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00Y1 -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000Y1
KR940005000Y1 KR2019910013416U KR910013416U KR940005000Y1 KR 940005000 Y1 KR940005000 Y1 KR 940005000Y1 KR 2019910013416 U KR2019910013416 U KR 2019910013416U KR 910013416 U KR910013416 U KR 910013416U KR 940005000 Y1 KR940005000 Y1 KR 940005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emory
data
dat
digital audio
log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392U (ko
Inventor
목철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3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000Y1/ko
Publication of KR930005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의 기록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a도는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의 데이타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b도는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의 기록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보이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DAT구동부 20 : 직/병렬변환부
30 : 논리프레임검출 및 디코딩부 40 : PROM
50 : 카운터 60 : 가산기
70 : 버퍼메모리
본 고안은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Digital Audio 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더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에러정정에 제공하는 버퍼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탈오디오테이프(Digital Audio Tape; 이하 DAT라함)에 뮤직데이타가 아닌 데이타파일 마크, 세이브세트마크와 같은 레코드(RECORD)를 실어 재생하기 위한 데이타 포맷이 HEWLETT-PACKARD/SONY사가 제안한 DDS(Digital Data Storage) 포맷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디지탈오디오 테이프 포맷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의하면, DAT의 포맷은 두개의 트랙(track)이 하나의 프레임(frame)을 구성하며, 한 트랙에는 뮤직데이타를 싣기 위한 PCM영역(Pulse Code Modulation area), 자동트랙 검색신호를 싣기 위한 ATF영역(Auto-Track Finding area) 및, 부가정보를 싣기 우한 서브코드영역(Sub-Code Area)으로 되어 있다.
이때, HEWLETT-PACKARD/SONY사가 제안한 DDS포맷에 따르면, 이 DAT의 PCM영역에 뮤직데이타가 아닌 데이타파일마크, 세이브 세트마크와 같은 레코드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DAT의 PCM영역에 기록된 데이타는 그룹(group)이라는 기본단위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그룹은 22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에러정정을 위한 ECC(Error Correction Code)프레임, 그룹과 그룹을 분리하기 위한 서브영역내의 앰블프레임(amble frame)이 부가되어 있다.
제2(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프레임은 플러스(+) 및 마이너스 애지머스(azimuth)의 두 트랙으로 구성된다. 워드번호 0는 헤드(Header)라고 불리는 포맷정보로서 논리프레임 식별(Logical Frame Identification; 이하 LF-ID라고 함)부분에서만 1그룹의 프레임번호, 즉, 1∼22번까지 부여되고, DF-ID(Data Frame Identiication), TBD부분은 "0"으로 채워진다.
워드넘버 1내지 1439까지 사용자 데이타영역이고, 워드넘버 1440 내지 1455까지는 '0'로 채워진다. 즉, 한프레임에는 5760symbol이 기록되고, 5824bytes가 할당되고 있다.
DAT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함에 있어서는 그것들이 기록된 순서대로 읽어들여 에러정정처리를 행한 후 컴퓨터등의 외부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버퍼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DAT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 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헤더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일시저장하여 에러정정부에 제공하는 버퍼메모리의 기록어드레스를 용이하게 발생하는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DAT에 실린 데이타를 재생하는 헤더와, 헤더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저장하는 베퍼메모리를 구비한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DAT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의 각 논리프레임번호에 상응하는 오프세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 헤더로부터 재생된 직렬데이타를 병렬데이타로 변환하는 직/병렬변환기 : 직/병렬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병렬데이타에 실린 논리프레임 번호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제공하는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 : 각 논리프레임내의 순차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카운터와, 메모리의 각 논리프레임의 오프세트 어드레스와 카운터의 순차어드레스를 가산하고, 그 결과를 버퍼 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로서 제공하는 가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DAT구동부(10)의 데이타 출력단자(11)는 직/병렬변환부(2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30)의 입력단자는 직/병렬변환부(20)의 출력단자에, 출력단자는 PROM(40)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카운터(50)의 클럭입력단자는 DAT구동부(10)의 2배의 샘플링신호 출력단자(13)에 접속된다. 가산기(60)의 제1입력단자는 PROM(40)의 출력단자에, 제2입력단자는 카운터(50)의 출력단자에, 출력단자는 버퍼메모리(70)의 어드레스신호 입력단자(71)에 각각 접속된다.
버퍼메모리(70)의 데이타입력단자(72)는 직/병렬변환부(2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데이타출력단자는 에러정정부(도시도지 않음)에 연결된다.
이어서, 제3도의 작동을 제4도에 도시된 파형과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DDS 포맷으로 DAT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DAT 구동부(10)에서는 DAT에 실린 데이타를 헤더를 포함하는 신호처리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재생한다. 이때, DAT구동부(10)의 프레임동기 신호출력단(Fsync)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동기신호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의 듀티비(dutyrate)를 갖는 30msec의 주기신호로서 이 주기는 DATA의 회전드럼(도시되지 않음)가 1회전하는 주기 즉, 제2트랙분의 주행기간이다.
DAT구동부(10)의 데이타출력단자(DATA)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의 파형은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DAT구동부(10)의 샘플링신호 출력단자(12)로부터 출력되는 샘플링신호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8kHz의 주파스를 갖는다. DAT구동부(10)의 2배에 샘플링신호 출력단자(13)로부터 출력되는 샘프링신호의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는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것이 카운터(50)의 클럭신호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직/병렬변환부(20)에서는 DAT구동부(10)로부터 출력되는 직렬데이타(제2(c))도를 8비트 벙렬데이타로 변환한다.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30)에서는 병렬데이타로부터 제2(c)도에 도시된 LF-ID부분의 부분의 데이타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타로부터 몇번의 프레임인가를 디코딩한 후 PROM(40)에 출력한다.
PROM(40)에서는 DAT로부터 재생된 22프레임으로 구성된 1그룹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버퍼메모리(70)의 메모리 맵상에서 각 프레임의 시작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값이 저장되어 있다. 즉, 각 프레임들에 대한 오프셋(off set)어드레스가 저장된다.
한편, 카운터(50)는 클럭입력단(CLK)에 유입된 샘플링신호의 2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제4(d)도즉, 2×40kHz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에 따라 각 프레임내의 5824바이트의 번지를 어드레싱하기 위한 어드레스 카운터로서의 역활을 수행하며 각 프레임내의 데이타에 대한 순차 증가어드레싱을 담당한다. 여기서, 카운터(50)는 5824진 카운터이고, 각 프레임마다 리세트되어 카운트를 재개한다.
예를 들어,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30)로부터 출력되는 논리번호가 "1"이면 PROM(40)의 출력은 "0"가 되고,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30)로부터 출력되는 논리번호가 "2"이면 PROM(40)의 출력은 메모리맵상 두번째 프레임의 시작번지인 10진수로 5824에 해당하는 값이 출력된다.
가산기 (60)에서는 PROM(40)의 출력과 카운터(50)의 출력을 가산하여 버퍼메모리(70)의 1그룹내의 전체데이타에 대한 기입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버퍼메모리(70)는 가산기(6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입어드레스값에 따라 직/병렬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데이타를 기입한다.
버퍼메모리(70)에 저장된 데이타는 에러정정부에 제공되어 에러정정처리된 후 컴퓨터등의 외부장치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베퍼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는 DAT상에 실린 데이타의 논리프레임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타재생시 버퍼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를 용이하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단 수정없이도 DAT를 이용한 백업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명백하다.

Claims (3)

  1. DAT에 실린 데이타를 재생하는 헤더와, 상기 헤더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저장하는 버퍼메모리를 구비한 디지탈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DAT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의 각 논리프레임번호에 상응하는 오프세트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헤더로부터 재생된 직렬데이타를 병렬데이타로 변환하는 직/병렬변환기 : 상기 직/병렬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병렬데이타에 실린논리프레임 및 번호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제공하는 논리프레임번호 검출 및 디코딩부 : 상기 논리프레임내의 순차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카운터와, 상기 메모리의 논리프레임의 오프세트 어드레스와 카운터의 순차어드레스를 가산하고, 그 결과를 버퍼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로서 제공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버퍼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래머블롬(PROM)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데이타 재생속도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클럭을 계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 발생회로.
KR2019910013416U 1991-08-22 1991-08-22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KR940005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416U KR940005000Y1 (ko) 1991-08-22 1991-08-22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416U KR940005000Y1 (ko) 1991-08-22 1991-08-22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92U KR930005392U (ko) 1993-03-22
KR940005000Y1 true KR940005000Y1 (ko) 1994-07-25

Family

ID=1931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416U KR940005000Y1 (ko) 1991-08-22 1991-08-22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0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92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399B2 (ja) 記録担体上の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および/又は再生方法
HU193077B (en) Record player apparatus
KR870005374A (ko) 음성신호의 pcm 기록 재생방법과 그 장치
KR890001069A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시스템
KR10027155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 데이타 처리회로
KR920018733A (ko) 데이타 기록 및 재생 장치
KR940005000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버퍼메모리의 기입 어드레스 발생회로
US4932018A (en) Integrated circuit for generating indexing data in a CD player
KR910003378B1 (ko) 디지탈 신호 복조 및 재생장치
JP3045339B2 (ja) 磁気テープ再生装置
SU705508A1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код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на магнитном носителе
KR940001053Y1 (ko) 데이타 백업장치의 프레임 번호 검출회로
JP2586603B2 (ja) 光ディスク
JP2702674B2 (ja) データ記録方法
JPH01245470A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53880A (ja) 記録再生装置
JPH02193192A (ja) Midi信号記録再生方式及び装置
EP0449212A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JPS5917501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63860B2 (ko)
JP3603654B2 (ja) データレコーダ
JPH0691618B2 (ja) 画像デ−タ記録再生装置
JP2615716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87945B2 (ja) デ−タ記録方法
JPH1040649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