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335Y1 -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35Y1
KR930008335Y1 KR2019880004615U KR880004615U KR930008335Y1 KR 930008335 Y1 KR930008335 Y1 KR 930008335Y1 KR 2019880004615 U KR2019880004615 U KR 2019880004615U KR 880004615 U KR880004615 U KR 880004615U KR 930008335 Y1 KR930008335 Y1 KR 930008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eck
switch
cro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913U (ko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4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35Y1/ko
Publication of KR890019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더블테크 카세트의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EQ) 자동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테크(Play back deck) 또는 R/P데크(Record/Play deck)에서의 재생시에 표준테이프인지 CrO2테이프인지를 자동선택하여 테이프에 종류에 알맞은 재생특성을 낼 수 있는 재생특성 자동선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데크 메카니즘에 장착되는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서 표준테이프 또는 CrO2테이프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본 고안은 재생 데크와 R/P데크를 가진 소위, 더블데크 메카니즘에서 각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에 알맞은 재생음을 낼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본 고안의 제1스위치는 게이트의 제어단자를 조절하여 재생데크와 R/P데크를 선택할 수 있고, 재생데크 작동시에 테이프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2스위치에 의하여 표준테이프인지 CrO2테이프인지를 감지하고, R/P 데크작동시에는 테이프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3스위치에 의하여 표준테이프인지 CrO2테이프인지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재생데크 또는 R/P데크에서 재생될때에 표준테이프인지 CrO2테이프인지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테이프에 알맞은 재생특성을 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구성요소는 더블데크로서 구성되는 재생테크와 R/P데크를 제어단의 제어로 상호 절환시키는 게이트(1), 각 데크에서 재생된 출력을 주파수 보상하는 주파수 보상회로(2), 주파수 보상회로의 출력을 받는 버퍼(3), 일측이 상기 제어단에 다른측은 전원에 접속되어 재생데크의 동작시 온이되는 제1스위치(SW1), 재생데크에 부착되어 표준테이프 장착시 온이되고 CrO2테이프 장착시 오프가 되는 제2스위치(SW2), R/P데크에 부착되어 표준테이프 장착시 온이되고 CrO2테이프 장착시 오프가 되는 제3스위치(SW3), 주파수 보상회로(2)와 버퍼(3)사이에 접속되고 제2스위치 또는 제3스위치가 오프되어 각 데크에서 CrO2테이프 재생되는 때에 온스위칭되는 CrO2보상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제1스위치는 재생데크의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온"이 되고,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는 각각 재생데크 메카니즘과 R/P데크 메카니즘에 부착되어 있어 장착되는 테이프의 종류를 감지 하는 것으로, 제2스위치는 재생데크 작동시에 표준테이프가 장착되면 "온"이 되고 CrO2테이프가 장착되면 :오프" 가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제3스위치는 R/P데크 작동시에 표준테이프가 장착되면 "온"이 되고 CrO2테이프가 장착되면 "오프"가 되는 스위치이다.
이하에서 데크 메카니즘에 부착된 제2 및 제3스위치가 장착되는 데이프의 종류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된다. 테이프를 내장하고 있는 테이프 카세트 구조상에서 데크 메카니즘의 헤드에 닿는 부분의 반대측상의 구조를 보면, 이는 세계적으로 동일한 구조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테이프 패키지는 녹음을 가능하게 하는 탭이 구성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면 녹음이 불가능하게 된다. CrO2테이프 카세트는 탭뿐만 아니라 홀이 구성되어 있지만, 표준테이프 홀이 뚫려 있지 않다. 각 데크 메카니즘에 부착된 제2및 제3스위치는 각각 테이프 카세트의 홀의 위치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각 데크 메카니즘에 홀이 있는 CrO2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면 각 데크에서 제2및 제3스위치가 개방상태가 되어 "오프"가 되고, 홀이 없는 표준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면 각 데크에서 제2및 제3스위치가 단락상태가 되어 "온"이 된다.
이와 같이 더블데크 메카니즘에서는 재생데크에 의해서도 R/P데크에 의해서도 재생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데크 메카니즘에 제2스위치와 제3스위치를 부착시켜 테이프의 종류를 감지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생데크의 헤드와 R/P데크의 헤드를 게이트(1)에 접속시키고, 게이트의 동작을 그 제어단자가 제1스위치(SW1)의 일측과 접속되어 제1스위치가 온되면 재생데크를 선택(A위치)하고, 제1스위치가 오프되면 R/P데크를 선택(B위치)한다.
제2스위치는 재생데크의 테이프 감지 스위치로서 재생데크네 표준테이프를 장착한 경우 온되어, 다이오드(D2), 저항(R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을 오프상태가 되게 한다. 또, 재생데크에 CrO2테이프를 장착한 경우 제2스위치(SW2)는 오프상태로 전원이 제1스위치(SW1)를 통해 저항(R5), 다이오드(D2)와 저항(R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저항(R2)와 콘덴서(C1)이 도통됨으로써 CrO2테이프 재생시의 특성을 갖게 된다.
제3스위치(SW3)는 R/P데크의 테이프 감지 스위치로서, R/P데크에 표준테이프를 장착하면 온상태가 되어 다이오드(D1), 저항(R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을 오프상태가 되게 하고, R/P데크에 CrO2테이프를 장착하면 오프상태가 되어 전원이 저항(R6)을 통해 다이오드(D1), 저항(R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저항(R2)와 콘덴서(C1)이 도통되어 CrO2테이프 재생시의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을 재생데크에 표준테이프 및 CrO2테이프를 각각 장착하여 재생버튼을 누른 경우와 R/P데크에 표준테이프 및 CrO2테이프 를 각각 장착하여 재생하는 네가지 경우로서 각각 설명한다.
먼저, 재생데크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제1스위치(SW1)가 "온"되어 게이트(1)의 제어단자에 고레벨 신호를 인가하고 게이트(1)는 재생데크(A)를 선택한다. 재생데크에 표준테이프를 장착하면 테이트선택 스위치인 제2스위치(SW2)는 "온"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3)과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접지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저항(R4)을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고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인가된 전압은 에미터를 통하여 접지되므로 콜렉터측에는 저레벨신호가 걸려 트랜지스터(Q1)가 오프상태가 되며, 따라서 재생데크에서의 신호는 주파수 보상회로(2)와 버퍼(3)를 통하여 출력된다.
다음에 재생데크에 CrO2테이프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스위치(SW2)가 "오프"되고, 전원전압(VCC)은 저항(R5), 다이오드(D2) 및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콘덴서(C1)와 저항(R2)의 회로가 연결되어 CrO2테이프의 재생시 특성을 갖게한다.
게이트(1)에서 R/P데크를 선택하고자 할때에는 제1스위치(SW1)를 개방하면 게이트의 제어단자에 저레벨신호가 인가되므로 게이트는 R/P데크의 헤드에 연결된다. 이때 R/P데크에 표준테이프를 장착하면 테이프 선택스위치(SW3)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지 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따라서 R/P데크의 헤드로 부터의 신호는 주파수 보상회로(2)와 버퍼(3)를 거쳐 앰프로 출력된다. 다음에 R/P데크에 CrO2테이프를 장착하면 제3스위치(SW3)가 "오프"되므로 전원전압(VCC)이 다이오드(D1) 및 저항(R3)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콘덴서(C1)와 저항(R2)의 회로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연결되며, CrO2테이프 재생시의 특성을 갖게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2)는 제1스위치(SW1)가 개방상태이므로 그 베이스 전원이 없어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재생데크와 R/P데크를 "플레이"상태로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제1스위치(SW1)의 "온"에 의해 게이트(1)의 제어단자에 고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재생데크가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재생데크에 장착된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온" 또는 "오프"되어 테이프의 특성에 맞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1스위치(SW1)가 "온"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2)에 전원전압이 도통되어 제3스위치(SW3)의 양단을 접지시키기 때문에, 제2스위치(SW2)에 의해서 판별된 온 또는 오프에 의해 테이프의 종류를 감지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더불데크 카세트를 사용하여 테이프 음을 청취하고자 할때 게이트(1)의 제어단자 신호에 따라 재생데크의 R/P데크를 선택할 수 있고 또 표준테이프와 CrO2테이프에 따른 재생특성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양질의 음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더블데크로서 구성되는 재생데크와 R/P데크를 제어단의 제어로 상호 절환시키는 게이트(1), 상기 각 데크에서 재생된 출력을 주파수 보상하는 주파수 보상회로(2), 상기 주파수 보상회로의 출력을 받는 버퍼(3), 일측이 상기 제어단에, 다른측은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재생데크의 동작시 온이되는 제1스위치(SW1), 상기재생데크에 부착되어 표준테이프 장착시 온이되고 CrO2테이프 장착시 오프가 되는 제2스위치(SW2), 상기 R/P데크에 부착되어 표준테이프 장착시 온이되고 CrO2테이프 장착시 오프가 되는 제3스위치(SW3), 상기 주파수 보상회로(2)와 상기 버퍼(3)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2스위치 또는 상기 제3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각 데크에서 CrO2테이프 재생되는 때에 온스위칭되는 CrO2보상회로로구성된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자동 선택회로.
  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rO2보상회로는, 전원전압이 저항R3를 통해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어 온되는 트랜지스터(Q1)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도통되는 저항(R2)와 콘덴서(C1)로 구성되어 CrO2테이프 재생시의 특성을 갖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KR2019880004615U 1988-03-31 1988-03-31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KR930008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615U KR930008335Y1 (ko) 1988-03-31 1988-03-31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615U KR930008335Y1 (ko) 1988-03-31 1988-03-31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913U KR890019913U (ko) 1989-10-05
KR930008335Y1 true KR930008335Y1 (ko) 1993-12-20

Family

ID=1927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615U KR930008335Y1 (ko) 1988-03-31 1988-03-31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913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335Y1 (ko)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특성 자동 선택회로
US4636878A (en) Combined detector circuit for detecting a tape end or unrecorded area of a tape
US3937886A (en)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for combined audio system
JPH0341283Y2 (ko)
JPH0614268Y2 (ja) 特性可変増幅回路
KR90001075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기능선택 절환제어회로
US4941058A (en) Data signal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of a VCR
KR930006422Y1 (ko) 카세트 녹음기의 녹음/재생 절환회로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KR920006746Y1 (ko) 영상재생기의 고음질 자동추적회로
KR950010535Y1 (ko) Vcr및 오디오 카세트에서의 더빙회로
KR870000434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재생절환회로
JPH0459694B2 (ko)
KR920007940Y1 (ko) 더블데크 카세트의 재생시초기 팝노이즈뮤팅회로
KR910002435Y1 (ko) 음향기기의 동시녹음회로
JPH045044Y2 (ko)
KR870001635Y1 (ko) 음향기기의 더빙기능 제어회로
JPS6220888Y2 (ko)
KR880002570Y1 (ko) 오디오 카세트 데크의 카세트 테이프 자동선별회로
KR880004218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기능선택 자동전환 회로
JPS61242348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
JP2517853Y2 (ja) デイスクプレ−ヤのトラツク探索装置
KR200152170Y1 (ko) 더블 헤드 오디오 카세트 리코더
KR920001208Y1 (ko) 음향기기의 자동 더빙 회로
KR900010944Y1 (ko) 테이프 녹음 재생기용 테이프 특성 보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