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55Y1 -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55Y1
KR940004755Y1 KR2019890007694U KR890007694U KR940004755Y1 KR 940004755 Y1 KR940004755 Y1 KR 940004755Y1 KR 2019890007694 U KR2019890007694 U KR 2019890007694U KR 890007694 U KR890007694 U KR 890007694U KR 940004755 Y1 KR940004755 Y1 KR 940004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unit
full
copi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833U (ko
Inventor
손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7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755Y1/ko
Publication of KR900020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오픈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송출유니트의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된 가이드 수단을 사시도로 나타낸 개략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오픈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풀-오픈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종래의 복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출 유니트 2 : 현상 유니트
3 : 가이드 수단 4 : 로드
5 : 버튼 6 : 인장 스프링
7 : 로드 가이드 8 : 록크핀
9 : 록크 10 : 훅크
11 : 밀대 12 : 압축스프링
13 : 걸림핀 14 : 장공
15 : 상단부 16 : 하단부
본 고안은 복사기의 풀-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이용한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LCS 프린터 및 각종 복사기에서 일어나는 페이퍼 잼(PAPER JAM)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복사기의 일부분을 개방시킬 수 있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PULL-OPEN)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토너 지지대의 이송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토너지지대가 급지로울러에서 부터 반송로울러, 전사공정을 거쳐 정착로울러를 지나 배지로울러로 송출된 복사물을 배지하는 이송과정을 거치면서 여러원인(종이의 걸림, 종이의 중복)등에 의해 페이퍼 잼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페이퍼 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4도에서와 같이 쉘 오픈(SHELL OPEN)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측(1)을 A방향으로 임의 각도 만큼 회전해치시켜 바닥측(2)으로부터 분리시켜 페이퍼 잼을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부측(1)을 바닥측(2)으로부터 들어주기 위한 기구(보통 스프링 또는 유입기구)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비가 많이든다.
둘째, 상부측(1)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킬때 바닥측(2)이 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복사기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잼 발생된 페이퍼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사기의 풀-오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복사기의 풀-오픈장치는 기록지를 공급하고 원고의 상을 기록지로 옮기는 현상 유니트와, 상기 기록지를 배출시키는 송출유니트와, 상기 송출유니트를 상기 현상 유니트에 결합/분리시키는 착탈수단과, 상기 현상 유니트로부터 분리된 송출유니트를 이송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풀-오픈장치가 채용된 복사기를 나타낸 제3도의 제3(a)도, 제3(b)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2)는 외주면에 원고의 상이 맺히는 감광드럼과 이 감광드럼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기와 공급되는 기록지에 원고의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기등이 설치되는 현상 유니트이고, 참조번호 (1)은 기록지에 전사된 토너를 장착시키는 장착로울러와 기록지를 배출시키는 배치로울러등이 설치되는 페이퍼 송출 유니트이다.
그리고 상기 송출유니트(1)는 상기 현상 유니트(2)에 소정의 착탈수단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현상 유니트(2)로 부터 분리된 송출유니트(1)는 송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탈수단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유니트(2)의 상면에 설치되는 버튼(5)과, 일단이 현상유니트(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8) 설치되고 타단에 훅크(10)가 형성된 록크(9)와, 상기 버튼(5)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크(9)가 회전연동되도록 상기 버튼(5)과 록크(9)를 연결하는 로드(4)와, 상기 로드(4)를 회전복원시키도록 상기 현상 유니트(2)에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인장스프링(6)과, 상기 송출유니트(1)에 설치되고 송출유니트(1)가 현상유니트(2)로부터 결합/분리될시 상기 훅크(10)에 록킹/록킹해제되는 록크핀(8)과, 상기 훅크(10)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록크핀(8)을 해제방향으로 미는 밀대(11)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6)은 현상유니트(2)의 로드 가이드(7)와 로드(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대(11)가 상기 록크핀(8)을 탄력적으로 밀도록 상기 현상 유니트(2)에 일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12)에 밀대(11)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4)와 록크(9)의 연결은 로드(4)의 단부에는 장공(14)을 형성하고, 록크(9)에는 장공(14)이 결려지는 걸림핀(13)을 형성하여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현상 유니트(2)에 상기 록크(9)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1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12)의 일단이 그 스토퍼(19)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제2도의 제2(a)도, 제2(b)도 및 제3도의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유니트(2)와 송출유니트(1)의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두개의 슬라이딩부(17)와 이 슬라이딩부(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현상 유니트(2)가 설치되는 상단부(15)와, 상기 슬라이딩부(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송출유니트(1)가 설치되는 하단부(1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출유니트(1)는 상기 슬라이딩부(17)를 따라 상기 현상유니트(2)로부터 븐리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질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사기의 풀-오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페이퍼 잼이 발생하였을 경우 송출유니트(1)와 현상유니트(2)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을 A방향에서 B방향으로 밀어 누르면, 그 누름력은 로드(4)를 통해 록크(9)에 전달되면서 록크(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록크핀(8)은 록크(9)의 훅크(10)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12)에 의해 밀대(11)가 록크핀(8)을 좌측방향으로 밀어 제3도의 (b) 및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송출유니트(1)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현상유니트(2)와 분리되게 된다. 이때 송출유니트(1)는 가이드수단의(3)의 하단부(16)에 실려서 슬라이딩부(17)를 따라 이송가이드되게 된다.
그리고 버튼(5)의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인장스프링(6)에 의해 버튼(5)과 록크(9)가 복원되게 되며, 록크(9)는 스토퍼(19)에 의해서 복원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송출유니트(1)가 현상유니트(2)로부터 분리된 후 분리된 틈으로 손을 넣어 잼 발생된 페이퍼를 제거하면 된다.
송출유니트(1)를 결합시에는 송출유니트(1)를 현상유니트(2) 방향으로 밀어주면 록크핀(8)이 록크(9)의 훅크(10)의 바깥 곡면을 타고 훅크(10)에 걸림과 동시에 록크핀(8)이 밀대(11)를 밀어 압축스프링(12)을 압축시켜 원래의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록크핀(8)이 훅크(10)에 체결될때 로드(4)의 장공(14)에서 록크(9)가 힌지(18)를 중심으로 약간의 회전이 일어나 원할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출유니트(1)가 현상유니트(2)와 분리가 이루어 짐으로써 잼 발생된 페이퍼를 간단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종래 잼 발생된 페이퍼를 제거기 위해서 상부측(1)을 바닥측(2)으로부터 들어주기 위한 유압기구가 필요없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가 적게든다.
또한, 종래 상부측(1)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킬때 바닥측(2)이 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복사기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송출유니트(1)를 현상유니트(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페이퍼 제거시에도 안정된 복사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록지를 공급하고 원고의 상을 기록지로 옮기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기록지를 배출시키는 송출유니트와, 상기 송출유니트를 상기 현상 유니트에 결합/분리시키는 착탈수단과, 상기 현상 유니트로부터 분리된 송출유니트를 이송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현상유니트에 설치되는 버튼과, 일단이 현상유니트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고 타단에 훅크가 형성된 록크와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크가 회전연동되도록 상기 버튼과 룩크를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회전복원시키도록 상기 현상 유니트에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송출유니트에 설치되고 송출유니트가 현상유니트로부터 결합/분리될시 상기 훅크에 록킹/록킹해제되는 록크핀과, 상기 훅크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록크핀을 해제방향으로 미는 밀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소정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두개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현상 유니트가 설치되는 상단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송출유니트가 설치되는 하단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가 상기 록크핀을 탄력적으로 밀도록 상기 현상 유니트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밀대와 연결되는 압축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니트에 상기 록크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KR2019890007694U 1989-05-31 1989-05-31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KR940004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94U KR940004755Y1 (ko) 1989-05-31 1989-05-31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94U KR940004755Y1 (ko) 1989-05-31 1989-05-31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33U KR900020833U (ko) 1990-12-14
KR940004755Y1 true KR940004755Y1 (ko) 1994-07-20

Family

ID=1928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694U KR940004755Y1 (ko) 1989-05-31 1989-05-31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7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33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478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4789876A (en) Portable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US47053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ocking means
US20040175204A1 (en) Carr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in which the relative positioning of carrying rollers is automatically adjusted
KR100561369B1 (ko) 화상형성장치
US490867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940004755Y1 (ko) 복사기의 풀-오픈장치
US5189469A (en) Recording device
JP2006138993A (ja) 画像形成装置
JPH06222629A (ja) 画像形成装置
JP4389734B2 (ja) 画像形成装置
JP4133471B2 (ja) ロック構造
US10597243B2 (en) Locking mechanism for movable unit, and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S63782B2 (ko)
JP3581611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525205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44291Y2 (ko)
JP390257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8691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20305B2 (ja) 画像形成機
JPH0614239Y2 (ja) 像形成装置
JPH0614238Y2 (ja) 像形成装置
JPS593451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3795Y2 (ja) 画像形成装置
JPH038455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