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624B1 -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24B1
KR940005624B1 KR1019910021479A KR910021479A KR940005624B1 KR 940005624 B1 KR940005624 B1 KR 940005624B1 KR 1019910021479 A KR1019910021479 A KR 1019910021479A KR 910021479 A KR910021479 A KR 910021479A KR 940005624 B1 KR940005624 B1 KR 94000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photoresist
forming
exposed
mask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18A (ko
Inventor
최용근
인재식
황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24B1/ko
Publication of KR93001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제1도 노광공정시 위치에 따른 광감도와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자외선 파장변화에 따른 포토레지스트의 흡수율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콘 기판상부의 도전층 또는 절연층을 패턴시키는 공정에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이중노광시켜 포토레지스트의 노광영역과 비노광영역의 패턴형상의 해상력을 증가시키는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을 이용하는 마스크 패턴 공정을 제1도의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자외선을 크롬마스크(1)을 통하여 하부의 포토레지스트(2)에 노광시키면, 광산란 및 간섭현상에 의하여 비노광지역의 포토레지스트(2)까지 자외선이 침투된다. 이때 자외선의 광세기(Light Intensity) 분포는 비노광지역과 자외선이 통과하는 노광지역의 각각의 패턴중앙에서 최소 및 최대의 광감도를 나타내고 예정된 기울기를 가지는 광감도 곡선(3)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감광된 포토레지스트(2)를 현상하게 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2A)의 저부에 완만하게 포토레지스트가 남게됨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상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다음, 포토레지스트 전면에 크롬마스크(Chrome mask)없이 1차전면 노광을 실시한 다음,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크롬마스크를 사용하여 2차 주노광을 실시하는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는 종래기술의 포토레지스트(2)를 노광하기 위해 크롬마스크(1)를 사용하여 자외선(UV)을 조사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제1도의 b는 포토레지스트(2)에서 광감도를 측정한 광감도 곡선(3)을 도시하고, 제1도의 C는 노광된 포토레지스트(2)를 현상하였을 때 포토레지스트 패턴(2A)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포토레지스트(2A) 저부의 가장자리에 제거되어야 할 포토레지스트가 남아 패턴해상력이 저하된다.
제2도는 종래기술의 포토마스크 공정과정을 간단한 도시한 블럭도로서, 포토레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 검사 공정단계로 이뤄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공정과정을 간단한 도시한 블록도로서, 포토레지스트 도포, 크롬 마스크없이 1차 전면 노광, 크롬마스크를 사용한 2차 주노광, 현상, 검사공정 단계로 이뤄지는 것을 도시한다.
제4도는 포토레지스트에 자외선을 노광시켰을 때 자외선의 파장에 따라 흡수율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여기서 상부실선 X는 종래기술에서 노광이 안 된 포토레지스트의 파장변화에 따른 흡수율을 도시하며, 하부 실선 X'는 본 발명에 의한 1차 전면노광을 실시한 다음의 포토레지스트에서 파장변화에 따른 흡수율을 도시하며, 하부의 점선 Y는 종래기술에 의해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한후에 포토레지스트에서 파장변화에 따른 흡수율을 도시하고, 하부점선 Y'는 본 발명에 의한 1차 전면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2차 주노광을 실시한 후 포토레지스트에서 파장변화에 따른 흡수율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특정파장 예를 들어 G-라인(436nm)에서 포토레지스트의 노광전과 노광후의 흡수율의 차이(이것을 단위 두께당 노광할 수 있는 흡수계수라 한다)를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비교해보면A'<A임을 알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위두께당 노광할 수 있는 흡수계수가 작은 것이 좋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이다. (Dill's Parameter설명 참조)
본 발명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포토레지스트에 1차 전면노광시 노광에너지가 너무 강하게 되면 2차 주노광시 포토레지스트가 감광되지않게 되므로 1차 전면 노광에너지를 2차 주노광에너지 보다는 훨씬 약해야 한다. 예를 들어 1차 전면 노광은 램프강도 150mW/Cm2에서 150mSec로 노광에너지가 22.5mJ/Cm2이고, 2차 주노광은 램프강도 750mW/Cm2에서 200mSec으로 노광에너지가 150mJ/Cm2이다. 따라서 1차 전면노광에너지는 2차 주노광에너지의 10∼20%정도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작은 노광에너지로 전면 노광시켜서 포토레지스트 비노광영역에서 광산란, 간섭현상에 의한 노광효과를 줄이고 노광영역에서 노광에너지를 증대시켜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노광됨으로써 벌크효과를 의한 현상속도의 차이를 감소시켜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상, 바이어서, 해상력등을 증대시켜 패턴저부에 포토레지스트 잔여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1차 전면노광시 기존의 반도체 공정라인에 사용되는 근접얼라이너(Proxinity Aliger) 또는 자외선 안정장치(Stabilizer)등을 사용하여 작은 노광에너지로 포토레지스트 전면에 균일하게 노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4)

  1. 하부의 예정된 물질층을 패턴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이뤄지는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광공정을, 1차 전면노광을 실시한 다음, 2차 주노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노공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면노광은 2차 주노광 에너지의 10∼20% 정도의 노광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차 전면노광의 노광에너지가 22.5mJ/Cm2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면노광을 실시하는 것을 근접 얼라이너 또는 자외선 안정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KR1019910021479A 1991-11-28 1991-11-28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KR94000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479A KR940005624B1 (ko) 1991-11-28 1991-11-28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479A KR940005624B1 (ko) 1991-11-28 1991-11-28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18A KR930010618A (ko) 1993-06-22
KR940005624B1 true KR940005624B1 (ko) 1994-06-21

Family

ID=1932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479A KR940005624B1 (ko) 1991-11-28 1991-11-28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33B1 (ko) * 2014-06-25 2015-0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18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8275B2 (ja) フォトマスク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H06348032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04115515A (ja) パターン形成方法
Stevenson et al. The application of photolithography to the fabrication of microcircuits
JP3177948B2 (ja) 露光用フォトマスク
EP0134453B1 (en) Method for exposure dose calculation of photolithography projection printers
KR940005624B1 (ko) 이중노광에 의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패턴 형성방법
KR100575355B1 (ko)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
JPH03144453A (ja) 露光用マスク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30039892A1 (en) Method of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JPS59141230A (ja) パタ−ン形成方法
KR100422956B1 (ko) 미세패턴형성방법
US8003303B2 (en) Intensity selective exposure method and apparatus
JPH0527413A (ja) 露光装置用ホトマスク
KR100272519B1 (ko) 반도체소자의 패터닝방법
KR980010603A (ko) 포토마스크 제조방법
KR0123241B1 (ko)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US5733691A (en) One-step method for on-line lithographic pattern inspection
KR970001695B1 (ko) 마스크패턴 및 이를 사용한 미세패턴의 형성방법
KR950009931A (ko)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 패턴 형성방법
KR017194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제조방법
KR19980043415A (ko)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KR100197519B1 (ko) 감광막 현상율 측정방법
JPH0458245A (ja) 微細パターン形成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41350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