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78Y1 -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78Y1
KR940003878Y1 KR2019880009604U KR880009604U KR940003878Y1 KR 940003878 Y1 KR940003878 Y1 KR 940003878Y1 KR 2019880009604 U KR2019880009604 U KR 2019880009604U KR 880009604 U KR880009604 U KR 880009604U KR 940003878 Y1 KR940003878 Y1 KR 940003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agnet roller
plate
developing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306U (ko
Inventor
송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9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878Y1/ko
Publication of KR900001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현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대한 단면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중 연결판과 인가판에 대한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대한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마그네트 로울러 13 : 플랜지
14 : 중심축 15 : 축
16 : 연결편 16a : 중심홈
16' : 인가판 16'a : 중심홈
16'b : 판스프링편 17 : 와이어
18 : 회전 스프링 19 : 카트리지
본 고안은 레이져 프린터의 마그네트 로울러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기 자체는 고정되어 있고, 마그네트 로울러 주변부만 회전 하기에 적당하도록한 현상기 전압인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현상기 전압인가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현상기 전체를 움직일 수 있는 스프링(4) 및 현상기 회전축(3) 그리고 마그네트 로울러(2)를 고정시키면서 현상기 전압인가에도 사용되는 전압인가판(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기존의 현상장치의 주류를 이루는 성분 현상장치에서 마그네트 로울러(2)와 감광체(1)와의 간주(t)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트 로울러 보다 반경이 간주 만큼 큰 간격유지 로울러(2a)를 마그네트 로울러 좌우에 설치하여 감광체(1)에 접촉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이러한 경우 현상기를 감광체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회전 중심(3)과 스프링(4)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 적이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 현상에 필수적인 현상 전압을 인가시키고 마그네트 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현상기 측면에 전압인가판(6)을 부착하였다.
즉 마그네트 로울러 축을 “D”모양으로 하고 인가판에도 대응한 모양의 구멍을 만들어 주고 인가판(6)을 현상기 측면에 고정시키면 마그네트가 회전을 못하게 하면서 마그네트 축에 전압의 도선(7)을 통하여 인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현상기 전체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현상기의 공간이 커지게 되고 현상기 조립시에도 회전 중심이 기계의 다른 부위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현상기를 카트리지화 하기에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현상기 주변부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그네트 로울러(12)에 끼워진 “D”형상의 마그네트 축(15) 양단에 로울러 플랜지(13)를 끼우고 현상기 카트리지(19)양측 외면에 회전용 중심축(14)을 고정하고 그 하단 위치에 회전 스프링(18)이 설치되게 하고 연결판(16)과 인가판(16')을 형성한다.
연결판(16)은 제2도에서와 같이 장방형의 형상 일측에 마그네트축용 “D”형상의 멍을 뚫고 타측에 U형의 중심홈(1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인가판(16')은 일측에 나사공을 뚫고 타측에 U형의 중심홈(16' a)을 형성하며 중간을 기계 가공으로 절개시켜 판스프링편(16' b)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현상기 카트리지(19)는 고정하여 마그네트 로울러(12)의 축(15)에 플랜지(13)를 끼운것을 현상기 카트리지(19)의 중심축(14)에 끼운다.
이때 스프링(8)은 로울러의 플랜지(13)와 접촉을 이루어 감광체(11)와 마그네트 로울러(12)의 간주조절 와이어는 압착된다.
상기의 중심축에는 로울러의 중심축(14)에 끼운 연결편(16)의 중심홈(16a)을 위치시키고 전압인가용 와이어(17)를 연결한 인가판(16')의 중심홈(16' a)도 상기 중심축(14) 위치에 위치시킬때 인가판(16' a)의 판스프링편(16b)을 연결편(16)에 접촉되어 도통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상기 카트리지(19)가 감광체(11)와 접촉되기 전에는 점선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현상기를 감광체와 접촉시키게 되면 회전 중심 주위로 마그네트 로울러(12) 주변부만 회전하면서 스프링 힘으로 감광체에 압착된다.
이러한 경우 현상기(19)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현상기(19)와 마그네트 로울러(12) 간에는 상대운동이 있게 되어 종래의 장치처럼 전압 인가판(16')이 고정될 수가 없으므로 마그네트 로울러(12)와 같은 중심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인가판(16')의 판스프링편(16' b)이 연결판(16)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확실한 도통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현상기의 마그네트 로울러 주변부만 회전시키는 경우에 문제도 될 수 있는 현상기 전압 인가 방법을 해결함으로서 현상기의 시스템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사진 현상부의 마그네트 로울러(12) 좌우에 현상간주 유지 로울러를 갖추고 마그네트 로울러의 축(15)이 회전 하지 않게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기 카트리지(19)의 측면으로 설치하는 중심축(14)에 마그네트 로울러(12)의 플랜지(13)를 끼워 회전 스프링(18)과 접촉되어 상기 중심축(14)을 지점으로 탄력회동을 이루게하고 마그네트 로울러(12)의 축(15)에 끼우는 연결편(16)의 중심홈(16a)과 전압인가용 와이어(17)를 연결한 인가판(16')의 중심홈(16a')이 상기 중심축(14)에서 겹치도록 설치하며 인가판(16')의 판스프링편(16b)이 연결편(16)에 탄력 접촉을 이루게 하여 현상기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 전압 인가 장치.
KR2019880009604U 1988-06-22 1988-06-22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KR940003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604U KR940003878Y1 (ko) 1988-06-22 1988-06-22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604U KR940003878Y1 (ko) 1988-06-22 1988-06-22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06U KR900001306U (ko) 1990-01-18
KR940003878Y1 true KR940003878Y1 (ko) 1994-06-15

Family

ID=1927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604U KR940003878Y1 (ko) 1988-06-22 1988-06-22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8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06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9690A (en) Image bearing member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4255A (ja) 現像装置
US10754289B2 (en)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11099516B2 (en)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having guide roller
JPH0414348B2 (ko)
US10254709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holder that holds electrical contact surface
KR940003878Y1 (ko) 레이져 프린터의 현상기전압 인가 장치
JP3678905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KR900008991B1 (ko) 전자복사기의 현상장치
US4426148A (en) Mounting structure for developing unit with a magnetic brush
JPH07295461A (ja) 電子写真システム用epカートリッジ
JP3210210B2 (ja) 現像装置
JPH0119143Y2 (ko)
JPH10333493A (ja) 円筒部材とその固定方法
JPS62143073A (ja) 一成分現像装置
JPH0435896Y2 (ko)
JPH09258579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JP3219656B2 (ja) 現像装置
JP3015601B2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6289719A (ja) 現像装置
JPS60145443U (ja) 電子写真プリンタ装置
JPS60125662U (ja) 電子写真クリ−ニング装置
JPH08101557A (ja) 画像形成装置
JPS60222881A (ja) ドラム保持装置
JPH0224678A (ja) ブレードギャップ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