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99Y1 - 자동차의 차광윈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광윈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099Y1
KR940005099Y1 KR92011297U KR920011297U KR940005099Y1 KR 940005099 Y1 KR940005099 Y1 KR 940005099Y1 KR 92011297 U KR92011297 U KR 92011297U KR 920011297 U KR920011297 U KR 920011297U KR 940005099 Y1 KR940005099 Y1 KR 940005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hicle
shading
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718U (ko
Inventor
임훈
Original Assignee
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훈 filed Critical 임훈
Priority to KR92011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099Y1/ko
Publication of KR940000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차광윈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가 기존의 도어 윈도의 일측에 이중으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 종단면도.
제 3 도는 일측 프런트 도어의 차광윈도의 측면도.
제 4 도는 일측 리어 도어의 차광윈도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C"부위 확대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D"부의 확대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B-B선 확대단면도.
제 9 도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가 기존의 도어 윈도의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기구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측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를 통하여 공기가 유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발췌 횡단면도.
제 11(a) 도,제 11(b) 도,제 11(c)도는 투명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1(a) 도는 투명부를 제거한 상태의 삽입공의 정면도, 제 11(b) 도는 투명부의 정면도, 제 11(c)도는 투명부가 삽입공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제 12 도는 본 고안의 투명부가 삽입공에 설치된 상태의 확대 종단면도.
제 13 도는 내, 외측 고정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윈도 2 :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기구
3 : 차광윈도 4 : 레귤레이터 가이드
10 : 윈도 레귤레이터 12,12' : 소공
13 : 사이드 미러 14,15 : 투명부
본 고안은 햇빛을 차단해 주는 차광윈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내가 완전히 그늘질 수 있도록 하고 바람이 적절히 들어오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광윈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별도의 햇빛가리개를 자동차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햇빛가리개로 인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불편하였고, 차내에 완전히 햇빛을 차단해주지 못하였으며, 하절기에 도어를 잠금 상태로 장시간 주차시켜 놓을 때에는 차내가 열기로 차있게 되고 도어를 열어 놓고 상태로 주차시켜 놓을 때는 도난의 위험성이 크며, 도어를 열고 주행시에는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면서, 머리카락을 날리게 됨은 물론, 티끌까지 차내로 들어오게 되고, 자동차 사고시에는 양측 도어 윈도의 파편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게 되며, 어린이가 차내에서 질식될 위험성이 크며, 전체가 투명한 도어 윈도를 통하여 여성운전자가 희롱당할 경우가 종종 있게 되면서 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고, 주간에 도어 윈도를 열은 상태에서 취침할 때 파리나 기타 곤충으로부터 시달림을 받게 되며 야간의 취침시 모기로부터 시달림을 받게 되고, 무더운 여름에 에어콘을 켜놓고 취침할 때 질식 사고의 위험이 크며, 기타 자외선을 제대로 차단시켜주지 못함으로서 각종 피부병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내가 일광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 윈도와 차광윈도가 이중으로 설치됨으로서 자동차도난이 방지될 수 있는 차광윈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선한 자연바람이 적절히 들어올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가 받게 되는 공기의 저항을 크게 저하시킴으로서 에너지(기름의 소모량)를 절약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광윈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사고시에 도어 윈도의 파편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자동차의 차광윈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차광 윈도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내가 완전히 그늘이 질 수 있도록 차광 윈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무수한 소공들이 적절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자동차 사고시의 양측 도어 윈도의 파편으로부터의 보호와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어 윈도의 내측에 설치하여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차내로 유입되고 차내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각 차광윈도의 전방측의 소공의 경사각도와 후방측 소공의 경사각도가 상호 방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모기나 파리 등으로부터 보호받도록 하기 위하여 모기가 파리 등이 차내로 들어올 수 없도록 한 소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기존의 각 도어 윈도(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도어윈도(1)를 승, 하강시켜 주는 전기식(자동식)도어 레귤레이터 기구(2)에 각 도어 위도(1)가 설치된 바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차광 윈도(3)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기구는 전동기부분과 조작회로 및 레귤레이터 부분으로 구성되며, 전동기 부분과 조작회로를 제외한 레귤레이터 부분은 수동식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기 부분은 감속기어를 통하여 레귤레이터에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며, 전동기는 도어 윈도(1)를 아래 위로 움직이기 위해 오른쪽 회전용 필드 코일과 왼쪽 회전용 필드 코일의 2개의 코일을 가지고 있고 조정스위치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정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회로는 조정스위치 또는 보조스위치중 어느 스위치로도 도어 윈도(1)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기구는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간략히 설명해 보면, 제 9 도에서와 같이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기구(2)는 레귤레이터 가이드(4)에 기존의 도어 윈도(1) 또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3)의 하단부가 유착되어 있고, "X"자형 유동간(5)의 상단부가 도어(6)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공(7')이 형성된 안내간(7)과 고정구(8)에 결합되어 있으며, "X"자형 유동간(5)의 하단부는 레귤레이터 가이드(4)에 유착되어 있고, 작동간(9)이 "X"자형 유동간(5)과 윈도 레귤레이터(10)를 연결해 주며, 윈도 레귤레이터(10)는 모터(11)의 기어(11')와 치합된다.
따라서, 모터(11)의 작동에 의하여 기어(11') 및 윈도 레귤레이터(10)가 회전됨에 따라 작동간(9)이 이동하면서 "X"자형 유동간(5)이 상호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 운동에 의하여 레귤레이터 가이드(4)가 상, 하 이동하게 되고 레귤레이터 가이드(4)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도어 윈도(1) 또는 본 고안의 차광윈도(3)가 승, 하강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프런트 도어(6')와 리어 드어(6")의 양측 패널내에 구성되어 있는 기존 글라스 가이드(미도시함)와 동일한 구조로 기준 글라스 가이드의 일측에 차광윈도(3)가 승, 하강될 수 있도록 글라스 가이드(미도시함)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차광윈도(3)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 방탄플라스틱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프런트 차광윈도(3')와, 리어 차광윈도(3")의 좌측과 우측의 차광윈도(3)중에서 일측이 좌측의 차광윈도(3)에 관해서만 설명해 보면, 차광윈도(3)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와 같이, 소공(12)들이 무수히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프런트 차광윈도(3')의 전방측 하부에는 사이드 미러(13)를 보는데 지장이 없도록 소공(12)(12')이 형성되지 않고 별개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 또는 자동차용 유리로 된 투명부(14)가 삽입 고정되고, 투명부(14)를 제외한 부분과 리어 차광윈도(3")는 청색 또는 녹색으로 형성된다.
제 11(a) 도 ,제 11(b) 도,제 11(c) 도, 제 12 도, 제 13 도에서와 같이 프런트 차광윈도(3')의 전방측 하단부에 "" 형상의 투명부(14)와 동일한 크기만큼 제거시켜서 형성된 삽입공(14')에 별개의 투명부(14)를 삽입시켜서 나착시킨 것으로서, 삽입공(14')의 상, 하단부의 내, 외측면에 장홈부(16)(16')가 각각 형성되고, 각 장홈부(16)(16')에 반원형상의 고정요부(17)(17')가 형성된다.
투명부(14)는 상, 하단부의 내외측면에 장홈부(18)(18')를 각각 형성하고, 각 장홈부(18)(18')에 반원형상의 고정요부(19)(19')가 형성된다.
스텐레스 스틸재질로 된 외측 고정대(20)에는 양측에 나선부를 형성한 나선돌부(20)(20')가 형성되고, 내측 고정대(21)에는 고정공(21')(21")이 형성되며, 삽입공(14')내에 투명부(14)를 삽입시키면 제 11(c) 도에서와 같이 고정공(22)이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접된 각 외측 장홈부에는 외측 고정대(20)가 삽입되면서 나선돌부(20')(20")가 상측과 하측 고정공(22)으로 삽입되어 내측 고정대(21)의 고정공(21')(21")을 통하여 너트(23)로 나착된다.
프런트 차광 윈도(3') 및 리어 차광윈도(3")의 하단부는 각 도어(6)의 양측 패널내에 수장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소공(12)을 형성하지 않은 수장부(15)이다.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 제 8 도, 제 10 도에서와 같이 좌측 프런트 차광윈도(3')의 전방부에는 차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소공(12)들로 형성된 공기배출구(A)가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차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소공(12')들로 형성된 공기유입부(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리어 차광 윈도(3")의 전방부에는 차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소공(12)들로 형성된 공기배출부(B)가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차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소공(12')들로 형성된 공기 유입부(B')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 소공(12)(12')들의 직경은 약 2.5mm-3m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고, 좌측의 프런트 차광윈도(3')와 리어 차광윈도(3")에 형성된 공기배출부(A)(B)의 경사각도는 약 153°, 공기유입부(A')(B')의 경사각도는 약 27°가 가장 바람직한 경사각도이다.
차광윈도(3)의 타측인 프런트 차광윈도(3') 및 우측 리어 차광윈도(3")에 형성되는 소공(12)들의 경사방향은 제 10 도에서와 같이 좌측의 차광윈도(3)와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좌측 프런트 차광윈도(3') 및 좌측 리어 차광윈도(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좌, 우측 프런트 도어(6')와 리어 도어(6")에 설치된 기존 도어 윈도(1)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본 고안의 좌, 우측 프런트 차광윈도(3')와 리어 차광윈도(3)용 조정스위치에 의해서 모두 닫은 상태에서 외측의 기존 도어 윈도(1)만 도어 윈도(1)용 조정스위치에 의해서 열어 놓고 주행하게 되면 공기가 공기유입부(A')(B')로 유입되어 차내로 들어온 후 다시 차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구(A)(B)로 배출되게 되므로 항시 공기가 적절히 각 소공(12')을 통하여 들어오게 되어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으며, 각 차광윈도(3)의 투명부(14)를 제외한 모든 부분은 청색이나 녹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광을 거의 차단시킬 수 있고 특히 각 소공(12)(12')들의 직경은 극히 적으면서 경사를 이루고 있는 통공들이므로 햇빛이 차내로 전혀 들어올 수 없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차광윈도(3)는 필요하지 않을시에는 조정스위치에 의해서 완전히 열어 놓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윈도(1) 및 차광윈도(3)가 함께 2중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주행시 소공(12')들만 통하여 공기가 들어오게 되므로 공기에 의해서 자동차가 받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티끌 등도 차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며, 자동차 사고시 도어 윈도(1)의 파편으로부터 보호되고, 무더운 여름에도 항시 차내의 열을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여성 운전자가 희롱당하는 일이 없게 되고 소공(12')들을 통하여 모기가 파리 등이 들어올 수 없게 되므로 안심하고 차내에서 쾌적하게 취침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윈도(1)가 전기식 도어 레귤레이터 기구에 의하여 승, 하강되고, 상기 도어윈도(1)의 내측에 소공들을 갖는 차광윈도(3',3")가 설치되며, 상기한 차광윈도(3',3")를 도어 레귤레이터기구(2)의 레귤레이터 가이드(4)에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의 차광윈도에 있어서, 상기한 차광윈도(3',3")의 전방부에는 차내공기를 배출시키는 직경 2.5~3mm정도의 경사진 소공(12)들을 구비한 공기배출구(A,B)를 구성하고; 차광윈도(3',3")의 후방부에는 차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직경 2.5~3mm정도의 경사진 소공(12')들을 구비한 공기유입부(A',B')들을 구성한 것이 특징인 자동차의 차광윈드.
KR92011297U 1992-06-22 1992-06-22 자동차의 차광윈도 KR940005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297U KR940005099Y1 (ko) 1992-06-22 1992-06-22 자동차의 차광윈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297U KR940005099Y1 (ko) 1992-06-22 1992-06-22 자동차의 차광윈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718U KR940000718U (ko) 1994-01-03
KR940005099Y1 true KR940005099Y1 (ko) 1994-07-29

Family

ID=1933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297U KR940005099Y1 (ko) 1992-06-22 1992-06-22 자동차의 차광윈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718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099Y1 (ko) 자동차의 차광윈도
US6315356B1 (en) Sunshade/sunscreen combo
US20220178201A1 (en) CMP Screens
KR19980028245U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장치
KR20160003743U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CN206155100U (zh) 一种汽车遮阳板
KR19980017222U (ko) 자동차의 방충망 겸용 햇빛가리개
KR200211117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101912087B1 (ko) 자동차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 겸용 가림개
KR900006553Y1 (ko) 차량용 차광커텐의 고정장치
KR960002156Y1 (ko) 자동차용 차광 겸 방충망
KR200197191Y1 (ko) 선 바이저의 각종 카드 수납구조
KR100777262B1 (ko) 자동차 윈도우 투시 및 투광차단장치
KR100446355B1 (ko) 레저용 차량커버
KR200299054Y1 (ko) 여행용 자동차 덮개
KR200295798Y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000006743U (ko) 차광막이 내장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80050870U (ko) 백 윈도우 글래스용 선바이져
KR20100010728U (ko) 자동차 방충망용 햇빛가리개
KR20210002549U (ko) 방충겸용 차량 차양막장치
KR900004684Y1 (ko) 보조 차광판이 부착된 자동차용 차양
KR200359893Y1 (ko) 자동차용 착탈식 보조 햇빛가리개
KR19980034749U (ko) 자동차의 일반유리 및 차광유리 선택 개폐장치
KR20000004353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90021586U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