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40Y1 -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 Google Patents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40Y1
KR920005940Y1 KR2019890018086U KR890018086U KR920005940Y1 KR 920005940 Y1 KR920005940 Y1 KR 920005940Y1 KR 2019890018086 U KR2019890018086 U KR 2019890018086U KR 890018086 U KR890018086 U KR 890018086U KR 920005940 Y1 KR920005940 Y1 KR 920005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otor
signal
unloading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716U (ko
Inventor
황인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8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40Y1/ko
Publication of KR910009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자 20 : 모터
30 : 기준신호부 40 : 엔코더
50 : 에러검출부 60 : 에러전압증폭부
70 : 토크 제한부
본 고안은 테이프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언로딩동작중에 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치 이상이 되지 않도록 모터의 토크를 제한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 또는 VTR(Video Tape Recorder)등과 같은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캡스턴(Captan)및 릴(reel)모터의 구동회로는 제1도와 같은 구성되었다.
먼저 제어부(10)가 기준신호부(30)로 모터(20)의 회전 기준신호값을 출력하면, 기준신호부(30)는 이 신호를 에러검출부(5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에러검출부(50)는 모터(20)의 회전수에 따른 엔코더(40)의 출력과 상기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오차값을 발생한다. 상기 에러신호는 저항(R1)을 통해 연산증폭기(OP1)로 인가되어 파워 트랜지스터(power transitor) (Q1)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에러신호값을 트랜지스터(Q1)를 통해 모터(20)로 인가되어 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플레이 모드(play mode)상태에서는 캡스턴 및 테이크 릴(take up reel)을 구동하고, 고속 전진(fast forward)및 후진(rewind)모드에서는 테이크업 릴 및 서플라이 릴(supply reel)을 구동한다.
이때 테이프 언로딩시(tape unloading) 모터(20)는 드럼(drum)에 로딩되어 있는 테이프를 카세트 내로 원상복귀시키기 위해 서플라이 릴을 구동시키는데, 테이프를 끌어들이는 힘이 약할경우, 즉 서플라이 릴 구동의 힘이 약한 경우에는 테이프가 카세트 안으로 돌어가지 못하게 되며, 테이프를 끌어들이는 힘이 큰 경우에는 테이프에 손상을 주게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언로딩시에는 서플라이 릴의 토크(torque)를 적정하게 유지해야하는데, 종래의 경우에는 기준신호부(30)에서 적정한 값의 토크치를 설정하여 이 값에 따른 전압으로 모터(20)를 구동했었다. 그리나 테이프 언로딩 상태에서 외부 변동 및 기구부(mechanism)의 오동작동으로 인해 테이프 언로딩이 늦어지거나 정지된 경우에는 서플라이 릴을 당기로 테이프 가이드(tape guide)는 정지상태가 됨으로서, 테이프에 무리한 장력(tension)이 가해지게 되어 테이프가 손상을 입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상적인 테이프 구동시에는 정전압회로로 동작하고 테이프 언로딩시에는 전류제한을 하여 테이프 가이드가 정지하더라도 기준치 이상의 토크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모터(20)의 기준속도 데이타 및 테이프 언로딩 유무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와, 상기 기준데이타에 따른 모터(20)의 회전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신호부(3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40)와, 상기 기준신호 및 엔코딩신호를 비교하여 그에따른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에러검출부(50)와, 저항(R1-R5), 연산증폭기(OP1) 및 파워트랜지스터(Q1)러 구성되어 상기 에러신호에 의해 모터(20)의 구동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는 에러증폭부(60)와, 트랜지스터(Q2-Q3), 저항(R6-R7)및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0)의 테이프 언로딩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에러증폭부(60)의 전류를 제한하여 모터(20)의 토크를 제어하는 전류제한부(7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10)는 모터(20)가 회전하는 속도의 기준치를 지정하는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의 출력데이타는 기준신호부(20)로 인가되어 상기 데이타에 상응되는 모터(20)의 기준회전신호로 변환되며, 에러검출부(50)는 상기 기준회전신호와 엔코더(40)를 통한 모터(20)의 회전신호와 비교하여 오차값을 검출한다. 이때 최초 상태에서는 엔코더(40)의 출력이 없는 상태이므로, 오차값은 매우 큰 상태가되며, 이로 인해 연산증폭기(OP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파워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전원전압(B)을 모터(20)로 인가한다.
따라서 모터(20)의 회전수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에러검출부(50)로 인가한다. 이때 에러검출부(50)는 엔코더(40)의 출력변화에 따른 에러신호를 검출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터(20)의 회전이 바른 오차값을 발생하게 된다.
즉 모터(20)의 회전이 빠른 경우에는 인가전압을 낮추고, 회전이 늦은 경우에는 인가전압을 높여 기준신호에 상응하는 속도로 모터(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캡스턴 및 릴은 모터(20)의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한 회전을 유지한다.
이때 드럼에 로딩되어 있는 카세트 안으로 끌어당기는 언로딩 동작중에는 서풀라이 릴을 구동하도록 되어있는데, 이때는 테이프에 이상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모터(20)의 토크가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테이프에 일정 값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모터(20)의 토크를 제한하면 된다. 테이프가 언로딩 중일시에는 제어부(10)는 언로딩 단자를 통해 "하이"상태의 언로딩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언로딩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며, 이로인해 상기 에러검출부(50)의 출력이 연산증폭기(OP5)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되며,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베이스사이에는 저항(R4, R5)의 합성 저항이 연결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언로딩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므로, 상기 파워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류가 가변저항(VR1)을 통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60)는 테이프 언로딩시 상기 가변저항(VR1)에 의해 동작상태가 결정된다.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류는 베이스전류의 전류 증폭율(hfe)에 의해 결정되므로, 가변저항(VR1)을 변화시키면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류 공급 한계치가 변환된다.
이때 모터(20)의 토크는 하기(1)식과 같이 표현되므로 모터(20)가 낼수 있는 토크는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제한 전류값에 의해 결정된다.
T=KT·1····(1), T : 토크(torque), KT : 토크 상수, I : 파워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 상술한 바와같이 테이프 구동장치에서 테이프를 로딩한 통상적인 모드상태는 모터가 토크를 많이 낼수 있도록 정전압회로 동작시키고, 테이프 언로딩시에는 모터의 토크를 제한하여 테이프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있다.

Claims (1)

  1. 모터의 회전기준신호를 출력하며, 테이프 언로딩시 언로딩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와 상기 기준신호와 모터회전신호를 비교하여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에러검출부를 구비한 테이프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를 증폭하여 모터의 구동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는 에러증폭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언로딩신호 발생시 구동되어 상기 에러증폭부의 출력전류를 제한하여 모터의 토크를 제어하는 전류 제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KR2019890018086U 1989-11-30 1989-11-30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KR920005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086U KR920005940Y1 (ko) 1989-11-30 1989-11-30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086U KR920005940Y1 (ko) 1989-11-30 1989-11-30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716U KR910009716U (ko) 1991-06-29
KR920005940Y1 true KR920005940Y1 (ko) 1992-08-27

Family

ID=1929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086U KR920005940Y1 (ko) 1989-11-30 1989-11-30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716U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3117A (en) Plural motor tensioning system for rewinding tape cassettes
JPS636933B2 (ko)
KR940001751B1 (ko) 영상기기용 카셋트 테이프의 로딩 장치 및 방법
KR920005940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언로딩시 토크 제한회로
JP3282218B2 (ja) 記録再生装置
CA1128202A (en) Tape control apparatus
JPS639055A (ja) カセツト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H0115936B2 (ko)
JPH04263155A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テンション制御装置
KR900007319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고속 감이모드에서 릴속도 제어회로
JP2768987B2 (ja) 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847295A (ja) モータ制御装置
KR0162589B1 (ko) Vcr의 이상사태 방지장치 및 방법
JPS58121166A (ja) テ−プレコ−ダのリ−ル軸駆動装置
KR920006088Y1 (ko) 캡스턴 모터 폭주 방지장치
KR930000390Y1 (ko) 릴 제어회로
JP354654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27249A (ja) テープ駆動装置
KR940000257B1 (ko) 로딩모터 구동회로
JPH0348746Y2 (ko)
KR0141111B1 (ko) 고속 감기/되감기시 테이프 풀림 현상 방지회로
JPS63234896A (ja) モ−タ駆動回路
US6301069B1 (en) Servo control apparatus utilizing clock signal and control data
JPH11134738A (ja) テープ駆動方法及びテープ駆動装置
KR94000468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빨리보내기, 되감기시 모터의 회전속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