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50B1 - 운동화 - Google Patents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50B1
KR940004750B1 KR1019850001590A KR850001590A KR940004750B1 KR 940004750 B1 KR940004750 B1 KR 940004750B1 KR 1019850001590 A KR1019850001590 A KR 1019850001590A KR 850001590 A KR850001590 A KR 850001590A KR 940004750 B1 KR940004750 B1 KR 94000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neaker
restraints
wear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504A (ko
Inventor
다불류 미시비취 케니스
Original Assignee
트레톤 에이비이
스테판 야콥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레톤 에이비이, 스테판 야콥슨 filed Critical 트레톤 에이비이
Publication of KR85000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동화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발 운동화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운동화 일부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분의 확대도.
제6도는 제4도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하나 약간 변형된 형태의 중창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중창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구속되지 않은 발포 중창을 가진 종래의 운동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 및 9도에 나타난 구조들에 의한 에너지 흡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11도는 구속판 연결 부재를 고정시키는 다른 유형의 고정 수단을 보여주는 확대도.
제12도는 구속판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유형의 고정 수단을 보여주는 확대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다른 배열의 구속판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또 다른 배열의 구속판 연결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7도는 연결 부재의 또 다른 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또 다른 예의 중창 구속 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9도는 연결 부재의 또 다른 배열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20도는 신발의 발 후미부와 중간부 모두에서 발포 중창을 구속하기 위해 2조의 구속판이 이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21-21선에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구속판들 사이의 연결 부재가 판 형태인 또 다른 실시예의 운동화의 평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23-23선에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의 24-24선에 따른 단면도.
제25도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창 보강판을 구비한 왼발 운동화 일부의 좌측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나타난 운동화 일부의 우측면도.
제27도는 제25도의 27-27선에 따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5도의 28-28선에 따른 단면도.
제29도는 중창 구조의 세부를 보여주기 위해 운동화 일부를 절개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왼발 운동화의 측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30-30선에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중창구조의 세부를 보여주기 위해 신발 일부를 절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왼발 운동화의 측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32-32선에 따른 단면도.
제33도는 창 구조의 세부를 보여주기 위해 신발 일부를 절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왼발 운동화의 좌측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34-34선에 따른 단면도.
제35도는 제33도의 35-35선에 따른 단면도.
제36도는 다리의 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이 어떤식으로 이용될 수 있나를 보여주는 왼발과 오른발 신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갑피 22 : 신발 바닥
24 : 바깥창 26, 174 : 중창
30, 110 : 중창 구속 기구 32, 34 : 구속판
36, 99 : 연결 부재 74 : 쐐기형 고정 부재
86, 88 : 구속판 100 : 고정구
116 : 중창 구속 기구 118, 119, 130, 131 : 구속판 부분
132 : 동적 반작용판(보강판) 136, 138 : 상하부 중창층
150 : 중창 154 : 중창 중심체
158, 184 : 안창판 180 : 혹
본 발명은 발포 중합체 중창을 가진 달리기, 테니스 및 다른 스포츠용의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운동화의 적층 바닥 구조물은 착용자의 발을 완충시켜 착용자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주는 에너지 흡수성 발포체 중간창(보통 "중창"으로 부름)을 보통 가지고 있다. 발포체 중창은 보통 독립기포(closed cell) 형태로서, 착용자의 안락감 요건에 부합하도록 비교적 유연한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중창이 유연할수록 착용자의 하중으로 인한 에너지를 흡수하는데는 덜 효과적이다.
중창의 에너지 흡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종 제안이 제시되어 왔다. 예컨대 종래의 신발중 한 유형에서, 발포체 중창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압 공기실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다른 유형의 운동화에서, 중창은 에너지 흡수용 삽입체를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유형의 신발에서는, 중창을 보강시킬 목적으로 중창테 둘레를 감싸주는 망을 이용한다. 또 다른 유형의 신발에서, 발포된 중창 중심체가 별도로 성형된 중창테에 의해 테두리가 되어 있다. 이들 구조중 어느것도 에너지 흡수력을 향상시키는데 아주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창의 에너지 흡수력이 크게 향상된 신규한 운동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신규 구조들이 여기에 기술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구속판이 하나 이상의 횡으로 뻗은 연결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창이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억제해줄 목적으로 중창의 측면테의 선택된 부위를 따라 중창의 양쪽 측연부에 놓여져 있다. 그 연결 부재는 중창을 예지 압축하도록 예비 인장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독립기포 중창 발포체의 경우, 중창을 예비 압축시키면 중창의 내부 독립기포의 기체압이 증가하여, 착용자의 발이 중창을 초기에 누를 때 중창에 의한 에너지 흡수를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과된 크기의 발포된 중심체를 중창테의 개방부내로 넣고 예비 압축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바깥창 위에 놓여지는 중창부분 내로 상향으로 돌출하여 그 중창 부분을 예비 압축시키는 혹(nub)들이 바깥창에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포 중창 삽입체가 발포 중창 몸체의 구멍내로 예비 압축되어 배치된다.
상기 요약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신발 구조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진다. 우선, 본 발명은 발포 중창의 에너지 흡수력을 증가시킨다. 두번째로, 상이한 달리기 유형, 체중 차이 및 달리기 불균형을 수용하는 선택적인 발 지지체를 제공하는데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 또는 다리의 불균형을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속판이 운동화 제조후 어떤 운동화에나 적용될 수 있어 개개의 착화자에 맞게 신발을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창의 양측면상에 있는 구속판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연결 부재로서 중창 보강판이 사용된다. 이 보강판은 상부 중창층과 하부 중창층 사이에 놓이고 발포 중창의 선택된 부위를 강화시켜 중창의 국부적 퇴화를 감소시키는 또 다른 역할을 한다. 상기 형태의 중창 보강판이 1983. 1. 20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456,820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운동화의 발포 중간창의 외향 팽창을 억제해 주는 신규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중창 발포체의 독립기포의 내부 기체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포 중간창이 예비 압축되는 신규한 운동화 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포 중창 구조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예비 압축되는 신규한 중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3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운동화는 가용성 갑피(upper)(20)와, 그 갑피(20) 아래에 놓이는 적층된 신발 바닥(22)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갑피(20)는 어떤 적당한 통상의 구조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갑피(20)는 막힌 직물 바닥을 가지는 형태로 되어 그 갑피가 슬립퍼와 같이 착용자의 발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갑피(20)는 안창판에 의해 막혀지는 개방된 바닥을 가진 형태일 수도 있다.
신발 바닥(22)은 지면에 접히는 가요성이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바깥창(24)과, 그 바깥창 위에 놓여져 바깥창에 접합되고 발포체로 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요성의 중창(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창(26)은 착용자의 뒷꿈치 아래에 놓이는 뒷꿈치 쐐기부분(도시 생략)을 가진다. 그 뒷꿈치 쐐기부분은 임의적인 것으로 있다가 없을 수 있다. 갑피(20)는 중창(26)에 접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적당히 고정된다.
또 다르게는, 뒷꿈치 쐐기부분은 중창(26)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뒷꿈치 쐐기부분은 발포 중창 구조물의 일부로 간주된다.
바깥창(24)은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이 높은 어떤 적당한 탄성적이고 질긴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로 만들어지고, 중창(26)은 어떤 적당한 경량의 독립기포(closed cell) 중합 발포체로 만들어 진다. 예컨데 중창(26)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부터 성형되고, 성형중 과산화물에 의해 가교 결합될 수 있다.
제1도-4도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 바닥(22)은 중창(26)의 외향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중창 구속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창 구속 기구(30)는 마주하여 위치해 있는 한쌍의 뻣뻣한 구속판들(32,34)과 그 구속판들(32,34)을 서로 연결해 주는 미리 선택된 수의 가요성이고 비신장성의 연결 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결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는 착용자의 뒷꿈치, 즉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 4개의 연결 부재가 있다.
구속판들(32,34)은 어떤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부재들(36) 또는 어떤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속판들(32,34)은 신발의 뒷꿈치 지역에서 중창(26)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그 중창의 반대로 향하는 내외측 측연부들에 꼭맞게 설치된다. 연결 부재들(36)은 구속판들(32,34) 사이에서 중창(26)을 횡으로 관통하여 뻗어 있으며 그 구속판들을 서로 함께 고정시켜준다. 중창(26)이 압축된때 연결 부재들(36)은 구속판들(32,34)이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막아 중창(26)의 외향 팽창을 억제하도록 장력하에 배치된다.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구속판들(32,34)은 장방형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 중창(26)의 양 측면상에서 동일 길이로 뻗어 있다 그 구속판들(32,34)은 중창(26)에 접합 또는 접착될 수도 있다.
제3도와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들(36) 각각은 몸체부(40)를 가지며, 이 몸체부의 한쪽 끝에는 확대된 머리부(42)가 있고 반대쪽 끝에는 나사 부분(44)이 있다. 각 연결 부재(36)의 몸체부(40)는 구속판(32)에 있는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그 연결 부재의 머리부(42)가 구속판(32)의 외측 표면에 접하여 위치된다.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 부재의 나사 부분(44)은 구속판(34)과 일체로 형성된 너트 부분(46)에 나사 결합된다. 그 너트 부분(46)은 나사 부분(44)을 수용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한쌍의 스프링아암을 가진다.
제1도-6도에서, 연결 부재(36)의 몸체부(40)는 평편한 측면을 가지는 가늘고 긴 조각 또는 띠 형태로서, 중창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사이 중간 정도에서 중창(26)을 가로지르는 수평면을 따라 편평하게 놓인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들의 장축은 균일한 간격으로 평행히 옆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신발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또 다르게, 연결 부재(36)는 섬유, 필라멘트, 철사 또는 원형단면의 막대 형태일 수도 있다.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6)는 구속판들(32,34)과 별도로 형성되며 그 구속판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또 다른게는, 연결 부재들이 구속판들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어떤 적당한 고정 장치에 의해 다른 하나의 구속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중창(26)의 압축되었을 때 구속판들(32,34)은 연결 부재들(36)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어 발 후미 지역에서의 중창의 외향 팽창을 억제한다는 것이 정확히 인식될 것이다. 연결 부재들은 선택된 크기 만큼 중창(26)을 예비압축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 다르게, 연결 부재(36)는 중창의 예비 압축없이 중창(26)에 구속판들(32,34)을 꼭 맞게 설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중창(26)은 그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베어져 중창층(50)과 하부 중창층(52)을 형성한다. 그 베어진 틈이 제2도 및 제6도에서 번호(48)로 표시되어 있으며, 신발 뒷꿈치의 후연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다. 연결 부재(36)의 몸체부(40)는 상부 중창층(50)과 하부 중창층(52) 사이의 베어진 틈(48)내에 수용된다. 연결 부재(36)가 중창(26)내 제위치에 배치된 후, 상하부 중창층들(50,52)이 접착, 접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함께 적당히 고정되어 연결 부재(36)를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중창(26)을 베는 대신, 연결 부재(36)를 수용하는 작은 구멍들(53)(제7도)을, 단일체로 되어 있는 중창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횡으로 그 중창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구멍들(53)은 중창의 예비 압축을 일으키도록 연결 부재로 중창에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8도에서, 수직으로 하중이 부여된 때의 중창(26)의 모양이 실선으로, 하중이 부여되지 않았을 때의 모양이 이점 쇄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구속된 중창 모양과 비교하여, 제9도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구속되지 않은 중창(56)은 착용자의 하중하에 수직으로 압축되었을 때 신발의 측연부를 따라 외측으로 팽창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중창 구속 기구로 중창(26)의 횡방향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중창 발포체의 독립기포내 기체압이 제9도에 나타낸 비구속 중창(56)의 경우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한다. 따라서, 비구속 중창(56)과 비교하여, 착용자 발이 중창내로 묻힐 때 중창(26)의 단위 압축당 상당히 더 많은 에너지가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속된 중창 구조에서 주어진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필요한 최대 힘은 제9도의 비구속 중창에서 동일량의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필요한 최대힘보다 훨씬 적다(예컨대 제10도 참조).
제10도는 3개의 힘 곡선(60,61 및 62)을 나타낸 것으로, 각 곡선은 가해진 힘, 즉, 압축력(F) 대 발 묻힘 거리, 즉 중창의 압축 정도(D)의 관계를 나타낸다. 곡선(60)은 선택된 힘(F0)으로 예비 압축된 중창(26)에서의 가해진 힘을 나타낸다. 곡선(61)은 예비 압축없이 구속된 중창에서의 가해진 힘을 나타낸다. 곡선(62)는 제9도에 나타낸 종래의 비구속 중창(56)에서의 가해진 힘을 나타낸다. 곡선(60)에 예시된 바와같이, 중창의 예비 압축은 발포체의 독립기포내의 어떤 잔류 기체압을 초과한다.
곡선들(60-62) 각각의 아래 면적은 발포 중창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양을 나타낸다. 제10도에 도시된 예에서, 곡선들(60-62) 아래 면적들(E1,E2및 E3)은 동일양의 에너지 흡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같게 만들었다.
본 발명의 예비 압축되고 구속된 발포 중창(제8도 참조)에서, 중창(26)은 곡선(60) 아래의 면적(E1)으로 표시되는 에너지를 흡수하기우해서 거리(D1)만큼 압축되어야 한다. 구속된 중창을 예비 압축함이 없이 동일량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중창이 더 큰 거리(D2)만큼 압축되어야 한다(곡선 (61) 참조). 제9도의 종래의 신발이 동일량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비구속 중창(56)은 거리(D2)보다 더 큰 거리(D3)만큼 압축되어야 한다. 비구속 중창(56)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구속된 중창(예비 압축되었거나 되지 않았거나 간에)은 중창 단위 압축당 비구속 중창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구속된 중창은 에너지 흡수체로서 더 효과가 있다.
중창(26)을 예비 압축시키도록 연결 부재(36)가 조정되는 경우, 예비 압축된 중창은 제10도에 나타낸 다른 상태와 비교하여, 중창의 단위 수직 압축력당 더 큰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중창(링)을 예비 압축해 주면 중창의 에너지 흡수력을 더 크게 해주어 에너지 흡수체로서 더욱 더 효력이 있게 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36)는 착용자의 발이 중창내로 묻힐 때 구부러져 활모양이 된다. 착용자에 의해 중창(26)에 발휘된 힘이 예를 들어, 힘 벡터(FS)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종축을 포함한 수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치우친 경우, 연결 부재(36)의 휨은 가해진 힘의 방향에 더 가까이 있는 구속판이 다른 구속판 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 상기 후자의 구속판의 지역에서 보다 전자의 구속판 지역에서 더 큰 중창 압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의 구속판을 그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은 후자의 구속판을 그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힘보다 더 크다. 예시된 바와 같이 힘 벡터(FS)의 방향에서, 구속판(32)에 가해진 복원력은, 구속판들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같은 평형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구속판(34)에 가해지는 복원력보다 더 크게 된다. 이것은 또한, 신발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쐐기형 고정 부재가 제5도의 나사연결구조 대신 사용되었다. 제11도에서, 연결 부재들(36) 각각은 구속판(34)의 구멍(72)내에 헐겁게 수용되는 매끈한 원통형 단부(70)를 가진다. 쐐기형 고정 부재(74)가 구멍(72)내에 박혀, 연결 부재를 선택적으로 조정된 위치에 고정시켜 준다.
제12도에는, 각 연결 부재(36)를 조정된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구체-절결홈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연결 부재(36)의 매끄런 원통형 단부가 구속판(34)의 구멍(76)을 통해 연장하고, 그 단부 부분에는, 축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 1쌍의 원주방향 절결홈(78)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36)의 절결홈이 있는 단부는 구속판(34)의 외측 면상의 구체(球體)(80)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제13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80)는 연결 부재를 제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절결홈들(78)중 하나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돌기(82)를 그의 관통 구멍 내면에 가지고 있다. 구체(80)는 그 구체에 축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구체의 돌기(82)가 연결 부재 단부에 있는 절결홈으로부터 제거되는데 충분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어떤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구체(80)는 그 구체가 절결홈들(78)중 선택된 어느 한 절결홈내에 배치되는 각기 다른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창(26)의 예비 압축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36)를 그의 조정된 위치에 제거가능하게 고정시켜줄 수도 있다.
제14 및 15도의 실시예는 연결 부재(36)가 상하 평행하게 두줄로 배열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7도의 실시예와 같다.
제16도의 실시예에서, 다른 크기의 구속판들(86,88)이 전술한 구속판들(32,34) 대신 사용되고, 연결 부재(36)는 구속판(86)으로부터 다른 구속판(88)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서로의 쪽으로 집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구속판(88)의 길이는 구속판(86)의 길이보다 작다. 구속판 크기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그 구속판들(86,88)은 전술한 구속판들(32,34)과 동일하다.
제16도에 도시된 구조는 과도하게 발이 안쪽으로 휜 사람에 특히 적합하다. 신발 바닥의 내측테를 따라 큰 크기의 구속판(86)을 배치하고 연결 부재(36)를 작은 크기의 구속판(88)쪽으로 집중시킴에 의해, 발이 안쪽으로 휜 사람에 의해 내측테에 부여되는 더 큰 하중을 평형시키도록 더 큰 지지가 신발 내측테를 따라 제공된다. 구속판(86)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도는 연결 부재(36)를 개별적으로 조정하거나, 중창 구속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힘 분포 지역으로부터 연결 부재를 선택적으로 단절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거해줌으로써 특정인에 맞추어 질 수 있다.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속판(34)은 구속판(32)보다 아래의 위치해 있으며, 연결 부재(36)는 구속판(32)의 종축, 즉 중앙축 위에서 구속판(32)의 면에 교차하고 구속판(34)의 중앙 지역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그외에는, 제17도의 실시예는 제1도-6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7도의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발이 중창(26)내로 묻힐 때 그로 인해 구속판(32)의 상부가 안쪽으로 당겨져서 중창이 신발의 중앙테를 따라 약간 위로 팽창된다. 이것은 과도하게 발이 안쪽으로 휜 사람을 위한 지지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제18도와 19도는 신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는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다.
제3도와 18도의 실시예들이 어느정도 유사하기 때문에 유사부분들에 같은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단 제18도에서 번호 옆에 문자 "a"를 붙혀 구별했다.
제18도에서, 구속판들(32a,34a)을 연결해주는데 연결 부재(99)를 한줄 더 사용했다. 그 연결 부재(99)는 연결 부재(36a)와 동일할 수 있다.
연결 부재(99)는 연결 부재(36a) 하부 지역에서 하부 중창층(52a)을 관통하여 뻗어 있다. 착용자에 의해 부여되는 하중이 없는 경우, 연결 부재(99)는 휘지 않고 수평면을 따라 놓인다.
제18도에서, 상부 중창층(50a)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중앙 팽출부(96)를 가지며, 이 팽출부는 하부 중창층(52a)의 중앙 요홈부(98)내에 꼭 맞게 놓여진다. 연결 부재(36a)는 하부 중창층의 중앙 요홈부(98)내에 배치되도록 팽출부(96)에 결합되고 그 팽출부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고, 그리하여 구속판들(32a,34a)이 내측 하방으로 당겨져 있는 하부 중창층(52a)을 예비 압축시킨다. 제18도에서, 연결 부재들(32a)은 이들이 구속판들(32a,34a)에 결합되는 부위에서 신발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위치하도록 구부려진다. 그 결과, 중창 압축에 기인한 복원력은 제19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평형 상태로의 복원중 신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수평면에 대한 상응하는 각을 제공해 주는 역할도 한다. 제19도는 신발의 안정성을 높혀주기 위해 연결 부재가 각이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9도의 실시예가 제3도의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부분에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단 제19도에서는 제3도의 실시예와 구별하기 위해 번호 옆에 문자 "b"를 부가하였다.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36b)는 그의 중간이 적당한 고정구(100)에 의해 바깥창(24b) 윗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런 구조에 의해, 각 연결 부재(36b)는 고정구(100)의 양측에 있는 2개의 각진 부분들(102,104)로 나누어진다. 그 각진 부분들(102,104)은 각각 고정구(100)로부터 먼쪽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6b)의 각진 부분들(102,104)은 신발 뒷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대해 대칭으로 놓여져 있다.
각진 부분들(102,104) 각각이 수평면에 대해 상당한 예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편심 하중 또는 편심력(FS)은 그 힘이 편향되는 측면에서의 중창 구속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불균형된 구속판 복원력이 발생되고, 신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힘(FS)이 편향되는 측면에 더 큰 복원력이 생기게 된다.
제19도에서, 힘(FS)은 구속판(32b)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구속판(32b)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힘(FS)을 평형시키도록 구속판(34b)에 작용하는 복원력보다 더 크다. 제18도에서 연결 부재(36a)가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유사한 안정화 효과가 제18도의 실시예에서도 발생한다.
제20도 및 제2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발 중간 부분에서 중창(26)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막기 위해 또 다른 중창 구속 기구(110)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 중창 구속 기구(110)는 전술한 중창 구속 기구(30)와 유사하다. 따라서, 구별을 위해 중창 구속 기구(110)에 문자 "c"를 덧붙인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 참조번호를 붙혔다. 중창 구속 기구(110)는 전술한 중창 구속 기구(30)와 같은 방식으로 작용한다.
제20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그 중창 구속 기구들(30,110)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중창 구속 기구(110)는 중창 구속 기구(30) 전방에 위치해 있으며 착용자 발 중간부분 아래 있는 중창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발 중간부에 위치하는 대신, 중창 구속 기구(110)가 신발 앞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제2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형의 또 다른 중창 구속 기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중창 구속 기구(30,110)외에 발 앞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1 및 22도의 실시예에서, 각종 다른 중창 구속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0도에 나타낸 중창 구속 기구들중 하나 또는 둘다 대신에 제16, 17, 18, 및 19도의 실시예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6도의 실시예와 같이, 제7-21도의 실시예들에서도 구속판이 신발 중창에 접착 또는 접합될 수 있다.
제22-24도는 수평으로 뻗어 있고 비신축성이고 편평한 면을 가진 가로대(120)로부터 한쪽이 지지되어 수직으로 매달려 있는 한쌍의 평행히 떨어져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구속판 부분들(118,119)을 가진 중창 구속 기구(116)를 나타낸다. 가로대(120)는 구속판 부분들(118,119) 사이의 연결 부재로서 작용하며 신발의 안창판이나 테 역할도 한다.
가로대(120)는 갑피(20)와 중창(26) 사이의 경계면에서 약간 아래쪽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20)는 구속판 부분들(118,119) 사이에서 창의 한면으로부터 다른면에 이르는 전체 뒷꿈치 지역에 걸쳐 연장한다. 가로대(120)는 발 후 미 지역의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안창이나 전체 안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속판 부분들(118,119)은 가로대(120)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그 가로대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제23도에 잘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구속판 부분들(118,119)은 중창의 내외측 테구리의 상부 모서리에 놓이고 중창(26)내로 하향 돌출하여 중창내에 매립되어 있다. 가로대(120)는 착용자의 하중하에서 휘기에 충분히 얇다. 구속판 부분들(118,119)은 가로대(120)보다 두꺼우며, 따라서 착용자의 하중하에 중창(26)의 압축으로 인한 휨에 저항할 수 있도록 비교적 뻣뻣하다. 따라서, 구속판 부분들(118,119)은 그 구속판 부분들 사이에 놓여있는 중창 부분이 외축으로 팽창되는 것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속판 부분들(118,119)의 하부 자유 단부들은 중창(26)의 저면위의 일정한 공통 수준에 놓일 수 있다.
이 중창 구속 기구(116)는 어떤 적당한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중창 구속 기구는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단일체로 성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 구속 기구(116)는 어떤 적당한 방식으로 중창(26)에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중창이 중창 구속 기구(116) 둘레에 성형될 수 있다.
제25-28도의 실시예에서, 대향되고 서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구속판 부분들(130,131)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비신축성의 동적 반작용판(즉, 보강판)(132)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적당히 고정되며, 동적 반작용판(132)은 구속판 부분들(130,131)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 구속판 부분들을 연결한다. 동적 반작용판(132)은 구속판 부분들(130,131)을 연결해주는 연결 부재 역할을 하며, 또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창(26)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구속판 부분들(130,131)은 발 후 미 지역에 있는 중창의 내외측 테를 따라 위치되어, 그 지역에서의 중창의 외향 팽창을 억제해준다.
제28도를 참조하면, 중창(26)은 수평의 베어진 틈새(134)를 형성하도록 절단되어 중창(26)을 상부 중창층(136)과 하부 중창층(138)으로 부분적으로 분할한다. 베어진 틈새(134)는 창의 뒷꿈치 부분의 후연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다. 동적 반작용판(132)은 베어진 틈새(134)내에 수용되고 상부 중창층(136)과 하부 중창층(138)사이에 감금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부 중창층들(136,138) 각각과 동적 반작용판(132) 사이의 전체 경계면에 걸쳐 그 중창층들의 양면에 접합되거나 또는 적당히 접착된다. 상부 중창층(136)은 착용자의 발바닥이 동적 반작용판(132)상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동적 반작용판(132)은 편평한 측면을 가지며, "운동화의 동적 지지 방식"에 관한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456,820호(1983.1.10. 출원)에 기재된 동적 반작용판과 동일하다.
제27도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동적 반작용판(132)은 신발창의 발 후미 지역 전체에 걸쳐 뒷꿈치의 외연부까지 연장하고 중창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까지 연장한다. 즉, 동적 반작용판(132)은 중창의 뒷꿈치 지역으로부터 신발의 내측 테를 따라 전방으로 위치(140)까지 연장하며, 그 위치(140)는 착용자의 제1척골(metatarsal) 두부에 가까운 위치이다. 여기로부터, 동적 반작용판(132)의 앞가장자리는 착용자의 제2 및 제3척골 두부에 인접하는 선(141)을 따라 후방 및 측방으로 원호를 그리며 연장한다. 다음, 동적 반작용판(132)의 앞가장자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142)을 따라 후방으로 돌아서 착용자의 입방골(cuboid)아래부위까지 연장하며, 그 부위에서 그 선은 선(143)에서 원호를 그린후 신발창의 내측 또는 외측 테까지 측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동적 반작용판(132)이 착용자의 발 후 미부 전체의 아래에 놓여지며, 전방으로 연장하여 내측 테를 따라 착용자의 내측 장심(arch) 아래에 놓여지나, 착용자의 외측 장심 또는 착용자의 제1, 제2 및 제3척골 두부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발 전방부에는 놓이지 않는다. 동적 반작용판(132)은 중창(26)을 보강하여, 그 판이 놓이는 지역에서 중창(26)이 구부러지기가 더 어렵다.
그러나, 선택적 부위만 동적 반작용판(132)에 의해 덮혀지기 때문에, 그 판은 달리기, 보행 또는 다른 정상 활동에서 요구되는 신발 굴곡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동적 반작용판(132)은 충분히 큰 힘이 가해졌을때 그 판이 구부러지기 보다는 구부러진다는 점에서 완전 강성이기 보다는 반강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보강판, 즉, 동적 반작용판(132) 및 구속판 부분들(130,131)은 직조되거나 절단된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된 복합시트와 같은 어떤 적당한 내구성, 비신축성, 강성의 물질로부터(예를 들어, 성형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중창층(136)은 지면과 충돌시 착용자의 뒷꿈치 부분의 하중에 의해 불균일하게 압축되어 착용자 뒷꿈치가 중창내로 침투될 때 충격 에너지 일부를 흡수한다. 그러나, 하부 중창층(138)은 동적 반작용판(132)의 강성 때문에 좀더 균일하게 압축된다. 그 동적 반작용판의 강성이 크면 클수록, 주어진 하중에 덜 구부러진다. 따라서, 동적 반작용판(132)을 더 강성으로 만들수록 착용자의 뒷꿈치 하중이 좀더 균일하게 하부 중창층(138)위로 분배되어 그 하부 중창층을 더 균일하게 압축한다.
하부 중창층(138)이 더 균일하게 압축도될 수록 그 하부 중창층의 불균일한 또는 국부적인 퇴화가 더 크게 감소된다. 하부 중창층(138)의 불균일한 퇴화를 감소시킴으로써, 신발이 장기간 사용시 안정한 채로 유지되어 신발의 유용한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동적 반작용판(132)의 소망의 강성은 그 판의 탄성율이나 두께 또는 그 양자를 변경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25-28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속판 부분들(130,131)의 형태 및 크기는 전술한 구속판들(32,34)과 동일하다 동적 반작용판(즉, 보강판)(132)은 구속판 부분들(130,131) 각각의 상연부와 하연부 사이의 중간쯤 되는 곳에서 구속판 부분들(130,131)과 일체로 접속된다. 그리하여,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속판 부분들(103,131)의 상부판은 상부 중창층(136)의 내외측면 테 부위에 놓여지며, 구속판 부분들(130,131)의 하부반은 하부 중창층(138)의 내외측면 테 부위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구속판 부분들(130,131)은 발 후미부에서의 상하부 중창층(136,138)의 외향 팽창을 억제해준다. 구속판 부분들(130,131)은 각기 중창의 내외측면 테에 접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구속판 부분들(130,131) 사이에 있는 동적 반작용판(즉, 보강판)(132)의 폭은, 중창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았을때(제28도 참조) 구속판 부분들(130,131)이 중창을 횡방향으로 예비 압축시키지 않고 중창의 내외측면 테에 꼭맞게 놓일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구속판 부분들(130,131) 사이에 있는 동적 반작용판(132)의 폭은 더 짧게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구속판 부분들(130,131) 사이의 공간은 착용자 하중이 가해지기전에 중창(26)을 예비 압축할 정도로 된다. 제27도에서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하는 대신, 제16도에서와 같이 구속판 부분들(130,131)의 길이를 상이하게 할수도 있다.
제25-28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동적 반작용판(즉, 보강판)(132)은 지면, 또는 바깥창(24)의 지면결합바닥면 평행히 연장한다. 또 다르게는, 그 동적 반작용판(132)은 종축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그 동적 반작용판(132)은 과도하게 발이 안쪽으로 휜 사람에 의해 발생된 힘을 보상하기 위해 신발창의 내측면 테로부터 신발창 외측면 테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그 동적 반작용판(132)은 과도하게 발이 외측으로 휜 사람에 의해 발생된 힘을 보상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즉, 신발창 외측면 테로부터 내측면 테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단일체로 성형한 후 동적 반작용판(132)을 넣기 위해 세로로 베는 대신, 중창(26)을 두개의 별도로 성형된 발포층들로 만들 수 있으며, 이들 층들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동적 반작용판(132)은 측면이 필히 편평한 필요는 없고, 대신, 편평하지 않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8도, 제11-18도, 제20-21도 및 제25-28도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신발을 착용자 개인에 맞게 맞추어 완제품으로 제조한 후 그 신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중창 구속 기구를 기존 신발 또는 완전히 제조된 신발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우선 중창을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부분적으로 나누어 중창 구속 기구의 연결 부재를 수용할 공간을 기존 운동화의 발포 중창에 만들기 위해 중창을 가로로 베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그러한 공간을 형성한 후, 연결 부재를 중창층들 사이의 공간이나 베어낸 틈새내에 삽입하고, 최종적으로 연결 부재를 제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부 중창층과 하부 중창층을 서로 접착시켜 주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제29 및 제3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운동화는 착용자의 뒷꿈치 또는 종골(calcaneus)의 중앙부 아래에 초과크기의 발포 중창 중심체(154)를 수용하는 큰 수직 구멍(152)을 가지는 변형된 중창(150)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구멍(152)은 중창의 상면으로부터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중창을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축되지 않고 이완된 또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창 중심체(154)는 구멍(152) 부위의 중창 두께 보다 더 큰 수직 높이를 갖는다.
중창 중심체(154)의 압축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은 모양이 제29도에 가상선(156)으로 나타나 있다. 중창 중심체(154)는 구멍(152)에 꼭 맞게 수용되도록 하는 치수의 수평 단면을 갖는다. 중창 중심체(154)를 구멍(152)내 삽입한 후ㅂ, 그 중창 중심체(154)는 그의 상면이 중창(150)의 사면과 같거나 적어도 거의 같게 되는 수준까지 수직하방으로 압축되며, 따라서 중창의 구멍(152)내로 예비 압축된다.
중창 중심체(154)위에 놓이고 구멍(152)을 넘어 연장하는 안창판(158)이 중창 중심체(154)의 상향 팽창을 억제하여 막기 위해 중창(150)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적당히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운동화는 적어도 발 후 미부에서 바닥이 열려 있고 안창판(158)에 의해 바닥이 폐쇄되는 형태의 갑피(160)를 가진다. 따라서, 수직으로 예비 압축된 중창 중심체(154)는 안창판(158)과 신발의 바깥창(24) 사이에서의 수직 팽창이 억제된다. 중창 중심체(154)와 구멍(152)의 크기를 미리 선택해줌으로써, 중창 중심체(154)가 구멍(152)내로 압축된때 미리 선택된 크기로 예비 압축된다.
제30도에 잘 나타나 있듯이, 중창(150)은 테 부분(162)을 갖고 있으며, 이 테 부분은 구멍(152)의 경계를 이루고 중창 중심체(154)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고 있어 중창 중심체(154)의 외향 팽창을 억제한다. 중창 중심체(154)는 앞서 중창(26)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당한 발포 기포 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150)은 중창 중심체(154)보다 더 단단한 독립기포 중합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 중심체(154)의 외향 팽창을 억제해줌으로써 중창 중심체(154)가 외부 하중의 영향을 받았을 때 주어진 압축 거리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그 이유는 중창 중심체가 압축된 때, 그러한 억제가 비구속 발포체에서의 독립기포내 기체압 증가보다 더 큰 정도로 중심체 발포체의 독립기포내 기체압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하중에 의한 단위 압축 거리당 흡수된 에너지 양은 외부 하중(예컨대, 착용자 체중)이 부여되기 전에 중창 중심체의 독립기포내 기체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창 중심체(154)를 예비 압축시켜줌으로써 더 증가된다. 이 실시예와 하기 두 실시예에서, 예비 압축은 수평, 즉 횡방향의 힘보다는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즉, 중창의 상면에 수직인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31 및 3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중창 중심체(154)가 다수의 작은 발포 삽입체들(170)로 대치되었으며, 이 삽입체들(170)은 중창(174)의 구멍들(172)내에 통축으로 수용되고 수직으로 압축된다. 중창(174)과 삽입체들(170)은 앞서 중창(26)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적당한 발포 독립기포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174)은 삽입체들(170)의 수평 방향의 외향 팽창을 억제한다. 중창(174)은 삽입체들(170)에 사용된 발포물질 보다 더 단단한 발포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1 및 제32도의 실시예에서, 삽입체들(170)은 원통체 형태이다. 구멍들(172)은 중창(174)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 적당히 서로 떨어져 배열되어 있다. 구멍들(172)의 종축들은 서로 평행하고 중창(174)의 바닥 평면에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뻗어 있다. 구멍들(172)은 균일하고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삽입체들(170)은 균일한 칫수를 가질수 있으며, 압축되지 않은 높이는 구멍들(172)의 높이 보다 크다. 그들이 압축되지 않은 이완 상태에 있을 때, 삽입체들(170)은 구멍들(172)의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격을 가질 수 있다. 각 구멍들(172)에 삽입된 후, 삽입체들(170)은 그 삽입체들(170)의 상면이 중창(174)의 상면과 같게 되는 수준까지 수직 하향으로 압축된다.
제29도 및 30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안창판(158)이 삽입체들(170)위에 놓여지며, 삽입체들(170)의 상향팽창을 막기 위해 중창(174)에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적당히 고착된다. 따라서, 예비 압축된 삽입체(170)는 안창판(158)과 신발 바깥창(24) 사이에서의 수직 팽창이 억제된다. 예비 압축된 삽입체는 제29도 및 30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중창 구조의 에너지 흡수력을 향상시킨다.
제33-3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바깥창(24)은 편평한 면을 가진 기부(17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발 후 미부 아래 지역에서 기부(179)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균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혹들(180)이 배열되어 있다. 그 혹들(180)은 크기가 균일할 수 있으며, 신발 뒷꿈치 지역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혹들(180)은 편평한 단부면을 가지며 중창(26)내로 상방으로 뻗어 있다. 혹들(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외형을 가질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반구형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운동화는 적어도 발 후비부 지역에서 바닥이 개방되고 안창판(184)에 의해 막혀 중창(26)이 안창판(184)과 바깥창(24) 사이에서 감금되도록 된 유형의 갑피(182)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혹들(180)이 중창(26)내로 상방으로 침투함으로써 중창의 평행히 떨어져 있는 기둥 부위들(186)이 예비 압축된다. 예비 압축된 기둥 부위들(186)이 혹들(180)위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놓여지며, 중창(26)의 편평한 바닥에 대해 수직이다. 예비 압축된 기둥 부위들(186)은 중창의 에너지 흡수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중창 구속 기구는 다리 또는 발의 불균형을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데,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가 왼쪽 다리보다 길이 △L만큼 길 수 있다.
제36도에서, 왼쪽 및 오른쪽 신발들의 횡단면(제3도와 유사한)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이는 제1-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유사한 운동화 부위에 같은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단지 구별을 위해 오른쪽 신발에는 "R"자를 왼쪽 신발에는 "L"자를 덧붙혔다.
중창 구속 기구(30R)는 중창이 예비 압축되지 않게 또는 중창이 선택된 크기 만큼 예비 압축되게 조정될 수 있다. 왼쪽 신발의 중창 구속 기구(30L)는 다리의 길이 차이 △L의 함수인 미리 선택된 크기 만큼 중창(26R)의 예비 압축을 초과하는 정도로 중창(26R)을 예비 압축하도록 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착용자의 오른발 및 왼발에 의해 중창(26L) 및 (26R)에 가해지는 하중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중창(26R)이 중창(26R)보다 더 큰 정도로 예비 압축되었기 때문에, 착용자의 왼발 하중 하에 중창(26L)이 압축되는 정도는 착용자의 오른발 하중하에 중창(26R)이 압축되는 정도보다 작다. 두 중창의 압축력의 차이는 다리 불균형의 차이 △L와 동일하도록 선택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중창(26L)은 수준(DL)에서 착용자 왼발을 지지해주며 이 수준은 중창 복원력(F1) 및 (FR)(중창의 탄력으로 간주될 수 있음)이 동일한 평형 상태에 이르렀을 때 중창(26R)이 착용자의 오른발을 지지해주는 수준(DR)보다 높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중창 사이의 예비 압축의 차이는 제6도에 나타낸 평형 상태에서의 두지지 수준(DL,DR)의 차이가 다리 길이의 차이 △L와 동일하게 되도록 정해진다. 이와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상기 중창 구속 기구들(30L,30R)대신에 본 발명의 다른 예들의 중창 구속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기포 발포체 중창의 예비 압축은 발포체가 발포된 후 발포체의 독립기포내에 존재할 수 있는 어떤 잔류 기체압을 초과한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 후미부"란 용어는 뒷꿈치뼈(종골)와 복사뼈를 포함한 발 뒷꿈치 부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었으며, "발 중간부"란 용어는 발 후 미부와 전방부 사이에 놓여 있는 입방골, 주상골(navicular) 및 설상골(cuneiform)을 포함한 발의 중간 부분을 나타내며, "발 전방부"는 발 중간부 앞쪽에 있는 척골 및 발가락을 포함한 부위를 나타낸다.

Claims (36)

  1. 가요성 바깥창과 그 바같창위에 놓여 착용자 발의 완충시키는 발포된 독립기포 중합체 중창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중창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예비 압축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 운동화에 있어서, 상기 예비 압축 수단이, 중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을 구속판들 사이에 두고 중창 구조물의 양측면 테에 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떨어져 위치한 구속판들과, 착용자가 가한 하중에 의한 압축시 상기 구속판들이 중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의 외향 팽창을 억제 해주도록 상기 구속판들에 결합하는 연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들이 착용자 하중에 의한 중창 구조물의 압축시 발생되는 힘에 의한 굴곡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운동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구속판들 사이에서의 중창 구조물의 예비 압축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속판들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해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운동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착용자 발 후 미 아래 지역에서 상기 구속판들을 가로질러 뻗어 있고 상기 구속판들 사이에 힘 전달 접속부를 제공해주는 다수의 긴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들이 상기 중창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을 예비 압축시키도록 인장 상태하에 배치되는 운동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구속판에 일체로 연결된 판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 부분이 착용자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서 상기 구속판들 사이에서 횡으로 뻗어 있는 운동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분이 적어도 착용자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서 중창 구조물을 보강하도록 상기 중창 구조물의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끼워져 있는 운동화.
  7. 가요성 바깥창과, 그 바깥창위에 놓여지고, 기체가 충만된 독립기포들을 갖고 있는 발포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 중창을 구비한 운동화에 있어서, 한쌍의 마주보고 떨어져 위치한 구속부들이 중창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상기 중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감금되게 놓여지며, 상기 구속부들이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구속부들이 착용자 하중에 의한 상기 중창의 일부분의 압축시 상기 일부분의 외향 팽창을 억제하도록 상기 구속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들이 판으로된 운동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들이 상기 중창의 내외 측면 테두리에 놓여지며, 상기 구속부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구속부에 결합하고,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횡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긴 연결 부재로 되어 있으며, 그 연결 부재는 상기 구속부들이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착용자 하중에 의한 중창 압축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인장 상태하에 있게 되는 운동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들이 판인 운동화.
  11. 제9항에 있어서, 각 연결 부재에는, 상기 구속부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제1수단과, 상기 구속부들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제1수단과 협동하여 착용자 하중에 의해 중창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구속부들이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제한해주는 제2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운동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이 연결 부재의 나사부분이고, 그 나사부분이 상기 구속판들 중 하나와 나사 결합되는 운동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이 상기 구속부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구속부로부터 먼쪽으로 변위되는 것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구속부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운동화.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이 그의 상기 일부분에서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들은 가요성이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끼워져 있는 운동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이 하방으로 돌출된 팽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부층이 상기 팽출부를 수용할 요홈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들이 상기 팽출부에 의해 하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팽출부와 요홈부 사이 경계면을 따라 뻗어 있는 운동화.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가요성이고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을 관통해 뻗어 있으며 신축저항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운동화.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측면이 편평한 가늘고 긴 띠인 운동화.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신축 저항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들 각각은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내 지역에서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 뻗어 있는 가요성 몸체부를 갖고 있는 운동화.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서로 간격져 떨어져 공통 평면을 따라 놓여 있는 운동화.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서로 간격져 떨어져 있으며 중창의 미리 선택된 한 측면 테로부터 반대쪽 측면 테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운동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택된 한 측면 테가 외측면 테인 운동화.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 각각이 상기 중창의 양측면 테쪽으로 연장하는 반대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진 두개의 가요성 부분들을 갖고 있는 운동화.
  23. 제22항에 있어서, 각 연결 부재의 상기 가요성 부분들이 상기 바깥창에 공통 접속점에서 고정되는 운동화.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상기 구속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져 떨어져 있으며, 중창의 한 측면 테에서 다른쪽 측면 테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서로의 쪽으로 집중하는 운동화.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중창의 외측면 테쪽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집중하는 운동화.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착용자 발 후미부 아래 중창 부위에 놓여져 있는 운동화.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의 조정가능한 예비 압축을 제공하도록 상기 구속판들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해주는 수단을 가지고 있는 운동화.
  2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뻗어 있고 그 구속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들이 상기 부재로부터 아래로 매달려 있고 상기 중창내에 매립되어 있는 운동화.
  2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들중 하나가 상기 중창의 외측면 테에 놓이며, 상기 구속부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중창의 내측면 테에 놓이는 운동화.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횡으로 뻗고 그 구속부들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화.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이 착용자의 발 후미부 아래에 놓여지며,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이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횡으로 뻗고 그 구속부들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또 다른 부재가 상기 상하부 층돌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착용자 하중하에 상기 하부층을 좀더 균일하게 압축시키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는 운동화.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이 착용자의 발 후미부에 놓여지며, 상기 중창의 상기 일부분이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구속부들 사이에서 횡으로 뻗고 그 구속부들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또 다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또 다른 부재가 상기 상하부 층들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구속부들 각각은 상기 상하부 층들 사이의 경계면 위 및 아래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하부 층들의 외향 팽창을 억제하며, 상기 구속부들 각각이 판인 운동화.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부재가 적어도 착용자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서 중창을 보강하는 보강판인 운동화.
  34. 가요성 바깥창과 그 바깥창 위에 놓여있고 발포된 독립기포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 중창을 갖고 있는 운동화에 있어서, 대향되고 떨어져 있는 1쌍의 구속판들중 하나가 상기 중창의 외측면 테에 놓여지며, 다른 하나가 상기 중창의 내측면 테에 놓여지고, 상기 중창은 상부층과 그 상부층 아래의 하부층으로 부분적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신축 저항성 부재가 상기 상하부 층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구속판들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구속판들은 상기 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구속판들 사이의 지역에서의 중창의 외향 팽창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강성이고, 착용자 발 후 미부 아래 지역에서 중창을 보강하도록 적어도 착용자 발 후미부 아래 지역에서 뻗어 있는 운동화.
  36. 왼발 운동화 및 오른발 운동화로 된 한 켤레의 운동화로서, 상기 왼발 운동화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신발 바닥이 발포된 독립기포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 중창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오른발 운동화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신발 바닥이 발포된 독립기포 중합체 물질로 형성된 중창 구조물을 가지는 한 켤레의 운동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창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신발 바닥이 착용자 발에 의해 가해진 하중하에 압축되었을떼 착용자의 다리나 발의 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신발 바닥중 하나의 발 지지 수준을 다른쪽 신발 바닥의 발 지지 수준보다 높게 위치시키도록 미리 선택된 크기 만큼 예비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켤레의 운동화.
KR1019850001590A 1984-03-14 1985-03-13 운동화 KR940004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89,411 US4598487A (en) 1984-03-14 1984-03-14 Athletic shoes for sports-oriented activities
US589.411 1984-03-14
US589,411 1984-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504A KR850006504A (ko) 1985-10-14
KR940004750B1 true KR940004750B1 (ko) 1994-05-28

Family

ID=2435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590A KR940004750B1 (ko) 1984-03-14 1985-03-13 운동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98487A (ko)
JP (1) JPS615802A (ko)
KR (1) KR940004750B1 (ko)
BE (1) BE901931A (ko)
CA (1) CA1246865A (ko)
DE (1) DE3508308C2 (ko)
FR (1) FR2561080B1 (ko)
GB (2) GB2155759B (ko)
NL (1) NL1920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130A (en) * 1987-12-08 1991-10-01 Wolverine World Wide, Inc. Spring plate shoe
US4885000A (en) * 1987-01-09 1989-12-05 The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Isolation, sterilization and maximum observation tent
US4756098A (en) * 1987-01-21 1988-07-12 Gencorp Inc. Athletic shoe
US4845863A (en) * 1987-02-20 1989-07-11 Autry Industries, Inc. Shoe having transparent window for viewing cushion elements
US5185943A (en) * 1988-07-29 1993-02-16 Avia Group International, Inc. Athletic shoe having an insert member in the outsole
USD315634S (en) 1988-08-25 1991-03-26 Autry Industries, Inc. Midsole with bottom projections
US5255451A (en) * 1988-12-14 1993-10-26 Avia Group International, Inc. Insert member for use in an athletic shoe
US5218773A (en) * 1989-01-11 1993-06-15 Stanley Beekman Torsionally stabilized athletic shoe
US4918841A (en) * 1989-01-30 1990-04-24 Turner Jerome P Athletic shoe with improved midsole
US5070629A (en) * 1989-10-26 1991-12-10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Sweet spot sole construction
US5561920A (en) * 1989-10-26 1996-10-08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Shoe construction having an energy return system
US5381608A (en) * 1990-07-05 1995-01-17 L.A. Gear, Inc. Shoe heel spring and stabilizer
GB9020014D0 (en) * 1990-09-13 1990-10-24 Gola Lamb Ltd Footwear
CA2047433A1 (en) * 1991-07-19 1993-01-20 James Russel Power suspension system concept
US5353523A (en) * 1991-08-02 1994-10-11 Nike, Inc. Shoe with an improved midsole
US5224280A (en) * 1991-08-28 1993-07-06 Pagoda Trading Company, Inc. Support structure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orporating same
US5220737A (en) * 1991-09-27 1993-06-22 Converse Inc. Shoe sole having improved lateral and medial stability
US5237758A (en) * 1992-04-07 1993-08-24 Zachman Harry L Safety shoe sole construction
US5282288A (en) * 1992-09-28 1994-02-01 Nubreed Corporation Athletic sho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JP2808189B2 (ja) * 1993-02-05 1998-10-08 美津濃株式会社 運動靴
US5560126A (en) * 1993-08-17 1996-10-01 Akeva, L.L.C.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US5615497A (en) * 1993-08-17 1997-04-01 Meschan; David F.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US5918384A (en) * 1993-08-17 1999-07-06 Akeva L.L.C.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DE4339106A1 (de) * 1993-11-16 1995-05-18 Engros Schuhhaus Ag Schuhsohle
US5729912A (en) * 1995-06-07 1998-03-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djustable width, footform and cushioning
US5806210A (en) * 1995-10-12 1998-09-15 Akeva L.L.C. Athletic shoe with improved heel structure
US5729917A (en) * 1996-01-04 1998-03-24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US5729916A (en) * 1996-06-10 1998-03-24 Wilson Sporting Goods Co.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having overload protection mechanism
US5680714A (en) * 1996-07-08 1997-10-28 Lopez; Randy Gerald Trampoline effect athletic shoe having elastic sole return strips
US5937545A (en) * 1997-03-26 1999-08-17 Brown Group, Inc. Footwear heel stabilizer construction
AU5104899A (en) * 1998-12-22 2000-07-12 Reebok International Ltd.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1008704A (ja) * 1999-07-02 2001-01-16 Mizuno Corp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KR200180545Y1 (ko) * 1999-11-26 2000-05-01 유용돈 체력단련용 운동화.
US6449878B1 (en) 2000-03-10 2002-09-17 Robert M. Lyd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pring element and selectively removable components
US6601042B1 (en) 2000-03-10 2003-07-29 Robert M. Lyden Customized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conducting retail and internet business
US7752775B2 (en)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KR20020033297A (ko) * 2000-10-30 2002-05-06 남희영 게임영역 확장형 바둑게임 관리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바둑게임 관리방법
US6487796B1 (en) 2001-01-02 2002-12-03 Nike, Inc. Footwear with lateral stabilizing sole
US6964120B2 (en) * 2001-11-02 2005-11-15 Nike, Inc. 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US6851204B2 (en) 2001-11-15 2005-02-08 Nike, Inc. Footwear sole with a stiffness adjustment mechanism
US6898870B1 (en) 2002-03-20 2005-05-31 Nike, Inc. Footwear sole having support elements with compressible apertures
KR100471531B1 (ko) * 2002-05-06 2005-03-08 유용돈 체력 단련용 운동화
US6796058B2 (en) * 2002-06-07 2004-09-28 Rigiflex Llc Rigid and flexible shoe
US7082698B2 (en) * 2003-01-08 2006-08-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djustable characteristics
US7493708B2 (en) * 2005-02-18 2009-02-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plate dividing a support column
US7401418B2 (en) * 2005-08-17 2008-07-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idsole with support pilla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533477B2 (en) 2005-10-03 2009-05-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7748141B2 (en) * 2006-05-18 2010-07-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ies having elastomeric support columns
WO2008106462A1 (en) * 2007-02-26 2008-09-04 Cro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oe construction
US9795181B2 (en) 2007-10-23 2017-10-24 Nike, Inc.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of articles
US9572402B2 (en) 2007-10-23 2017-02-21 Nike, Inc.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US9788603B2 (en) 2007-10-23 2017-10-17 Nike, Inc.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of articles
US8220183B2 (en) 2009-01-23 2012-07-17 Nike, Inc. Removable heel pad for foot-receiving device
CH702899A1 (de) * 2010-03-19 2011-09-30 Rolnic Gmbh Schuhsohle und schuh.
US9320316B2 (en) 2013-03-14 2016-04-26 Under Armour, Inc. 3D zonal compression shoe
US20150305439A1 (en) * 2014-04-25 2015-10-29 Justin Dwight Moorer Weighted Shoe
US10039343B2 (en) 2015-05-08 2018-08-07 Under Armour, Inc. Footwear including sole assembly
US10010133B2 (en) 2015-05-08 2018-07-03 Under Armour, Inc. Midsole lattice with hollow tubes for footwear
US10010134B2 (en) 2015-05-08 2018-07-03 Under Armour, Inc. Footwear with lattice midsole and compression insert
US10779614B2 (en) 2017-06-21 2020-09-22 Under Armour, Inc. Cushioning for a sole structure of performance footwear
US20190313737A1 (en) * 2018-04-16 2019-10-17 Rocheda Sims Weighted Shoe System
JP2023031119A (ja) * 2021-08-24 2023-03-0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ソール及び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096A (en) * 1914-12-09 1915-03-16 Henry Jaedike Shoe.
US2568974A (en) * 1945-04-25 1951-09-25 John P Tarbox Vamp and sole connection
DE1013126B (de) * 1954-07-10 1957-08-01 Continental Gummi Werke Ag Elastisches Lager fuer Maschinen und Geraete
JPS49120751A (ko) * 1973-03-26 1974-11-19
DE2318013A1 (de) * 1973-04-10 1974-10-31 Funck Kg Dr I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stersohle und eines schuhes mit einer solchen sohle
US4255877A (en) * 1978-09-25 1981-03-17 Brs, Inc. Athletic shoe having external heel counter
AT371978B (de) * 1979-02-07 1983-08-25 Adidas Sportschuhe Sohle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uf harten bahnen
US4430810A (en) * 1979-02-07 1984-02-14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Sole for sports shoes, particularly for shoes used for long-distance running on hard tracks
US4316332A (en) * 1979-04-23 1982-02-23 Comfort Products, Inc. Athletic shoe construction having shock absorbing elements
DE2951572A1 (de) * 1979-12-21 1981-07-02 Sachs Systemtechnik Gmbh, 8720 Schweinfurt Schuh mit elastischer laufsohle
US4459765A (en) * 1981-09-29 1984-07-17 Power-Soler, Inc. Heel-counter stabilizer
US4402146A (en) * 1981-10-08 1983-09-06 Converse Inc. Running shoe sole with heel tabs
US4854057A (en) * 1982-02-10 1989-08-08 Tretorn Ab Dynamic support for an athletic shoe
DE8209809U1 (de) * 1982-04-06 1982-10-07 Rixner & Maierhofer Schuhfabrik, 8900 Augsburg Schuh
DE3245964A1 (de) * 1982-12-11 1984-06-14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mit fersendaempf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55759A (en) 1985-10-02
DE3508308A1 (de) 1985-09-19
CA1246865A (en) 1988-12-20
NL192078B (nl) 1996-10-01
GB2155759B (en) 1988-07-06
NL192078C (nl) 1997-02-04
BE901931A (fr) 1985-09-16
NL8500716A (nl) 1985-10-01
GB8725022D0 (en) 1987-12-02
DE3508308C2 (de) 1997-10-30
FR2561080A1 (fr) 1985-09-20
GB8506622D0 (en) 1985-04-17
JPS615802A (ja) 1986-01-11
FR2561080B1 (fr) 1989-04-28
KR850006504A (ko) 1985-10-14
US4598487A (en) 198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750B1 (ko) 운동화
US11969048B2 (en)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CN105982390B (zh) 用于鞋的鞋底
US5353523A (en) Shoe with an improved midsole
AU736082B2 (en) Shoe sole cushion
US6665958B2 (e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6883253B2 (en) 2A improvements
US4774774A (en) Disc spring sole structure
US5987780A (en) Shoe sole including a peripherally-disposed cushioning bladder
CA2162192C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fluid containing members
EP0510943B1 (en) Footwear
US6354020B1 (en)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US7546699B2 (en) Shoe sole structures
KR19980025330A (ko) 신발용 충격흡수시스템
US5595002A (en) Stabilizing grid wedge system for providing motion control and cushioning
JPH0431682B2 (ko)
WO2001019211A1 (en)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200209181Y1 (ko) 운동화용 미들솔
KR19980025298A (ko) 신발용 충격흡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