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39Y1 -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39Y1
KR910005139Y1 KR2019880000387U KR880000387U KR910005139Y1 KR 910005139 Y1 KR910005139 Y1 KR 910005139Y1 KR 2019880000387 U KR2019880000387 U KR 2019880000387U KR 880000387 U KR880000387 U KR 880000387U KR 910005139 Y1 KR910005139 Y1 KR 91000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output
unit
latch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669U (ko
Inventor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139Y1/ko
Publication of KR890016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6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39Y1/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제 1 도는 종래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의 블록도.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의 실시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치증폭부 2 : 전력 증폭부
6 : 정류 및 증폭부 7 : 비교기
8 : 리세트부 9 : 래치부
10 : 구동회로부 11 : 모터 제어부
12 : 전원공급부 Q1-Q12 : 트랜지스터
FF : D플립플롭 ZD1, ZD2 : 제너다이오드
D1, D2 : 다이오드 SW2 : 선곡스위치
R1-R5 : 저항 C1 : 콘센서
M2 : 모터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곡과 곡 사이에 형성되는 무녹음 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한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의 선곡시스템 방식은 제 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치 증폭부(1)를 거친 헤드(H1)로 부터의 신호가 전력 증폭부(2)를 통하여 스피커(SP1)로 출력될때, 상기 전치 증폭부(1)의 출력으로서 테이프의 무녹음 부분을 검출하는 곡간 및 플런지 구동부(3)의 출력을 이용하여 플런지부(4)를 구동하고, 이 플런지부(4)의 동작으로 테이프 데크의 기어비를 변경하여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생모드(play Mode)상태에서 다음 곡으로 고속전진시키기 위해 고속전진 모드(F/F Mode)를 선택하면, 이때 동작하는 스위치(SW1)가 온 되어 곡간 검출 및 플런지 구동부(3)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된다. 테이프의 고속 전진중 상기 곡간 검출 및 플런지 구동부(3)가 테이프의 무녹음 부분을 검출하면 플런지부(4)에 출력을 내보내게되며, 이에 따라 플런져(도시생략)가 동작하여 테이프 데크의 기어를 전환시키게 되므로 테이프데크는 고속전진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카세트 테이프의 선곡 시스템은 플런져에 의한 기계적 절환방식으로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됨에 따라 원가상승 및 잦은 고장을 초래하게되며 특히 그 신뢰성 향상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 무녹음 검출신호에 의한 테이프 모터의 속도제어가 기계적 방식이 아닌 전자식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조가 간소화되면서 고 신뢰성을 얻을수 있게 되는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증폭하고 정류하여 비교데이타를 제공하는 정류 및 증폭부와, 이 정류 및 증폭부의 비교데이타출력과 소정레벨의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선곡위치 데이타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 출력신호의 레벨을 결정하여 선곡모드 및 정상모드로 전환시키는 리세트부와, 이 리세트부의 출력에 따라 현모드를 래치해제 또는 래치시키는 래치부와, 이 래치부의 래치시모터를 고속모드로 되게하고 래치해제시 정상 재생모드로 되도록 구성신호를 발생하는 구동회로부와, 이 구동회로부의 출력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콘트롤하는 모터제어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선곡모드시에만 상기 정류 및 증폭부와 비교 및 구동회로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온시에 상기 래치부를 강제로 래치시키는 선곡스위치(SW2)와로된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에 그 특징이 있다.
제 2 도는 이 고안에 다른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카세트의 헤드(H2)와 헤드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소정레벨까지 증폭시키는 전치증폭기(1)와 전치증폭기(1)의 출력을 대전력 증폭하여 스피커(SP2)를 통해 음향 출력되도록 하는 전력증폭부(2)를 구비한 카세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인 재생신호를 증폭 및 정류하는 정류 및 증폭기(6)의 출력이 저항(R1)과 콘덴서(C1)의 RC시정수회로를 통해 비교기(7)의 반전단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며, 비교기(7)의 출력측은 리세트부(8)의 D플립플롭(FF)의 입력단(D)에 연결되어 이 D플립플롭(FF)의 출력단(D)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측에 연결되었다. 이 트랜지스터(Q4)는 전원(Vcc)을 선곡스위치(SW2)와 저항(R2)을 통해 제공받는다.
한편, 래치부(9)는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전위에 의해 스위치되는 트랜지스터(Q5), (Q6)와 이 트랜지스터(Q5), (Q6)에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분압저항(R3)(R4)과 제너다이오드(ZD1)로 이루어졌다.
또한, 구동회로부(10)는 상기 래치부(9)의 래치출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7)와 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저항(R5)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D2) 및 이 다이오드(D2)를 통해 바이어스를 제공받는 3단 베이스 접속의 트랜지스터(Q8)(Q9)(Q10)로 되었다.
모터제어부(11)는 이 트랜지스터(Q9)(Q10)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1)(Q12)와, 구동력 조정 저항(Rt)과 속도조절저항(Rs)으로 이루어졌다.
전원공급부(12)는 정류 및 증폭부(6)에 정전압을 공급받는 트랜지스터(Q1)와 구동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8)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2)(Q3) 및 제너다이오드(ZD2)로 이루어졌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모드시에 헤드(H2)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전치증폭기(1)를 통해 전력증폭기(2)에 입력되어 소정의 세력으로 증폭된 후 스피커(SP2)를 통해 음향출력된다.
이때,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이 정류 및 증폭부(6)에 입력되나 정상적인 재생모드시에는 전원공급부(12)의 출력이 오프상태로 되어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가 오프상태로 있게 된다.
이에따라 리세트부(8)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고 래치부(9)도 오프상태로 되며 구동회로부(10)의 출력 또한 로우레벨로 되어서 모터제어부(11)는 정상모드로 작동되어 모터(M2)는 정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재생모드에는 이 고안에 의한 선곡시스템이 오프모드로 되게 된다.
그러나, 유저가 선곡스위치(SW2)를 온시킬 경우에는 래치부(9)가 구동되어 구동회로부(10)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제어부(11)는 선곡모드로 되어 모터(M2)이 회전이 고속으로 된다.
또한 이러한 회로동작과 동시에 전원공급부(12)가 턴온되어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에 정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전치증폭부(2)의 출력신호는 정류 및 증폭부(6)에서 증폭되어 정류된 후 소정레벨의 기준전압(VR)과 비교되어 출력된다.
이 비교기(7)의 출력은 테이프상에 녹음이 존재시에는 로우레벨 출력으로 된다. 따라서 하이레벨 출력일때는 테이프상에 무녹음일때이며 리세트부(8)가 로우레벨로 되어 래치부(9)의 래치가 해제되며 구동회로부(10)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12)가 오프상태로 되게 되고 모터제어부(11)는 정상 재생모드로 전환되어 정상적인 재생모드가 수행된다.
이하에서 이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즉,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모드시에서는 전치증폭부(1)를 거친 헤드(H2)에서 검출된 녹음신호가 정류 및 증폭부(6)에 입력되지만 전원공급부(12)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정류 및 증폭부(6)의 출력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리세트부(8)의 D플립플롭(FF)의 출력단(Q)에서는 로우레벨이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Q4)는 오프상태로 되며 또한 래치부(9)의 트랜지스터(Q5, Q6)도 오프된다. 그러므로 제너다이오드(ZD1) 및 저항(R3, R4)을 통한 전원전압(Vcc)에 의해 구동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7)가 온될때 트랜지스터(Q8-Q10)는 오프되므로 모터제어부(11)의 트랜지스터(Q11)도 또한 오프되어, 모터(M2)는 구동력 조절저항(Rt) 및 속도 조절저항(Rs)에 의한 재생모드시의 정상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0)가 오프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온 되지 못하므로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선곡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래치부(9)의 트랜지스터(Q5, Q6)가 턴온되므로 구동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7)는 오프된다. 따라서 저항(R5) 및 다이오드(D2)를 통한 전원전압(Vcc)에 의한 트랜지스터(Q8-Q10)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1-Q3) 및 트랜지스터(Q11)에 바이어스를 제공하게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Q3) 및 트랜지스터(Q11)가 온되어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에는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고 또한 속도조절 저항(Rs)값의 변화로 모터(M2)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카세트 테이프는 고속 전진모드를 들어가게 된다.
테이프의 고속전진중 무녹음 부분이 나타나면 비교기(7)의 출력은 하이레벨로 나타나게 되는데, 무녹음 부분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음성출력이 나오지 않는 구간에서 비교기의 출력이 바뀜으로서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가한것이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회로로서, 이는 정류 및 증폭부(6)의 일시적 출력 중단시 콘덴서(C1)에 축적된 전하가 저항(R1)을 통하여 기준전압(VR) 미만으로 방전될때까지는 테이프상의 무녹음 부분을 검출하지 않게 된다.
한편 D플립플롭(FF)의 입력단(D)에 입력되는 하이레벨 신호의 라이징에지에서 그의 출력단(Q)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나타나므로 래치부(9)의 트랜지스터(Q5, Q6)가 온상태의 래치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구동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7)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8-Q10)는 턴오프되므로 전원공급부(12)의 트랜지스터(Q1-Q3) 및 모터 제어부(11)의 트랜지스터(Q11)도 오프되어,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의 전원전압(Vcc)공급이 차단되고 모터(M2)는 재생모드의 정상속도로 들어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동작하게되는 이 고안은 간단한 원터치 방식의 선곡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터의 속도가 자동 절환되어 재생중인 테이프가 다음 곡까지 고속전진된후 해당곡을 재생하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필요없게 됨에 따라 카세트 레코더의 기구적 구조가 단순화되고,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선곡동작의 고 신뢰성화를 이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증폭하고 정류하여 비교 데이타를 제공하는 정류 및 증폭부(6)와, 이 정류 및 증폭부(6)의 비교데이타 출력과 소정레벨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선곡위치데이타를 출력하는 비교기(7)와, 이 비교기(7)의 출력레벨에 따라 출력신호의 레벨을 결정하여 선곡모드 및 정상모드로 전환시키는 리세트부(8)와, 이 리세트부(8)의 출력에 따라 현모드를 래치해제 또는 래치시키는 래치부(9)와, 이 래치부(9)의 래치시 모터를 고속모드로 되게하고 래치해제시 정상 재생모드로 되도록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회로부(10)와, 구동회로부(10)의 출력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콘트롤하는 모터제어부(11)와, 상기 구동회로부(10)에 의해 구동제어되면 선곡모드시에만 상기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 및 구동회로부(11)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와, 온시에 상기 래치부(9)를 강제로 래치시키는 선곡스위치(SW2)와, 로 된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리세트회로(8)는 비교기(7)의 출력의 라이징에지시에 출력로직이 하이레벨로 전환되는 D플립플롭(FF)과, 이 D플립플롭(FF)의 출력을 반전출력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부(9)는, 리세트회로(8)의 출력레벨이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5)와, 이 트랜지스터(Q5)에 의해 스위칭되어 래치출력을 발생하는 트랜지스터(Q6)와, 전원(Vcc)을 분압시켜 트랜지스터(Q6)에 소정전압의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분압저항(R3)(R4) 및 제너다이오드(ZD1)와,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선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회로부(10)는, 래치부(9)의 출력레벨이 따라 스위칭되며 콜렉터저항(R5)과 역류방지용다이오드(D1)(D2)를 구비한 트랜지스터(Q7)와, 이 트랜지스터(Q7)에 의해 구동되는 3단 베이스직결 트랜지스터(Q8)(Q9)(Q10)와,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12)는, 구동회로부(10)의 출력시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Q3)와, 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콜렉터에 베이스가 공접되어 트랜지스터(Q1)에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스위칭 되며 정류 및 증폭부(6)와 비교기(7)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와, 과전압시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는 제너다이오드(ZD2)와,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7)는, 그 반전 입력단에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회로로 되는 선곡에러방지 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선곡시스템.
KR2019880000387U 1988-01-19 1988-01-19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KR91000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87U KR910005139Y1 (ko) 1988-01-19 1988-01-19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87U KR910005139Y1 (ko) 1988-01-19 1988-01-19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669U KR890016669U (ko) 1989-08-19
KR910005139Y1 true KR910005139Y1 (ko) 1991-07-20

Family

ID=7061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387U KR910005139Y1 (ko) 1988-01-19 1988-01-19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669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461A (en) Synchronizing circuitry for the playback and recording units of a dubbing apparatus
KR910005139Y1 (ko) 카세트 테이프 선곡 시스템
JPH0563847B2 (ko)
JPH1069661A (ja) 書込み形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レーザ制御回路
US4542490A (en) Radio - cassette tape recorder/player system
US3582568A (en) Tape quick feed means for 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a magnetic endless tape
KR910004990B1 (ko) 영상녹화 재생기기의 녹화종료 지점 자동탐색회로
KR930000394Y1 (ko) 전원오프시 자동이젝트회로
KR950010536Y1 (ko) Vtr의 무신호시 고배속 회로
KR0115166Y1 (ko) 콤팩트 디스크를 동기 녹음회로
KR940002502Y1 (ko) 테이프 공란 자동검지 고속전진 제어회로
KR870002314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무신호 녹음부분 형성회로
JPS6144269Y2 (ko)
KR910002718Y1 (ko) 마이크 녹음 제어 장치
JPS6325549Y2 (ko)
KR900001421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되감기시 모듀레이터 절환회로
KR900008784Y1 (ko) 리모트콘트롤 뮤트와 포즈 겸용회로
KR910004225Y1 (ko) 디스크의 곡과 곡사이의 뮤팅회로
KR900009752Y1 (ko) 녹화 잡음 제거회로
KR850002940Y1 (ko) 무신호 녹음시 일시 정지회로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920004016Y1 (ko) Vtr의 재생시 영상신호가 없을때 테이프 속도절환회로
JPS5939294Y2 (ja) テ−プレコ−ダのミュ−ティング装置
KR930002781Y1 (ko) Vtr의 오토 스톱회로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