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643Y1 - 프레스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643Y1
KR940003643Y1 KR92007253U KR920007253U KR940003643Y1 KR 940003643 Y1 KR940003643 Y1 KR 940003643Y1 KR 92007253 U KR92007253 U KR 92007253U KR 920007253 U KR920007253 U KR 920007253U KR 940003643 Y1 KR940003643 Y1 KR 940003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iece
lever
ram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266U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92007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643Y1/ko
Publication of KR930023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2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30B1/0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operated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30B1/08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operated by 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스의 구동장치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를 나타낸 사시도.
제2a,b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램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에서 구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1a : 상부금형
11b : 하부금형 12 : "T"형 요홈
13 : 베이스 14 : 프레임
15 : 가이드홈 20 : 회전부재
21,22,31,34,35,43,51 : 고정축 23 : 작동레버
30 : 레버 32 : 지지편
32a : 걸림편 33 : 연동레버
36 : 스프링 37,43 : 나사
40 : 솔레노이드 41 : 작동편
42 : 공압실린더 50 : 연결부재
52 : 나사부 60 : 램
61 : 지지대 62a,62b : 조정너트
63a,63b : 슬라이딩편 64a,64b : 돌출편
65 : 나사 66 : 조립공
67 : 고정대 68 : 돌출부
69 : 조정나사 70 : 지지편
이 고안은 프레스(Press)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부재와 작동레버가 연속해서 작동되면서 램이 상,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램의 작동범위 및 슬라이딩오차가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여 작업의 정밀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의 조건에 따라 구동수단의 변경이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됨과 동시에 단순한 구조로 소형화 및 경량화 제작되어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좁은 작업 공간에서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프레스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각종 부품의 펀칭, 압착 및 절곡등의 성형작업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의 상측면에 상,하부금형이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연속해서 수행되도록 램(Ram)을 상,하측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대부분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휘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프레스가 수동식인 경우에 360도로 회전하는 플라이휘일의 관성에 의해 계속해서 램이 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플라이휘일이 원하는 위치에서 반드시 해야만 하는 것인바, 상기 프레스의 사용이 불편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한 바와같이 모터에 플라이휘일을 적용한 프레스는 대형으로 제작되어 좁은 작업공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조립부품의 증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좁은 작업공간에서 단순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레버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램을 작동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여 프레스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도록 제작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직접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램의 구동력이 저하되어 부품의 가공력이 감소되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키며, 이로 인하여 생산제품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으며, 상,하측방향으로 반복적인 작동을 수행하는 램의 작동범위 및 슬라이딩 오차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의 정밀성이 저하되어 생산제품의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부재와 작동레버가 연속해서 작동되면서 상부 금형이 설치되는 램이 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램의 작동범위 및 슬라이딩오차가 조정너트 및 조정나사로 미세하게 조정되어 작업의 정밀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의 조건에 따라 구동수단의 변경이 용이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직접 레버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적은힘으로 작업이 가능해져 작업자의 피도로를 저하시킬 수 있는 등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조립부품수가 감소되는 단순한 구조로 소형화 및 경량화 제작되어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상,하부금형이 상호 대향되도곡 각각 설치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 프레스에 있어서, 받침판에 설치되는 베이스의 상측면에 조립되며, 전면중앙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조정축에 끼워져 장착되고, 한쪽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H"자 형태의 작동레버가 연속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의 나사부가 끼워져 통과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조정너트의 조정에 의해 작동범위를 조정가능하며, 양쪽측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슬라이딩편이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측방향으로 슬라딩되도록 한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이 고안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이 실시된 프레스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2a,b도는 측면도 미 배면도로서, 받침판(10)의 상측면에 하부금형(11b)이 조립되도록 배출공(12a)을 갖는 "T"형 요홈(12)이 형성된 베이스(13)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3)의 상측면에는 프레미(14)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4)의 전면중앙에는 양측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상측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축(21)에 회전부재(20)가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재(20)의 한쪽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다른쪽 끝단에 고정축(22)으로 연결된 "H"자 형태의 작동레버(23)가 연속해서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고정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30)의 지지편(32)에 양쪽끝단이 "Y"자 형태로 형성된 연동레버(33)의 한쪽끝단이 고정축(34)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연동레버(33)의 다른쪽끝단은 회전부재(20)와 고정축(35)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지지편(32)의 걸림편(32a)에는 레버(30)가 원위치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6)의 한쪽끝단이 걸림유지되며, 상기 스프링(36)의 다른쪽끝단은 프레임(14)의 상측면에 나사(37)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솔레노이드(40)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41)의 한쪽끝단이 연동레버(33)의 한쪽끝단과 고정축(34)으로 연결되며, 공압실린더(4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41)의 한쪽끝단이 연동레버(33)의 한쪽끝단과 고정축(34)으로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40) 및 공압실린더(42)는 그 양측면이 프레임(14)에 나사(43)로 고정된다.
그리고 작동레버(23)의 하측끝단에는 연결부재(50)가 고정축(51)으로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50)의 하측면에 형성된 나사부(52)가 램(60)의 지지대(61)에 끼워져 통과되고, 상기 지지대(61)의 양측에는 조정너트(62a), (62b)가 위치되어 연결부재(50)의 나사부(52)에 각각 체결된다.
한편, 상기 램(60)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양쪽 측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슬라이딩편(63a), (63b)이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14)의 가이드홈(15)을 따라 상,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램(60)의 양측으로 보강역할을 하는 돌출편(64a), (64b)이 각각 형성되고 그 하측에 상부 금형(11a)이 하부금형(11b)과 상호 대향되도록 끼워져 나사(65)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도록 조립공(66)을 갖는 고정대(6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램(60)의 슬라이딩편(63a)은 프레임(14)의 돌출부(68)에 체결되는 조정나사(69)의 조정에 따라 슬라이딩 오차가 방지되도록 지지편(70)으로 지지되며, 이 램(60)의 슬라이딩편(63a), (63b)은 그 경사각도가 대략 55-65도 정도로 형성되어, 상,하운동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며, 여기에서 보다 바람직한 슬라이딩편(63a), (63b)의 경사각도는 60도가 좋다.
상술한 바와같은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는, 먼저 상,하부금형(11a), (11b)을 상호 대향되도록 베이스(13) 및 램(60)에 고정시킨 다음에 사용자가 레버(30)를 손으로 잡고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편(32)에 고정된 연동레버(33)에 의해 회전부재(20)가 고정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으로 인하여 작동레버(23)가 연속해서 작동되고, 상기 작동레버(23)에 고정된 연결부재(50)가 작동되어 램(60)의 슬라이딩편(63a), (63b)이 프레임(14)의 가이드홈(15)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램(60)에 조립된 상부 금형(11a)이 하강되면서 각종 부품의 펀칭, 압착 및 절곡등의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베이스(13)의 상측면에 형성된 배출공(12a)을 통해 성형작업시 발생되는 칩(Chip)이 받침판(1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연결부재(50)의 나사부(52)에 체결된 조정너트(62a), (62b)를 조정하게 되면 램(60)의 작동범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보강편(68)을 통해 프레임(14)에 체결되는 조정나사(69)의 조정에 따라 램(60)의 슬라이딩편(62a)이 지지편(70)으로 지지되어 슬라이딩오차가 방지됨으로써 작업의 정밀성이 높아져 생산제품의 불량률이 저하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레버(30)의 회전력을 제거하면 지지편(32)의 걸림편(32a)에 걸림유지된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0)가 원위치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 작업이 가능해져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등 작업이 효율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이 고안의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력수단을 작업의 조건에 따라 솔레노이드(40) 및 공압실린더(42)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40) 및 공압실린더(4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41)이 연동레버(33)를 작동시켜 회전부재(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미 설명된 바와같은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프레스의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만아니라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구동장치는, 작업의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부재와 작동레버가 연속해서 작동되면서 상부 금형이 설치되는 램이 프레스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램의 작동범위 및 슬라이딩오차가 미세하게 조정되어 작업의 정밀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제품의 불량률이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조립부품수가 감소되는 단순한 구조로 소형화 및 경량화 제작되어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좁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하시키면서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상,하부금형이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받침판(10)에 설치되는 베이스(13)의 상측면에 조립되면, 전면중앙에 가이드홈(15)이 형성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상측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축(21)에 끼워져 장착되고, 한쪽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H"자 형태의 작동레버(23)가 연속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회전부재(20)와, 상기 작동레버(23)에 끼워져 통과되는 지지대(61)가 형성되어 조정너트(62a), (62b)의 조정에 의해 작동범위를 조정가능하며, 양쪽측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슬라이딩편(63a), (63b)이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14)의 가이드홈(15)을 따라 상,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30)의 작동에 의해 고정축(34)으로 지지편(32)에 고정된 연동레버(33)가 작동되며, 상기 연동레버(33)에 의해 회전부재(2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편(32)의 걸림편(32a)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6)이 걸림유지 되어 레버(30)가 원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33)의 양측끝단은 "Y"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40)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41)이 연동레버(33)의 한쪽끝단과 고정축(34)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공압실린더(4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41)이 연동레버(33)의 한쪽끝단과 고정축(34)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60)은 양측으로 돌출편(64a), (64b)이 각각 형성되며 그 하측면에 상부 금형(11a)이 끼워져 나사(65)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도록 조립공(66)을 갖는 고정대(6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60)의 슬라이딩편(63a)은 보강편(68)을 통해 프레임(14)에 체결되는 조정나사(69)의 조정에 따라 지지편(70)으로 지지되어 슬라이딩오차가 방지되도록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구동장치.
KR92007253U 1992-04-28 1992-04-28 프레스의 구동장치 KR940003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53U KR940003643Y1 (ko) 1992-04-28 1992-04-28 프레스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53U KR940003643Y1 (ko) 1992-04-28 1992-04-28 프레스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266U KR930023266U (ko) 1993-11-25
KR940003643Y1 true KR940003643Y1 (ko) 1994-06-07

Family

ID=1933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253U KR940003643Y1 (ko) 1992-04-28 1992-04-28 프레스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6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41Y1 (ko) * 2017-08-31 2018-05-21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41Y1 (ko) * 2017-08-31 2018-05-21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WO2019045466A1 (ko) * 2017-08-31 2019-03-07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266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4864B1 (e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US5345849A (en) Fret-saw machine
JPH06328312A (ja) ドリルプレスのテーブルの取付け構造
US3011533A (en) Combination power tool with adjustable tool spindle
KR940003643Y1 (ko) 프레스의 구동장치
US5088369A (en) Blade tensioning device for scroll saw
EP0478145B1 (en) Automatic planing machine
US4206664A (en) Pipe cutting device
US6123125A (en) Wood planing machine with a height retention mechanism for a cutter carriage
US5390577A (en) Sawing machine
KR20030040133A (ko) 범용 연삭작업용 관형 가공품 노칭장치
CN2832472Y (zh) 台锯锯片的升降调节机构
JPH1170432A (ja) バイス機構
CN2093716U (zh) 多用回转工作台
US5193428A (en) Assembly for conventional bench saw
JPS58175631A (ja) 射出成型部品のゲ−ト切断装置
CN212628622U (zh) 线路板冲型模具
US3883994A (en) Profile grinding apparatus
KR200219163Y1 (ko) 공작대의 가변형 공작물 지지장치
JPH10180496A (ja) プレスの死点調整装置
CN113524345B (zh) 一种裁断机
CN217433224U (zh) 立式带锯机的靠板调整结构
CN216175627U (zh) 一种用于电子元器件的加工的斜压装置
CN214239518U (zh) 一种复合采光板生产线的折弯装置
CN220218608U (zh) 一种纸制品生产的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