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139B1 -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139B1
KR940003139B1 KR1019870008681A KR870008681A KR940003139B1 KR 940003139 B1 KR940003139 B1 KR 940003139B1 KR 1019870008681 A KR1019870008681 A KR 1019870008681A KR 870008681 A KR870008681 A KR 870008681A KR 940003139 B1 KR940003139 B1 KR 94000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upport
spherical
spherical bod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094A (ko
Inventor
히로시 데라마찌
Original Assignee
히로시 데라마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데라마찌 filed Critical 히로시 데라마찌
Priority to KR101987000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139B1/ko
Publication of KR89000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보올 조인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구형체를 코어로 하여 호울더를 주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구형체가 주입된 호울더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우측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8도는 호울더에 주입된 구형체와 로드(rod)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에 의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 구달린 로드 및 호울더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울더 2 : 구형체 지지부
3,6 : 연결부 4 : 구달린 로드
4a : 구형체 4b : 로드 본체
5 : 구형체부 7 : 시일부재
8 : 뚜껑부재 9 : 유류부(油溜部)
11 : 공구 걸어 맞춤부 21,22 : 금형부재
25 : 지지전극
본 발명은 보올 조인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유류부를 갖고 있어 원활한 회전 운동이나, 요동운동을 얻을 수가 있는 보올 조인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보올 조인트로는, 일단측에는 구형체 지지부를 갖고 그 타단측에는 연결부를 갖는 호울더와, 일단측에는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 내에서 회전 및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구형체부를 갖고 타단측에는 연결부를 갖는 구달린 로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 연결부의 받침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 사이에 공급되는 그리이스등의 윤활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먼지등이 침임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부재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들면, 일본 특공소 48-26, 109호 공보).
또, 이와같은 보올 조인트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를들면 호울더의 금형내에 구형체를 코어로서 설치하고, 이 금형내에 다이케스팅 용융 합금을 주입하여 구형체 지지부내에 구형체가 유지된 호울더를 주조하고, 이 호울더에 유지된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마찰 용접에 의하여 용접하여 그 구형체부가 호울더에 유지된 구달린 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사이에 외력을 가하고, 이들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보올 조인트를 제조하는 방법(일본 특공소 47-11,002호 공보)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방법에 있어서는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를 구성하는 구형체로서 표면이 원활하고 원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이 구형체를 코어로 하여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를 주조할 수가 있으므로, 그 구형체 지지부의 내면에 굳은 칠(chill)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보울 조인트에 있어서는 그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의 간격을 크게하면 사용도중에 양지사이에 충격 하중이 작용하여 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가 파손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의 범위내로 함이 요구되는데, 이들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제가 예를들면, 그리이스 등과 같이 점도가 높으면 시일부재내에 봉입한 윤할제의 회전이 불량하여 이 윤활제를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 전체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며, 특히 고속운전시 타서 녹는 등의 원인이 되었다.
또, 상기 종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호울더 주조금형 내에서 코어로서 사용되는 구형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수단이 없으며, 이 호울더 주조금형내에 다이캐스팅 용융 합금을 주입했을때 이 구형체가 다이캐스팅 용융 합금의 흐름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는 구형체의 위치가 어긋나서 불량품이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다이캐스팅 용융 합금의 주입에 숙련을 요하며, 또 이로 인하여 생산성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용접하여 구달린 로드를 형성할때 양자를 접촉시키고, 가압하며,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그때의 마찰열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소위 마찰용접에 의하여 접합하였으며, 이 마찰용접시, 구형체와 로드 본체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서 비록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사용하여도, 이 마찰 용접시 구형체에 작용하는 높은 압력과 높음 마찰열로 인하여, 그 원형도가 훼손되어서 구달린 로드로 되었을때는 이미 그 구형체부의 원형도가 저하하여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질뿐 아니라, 이 구형체부를 회전 및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구형체부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만큼 큰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생기므로, 이 큰간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필요 이상의 큰 외력을 가할 필요가 생기므로, 이 큰간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필요 이상의 큰 외력을 가할 필요가 생겨서, 잘못하여 구형체 지지부를 파손시키거나 복수조합하여 링크기구등을 구성한대에는 상기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의 큰 간격이 형성되어 힘의 전달등의 경우에 그 전달 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와같은 구형체부 원형도의 훼손에 의하여 이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면 사용시에 양자의 사이에 큰 충격 하중이 작용하는 원인이 되어, 주조에 의하여 형성한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가 파손되는 원으로도 되었다. 더우기, 마찰 용접에 의하여 구달린 로드를 형성하는 경우, 용접후의 템퍼링 처리를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 용접후 템퍼링처리까지 장시간 방치하면 용접부분에 소위 방치균열이 생기므로 용접후 가급적 빨리 템퍼링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용접부의 다듬질 공정도 필요하게 되어 제조공정이 제약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울더의 구형체지지부의 저부에 유류부를 갖고, 원활한 회전운동이나 요동운동을 얻을 수가 있는 보올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의 원형도가 극히 높으므로 구형체부와 이 구형체부를 수용하는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가 있으며, 이들 사이의 어긋남을 없애서 그 회전 및 요동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도중에 이들 사이에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는 일이 없는 보올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를 구성하는 구형체를 코어로 하여 호울더를 주조할 때, 상기 구형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형의 구형체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그 외측으로부터 덮개부재를 장착하여서 형성된 유류부를 갖는 보올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를 구성하는 구형체를 코어로 하여 호울더를 주조할 때, 상기 구형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형의 구형체 지탱부의 직경을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로드 본체의 직경과 거의 같게 하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하여, 이 호울더에 주입된 구형체와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할때, 이 구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를 지지전극의 삽입구로서 이용할 수 있는 보올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단측에는 구형체 지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에는 연결부를 갖는 호울더와, 일단측에는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내에 회전 및 요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구형체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에는 연결부를 갖는 구달린 로드와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의 받침부사이에 장착되고, 윤활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먼지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를 구성하는 구형체를 코어로 하여 호울더를 주조할때, 상기 구형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형의 구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그 외측으로부터 덮개부재를 장착하여서 형성된 유류부를 갖는 보올 조인트인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올 조인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구달린 로드를 구성하는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일방의 금형부재와 타방의 금형부재로 형성한 직경이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로드 본체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아니면 그보다 큰 구형체 지탱부사이에 고정하면서 구형체 지지부의 코어로서 호울더 주조금형내에 세트하고, 이 호울더 주조금형내에 다이캐스팅 용융합금을 주입하여 구형체 지지부내에 구형체가 유지된 호울더를 주조하고, 상기 구형체 지지부에 의하여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지지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구형체를 그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구형체와 로드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여, 구형체부가 호울더에 유지된 구달린 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사이에 외력을 가하여, 이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금형부재의 구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형성된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개구에 덮개부재를 장착하여서 유류부를 형성하는 보올 조인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의 형상은 그 구형체 지지부가 그 연결부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개구하며, 또 상기 호울더측 및 구달린 로드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에 대하여도 예를들면, 숫나사나, 암사등과 같이 그것이 다른 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면 좋으며, 서로 같은 수단이어도 좋고, 또 다른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개구의 직경을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의 직경과 거의 같게 하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이 개구를 호울더에 주입된 구형체와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할때, 상기 구형체를 지지하는 지지전극의 삽입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또 로드 본체와 구형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여 구달린 로드를 제조함으로써 그 구형체부의 원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즉, 호울더내에 주입된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할때, 금형의 지탱부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가 로드 본체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크면, 이 개구로부터 삽입되어서 구형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프터젝션 용접때 일방의 전극으로 되는 지지 전극의 지지부의 직경을 상기 로드 본체의 직경과 거의 같게하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프러젝션 용접때 구형체와 로드 본체사이에 전류를 집중시켜서 이 부분에서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구형체가 지지전극의 지지부에 접하는 부분에서 그 표면 원활성이나 원형도등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유류부를 구성하는 덮개부재의 고정 수단은 이 뚜껑부재가 고정되는 개구단부의 원주 가장자리에 철(
Figure kpo00001
)조를 형성하고, 이 철조를 코오킹(calking)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은 구형체부 원형도를 갖는 구달린 로드를 갖는 보올 조인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기본적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사용하여 그 구형체와 로드 본체사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용접하면 되며, 이 프러젝션 용접의 방법으로는 중첩 프러젝션 용접등의 다른 방법이 있으나, 접합 프러젝션 용접이 바람직하다. 이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면 용접 버어(burr)의 생성이 적으므로 이 용접 버어를 제거하는 절삭 가공등이 필요없다. 또 이 프러젝션용접에 의하여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용접한후, 그 상태에서 재차 통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용접부분의 템퍼링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로써, 예를들면, 고탄소함유강에서는 용접후 장시간 방치하면 그 용접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소위 방치 균열이 일어나는데, 이와같이 용접에 이어 템퍼링처리를 행함으로써 이 방치균열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보올 조인트는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유류부를 갖고,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와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그 상하방향으로부터 그리이스등의 윤활제를 공급하므로 윤활제의 순환이 양호하고, 이들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사이에 윤활제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으므로, 고속 운전등의 경우에도 타서 녹는 등의 문제 발생없이 원활한 회전 및 요동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로서 사용하는 구형체가 일방의 금형부재와 타방의 금형부재에 형성된 구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다이캐스팅 용융 합금을 주입할때 구형체가 그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으므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므로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사용하여 그 원형도를 손상함이 없이 구달린 로드를 제조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이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코어로서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를 주조하므로 이 구형체 지지부와 구형체부사이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도중에 큰 충격하중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있는 보올 조인트를 제조할 수가 있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볼 발명의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보올 조인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보올 조인트는 일단측에 구형체 지지부(2)를 갖고 그 타단측에 연결부(3)를 갖는 호울더(1)와, 일단측에는 상기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내에 필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 및 요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부(5)를 갖고 타단측에는 연결부(16)를 갖는 구달린 로드(4)와, 상기 구형체 지지부(2)와 구달린 로드(4)의 연결부(6)의 받침부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구형체부(5)와 구형체 지지부(2)의 사이에 공급되는 그리이스등의 윤활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 구형체부(5)와 구형체 지지부(2)의 사이에 먼지등이 침임함을 방지하는 시일부재(7)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울더(1)의 형상은 그 구형체 지지부(2)가 그 연결부(3)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개구하고, 또, 그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에는 덮개부재(8)에 의하여 밀폐된 유류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류부(9)를 형성하는 뚜껑부재(8)는 얇은 원반상의 판재로 구성되고 호울더(1)의 주조때 그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에 형성되어 서 유류부(9)로 되는 개구의 원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철조(10)를 코오킹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호울더(1)의 연결부(3)는 암나사(3a)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구달린 로드(4)의 연결부(6)는 숫나사(6a)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달린 로드(4)의 받침부에는 그 숫나사(6a)를 다른 부재에 결합시킬때 이 구달린 로드(4)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걸어 맞춰지는 거의 6각상의 공구 걸어 맞춤부(11)가 형성되고, 이와 동일하게 호울더(1)의 연결부(3)의 일단에도 공구가 걸어맞춰지는 거의 4각상의 공구 걸어맞춤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부재(7)는 그 일단부(7a)기 상기 공구 걸어맞춤부(11)에 걸어맞춰지고 타단부(7b)기 구형체 지지부(2)의 개구 가장자리에 걸려, 그 사이에 윤활제 포켓(13)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 상기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의 개구가장자리에는 이 구형체 지지부(2)에 유지되어 요동하는 구달린 로드(4)의 요동각을 규제하는 테두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관한 보올 조인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먼저 구형체(4a)를 코어로서 호울더(1)를 주조하고, 다음에 주조된 호울더(1)에 유지된 구형체(4a)와 로드 본체(4b)를 프러젝션 용접하여 구달린 로드(4)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행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울더(1)을 주조할때,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4a)를 그 구형체 지지부(2)의 코어로하여 상하로 분할된 호울더 주조금형(20)내에 세트하고, 이때 코어로서 사용하는 구형체(4a)를 상부금형부재(21)와 하부금형부재(22) 사이에 형성하여 그 직경이 구달린 로드(4)의 연결부(6)를 구성하는 로드본체(4b)의 하단부의 직경보다 큰 구형체 지탱부(2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또한 호울더(1)의 연결부(3)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암나사(3a)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주형(24)을 세트한후, 이 호울더 주조금형(20)내에 다이캐스팅 용융합금을 주입하여 호울더(1)를 주조한다. 주조된 호울더(1)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구형체 지지부(2)에 구달린 로드(4)의 구형체부(5)로 되는 구형체(4a)가 주입되어서 유지되며, 또, 상기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측에는 유류부(9)가 되는 개구(9a)가 형성되고, 그 개구 단부의 원주 가장자리에는, 덮개부재(8)를 고정할때 코우킹되는 철조(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이 상태에서 호울더(1)의 연결부(3)에 대하여 그 암나사(3a)나 공구 걸어맞춤부(12)의 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구형체(4a)가 주입된 호울더(1)를 주조한후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울더(1)에 저부에 이 호울더(1)를 주조할때 하부금형부재(22)의 구형체 지탱부(23)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9a)로부터 프러젝션 용접에 사용하는 지지전극(25)의 지지부(25a)를 삽입하여 구형체(4a)를 지지하고, 이 구형체(4a)와 로드본체(4b)를 그 선단부에서 서로 맞붙여, 소정의 압력(F)을 가하면서 소정의 용접전류를 소정의 용접시간동안 흘려서 이들 사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고, 또한 그대로 재차 전류를 흘려서 템퍼링 처리를 실시하여 구달린 로드(4)의 구형체(5)가 구형체 지지부(2)내에 주입된 호울더(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전극(25)으로서 그 지지부(25a)의 직경(d2)이 상기 로드 본체(4b)의 직경(d1) 보다 크고, 그리고 개구(9a)의 직경(d3) 보다 작고 그 원주벽에 접촉하지 않은 것(즉, d1>d2<d3의 관계를 갖는것)을 사용함으로써, 구형체(4a)와 로드 본체(4b) 사이의 프러젝션 용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지지전극(25)이 접하는 부분에 있어, 구형체(4a)의 표면 원활성이나 원형도를 손상함이 없이, 이들 구형체(4a)와 로드 본체(4b) 사이를 용접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하여서 형성된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와 구달린 로드(4)의 구형체부(5) 사이에 예를들면, 상기 구형체 지지부(2)의 외주를 가볍게 두들겨서 가벼운 충격을 작용시키거나 구달린 로드(4)에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등의 수단에 의하여 가하여, 이들의 사이에 미소한 간격을 형성하고,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에 대하여 구달린 로드(4)의 구형체부(5)가 회전 및/또는 요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9a)내에 그리이스등의 윤활제를 충전한 후, 이 개구(9a)의 개구 가장자리에 덮개부재(8)를 끼워넣어 개구(9a)의 원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철조(10)를 코오킹 함으로써 이 덮개부재(8)를 개구(9a)의 개구 가장자리에 고정하여 유류부(9)를 형성한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울더(1)의 구형체 지지부(2)의 개구 가장자리와 구달린 로드(4)의 연결부(6)의 받침부에 형성된 공구 걸어맞춤부(11)사이에 시일부재(7)를 장착하고, 이 시일부재(7)가 형성하는 윤활제 포켓(13)내에 그리이스 등의 윤활제를 충전한다.
상기한 비와같이, 본원 발명에 의해서 일방의 금형부재와 타방의 금형부재에 형성된 구형체 지지부에 의하여 코어로서 구형체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 프러젝션 용접으로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접합하므로 구형체의 원형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구달린 로드를 제조할 수가 있고, 구형체 지지부와 구형체부사이의 간격을 필요 최소한의 크기에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도중에 큰 충격하중을 받지 않아서 내구성을 갖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

  1. 일단측에 지지부를 갖는 동시에 타단측에 연결부를 갖는 호울더(1)와, 일단측에는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내에서 회전 및 요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구형체부를 갖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연결부를 가지며,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한 구달린 로드(4)와,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4)의 연결부의 받침부사이에 장착되고 윤활제를 수용하는 동시에 구형체부와 구형체 지지부 사이에 먼지나 쓰레기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부재(7)와, 상기 구달린 로드(4)의 구형체부(5)를 구성하는 구형체(4a)를 코어로서 호울더를 주조할때, 상기 구형체(4a)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금형의 구형체 지탱부(23)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에 설치된 개구(9a)와 이 개구(9a)에 그 외측으로부터 덮개부재(8)를 장착하여 형성된 유류부(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2)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9a)의 직경이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6)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 조인트.
  3. 구달린 로드를 구성하는 원형도가 높은 구형체를 일방의 금형부재와 타방의 금형부재로 형성한 직경이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로드 본체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구형체 지탱부사이에 고정하면서, 구형체 지지부의 코어로서 호울더 주조금형내에 세트하고, 이 호울더 주조금형내에 다이캐스팅 용융합금을 주입하여 구형체 지지부내에 구형체가 유지된 호울더를 주조하고, 상기 구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구형체 지지부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지지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구형체를 그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이 구형체와 로드 본체를 프러젝션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여 구형체부가 호울더에 유지된 구달린 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호울더의 구형체 지지부와 구달린 로드의 구형체부사이에 외력을 가하여, 이들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금형부재의 금형체 지탱부에 의하여 형성된 구달린 로드의 연결부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개구에 덮개부재를 장착하여서 유류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 조인트의 제조방법.
KR1019870008681A 1987-08-07 1987-08-07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94000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681A KR940003139B1 (ko) 1987-08-07 1987-08-07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681A KR940003139B1 (ko) 1987-08-07 1987-08-07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94A KR890004094A (ko) 1989-04-19
KR940003139B1 true KR940003139B1 (ko) 1994-04-15

Family

ID=1926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681A KR940003139B1 (ko) 1987-08-07 1987-08-07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1Y1 (ko) * 2012-02-29 2012-06-14 (주)삼우 볼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1Y1 (ko) * 2012-02-29 2012-06-14 (주)삼우 볼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94A (ko) 198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41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herical bearing
EP0705990B1 (en) Spherical joi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88140B2 (ja) 摩擦溶接接合を形成する固着部材
KR940003139B1 (ko) 보올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US4979844A (en) Ball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6205252A (ja) 管端部の閉塞方法およびシリンダ装置
US507060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l joint
KR100514915B1 (ko) 구면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JP3059374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4207306B2 (ja) 穴部の肉盛り装置
JP2003236682A (ja) パイプ状部材の接合方法
JPS62288716A (ja) ボ−ルジヨイント及びその製造法
AU741230B2 (en) Laser-welded bea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7020562B2 (ja) 液冷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
JPS636210A (ja) ボ−ルジヨイント及びその製造法
JP3435555B2 (ja) エンジンバルブの製造方法
JP3045700B2 (ja) 摩擦撹拌接合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接合工具
JPS636211A (ja) ボ−ルジヨイント及びその製造法
GB2207951A (en) Ball joint
JPS6052526A (ja) 再溶融チルカ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2003220456A (ja) 球面軸受の製造方法
KR100375781B1 (ko) 볼 조인트의 제조방법
JPS6347514A (ja) ボ−ルジヨイント及びその製造法
JPS6288815A (ja) 球継手の当り出し方法
JP2005265135A (ja) 球面軸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