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92Y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92Y1
KR940002992Y1 KR2019910008916U KR910008916U KR940002992Y1 KR 940002992 Y1 KR940002992 Y1 KR 940002992Y1 KR 2019910008916 U KR2019910008916 U KR 2019910008916U KR 910008916 U KR910008916 U KR 910008916U KR 940002992 Y1 KR940002992 Y1 KR 940002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ircular
base
fishing rod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802U (ko
Inventor
이사무 도꾸다
쥰 사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쇼우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쇼우조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920001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싯대
제1도는 본 고안 낚시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Ⅲ-Ⅲ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대 3 : 유지체
11 : 베이스부 21c : 손잡이부
31 : 원형유지면 33 : 원형개구부
본 고안은 물고기 낚시대 사용하는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잡이대와, 이 손잡이대에 인출 자유롭게 수납하는 중간대를 구비한 낚시대를 주움대로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 낚시대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 평2-396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대의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을 원형을 한 손잡이대의 베이스부 내면에 원형외면을 한 유지체를 감압하고, 이 유지체에 상기 손잡이대 내에 출퇴 자유롭게 내장하는 중간대중 대경측외면이 감압되어 상기 중간대를 유지하는 원형 유지면을 설치하고, 이 유지면에 상기 중간대를 끼워맞추어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대를 상기 손잡이대에 격납한 상태에서 덜컥거리지 않게 유지할수 있으며, 낚시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조절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낚시대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의 베이스부 보다도 앞쪽위치에 릴설치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각 낚시대에 낚시줄 가이드를 설치한 것으로서, 고기를 낚을때, 한쪽손으로 베이스부를 쥐고 다른쪽 손으로는 상기 릴 설치부의 근방위치를 잡고 투척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릴 설치부에 장착한 릴로부터 낚싯줄을 인출하여 낚시장치를 투척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면이 원형이 일반적인 낚시대는 상기 릴 설치부 및 낚시줄 가이드의 배치위치에 대한 잡는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시대의 투척방향이 결정되기 어렵고, 낚시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투척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낚시장치의 투척후에는 손잡이대의 릴 설치부 가까리을 한손으로 잡으면서 잡은 손의 팔꿈치를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대고 물고기의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에도, 베이스부가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팔꿈치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미끌어지기가 쉬워서, 베이스부를 팔꿈치에 안전되게 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중간대의 대경측 외면을 유지체의 원형 유지구멍에 끼워맞추면, 단지 중간대를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는 중간대를 인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중간대를 손잡이대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바깥쪽으로 인출하는 것이었으나, 이 인출시에 상기 유지체가 중간대와 함께 회전하면 중간대를 인출할 수가 없기 때문에, 특별한 회전방지 수단으로 상기 유지체의 회전을 저지할 필요가 있었다. 즉 유지체를 베이스부 내면에 끼워맞춰 고정하는 경우에는 유지체 외면과 베이스부 내면의 가공시에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유지체를 베이스부 내면에 접착제로 고정할 경우에는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접착제의 부착상태나 혹은 접착제의 열화에 의하여 유지체가 단기간에 떨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싯대의 적정한 투척방향을 결정할 수가 있고, 또한 고기를 낚을때, 베이스부를 팔꿈치에 안정성 좋게 당접시키거나 혹은 베이스부를 겨드랑이에 불쾌감 없이 끼울 수가 있으면서 베이스부의 내션형상을 이용하여, 유지체의 회전을 간단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손잡이대(1)와, 이 손잡이대(1)에 인출 가능하게 수남되는 중간대(2)와,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중간대(2)를 유지하는 유지체(3)를 포함하는 낚시대의 개량으로 다음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는 그 외면 및 내면이 비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부에 끼워맞춰지는 유지체(3)는 비원형으로 된 베이스부 내면(11b)에 대응하여 비원형의 외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체(3)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상기 중간대(2)의 대경측 외면(21a)에 끼워맞춰지고, 이 중간대(2)가 넣어진 위치를 유지하는 원형유지면(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유지체(3)에는 상기 원형유지면(31)과 원형개구부(33)를 설치하여, 이 원형개구부(33)에는 베이스 마개(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상기 중간대(2)가 끼워 맞쳐지는 감합내면(1a)을 가지고, 상기 중간대(2)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의 수납시에 상기 감합내면과 접촉할 수 있는 두께의 후육부(21b)와, 수납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손잡이부(21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대(1)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의 외면을 각각 비원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투척동작시에 낚시대의 적정한 투척방향을 결정할 수가 있으며, 고기를 낚고 있을때, 베이스부를 팔꿈치에 안정성 있게 당접시키거나, 또는 베이스부를 겨드랑이에 불쾌감이 없이 끼울 수가 있다.
또 중간대(2)를 손잡이대(1)내의 후퇴시켜, 그 대경측 외면(21a)을 유지체(3)의 원형유지면(31)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중간대(2)를 손잡이대(1)내에 고정상태로 수납할 수 있어, 낚시대 전체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내면(11b)도 비원형으로 형성하여, 이 비원형의 베이스부 내면(11b)에 비원형 외면을 가지는 상기 유지체(3)를 끼워 맞추기 때문에, 회전방지를 위한 특별한 대응책의 필요없이 상기 유지체(3)의 중간대(2)와의 회전을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손잡이대(1)내에 격납되는 중간대(2)의 인출을 지장없이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유지체(3)는 상기 원형유지면(31)와 원형개구부(33)를 구비하고, 이 원형개구부(33)에 베이스 마개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 및 유지체(3)를 상기한 바와같이 비원형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효과가 얻어지면서 상기 베이스 마개(4)를 종래대로 비틀어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에는 그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상기 중간대(2)가 끼워 맞춰지는 감합내면(1a)을 가지고, 상기 중간대(2)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의 수납시에 상기 감합내면과 접촉하는 후육부(21b) 및 수납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1c)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손잡이대(1)에 수용된 중간대(2)의 유지를 보다 유효하게 행하면서, 수납되어 있는 중간대(2)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부(21c)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중공의 손잡이대이고, 2는 이 손잡이대(1)내에 출퇴 자유롭게 내장되는 복수체(도면에서는 2개)의 중간대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대(1)는 그 선단측을 완만한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베이스부(11)측을 선단측의 지름의 변화율보다 큰 변화율로 확경되는 테이퍼부(12)를 거쳐서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외면(11a)과 베이스부 내면(11b)을 각각 제2, 3도와 같이, 예를 들면 3각형으로 이루어진 비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 내면(11b)에 유지체(3)를 끼워 맞추어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유지체(3)는 상기 베이스부 내면(11b)에 대응하는 비원형 외면(3a)을 가진 3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비원형 외면(3a)을 상기 베이스부 내면(11b)에 끼워 맞춘다. 이렇게 끼워 맞추면 유지체(3)의 회전을 간단히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유지체(3)의 후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1)의 단부와 대향하는 외향턱(3b)을 설치하여, 상기 대경의 중간대921)의 인출시에 유지체(3)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유지체(3)의 중심부에 원형유지면(31)을 설치하고, 이 원형유지면(31)에 상기 중간대(2)중 대경의 중간대(21)의 대경측 외면(21a)을 끼워 맞추어 상기 대경의 중간대(21)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유지체(3)의 전단면에는 상기 원형유지면(31)으로부터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진 가이드면(32)을 설치함과 동시에, 또 후단면에는 내측 나사를 가진 원형개구부(33)를 설치하여, 이 원형개구부(33)에 베이스마개(4)가 착탈가능하게 나사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마개(4)는 외부면에 나사를 가진 통부(4a)와 그 통부(4a)의 일단을 폐쇄하는 폐쇄부(4b)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부(4a)는 상기 원형개구부(3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대경의 중간대(21)의 선단부에는, 대경의 중간대(21)의 손잡이대(1)내로의 수납시에 손잡이대(1)의 소경측 선단부에 설치하는 감합내면(1a)과 접촉되어 대경의 중간대(21)가 소경측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후육부(21b)와, 수납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21c)를 설치하여, 이 손잡이부(21c)를 잡고 대경의 중간대(21)를 손잡이대(1)내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도중 5는 공기빠짐구멍(5a)을 가진 내측마개, 6은 코어부재, 4a는 상기 베이스마개(4)의 폐쇄부(4b)에 설치된 공기제거 구멍이다.
또, 상기 손잡이대(1) 및 각 중간대(2)는 프리플레그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구조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즉, 고강도의 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시트형태의 프리플레그를 완만한 원추형 코어의 외주에 두루감고, 그 외부에 셀로판테이프를 다선형으로 휘감아 단단히 묶어, 상기 감겨진 프리플레그를 가압하고, 이 가압상태에서 가열로 가열하고, 이 가령레 의하여 상기 권장 프리플레그에 있어서의 합성수지를 경화시키고, 다음에 상기 코어를 뽑아 냄과 동시에, 상기 셀로판테이프를 박리하고, 양단측을 절단하여 손잡이대(1) 및 각 중간대(2)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대(1)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의 성형은 상기 코어를 비원형으로 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성형형을 이탈 가능하게 상기 코어에 설치하여 성형한후에 상기 성형형을 뽑아내어 성형하는 것이다. 또 상기 코어부재(6)도 일반적인 제조법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기를 낚을때 코어부재(6) 및 각 중간대(2)의 전부를 손잡이대(1)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최장의 길이로 사용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경우, 대경의 중간대(21)의 대경측 외면(21a)이 손잡이대(1)의 소정측 감합내면(1a)에, 또 소경의 중간대(22)의 대경측 외면이 대경의 중간대(21)의 소경측 내면에, 또 코어부재(6)의 대경측 외면이 소경의 중간대(22)의 소경측 내면에 각각 접촉되게 끼워맞춰지므로 인출길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 외면(11a)은 단면이 대략 3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11)보다 전방에 있는 유치를 한손으로 잡고, 베이스부(11)를 그 손의 팔꿈치에 대고 고기의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 베이스부 외면(11a)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대(1)를 잡은 손의 팔꿈치를 꼭 댈 수가 있기 때문에 팔꿈치를 상기 손잡이대(1)에 안정하게 댈 수가 있다. 따라서, 손잡이대(1)를 가볍게 잡으면 되므로 손에 피로감이 적게든다.
또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11) 보다 전방에 있는 위치 일측에 릴을 장착함과 동시에 각 대의 일측에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하여 투척동작에 의하여 낚시장치를 투척하는 경우, 예를 들면 베이스부 외면(11a)의 곡률반경이 작은 1개의 정점부를 기준으로 하여 릴 설치부 및 낚싯줄 가이드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부(11)의 외면형상에 의하여 낚싯대의 적정한 투척방향을 결정할 수가 있고 낚시장치를 소망위치에 투척할수 있어, 낚시효과를 높일수가 잇는 것이다.
또, 고기를 낚을 때 길이를 짧게하여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각 중간대(2)중 대경의 중간대(21)를 손잡이대(1)내에 수납하고, 코어부재(6)와 1개의 소경의 중간대(22)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수납한 대경의 중간대(21)는 그 대경측 외면(21a)이 유지체(3)의 원형유지면(31)에 끼워맞춰져 유지되어 있으므로 길이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대경의 중간대(21)의 소경측 외면에 후육부(21b)를 설치하여 이 후육부(21b)를 상기 손잡이대(1)의 소경측 감합내면(1a)에 끼워맞추도록 구성함으로써, 대경의 중간대(21)의 선단측이 덜컥거리지 않게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경의 중간대(21)를 유지하는 유지체(3)는 그 외면을 비원형으로 하고, 비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 내면(11b)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원형의 형상을 이용하여 회전 불능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유지체(3)를 특별한 회전방지 수단으로 고정할 필요 없이 효과적인 회전방지가 가능하게 되고,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중간대(2)를 사용하고, 이들 중간대 중 대경의 중간대(21)를 유지체(3)에 유지시키도록 했으나, 기타 상기 유지체(3)에 대경의 유지구멍과 소경의 유지구멍을 계단상으로 설치하여 각 중간대(2)를 유지체(3)에 유지하여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11)를 대략 3각형의 비원형으로 형성했으나, 그외에, 예를 들면 타원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경우, 타원형상에 의하여 낚시대의 적정한 투척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또,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11)보다 전방에 있는 위치를 한손으로 잡고 물고기의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 베이스부중 곡률반경이 큰 단축측면을 겨드랑이에 불쾌감 없이 끼울 수가 있어 손잡이대(1)를 가볍게 잡으면 되므로 손의 피로를 적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 외면과 내면을 각각 비원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이 베이스부 외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낚시대의 적정한 투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보다 전방위치를 한쪽손으로 잡고 물고기의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 손잡이대(1)를 잡은 손의 팔꿈치에 상기 베이스부를 안정성 있게 당접시키기도 하고, 혹은 베이스부를 불쾌감 없이 겨드랑이에 끼우거나 하여, 손잡이대(1)를 잡은 손의 피로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또한 상기 베이스부 내면의 형상을 비원형으로 하였기 때문에 원형유지면(31)을 가진 유지체(3)를 회전불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지체(3)를 특별한 회전방지수단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효과적인 회전방지가 가능하며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회전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 외면과 내면을 비원형으로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지체(3)에 원형개구부(33)를 설치하여, 이 원형개구부(33)에 베이스마개(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베이스부 외면 및 내면과 유지체(3)의 외면이 비원형인데도 베이스마개(4)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중간대(2)의 선단부에 상기 후육부(21b) 및 수납시 손잡이대(1)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한 손잡이부(21c)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중간대(2)의 수납을 보다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인출시에는 상기 손잡이부(21c)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손잡이대(1)와, 상기 손잡이대(1)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중간대(2)와,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에 끼워맞춰지면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중간대(2)를 유지하는 유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대(2)를 상기 손잡이대(1)로부터 인출한 최장의 인출길이와, 상기 중간대(2)를 상기 손잡이대(1)내의 수납위치로 수납하고 조정한 길이로 낚시가 가능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는 그 외면 및 내면형상이 비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대(1)의 베이스부에 끼워맞춰진 유지체(3)는 그 외면이 비원형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부 내면(11b)에 대응하여 비원형 외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체(3)의 중심측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상기 중간대(2)의 대경측 외면(21a)이 끼워 맞추어져 상기 중간대(2)를 수납위치에 유지하여 조정한 길이로 낚시 가능하게 하는 원형 유지면(31)을 설치하고, 상기 중간대(2)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내로의 수납시에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회전조작으로 수납위치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부(2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3)는 상기 원형유지면(31) 및 원형개구부(33)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개구부(33)에 베이스 마개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 수납되는 상기 중간대(2)가 끼워맞취지는 감합내면(1a)을 가지고, 상기 중간대(2)의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대(1)에의 수납시에 상기 손잡이대의 상기 감합내면(1a)과 접촉하는 후육부(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KR2019910008916U 1990-07-06 1991-06-17 낚싯대 KR9400029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546 1990-07-06
JP1990072546U JP2517885Y2 (ja) 1990-07-06 1990-07-06 釣 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802U KR920001802U (ko) 1992-02-24
KR940002992Y1 true KR940002992Y1 (ko) 1994-05-11

Family

ID=1349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916U KR940002992Y1 (ko) 1990-07-06 1991-06-17 낚싯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17885Y2 (ko)
KR (1) KR940002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4982A1 (en) * 2019-11-15 2021-05-20 Shimano Inc. Fishing r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2122B2 (ja) * 2014-01-18 2018-02-21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4982A1 (en) * 2019-11-15 2021-05-20 Shimano Inc. Fishing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17885Y2 (ja) 1996-11-20
JPH0430854U (ko) 1992-03-12
KR920001802U (ko)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04711A (en) Line holder for pole with spinning reel attached thereto
US2776516A (en) Fishing rod
US4928634A (en) Honda breakaway
US7621069B2 (en) Fishing accessory method of securing a lure to a fishing hook, and method of attaching a body to a fishing line
KR940002992Y1 (ko) 낚싯대
US3727338A (en) Tubular casting rod having an axially-enclosed line
KR10023577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US4903427A (en) Fishing rod
GB2255289A (en) A catapult.
US5855085A (en) Fishing line spool holder
KR920002019A (ko) 낚싯대 및 그의 제조방법
US2899148A (en) Winding device for fishing reels
NL1005317C2 (nl) Bevestigingsinrichting voor het onder spanning bevestigen van een elastische draad in het inwendige van een hengel.
WO2016115226A1 (en) Telescoping fishing rod assembly
JP2545570Y2 (ja) ガイド付き振り出しさおの保護用具
CN106212402B (zh) 一种绑钩器及操作方法
JP2001136872A (ja) 釣 竿
JP2010104264A (ja) 釣竿
US4227659A (en) Fishing line storage reel
JP4420366B2 (ja) 中通し竿
JP2009165358A (ja) 釣り竿
JP2004105006A (ja) 中通し竿
JPH08308440A (ja) 中通し釣竿
JPH08332003A (ja) 中通し竿のガイド装置
JP2003144018A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