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472Y1 -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472Y1
KR940005472Y1 KR2019910017873U KR910017873U KR940005472Y1 KR 940005472 Y1 KR940005472 Y1 KR 940005472Y1 KR 2019910017873 U KR2019910017873 U KR 2019910017873U KR 910017873 U KR910017873 U KR 910017873U KR 940005472 Y1 KR940005472 Y1 KR 940005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feed roller
feed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382U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472Y1/ko
Publication of KR930009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9Conveying means details, e.g.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제1도는 복사기의 요부 개략도.
제2(a)도는 종래 기술의 용지 급지장치. 제2(b)도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용지 급지장치.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용지 급지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지 로울러 2 : 아이들 로울러
3 : 통공 4 : 축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복사기의 용지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지급지시 과도한 컬 현상을 방지하여 용지 이송때 구겨짐을 방지하여 양질의 복사화상 및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 급지장치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우선 제2(a)도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회전축(21)에 다수개의 용지 급지로울러(20)가 축설되어 지고 상기 급지 로울러(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축(21)과 당접 되어지도록 판스프링(22)이 고정물(23)에 의해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용지 급지카세트(24)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 로울러(25)의 회전으로 급지 되어지면 용지는 용지 안내면을 따라 이송하여 급지 로울러(20)의 회동으로 급지 로울러(20)의 회전축(21)에 당접 되어진 상태로 고정물(23)에 의해 고정 설치된 판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용지가 급지로울러(20)의 회전 마찰력에 의해서 용지 이송로울러(26)까지 이송하여 용지의 선단이 이송로울러(26)에서 선단 정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용지의 선단 정열은 급지로울러(20)로부터 이송되어지는 용지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의 이송 로울러(26)가지 이송 시키되, 용지가 이송로울러(26)에서 정확하게 선단 정열을 이룰수 있도록 급지 로울러(20)가 용지를 충분하게 이송시켜 일정 높이로 컬 현상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급지 로울러(20)는 상기 이송로울러(26)쪽에 설치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용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용지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았음)가 감지하기 전에 상기 급지 로울러(20)는 용지의 컬 현상이 사라질때까지 역회전 한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지 감지센서에 의해 용지가 감지되어지면 이송로울러(26)가 회동하여 용지를 감광드럼(27)쪽으로 이송 시키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종래기술은 용지 이송시 이송로울러에 용지의 선단 정열에 따른 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기술에서는 컬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급지 로울러를 역회전시켜 컬 현상을 제거한 후 용지를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급지 로울러의 오동작 및 판스프링의 부품 소재에 따라 용지에 가압 하게되는 가압력의 차이에 의해서 용지의 쨈 현상 및 이송 불량등으로 원고 화상을 제대로 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용지 급지 장치가 사용되었다.
급지 로울러(20)와 대응하도록 설치 되어지는 아이들 로울러(28)은 중앙으로 통공(29)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29)으로 코일 스프링(30)이 내설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양단은 고정판(31)에 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 되어진 용지 급지장치는 상기와 같은 동일 동작에 의해 용지가 이송로울러(26)까지 이송되어져 컬 현상을 이루되, 이때 용지 급지로울러(2)와 대응하여 설치되어진 아이들 로울러(28)는 급지로울러(20)의 회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아이들 로울러(28)의 통공(29)으로 설치된 코일스프링(30)이 감기면서 용지를 이송시켜 상기 이송로울러(26)에 용지의 선단이 정열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용지의 선단이 정열 되어진 후 용지 급지로울러(20)는 정지하고, 상기와 대응하여 설치되어진 아이들 로울러(28)는 코일스프링(30)이 풀려짐으로 인해 역으로 회동하여 용지의 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용지는 이송로울러(26)쪽에 설치되어진 용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동시에 이송로울러(26)의 구동으로 감광드럼(27)쪽으로 이송 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상기 기술은 코일스프링의 탄성변화에 의해 아이들로울러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되므로 인하여 용지의 잼 발생 및 구김현상이 발생하여 양질의 복사 화상을 얻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은 첫째, 용지의 컬 현상을 간단한 기구 구성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 둘째, 용지급지부의 오동작에 의한 용지의 구김 및 잼 현상을 방지하며 ; 세째, 양질의 복사 화상을 얻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 제3(a)도, 제3(b)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지 카세트(24)의 용지가 픽업 로울러(28)에 의해 용지가 이송 되어지는 만곡 형상의 이송로(32)상의 단부쪽에 용지 급지 로울러(1)가 설치되고, 상기 급지 로울러(1)의 상부에 당접되도록 아이들 로울러(2)가 설치되되, 상기 아이들 로울러(2)는 중앙에 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엔 통공(3)의 내경보다 작은 원지름을 갖는 축(4)이 관통되도록 설치 되어지며, 상기 급지 로울러(1)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33)를 드럼(27)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용지 이송 로울러(26)가 상기 용지 급지 로울러(1)와 인접하여 용지 이송로(32)상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가 적재되어진 급지 카세트(24)가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기의 복사시작 버튼을 누르면 픽업 로울러(25)의 회동으로 카세트(24)에 적재된 용지중 최상단에 위치한 용지부터 순차적으로 급지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급지되는 용지는 만곡져서 형성된 용지 이송로(32)에 안내되면서 상기 이송로(32)상의 단부쪽으로 설치되어진 급지 로울러(1)에 의해 급지되어 이송로울러(26)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지로울러(1)의 상단부에는 통공(3)을 구비한 아이들 로울러(2)가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4)이 통공(3)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축(4)이 통공(3)의 상부 내주면에 당접하여 지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아이들 로울러(2)의 자중에 의해 외주면은 상기 급지 로울러(1)의 외주면과 당접 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급지로울러(1)의 회동으로 픽업 로울러(25)에 의해 이송로(32)를 따라 이송되어진 용지(33)는 상기 급지로울러(1)의 회동과 함께 아이들 로울러(2)에 의한 이송마찰력을 받으면서 이송되어 상기 급지로울러(1)와 인접하여 설치 되어진 이송로울러(26)로 이송되어 용지(33)의 선단이 정렬되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로울러(26)에 용지가 정열되어 짐에 있어 용지의 정확한 정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지(33)의 선단이 상기 이송로울러(26)에 선접촉 후에도 급지 로울러(1)가 용지를 일정거리 더 이송시킴으로서 용지(33)가 상기 급지로울러(1)와 상기 이송 로울러(26)의 사이에서 컬 현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이송로울러(26)쪽에 설치되어진 용지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았음)가 용지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센서가 용지를 감지하기 직전에, 상기 용지(33)의 컬 현상은 제3(b)도와 같이 용지가 퍼질려고 하는 힘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뒤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로인해 급지 로울러(1)와 자중에 의해 당접하여 설치 되어진 아이들 로울러(2)가 용지(33)에 의해 축(4)에서 역으로 공회전되어 용지의 컬 현상이 해소되는 것이다. 이후 용지 감지센서가 용지를 감지함과 동시에 용지 이송로울러(26)가 회전하여 용지(33)를 감광드럼(27)쪽으로 이송 시키므로서 용지 이송시 용지의 잼 및 구김 현상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픽업 로울러로부터 급지된 용지를 이송로울러로 이송함과 동시에 용지 선단정열에 따른 용지의 컬 현상을 간단한 구성을 갖는 아이들 로울러를 급지 로울러와 당접되도록 설치하여서 용지의 컬 현상을 손쉽게 해소함은 물론 용지의 컬 현상에 의한 용지 이송시 발생되어지는 용지의 잼 현상 및 구김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양질의 복사 화상을 재현함과 함께 사용자들로부터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 카세트(24)의 용지가 픽업 로울러(25)에 의해 용지가 이송되어지는 이송로(32)상의 단부쪽에 용지 급지 로울러(1)가 설치되고, 상기 급지 로울러(1)의 상부에 당접도도록 아이들 로울러(2)가 설치되되, 상기 아이들 로울러(2)는 중앙에 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엔 내경보다 작은 원지름을 갖는 축(4)이 관통되도록 설치 되어지며, 상기 급지 로울러(1)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33)를 드럼(27)으로 이송 시키게 되는 용지 이송 로울러(26)가 상기 용지 급지 로울러(1)와 인접하여 용지 이송로(32)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KR2019910017873U 1991-10-25 1991-10-25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KR940005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873U KR940005472Y1 (ko) 1991-10-25 1991-10-25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873U KR940005472Y1 (ko) 1991-10-25 1991-10-25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82U KR930009382U (ko) 1993-05-26
KR940005472Y1 true KR940005472Y1 (ko) 1994-08-13

Family

ID=1932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873U KR940005472Y1 (ko) 1991-10-25 1991-10-25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4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382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7935A (en) Copying apparatus having a manual insertion paper feeding mechanism
US5253854A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4638989A (en) Device to prevent transport of poorly aligned copy paper
JPS60140364A (ja) 複写機の原稿送り方法
JPH0673034B2 (ja) 複写機の原稿送り方法
KR940005472Y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소형기기의 용지급지장치
JPH0356615B2 (ko)
JPH0558527A (ja) シート排出装置
JPH0541539B2 (ko)
JPS5928426Y2 (ja) 原稿搬送装置
JPH02231340A (ja) 記録紙の搬送装置
JPS6151454A (ja) 用紙搬送装置
JPH06107345A (ja) 給紙装置
JPH0121050B2 (ko)
JPS58172139A (ja) シ−ト給送装置
JPS591226Y2 (ja) 複写機の自動原稿搬送装置
JPH02148066A (ja) 自動原稿搬送機構
JPH023453Y2 (ko)
JPH0532297B2 (ko)
JPH0640601A (ja) 用紙詰まり検出装置
JPH0581497B2 (ko)
JPH0221474Y2 (ko)
JPS58183540A (ja) 積載シ−ト分離搬送装置
JPS63202544A (ja) 用紙の幅寄せ装置
JPH01117150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