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12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12B1
KR940003412B1 KR1019860000542A KR860000542A KR940003412B1 KR 940003412 B1 KR940003412 B1 KR 940003412B1 KR 1019860000542 A KR1019860000542 A KR 1019860000542A KR 860000542 A KR860000542 A KR 860000542A KR 940003412 B1 KR940003412 B1 KR 94000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ing member
wiper blade
wiping
pressure distribution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725A (ko
Inventor
베네토 크리스쳔
Original Assignee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윌리암 그래함·제이크스 브론차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윌리암 그래함·제이크스 브론차아트 filed Critical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6000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와이퍼블레이드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제1도의 와이퍼블레이드의 구성부재의 Ⅱ-Ⅱ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제1도의 와이퍼블레이드의 구성부재의 화살표 Ⅲ에서 본 확대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와 같은 확대도로서, 와이퍼블레이드의 구성부재가 시간에 따라서 상이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2도∼제5도의 구성부재중 하나인 압력분배로드의 확대도.
제7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핑부재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핑부재의 단면도.
본 발명은 와이퍼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핑부재와 이 와이핑부재에 접속된 압력분배로드를 가진 와이퍼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블레이드는 종래의 기술로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와이퍼블레이드 특히 압력분배로드와 그 대응하는 와이핑부재는 다음과 같은 문헌, 즉 독일 특허출원 제2,223,898호, 제2,324,701호, 제2,344,876호 및 프랑스 특허출원 제2,500,3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4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와이핑부재는 최소한 2가지의 공통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와이핑부재는 횡단면에 있어서 넥(neck)부는 와이핑부재의 축의 힌지로서 작용하며, 와이핑부재의 하부는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퍼암의 회동동작에 따라 회동한다.
-와이핑부재의 하부는 횡단면에 있어서 한 쪽의 3각형 부분은 압력분배로드를 향하고, 반대측의 에지는 닦을 유리면을 향한다.
힌지로서 작용하는 넥부가 형성된 와이퍼부재의 주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a) 와이핑부재의 하부를 회동시키는데 상당한 힘을 요하며, (b) 기상조건이 나쁘면, 와이핑부재의 하부의 회동동작이 불규칙하게 될 염려가 있고, (c) 넥부나 힌지부는 열화되며, 즉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화되며, 따라서 와이퍼블레이드의 기능이 저감된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와이핑부재의 하부의 3각형 부분에 관하여, 그 기능은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퍼암의 회동동작의 기능으로서, 양쪽에서 압력분배로드의 저면에 교대로 접촉함으로써 와이핑부재의 하부의 회동동작을 제한한다.
종래의 와이핑부재의 또 하나의 문제점은 비교적 횡단면적이 클 뿐만 아니라 이들 와이핑부재의 횡단면적이 변화된다는데 있으며, 이 점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와이핑부재를 연속적인 방법으로 압출할 때, 해결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로 허용치수는 와이핑부재의 횡단면의 폭의 변화가 작을 때 용이하게 충족된다.
마지막 문제점으로서는 공지의 와이핑부재 외에 공지의 압력분배 로드에 있어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이들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2부재는 차량의 앞유리에 따라서 흐르는 강한 공기흐름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와이퍼블레이드가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 결과 첫째로 와이핑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와이핑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고속에 의한 공기흐름의 작용은 매우 복잡한 현상으로서 상기 작용은 많은 파라미터에 좌우된다. 이들 파라미터 중 하나는 닦을 유리면에 대략 평행한 큰 면의 와이핑부재 및/또는 압력분배로드에 있다.
본 발명은 대략 T형의 길이방향 요부(凹部)가 형성된 압력분배로드와, 상기 T형 요부의 수평바에 위치한 상부와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에 일부가 위치한 중앙부와 와이핑립을 형성하는 하부로 구성된 와이핑부재로 이루어지는 와이퍼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한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와이핑부재가 힌지부로 이루어지지 않는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며,
-와이핑부재의 전체 체적이 최소로 되도록 이루어지는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며,
-와이핑부재를 연속적 방법으로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는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보다 높은 효율을 보장하는 와이핑부재와 압력분배로드로 구성된 와이퍼블레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블레이드는,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는 닦을 유리면에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되고,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와 수평바 사이의 접속부는 만곡부로 이루어지고, 와이핑부재의 상부는 축소부를 통해 와이핑부재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횡단면에 있어서 축소부는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는 횡단면에 있어서 와이핑부의 중앙부는 파형의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퍼블레이드는 횡단면에 있어서 와이핑부의 중앙부는 직선에 의해 그 높이의 대부분에 걸쳐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블레이드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4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실시예의 와이퍼블레이드는 링크(1), (2), 클로(claw)(3), 압력분배로드(4) 및 와이핑부재(5)로 이루어진다. 링크(2)는 관절부(6)에 의해 링크(1)에 접속되어 있다. 클로(3)는 링크(2)에 압력분배로드(4)를 고정시키며, 와이핑부재(5)는 압력분배로드(4)에 의해 클로(3)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퍼암(도시하지 않음)은 대략 그 중앙부에서 링크(1)상에 힘 F1을 작용시키므로, 와이핑부재(5)는 닦을 유리면(7)을 향하여 눌려진다.
제2도는 와이퍼블레이드가 그 정지위치에 있을 때, 압력분배로드(4)와 제1도의 와이퍼블레이드의 와이핑부재(5)를 도시하며, 정지위치에서는 와이핑부재(5)가 닦을 유리면(7)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도(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횡단면에 있어서, 압력분배로드(4)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대략 T형 요부(凹部)를 이루고 있으며, T형 요부의 수평바(bar)는 (8a)이고, T형 요부의 수직바는 (8b)이다.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특히 제6도에 있어서,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8b)는 닦을 유리면(7)에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압력분배로드(4)의 부분(4a), (4b)의 선(4a'), (4b'))되어 있으며, T형 요부의 수직바(8b)와 수평바(8a)간의 접속부는 만곡부(9)로 이루어진다.
와이핑부재(5)(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상부(5a)와, 중앙부(5b)와, 이른바 와이핑립을 형성하며 닦을 유리면(7)과 접촉되어 있는 하부(5c)로 이루어진다. 와이핑부재(5)의 상부(5a)는 압력분배로드(4)의 T형 요부의 수평바(8a) 내측에 완전히 위치하고, 와이핑부재(5)의 중앙부(5b)는 그 일부가 압력분배로드(4)의 T형 요부의 수직바(8b)에 위치한다. 와이핑부재(5)를 압력분배로드(4)에 장착할 때에는, 이 와이핑부재를 제1도의 화살표 Ⅲ방향에서 압력분배로드의 길이방향요부(8a), (8b)로 밀어 넣는다.
와이핑부재(5)의 상부(5a)는 이 부재의 다른 부분의 폭보다 약간 크고, 또한 2만곡부(9)(제6도)간의 간격보다 약간 넓으며, 이 만곡부(9)는 상기 T형 요부의 바(8a), (8b) 간의 접속부가 된다. 이로써, 와이핑부재(5)는 와이퍼블레이드가 닦을 유리면에서 들어 올려질 때, 압력분배로드(4)의 T형 요부(8a), (8b)로 부터 빠져 나가지 못한다.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핑부재(5)의 상부(5a)는 축소부(5d)를 통해 와이핑부재의 중앙부(5b)와 연결되고,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
-와이핑부재(5)의 중앙부(5b)는 파형의 곡선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와이핑부재(5)의 하부(5c)의 폭은 이 부재의 다른 부분의 평균 폭보다 작다.
압력분배로드(4)에 대한 와이핑부재(5)의 작동방법이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와이핑부재(5)가 닦을 유리면(7)상에 정지해 있을 때, 와이핑부재(5)는 제2도의 위치에 있다. 와이퍼암(도시하지 않음)이 와이퍼블레이드상에 힘 F2을 작용시키면, 압력분배로드(4)는 닦을 유리면(7)에 따라서 움직이기 시작하며, 와이핑부재(5)는 제3도의 중앙위치를 통과함에 있어서, 제2도의 정지위치로 부터 제4도의 와이핑위치로 신속히 통과한다. 와이퍼블레이드가 그 스톱위치(한쪽 방향으로)에 도달되면, 와이핑부재(5)는 제4도의 위치에 있다.
와이퍼블레이드의 복귀동작(다른 쪽 방향으로)을 개시하기 위하여, 와이퍼암은 상기 블레이드상에 힘 F3을 작용시키며, 와이핑부재는 제3도 및 제2도의 중앙위치를 통과함에 있어서, 제4도의 위치로 부터 제5도의 와이핑위치로 신속히 통과한다.
와이퍼블레이드가 작동하면, 와이핑부재(5)는 와이퍼암의 회동동작에 따라서 회동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동작은 종래기술의 와이핑부재의 경우와 같이 와이핑부재(5)(하부(5c), 즉 이른바 와이핑립을 제외)의 어느 부분도 벤딩되게 힘을 가하지는 않는다. 축소부(5d)와 중앙부(5b)의 파형의 측면은 압력분배로드(4)의 만곡부(9)(제6도)상에서 실제로 롤링되며, 이러한 회동동작은 상기와 같은 압력분배로드의 표면(4a'), (4b')(제6도)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압력분배로드(14)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이것은 길이방향의 T형 요부(18a), (18b)로 이루어지며, 수직바(18b)는 닦을 유리면(7)에 향하여 테이퍼(부분(14a), (14b) 및 면(14a'), (14b'))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바(18b)와 수평바(18a)간의 접속부는 만곡부(19)로 이루어진다.
와이핑부재(15)는 상부(15a)와 중앙부(15b)와 하부(15c)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15a)는 축소부(15d)에 의해 중앙부(15b)와 연결되고, 횡단면에 있어서 이 축소부는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15b)는 파형의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지는 않으나, 그 높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연장된 직선에 의하여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와 같은 와이핑부재(15)의 회전폭을 얻기 위하여, 각도 α2(제7도)는 각도 α1(제6도) 보다 크다. 왜냐하면, 제7도의 중앙부(15b)는 파형의 만곡부에 의해서가 아니라 직선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더 큰 각도가 필요하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와이핑부재(25)를 도시한다. 이 와이핑부재(25)는 그 하부(25c)를 제외하고,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와이핑부재(5)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것은 상부(25a)와 축소부(25d)와 중앙부(25b)로 이루어진다. 하부(25c), 즉 이른바 와이핑립은 와이핑부재의 중앙부(25b)에 형성된 길이방향 요부에 고정(예컨대 결합된)되어 있는 별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의 와이핑부재(35)를 도시한다. 이 와이핑부재(35)는 그 하부(35c)를 제외하고, 제7도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상부(35a), 축소부(35d) 및 중앙부(35b)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제8도)와 같이, 와이핑립(35c)은 와이핑부재의 중앙부(35b)에 형성된 길이방향 요부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분배로드(4), (14)는 적합한 플라스틱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제7도의 와이핑부재는 적합한 탄성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8도 및 제9도의 실시예의 상부(25a), (35a) 및 중앙부(25b), (35b)는 적합한 플라스틱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는 와이핑립(25c), (35c)을 만드는 데만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퍼블레이드에 의하면 와이핑부재가 힌지부로 구성되지 않으며, 와이핑부재의 전체 체적이 최소로 되도록 이루어지고, 와이핑부재를 연속적 방법으로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핑부재와 압력분배로드로 구성되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보다 높은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개량된 와이퍼블레이드의 4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4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 및 변형할 수 있다.

Claims (8)

  1. 대략 T형의 길이방향 요부(8a, 8b ; 18a, 18b)가 형성된 압력분배로드(4, 14)와, 상기 T형 요부의 수평바(8a, 18a)에 위치한 상부(5a, 15a, 25a, 35a)와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8b, 18b)에 일부가 위치한 중앙부(5b, 15b, 25b, 35b)와 와이핑립을 형성하는 하부(5c, 15c, 25c, 35c)로 구성된 와이핑부재(5, 15, 25, 35)로 이루어지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8b, 18b)는 닦을 유리면에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되고, 상기 T형 요부의 수직바(8b, 18b)와 수평바(8a, 18a) 사이의 접속부는 만곡부(9, 19)로 이루어지고, 와이핑부재(5, 15, 25, 35)의 상부(5a, 15a, 25a, 35a)는 축소부(5d, 15d, 25d, 35d)를 통해 와이핑부재의 중앙부(5b, 15b, 25b, 35b)와 연결되고, 횡단면에 있어서 축소부는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에 있어서 와이핑부재(5, 25)의 중앙부(5b, 25b)는 파형의 만곡부에 의해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에 있어서 와이핑부재(15, 35)의 중앙부(15b, 35b)는 직선에 의해 그 높이의 대부분에 걸쳐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에 있어서 와이핑부재(5, 15, 25, 35)의 하부(5c, 15c, 25c, 35c)의 폭은 와이핑부재(5, 15, 25, 35)의 다른 부분의 평균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압력분배로드(4, 14)는 적합한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와이핑부재(5, 15)는 적합한 탄성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와이핑부재(25, 35)는 2부분으로 만들어지며, 제1부분은 상기 와이핑부재(25, 35)의 상부(25a, 35a)와 중앙부(25b, 35b)에 대응하며, 제2부분은 상기 와이핑부재(25, 35)의 하부(25c, 35c)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와이핑부재(25, 35)의 상기 제1부분은 적합한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지며, 와이핑부재(25, 35)의 상기 제2부분은 적합한 탄성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19860000542A 1985-01-29 1986-01-28 와이퍼 블레이드 KR940003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501196 1985-01-29
FR8501196A FR2576569B1 (fr) 1985-01-29 1985-01-29 Balai d'essuie-glace avec nouveau systeme de jonction entre l'element d'essuyage et son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725A KR860005725A (ko) 1986-08-11
KR940003412B1 true KR940003412B1 (ko) 1994-04-22

Family

ID=931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542A KR940003412B1 (ko) 1985-01-29 1986-01-28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49592A (ko)
KR (1) KR940003412B1 (ko)
BE (1) BE904115A (ko)
CA (1) CA1251606A (ko)
DE (1) DE3600236C2 (ko)
FR (1) FR2576569B1 (ko)
GB (1) GB2170097B (ko)
IN (1) IN165729B (ko)
IT (1) IT1187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112A (en) * 1986-05-15 1988-02-02 Parker Hannifin Corporation Roller back wiper
DE3708719A1 (de) * 1987-03-18 1988-10-06 Daimler Benz Ag Wischerblatt fuer scheibenwischeranlagen
JPH07246916A (ja) * 1994-03-11 1995-09-26 Nissan Motor Co Ltd ワイパー装置
US6163922A (en) * 1997-09-10 2000-12-26 Cooper Automotive Products, Inc. Wiper blade with wedge shaped neck
DE10227994A1 (de) * 2002-06-22 2004-01-0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2007041895A1 (de) * 2007-09-04 2008-09-25 Daimler Ag Wischblatt mit abrollender Wischlippe
DE102010062906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6217819A1 (de) 2016-09-16 2018-03-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schgummis und Wischgummi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6189A (en) * 1934-12-24 1936-11-04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ndshield wipers
US2285618A (en) * 1939-03-13 1942-06-09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mounting
US2657415A (en) * 1948-01-24 1953-11-03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US2701382A (en) * 1949-05-13 1955-02-08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GB671521A (en) * 1949-10-22 1952-05-07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cleaner
US2663043A (en) * 1949-12-03 1953-12-22 Trico Products Corp Adjustable wiping blade
GB707559A (en) * 1951-04-06 1954-04-21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GB710360A (en) * 1951-07-27 1954-06-09 William Edward O Shei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ndscreen wiper blades
US3116509A (en) * 1961-01-16 1964-01-07 Gen Motors Corp Unitary squeegee and wiper blade assembly embodying same
US3099031A (en) * 1962-06-20 1963-07-30 Hastings Mfg Co Windshield wiper
US3116510A (en) * 1963-05-20 1964-01-07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GB1322277A (en) * 1971-05-17 1973-07-04 Magnatex Ltd Windscreen wipers
IT990917B (it) * 1972-07-07 1975-07-10 Bosch Gmbh Robert Impianto tergitore specie per pulire vetri di copertura di proiettori in veicoli a motore
GB1438568A (en) * 1972-09-09 1976-06-09 Fister Snc Di Bosso Giacomo C Windshield wiper blade
DE2336271A1 (de) * 1973-07-17 1975-02-06 Georg Maerz Scheibenwischer fuer kraftfahrzeuge
FR2258988B1 (ko) * 1974-01-30 1977-09-30 Journee Paul
US3903560A (en) * 1974-12-11 1975-09-09 Gates Rubber Co Windshield wiper refill
DE3005965A1 (de) * 1980-02-16 1981-09-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blatt mit einem von einem gestell gehaltenen, langgestreckten wischelement
US4342129A (en) * 1980-08-21 1982-08-03 Thompson William E Wiping inserts for windshield wipers, squeegees and the like
CH640462A5 (fr) * 1981-02-20 1984-01-13 J B Brevets Balai d'essuie-glace a arrosage incorp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76569A1 (fr) 1986-08-01
DE3600236A1 (de) 1986-07-31
KR860005725A (ko) 1986-08-11
IN165729B (ko) 1989-12-30
IT1187881B (it) 1987-12-23
GB2170097B (en) 1988-05-25
GB8600058D0 (en) 1986-02-12
BE904115A (fr) 1986-07-28
CA1251606A (en) 1989-03-28
IT8667068A0 (it) 1986-01-28
GB2170097A (en) 1986-07-30
FR2576569B1 (fr) 1988-08-19
US4649592A (en) 1987-03-17
DE3600236C2 (de) 199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700B1 (ko) 자동차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
US4741071A (en) Wiper blade
US834744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6836924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glass surfaces on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US3037233A (en) Windscreen wipers
US5509166A (en) Wiper blade for motor vehicle windshield wipers
CA1246809A (en) Wiper blade with air deflecting device
EP1244581B1 (de) Wisch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cheiben a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KR94000341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GB2106775A (en) Wiper blade assembly comprising spoiler
KR20020029433A (ko)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WO2008051483A2 (en) Wiper system having a pin-style wiper arm and wiper assembly
US6343401B1 (en) Wiper blade with wind deflector
EP0368090B1 (de) Wischhebel, Wischarm und Wischblatt für eine Scheibenreinigungsanlage
US7007340B1 (en) Water-diverting windshield wiper blades
US3224027A (en) Windshield wiper blade
GB2030447A (en) Windscreen wiper blade harness
KR100681006B1 (ko) 플랫형 와이퍼 블레이드
DE3347440C2 (ko)
KR100249342B1 (ko) 부상방지용와이퍼
US4782549A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ing element to the superstructure of a wiper blade
US5133104A (en) Windshield wiper blade and a wiping strip for such a blade
FI106944B (fi) Ajoneuvon ikkunapyyhkijän puhdistusura
CN1138841A (zh) 一种用于清洁机车挡风玻璃刮水器上的刮水片的清洁装置
JP2878610B2 (ja) ワイパーゴ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