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02Y1 -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02Y1
KR940002502Y1 KR2019880022470U KR880022470U KR940002502Y1 KR 940002502 Y1 KR940002502 Y1 KR 940002502Y1 KR 2019880022470 U KR2019880022470 U KR 2019880022470U KR 880022470 U KR880022470 U KR 880022470U KR 940002502 Y1 KR940002502 Y1 KR 940002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peed
tap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104U (ko
Inventor
윤상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02Y1/ko
Publication of KR900013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1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02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3 : 키매트릭스
15 : 모터제어부 17, 19 : 제 1, 제 2 모터
41 : 모터스피드 제어부 43, 45 : 제 1, 제 2 헤드
47 : 플레이 EQ회로 49 : 증폭기
51, 53, 59 : 저항 55 : 가변저항
57 : 비교기 61 : 캐패시터
65, 67 : 인버터 69 : 트랜지스터
71 : 다이오드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의 모터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 유무에 따라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는 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Motor)를 사용하고 있으며, 동작상태에 따라 스피드 및 메카니즘을 구동하고 있다.
현재는 2개의 덱크(Deck)를 가지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에 있어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모터 제어회로는 단지 외부 상태 제어동작만 실행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어왔다.
첫째로,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 테이프에 기록되지 않은 구간에서만 모터가 플레이(Play : Play Back Mode)동작에 의해 정속 주행되어 짐으로써 녹음되지 않은 구간이 길때에는 불필요한 시간소모 및 전력소모를 초래하여 왔다. 둘째로 기록되지 않은 구간이 많은 테이프를 2개의 덱크를 가지는 카세트 레코더로서 더빙(Dubbing)시 기록되지 않은 구간도 계속적으로 정속 더빙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바와같은 시간소모는 물론 기록 헤드의 수명단축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 레코더의 모터 제어회로에 있어서, 덱크로 부터 픽업 재생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기록 유무를 검출하고 이에 모터 스피드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소정의 제어신호 입력을 분석하여 제 1, 제 2 모터구동신호와 모터 스피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1)에 제공하는 키매트릭스(Key Matrix : 이하 KEYM라함)(3)과, 저항(5, 11, 13)과 트랜지스터(7, 9)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의 제 1, 제 2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제 1, 제 2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부(15)와, 상기 모터제어부(15)의 제 1, 제 2 모터구동 신호단과 접지단 사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 1, 제 2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제 2 모터(17)(19)와, 저항(21, 23)과 트랜지스터(25), 다이오드(27)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모터(17)의 스피드 제어단자에 접속된 스피드 제 1 제어부(29)와, 저항(31, 33), 트랜지스터(35), 다이오드(37)로 구성되어 상기 제 2 모터(19)의 스피드 제어단자에 접속된 스피드 제 2 제어부(39)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컴(1)의 모터 스피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제 2 모터(17)(19)의 회전스피드를 제어하는 모터스피드 제어부(41)와, 제 1, 제 2 헤드(Head)로 부터 픽업되는 등화하는 플레이 등화 증폭기(Equalizing Amplifier : 이하 "EQ회로"라함)(47)와, 상기 EQ회로(47)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49)와, 상기 EQ회로(47)의 출력단의 전압을 소정 전류 제한하여 출력하는 저류제한 저항(51)(53)과, 상기 저항(51)(53)의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반전단자(-)로 소정의 기준전압(Vref)를 입력 비교하여 테이프의 기록 유무공간 상태를 검출하는 비교기(57)와, 상기 기준전압(Vref)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가변저항(55)과, 상기 비교기(57)의 출력을 RC시정수에 의해 소정 지연하는 저항(59) 및 캐패시터(61)로 구성된 지연부(63)와, 상기 지연부(63)의 출력을 버퍼링하는 2개의 인버터(65)(67)와 상기 마이컴(1)의 모터 스피드 제어신호단자에 애노드(Anode)가 접속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69)에 캐소드(Cathode)가 접속되어 상기 인버터(67)의 출력에 의해 상기 모터스피드 제어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칭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칭부는 트랜지스터(69)와 다이오드(71)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제 1 도의 동작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 1, 제 2 헤드 (43)(45)에 의해 제 1, 제 2 덱크로 부터 픽업되는 테이프의 초기 위치에 신호가 기록되어져 있는 상태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에서 제 1, 제 2 덱크는 더블덱크의 덱크 A, 덱크 B를 지칭한다.
지금 제 1, 제 2 헤드(43)(45)가 제 1, 제 2 덱크의 각각의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KEYM(3)에 제 1 덱크 플레이키가 눌려지면 마이컴(1)에는 P.A신호가 액티브 "로우"로 입력되고 P.B(B Deck play), ND(Nomal Dubbing), H.D(High Dubbing)신호는 인액티브 "하이"로 되어 입력된다.
이때 상기 KEYM(3)의 P.A액티브 "로우"를 입력한 마이컴(1)은 모터 구동신호단자 M.A로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그이외 단자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7)만이 "턴온"되어 전원전압(VCC)이 상기 트랜지스터(7)의 에미터-콜렉터간을 통하여 제 1 모터(17)의 전원단자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 1 모터(17)가 정속 주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헤드(43)는 주행되는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픽업하여 EQ회로(47)에 입력시키며, EQ회로(47)는 이를 보상하여 저항(51) 및 증폭기(49)에 입력시킨다. 상기 증폭기(49)는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함으로써 재생 출력된다. 이때 비교기(57)는 상기 저항(51)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과 가변저항(55)을 통해 입력되는 기준전압(Vref)의 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기준전압(Vref)는 EQ회로(47)의 출력중 최소 레벨보다 적고, 신호가 없는 레벨 보다는 크게 설정되어 있어, 테이프로 부터 신호가 픽업(Pick up)재생중에는 비교기(57)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테이프에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중에는 "로우"를 출력한다.
현재의 상태는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된 것을 재생하는 것임으로써 비교기(57)의 출력은 "하이"이다. 상기 비교기(57)의 출력 "하이"는 저항(59), 캐패시터(61)로 구성된 지연회로(63)에 의해 소정 지연되어진 후 2개의 직렬 접속 인버터(65)(67)에 의해 트랜지스터(69)에 베이스로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9)는 "오프"상태이며, 이로인해 스피드 제 1, 제 2 제어부(29)(39)는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전술한 KEYM(3)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P.B신호만이 액티브 "로우"이고, 그 이외의 신호가 "하이"라면, 마이컴(1)은 단자 MB로만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단자 MA, DBC(Dubbing)로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9)만이 "턴온"되어 제 2 모터(19)에만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며, 이로인하여 제 2 헤드(45)의 테이프만이 주행된다.
그러므로 제 2 헤드(45)는 제 2 덱크(B덱크)에 장착되는 테이프의 기록신호를 픽업하여 제 1 덱크의 동작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출력한다. 이때 테이프에는 신호가 기록 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하였음으로 비교기(57)의 출력은 "하이"로써 테이프에 신호가 있음을 검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KEYM(3)의 출력이 ND(Nomal Dubbing)가 "로우"이고, 그 이외의 신호가 "하이"라면, 마이컴(1)은 정속 상태의 더빙이라고 판단하여 모터구동단자, MA, MB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DBC로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트랜지스터(7)(9)는 상기 마이컴(1)의 출력에 의해 모두 "턴온"되어 제 1, 제 2 모터(17)(19)의 전원단자에는 전원전압(VCC)이 공급되어 제 1, 제 2 덱크의 테이프를 각각 주행시킨다.
상기와 같이 더빙모드로 동작하면 제 1 헤드(43)를 가지는 제 1 덱크는 재생모드이고, 제 2 덱크를 가지는 제 2 덱크는 레코딩(Recording)모드로 마이컴(1)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따라서 비교기(57)는 제 1 헤드(43)의 픽업신호를 전술한 바와같이 기준전압(Vref)과 비교 출력함으로써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며,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69)는 오프상태이다.
만약 KEYM(3)는 부터 HD(High Dubbing)의 신호만이 "로우"이라면 상기 마이컴(1)은 MA, MB, DBC로 모두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 1, 제 2 모터(17)(19)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전원전압(VCC)이 공급되어 회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25)(35)는 상기 마이컴(1)의 DBC출력"로우"에 의해 "턴온"되어짐으로써 제 1, 제 2 모터(17)(29)의 각 스피드 제어 단자에 접속된 저항(23)과 (33)에는 저항(21)(31)이 각각 병렬 접속된 것이된다. 상기 제 1, 제 2 모터(17)(19)의 스피드 제어단자의 저항값이 떨어짐으로써 모터(17)(19)의 스피드는 고속으로 되어지며 이로인해 고속더빙이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1 모터(17)의 정속회전, 제 2 모터(19)의 정속회전, 제 1, 제 2 모터(17)(19)의 동시회전에 의해서 재생 도중이거나 더빙중(제 1 덱크는 재생, 제 2 덱크는 녹음)에 테이프에 기록이 않된 구간이 제 1 헤드(43) 또는 제 2 헤드(45)에 픽업되면, EQ회로(47)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레벨은 잡음 레벨의 신호만이 출력된다.
상기의 잡음레벨 신호는 기준전압(Vref)보다 적음으로써 비교기(57)의 출력은 "로우"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로우"레벨의 비교기(57)의 출력은 저항(59), 캐패시터(61)의 지연회로(63)에 의해 소정 지연되고 인버터(65)(67)에 의해 트랜지스터(69)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69)가 "턴온"됨으로써 스피드 제 1, 제 2 제어부(29)(39)의 다이오드(27)(37)가 순방향으로 되어 트랜지스터(25)(35)가 "턴온"되어진다.
따라서 제 1, 제 2 모터(17)(19)의 스피드 제어단자에 접속된 저항(23)과 (33)에는 저항(21)과 저항(31)이 병렬 접속되어짐으로써 스피드 조절저항 값은 전술한 바와같이 값이 떨어지고, 이로인해 상기 제 1, 제 2 (17)(19)는 고속회하게 된다.
예를들어, 마이컴(1)의 MA단자에 의해 제 1 모터(17)가 구동되어 제 1 헤드(43)로 부터 신호음이 픽업되어지는 도중 기록음이 없으면 비교기(57)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 1 모터(17)만이 고속회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테이프로부터 픽업되는 신호레벨이 무신호 기록레벨인 경우를 비교기(57)가 검출하여 모터의 스피드를 제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모터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마이컴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간단한 회로로써 구성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빈공간을 검출하여 모터의 스피드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더빙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재생시 불필요한 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시스템을 고급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더블 덱크를 가지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의 테이프 공란 자동 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상태 신호에 따라 모터구동 제 1, 제 2 제어신호와 스피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1)와, 소정 전원전압(VCC)의 입력에 의해 회전되며 스피드 제어단자를 가지며 상기 스피드 제어단자의 임피던스에 따라 회전속도가 변화하는 제 1, 제 2 모터(17)(19)와, 상기 제어신호 출력부(1)의 제 1, 제 2 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라 전원전압(VCC)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제 2 모터(17)(19)에 전원전압(VCC)를 제공하는 모터제어부(15)와, 상기 제 1, 제 2 모터(17)(19)의 스피드 제어단자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어신호 출력부(1)의 스피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스피드제어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모터 스피드를 제어하는 모터스피드 제어부(41)와, 상기 제 1, 제 2 모터(17)(19)의 회전에 의하여 주행되는 제 1, 제 2 덱크의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픽업하는 제 1, 제 2 헤드(43)(45) 및 상기 제 1, 제 2 헤드(43)(45)의 픽업신를 등화하여 출력하는 EQ회로(47)와 소정 기준레벨의 기준전압(Vref)을 가지며, 상기 EQ회로(47)로 부터 출력되는 제 1 헤드(43) 및 제 2 헤드(45)의 픽업 신호 레벨을 상기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테이프의 무기록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신호로써 상기 스피드 제어부(41)의 스피드 임피던스를 변화시키어 모터(17)(19)의 스피드를 고속회전도록 하는 테이프 무신호 공간 검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되지 않는 상태가 검출시 모터를 고속 회전시키고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된 상태일 때 모터가 정속주행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의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지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프 무신호 공간 검출 제어수단은, 소정 레벨의 기준전압(Vref)를 입력하는 비교기(57)의 타단 입력 단자에 상기 EQ회로(47)의 제 1 헤드(43) 및 제 2 헤드(4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제한하는 저항(51)(53)이 접속되며, 상기 비교기(57)의 출력 단자와 상기 모터스피드 제어부(41)의 제어 신호 입력단의 사이에 지연회로(63)와 드라이버(65)(67)가 접속되어 고속주행 제어신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KR2019880022470U 1988-12-31 1988-12-31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KR940002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70U KR940002502Y1 (ko) 1988-12-31 1988-12-31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470U KR940002502Y1 (ko) 1988-12-31 1988-12-31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104U KR900013104U (ko) 1990-07-05
KR940002502Y1 true KR940002502Y1 (ko) 1994-04-20

Family

ID=1928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470U KR940002502Y1 (ko) 1988-12-31 1988-12-31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104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502Y1 (ko)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KR930003079A (ko) 광 기록 재생 시스템의 스핀들 모터 제어회로
JPH10106160A (ja) 光ディスク用の信号再生回路
KR910004990B1 (ko) 영상녹화 재생기기의 녹화종료 지점 자동탐색회로
US5282097A (en) Automatic search method for a record/play system
KR90001075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기능선택 절환제어회로
KR920000842Y1 (ko) Vtr에서의 s-vhs감지신호 발생회로
KR100194037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테이프 주행속도 검출회로 및 방법
KR910004225Y1 (ko) 디스크의 곡과 곡사이의 뮤팅회로
KR910005139Y1 (ko)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JPS5853062A (ja) デイスク・プレ−ヤの早送り装置
KR200262019Y1 (ko) 타임 랩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캡스턴 위상 제어 회로
KR950010536Y1 (ko) Vtr의 무신호시 고배속 회로
KR870002318Y1 (ko) 캡스턴모우터의 방향전환 제어회로
KR910002715Y1 (ko) 더블데크 카세트의 자동스위칭회로
KR900008436Y1 (ko) 더블 덱크의 음질 보정회로
KR900010451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KR920005940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8900010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연속 재생회로
KR910001286Y1 (ko) 더블 카셋트의 출력 제어회로
KR930008335Y1 (ko)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JP3353045B2 (ja) 光ピックアップ用送り装置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KR900010751Y1 (ko) 타이머 동작 재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