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646B1 -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46B1
KR940005646B1 KR1019900022532A KR900022532A KR940005646B1 KR 940005646 B1 KR940005646 B1 KR 940005646B1 KR 1019900022532 A KR1019900022532 A KR 1019900022532A KR 900022532 A KR900022532 A KR 900022532A KR 940005646 B1 KR940005646 B1 KR 94000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low shrinkage
thermosetting resin
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272A (ko
Inventor
이인태
정연수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46B1/ko
Publication of KR92001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인성(toughness)이 향상되고 저수축 효과가 우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저수축 벌크 몰딩 컴파운드(이하 "BMC"라 칭함)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열경화성 수지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무기 충진제, 섬유상 보강재(유리섬유 등), 경화제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특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여 논퓨즈 브레이크, 절연판, 코일봉지재 등과 같은 전기절연재료로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고강도, 치수안정성, 표면평활성, 내식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복사기 부품, 광반사판 등에 사용되고 온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판금가공품, 절사가공품 등의 대체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밀부품과 기구부품에까지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는 경화시 큰 수축을 동반하는데, 이것은 경화시 단량체들의 중합으로 인하여 반 데르 발스 거리가 공유결합 거리로 줄어듬에 따른 것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경우 성형 수축율은 7-9%에 이르고, 라디칼 중합에 의한 급격한 반응으로 수축에 동반되는 내부응력으로 인하여 치수안정성의 저하, 휨현상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따른다. 또한 BMC는 열경화성 수지 및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경화 수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저수축제로 사용하여 왔으나, 어느 경우에도 인성의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수축효과를 가지면서 BMC의 인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저수축 BMC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저수축제로 ABS를 사용하게 되면 저수축효과를 가지면서 BMC의 인성의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 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 10-40중량부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 10-20중량부
(C) 무기충진제 : 40-70중량부
(D) 퍼옥시드계 유기화합물 :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5중량부
(E) 스테아린산 아연 : 0.5-3중량부
(F) 유리섬유 : 10-40중량부
상기 조성물 중 (A)는 점도가 10-50포이즈이고, SPI 겔화 시간이 10-30분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B)는 열경화성 수지의 대표적인 결점인 높은 수축율의 개선과 고무의 경화에 의한 인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며, (B) 100중량부 중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5-17중량부, 부타디엔 함량이 44-46중량부, 스틸렌 함량이 38-40중량부이고, 환원점도가 0.5-0.51인 것이다.
(C)는 강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이다. (D)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터샤리-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벤조일퍼옥시드 등이다. (E)는 이형제로 사용된다. (F)는 보강재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용으로 표면처리된 길이 1/4"-1/2"의 유리섬유이다.
상기 조성물 외에 필요할 경우 증점제, 안료 등과 같은 첨가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부와 %는 중량치를 말하며, 사용된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A)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 점도 25-35포이즈, SPI 겔화 시간 15-20분인 OS-980(애경화학)
(B) ABS : g-ABS(제일모직의 ABS 제조 중간 물질)
(C) 무기 충진제 : 중질 탄산칼슘
(D) 퍼옥시드계 유기화합물 :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Nippon Oil & Fat : TBPB)
(E) 스테아린산 아연 : Zn-st(w)(송원산업)
(F) 유리섬유 : 1/4"촙(일본전기초자)
[실시예 1]
조성물 (A)-(F)의 중량비는 아래의 표 1과 같으며, BMC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다. 즉, 열경화성 수지와 저수축제, 내부이형제, 안료 등을 100rpm의 믹서를 사용하여 10분간 혼합훈 후 충진제 50%를 넣고 5분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더블 암 니더로 옮긴 후 충진제의 나머지 50%를 넣고 10분간 혼합하고, 유리섬유를 넣고 3분간 혼합한 후 25℃에서 4시간 동안 숙성시켜 BMC를 얻는다. 얻어진 BMC의 성형 수축율과 인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성형수축율 측정은 JIS K6911에 따랐고 인성 측정은 JIS K6911의 인장 시험에서 얻어진 응력-변형율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4]
실시예 1의 (B)대신 각각 같은 양의 폴리에틸렌(U.S. Industrial Chemicals ; Microthene FN-510), 폴리스틸렌(애경화학 ; PB-681), PMMA(미국 Owens-Corning Fiberglass Corp. ; Paraplex P-681), 폴리비닐아세테이트(미국 Union Carbide corp. ; LP-90)를 표 1과 같이 사용하였다.
[비교예 5-6]
실시예 1의 (B)의 함량을 각각 2,5부로 변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B)의 함량을 20부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
[표 2]

Claims (1)

  1. 열가소성 수지를 저수축제로 사용하는 통상의 저수축 BMC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수축제로 그라프트 ABS(g-ABS)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4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1019900022532A 1990-12-29 1990-12-29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94000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532A KR940005646B1 (ko) 1990-12-29 1990-12-29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532A KR940005646B1 (ko) 1990-12-29 1990-12-29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72A KR920012272A (ko) 1992-07-25
KR940005646B1 true KR940005646B1 (ko) 1994-06-22

Family

ID=1930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532A KR940005646B1 (ko) 1990-12-29 1990-12-29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6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72A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2366A (en) Crosslinkable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perties
KR100232625B1 (ko) 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US4818793A (en) Impact-resistant nylon molding materials which are less susceptible to stress cracking
JPH0149421B2 (ko)
KR101750679B1 (ko) 증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3810863A (en) Polymerizab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298711A (en) Low shrink unsaturated polyester resinous composition
US3939133A (en) Synergistic peroxide cures for high vinyl rubbers
JPS581792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40005646B1 (ko) 저수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EP0052642B1 (en) Flame retardant molding composition
KR201900903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0134305B1 (ko) 무기물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4980406A (en) Fortified polyacrylate resins
KR94000486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950009156B1 (ko) 저수축 난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han‐Park et al. Tough low profile additives in sheet molding compound
JP3407756B2 (ja) 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
KR100523945B1 (ko) 자동차 퓨즈 박스 커버용 수지 조성물
KR950011909B1 (ko) 전자파 차폐용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US4423177A (en) Thickenable composition based on an adduct of alkadiene polymers and acid anhydride
KR930008195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A1280837C (en) Thermoset resin compositions
JPH0770392A (ja) 強化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552379B1 (ko) 피로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