 향해 이격된다. 이러한 점은 슬리이브의 측면의 처리에 있어 단지 횡 바의 표면만이 관련되므로, 측면의 처리를 단순화한다.
가이드 바 프레임은 단조가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단조가공된 재료는 주조가공된 것보다 높은 견고성을 지니므로, 가이드 바 프레임을 주조가공하는 것에 비해 중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의 높이는 최소한 그폭의 두배이며, 이러한 점이 상하 운동 방향에서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가이드 바의 높이가 폭의 2½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도를 보면 가이드(18)가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바(1)는 가이드 로드(22)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2)는 켐 베어링(20)에 장착된 캠(19)과 상호 작용하도록 축방향으로 왕복할수 있다. 도면에서 가이드 바(1)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캠(19)의 돌출부의 작용으로 가이드 로드(22)를 통해 발생한다.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도시된 복귀 이동은 스프링 연결부(23)와 캠 베어링(20)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21)에 이해 발생한다.
가이드 바(1)는 복수개의 가이드 바 프레임(6)에 의해 유지되는바, 각각의 프레임에는 가이드 바 브랙킷(4)이 제공됨으로써 가이드 바(1)가 그 가이드 바 브랙킷(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바 브랙킷(4)은 비회전 방식으로 공통샤프크(15)에 부착되며 이 샤프트는 베어링(16)에 회전 방식으로 장착된다. 샤프트(15)는 스윙 레버(17)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바 브랙킷(4)내에는 두개의 상호 평행한 선형 베어링 볼트(2,7)가 제공되며 이들은 서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바 브랙킷(4)은 안정된 방법으로 만들어지므로, 선형 베어링 볼트(2,7)가 그들 상호간의 평행성을 읽거나 서로 비틀린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제2, 3, 4도를 보면 각각의 가이드 바 프레임(6)은 두개의 중공형의 원통 슬리이브(5,9)를 포함하는바, 선형 베어링 볼트(2,7)는 미끄럼 방식으로 장착되어 가이드 바(6)의 베어링을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형태의 축방향 운동이 가능한 베어링, 즉, 슬라이드 베어링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원의 경우에서는 볼 베어링이 바람직한바, 볼(26)은 볼 베어링 슬리이브(3,8)에 제공된다. 볼(26)은 볼 베어링 슬리이브(3,8)내에 영구적으로 유지되며 모두 슬리이브(5,9)와 볼트(2,7)사이의 환상형 공간에 위치된다. 선형 베어링 볼트(2,7)상에서의 볼 베어링 슬리이브(3,8)의 운동은 한쪽 측면에서는 가이드 바 브랙킷(4)에 의해 제한되며 다른 측면에서는 스플릿 링(splitring;10, 11)에 의해 제한된다. 이 스플릿 링은 선형 베어링 볼트(2,7)의 단부에 있는 홈에 박혀있다.
볼 베어링 슬리이브 자체(3,8)는, 고정된 선형 베어링 볼트(2,7)에 대하여, 가이드 바 프레임(6)의 상대속도의 절반으로 이동한다. 볼 베어링 슬리이브(3,8)가 최우측 위치에 있을때, 즉 스플릿 링(10,11)에 접촉할때 가이드 바 프레임(6)은 마찬가지로 최우측에 놓여진다. 따라서 슬리이브(5,9)의 최우측 면은 볼 베어링 슬리이브(3,8)의 면과 근접 정렬된다. 볼 베어링 슬리이브(3,8)가 최좌측의 단부 위치에 있을때, 즉 가이드 바 브랙킷(4)과 접촉할때 가이드 바 프레임(6)은 마찬가지로 선형 베어링 볼트(7)의 최좌측에 있게 된다. 따라서 슬리이브(5,9)의 좌측면은 볼 베어링 슬리이브(3,8)의 좌측면과 정렬된다.
따라서 볼 베어링 슬리이브(3,8)는 가이드 바 프레임(6)의 슬리이브(5,9)보다 길며, 사실상 가이드 바가 변위되는 거리의 대략 절반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가이드 바 프레임(6)의 두 슬리이브(5,9)는 H형상의 단면을 지닌 리브에 의해 서로 열결된다. 이시형상은 두개의 경계면 리브(12,13)의 및 리브(14)를 포함하는 바, 리브는 가이드 바 프레임(6)의 전체 폭에 걸쳐, 즉 슬라이브(5,9)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경계면 리브(12,13)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경계면 리브(12,13)는 가이드 바 프레임(6)의 단부면에 직접적으로 위치하지 않고 다소간 중간을 향해 이격되어있으므로, 슬리이브(5,9)의 표면은 이러한 특별한 위치에서 리브(12,13)를 길이방향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취급될수 있다.
경계면 리브(12,13)의 폭은 슬리이브(5,9)의 외경에 해당한다. 가이드 바 프레임(6)의 외측으로는 아무런 부품도 연장되지 않으므로 콤팩트(compact)한 외측 표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것들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보관 및 작업을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가이드 바 프레임(6)은 가이드 바(1) 방향에서 플랜지(27)로 종결되는바, 상기 플랜지(27)는 가이드 바 프레임(6) 폭의 대략 1½ 내지 2½의 폭을 지닌다. 이 플랜지(27)의 폭은 가이드 바 프레임(6) 폭의 2배로 되는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이드 바 프레임의 폭에 걸쳐 위치된 플랜지(27)의 단부에는 홀(hole)들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나사(24,25)가 통과된다. 이 나사들은 가이드 바(1)를 가이드 바 프레임(6)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바(1)는 최소한 그 자신의 폭의 두배인 높이를 지녀야 한다. 이 폭은 제2도의 평면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대멘죤(dimension)이다. 이러한 점이, 가이드 바 프레임의 축 변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즉 가이드(18)의 축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견고성을 가이드 바(1)에 제공한다(제1도).
작업중의 이 방향으로의 운동은 축 변위 운동에 중첩(overlay)되어, 부적당한 디멘죤닝으로 가이드 바의 관통 스윙(through-swing)을 쉽게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 바(1)내로 도입된 안정성에 의해 억제된다.
가이드 바(1)를 구성하기 위해서 프레임(6)은 나사(24,25)에 의해 가이드 바에 고정된다. 이후에 가이드 바 프레임(6)은 선형 베어링 볼트(2,7)위로 활주한다. 가이드 바 프레임(6)을 선형 베어링 볼트(2,7)에 확부하기 위해 스플릿 링(10,11)이 선형 베어링 볼트(2,7)에 장착된다.

Claims (9)

  1. 가이드 바 브랙킷;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는 가이드 바 프레임;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에 부착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바 브랙킷 사이를 연결하며, (a)상기 가이드 바 브랙킷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선형 베어링 볼트 및, (b)상기 선형 베어링 볼트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에 부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연결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2개의 평행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은 상기 슬리브를 상호 연결시키는 리브형바를 포함하여, 상기 리브형 바를 폭이 상기 평행 슬리브의 외경에 해당하는 2개의 경계면 리브 및 폭이 슬리브의 길이에 해당하는 횡 리브를 지니는 경편기용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 프레임(6)의 무게 중심이 상기 베어링의 수직 하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바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가이드바 프레임 폭의 1½ 내지 2½배인 폭이며, 공칭상 2배인 폭을 지니는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부착용 플랜지는 가이드 바 프레임의 중심 축에 대해 대칭적이며, 상기 중심축은 가이드 바에 대해 수직인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리브 바가 두개의 경계면 리브 및 하나의 횡단 리브로 이루어진 H형상의 횡단면을 지니는 가이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횡단 리브가 경계면 리브를 지나 외측 방향을 돌출하는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 프레임이 단조가공되는 가이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의 높이는 최소한 그 폭의 두배로되는 가이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의 높이는 적어도 그 폭의 2½배로 되는 가이드 장치.
KR2019910020832U 1988-08-22 1992-11-29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KR940005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832U KR940005758Y1 (ko) 1988-08-22 1992-11-29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284693 1988-08-22
DE3828469A DE3828469A1 (de) 1988-08-22 1988-08-22 Legebarrenlagerung fuer kettenwirkmaschinen
KR1019890011757A KR900003459A (ko) 1988-08-22 1989-08-18 경사 편성기를 위한 가이드 바 베어링
KR2019910020832U KR940005758Y1 (ko) 1988-08-22 1992-11-29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758Y1 true KR940005758Y1 (ko) 1994-08-24

Family

ID=2719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832U KR940005758Y1 (ko) 1988-08-22 1992-11-29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7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807B1 (ko) 가변 체적 변위형 엔진을 위한 기계식 동력 전달 장치
US4553855A (en) Damper and spring shaft support assembly
KR100380643B1 (ko) 하나의크랭크케이스에서크랭크축방향에인접한실린더가장착된왕복피스톤엔진
JPH09512885A (ja) センタリング部及びフランジを備えた支承ユニット
ITUD970204A1 (it) Meccanismo a camme
US5067332A (en) Guide bar bearing for warp knitting machines
KR0160535B1 (ko) 기계식 프레스장치
KR940005758Y1 (ko) 경편기용 가이드 바 베어링
KR20050014815A (ko) 체인전동 및 체인
KR100367020B1 (ko) 구동링내에설치된회전드럼
GB2107822A (en) Roller bearing for reciprocating machine
KR880000592B1 (ko) 추력(推力)베어링장치
EP1127684B1 (en) Slide driving apparatus of press machine
JPH106095A (ja) プレス機械の動的平衡装置
KR101258357B1 (ko) 인덱싱 장치
EP0685011A1 (en) SHOCK ABSORBER FOR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HOUSEHOLD WASHING MACHINES.
SU530122A2 (ru) Компенсирующа муфта
KR100794398B1 (ko) 재봉틀의 바늘진동장치
JP5306610B2 (ja) プレス装置
JPH0555403B2 (ko)
ITTO990999A1 (it) Struttura di supporto delle biell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del tipo a v.
KR200212625Y1 (ko) 수평이동 실린더
JPH0446091Y2 (ko)
JPS58177245A (ja) 静圧軸受を用いた可動台のバ−ガイド装置
SU538079A1 (ru) Правительный ва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