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451Y1 -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451Y1
KR900010451Y1 KR2019860021528U KR860021528U KR900010451Y1 KR 900010451 Y1 KR900010451 Y1 KR 900010451Y1 KR 2019860021528 U KR2019860021528 U KR 2019860021528U KR 860021528 U KR860021528 U KR 860021528U KR 900010451 Y1 KR900010451 Y1 KR 900010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deck
switch
turned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215U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1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451Y1/ko
Publication of KR880013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뮤팅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M1, M2)구동회로 2 : 제어단
3 : 뮤팅부 4,5 : 미분회로
본 고안은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더블 데크 작동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구동 스위칭에 연동되는 시정수 회로와 스위치 회로를 설치하여 데크의 작동 상태 전환시 발생되는 팝노이즈(POP-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에는 재생 데크 및 녹음 데크중 어느한쪽이 먼저 재생 상태이면 나머지 데크를 작동상태로 하는 순간에 크게 발생되는 팝노이즈가 그대로 스피커를 통하여 청취자에 전달될 뿐 아니라, 녹음 데크만을 녹음 상태로 하는 더빙(Dubbing)상태 또는 녹음 데크를 녹음 상태일 때 재생 데크를 재생 상태로하는 더빙 상태의 시작시점에서 큰 팝노이즈가 발생하여 청취자에게 불쾌감을 주게되며, 좀더 심한 경우에는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에 내장된 스피커에 팝노이즈의 과출력이 인가되어 스피커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모터구동 스위치에 연동되는 시정수 회로와 스위칭회로를 설치하여 재생 데크 또는 녹음 데크가 작동중에 녹음 데크 또는 재생 데크를 작동시킬때에 순간적으로 뮤팅을 걸어 이후에 작동되는 데크에서 발생되는 팝노이즈가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녹음 데크를 녹음시킬 때 녹음 헤드가 작동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중에 발생되는 큰 팝노이즈를 방지할수 있고, 더욱이 녹음 데크가 작동중에 재생 데크를 재생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재생 데크가 작동중에 녹음데크를 녹음 상태로 전환하는 더빙 상태의 시작시에도 뮤팅을 걸어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출력 증폭기에 팝노이즈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로서 팝노이즈가 재생되지 않도록 한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 움직이치의 구성은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2개의 데크(A,B)용 모터(M1, M2) 트랜지스터(Q7-Q10)로 구성된 모터(M1, M2) 구성회로(1)와, 데크(A, B)의 빨리보내기(F.F), 되감기(REW) 재생(PLAY) 및 녹음(REC) 버튼에 연동되는 모터(M1, M2)의 구동스위치(S3, S4) 및 데크(A, B)의 녹음/재생 버튼에 연동되는 스위치(S2, S5)가 트랜지스터(Q1)의 제어 트랜지스터(Q,2,Q3)중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된 제어단(2)과, 제어단(2)의 출력단은 출력증폭기(A1)의 출력단에 콜렉터측이 접속된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6) 및 저항(R9, R10)으로된 뮤팅부(3)에 연결된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용 뮤팅장치에 있어서, 구동 스위치(S3, S4)는 각각 미분회로(4,5)를 통하여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4, Q5)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4, Q5)의 콜렉터는 제어단(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지 콘덴서(C1)를 통하여 연결하되, 미분회로(4,5)와 트랜지스터(Q4, Q5)의 베이스 접속점을 역방향 다이오드(D1, D2)로 각각 접지하며, 데크(B)의 녹음/재생 버튼에 연동하되 녹음/재생 전환시에만 접점(a, b, c)이 동시 접속되었다가 접점이 떨어지는 스위치(S1)를 제어단(2)의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콜렉터에 병렬 접속하여된 것으로서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B+: 전원 R1-R8, R11-R16, : 저항 C2, C3: 콘덴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B+)이 공급된 상태에서 재생데크(A)와 녹음데크(B) (도시생략됨)가 모두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위치(S1)는 접점(b, c)이 상호 연결되고 스위치(S2-S3)는 모두 오프 상태이므로 모터(M1,M2)는 구동되지 않는 동시에 제어단(2)의 트랜지스터(Q3)도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따라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전원(B+)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온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온 되어서, 전원(B+)을 뮤팅부(3)의 트랜지스터(Q6)의베이스에 저항(R10)을 통하여 인가하므로 트랜지스터(Q6)가 온되어서 출력 증폭기(A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미터를 통하여 접지되므로 스피커(SP)로 인가되는 출력을 뮤트 시키게 된다.
이어서 데크(A,B)아직 어느 하나의 데크 또는 데크(A,B)에서 동시에 빨리 보내기 또는 되감기 동작을 시킬때에는 스위치(S2, S4)중 하나 또는 스위치(S3, S4)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 전위가 인가되지 않게되어 위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Q1) 온, 트랜지스터(Q1) 온, 따라서 트랜지스터(Q6)가 온되므로 계속 뮤트 동작 상태이므로 출력증폭기(A1)의 출력은 스피커(SP)에 전달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는 재생데크(A)와 녹음데크(B)의 양쪽 어느 한쪽의 빨리 보내기 또는 되감기 기능 스위치를 누른 상태이므로 스위치(S3,S4)중 어느 하나 또는 스위치(S3,S4)가 모두 동작되어 전원(B+)을 미분회로(4,5)에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4,Q5)를 미분회로(4,5)의 시정수 기간동안 온시키게 되나 이미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를 접지시키고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1)의 온 동작 상태를 유지하므로 따라서 출력 증폭기(A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Q6)에 의하여 뮤팅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양쪽 데크를 모두 정지시킨 뒤에 재생 데크(A)만을 재생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S2), (S3)가 온되고 스위치(S3)에 의해 트랜지스터(Q8)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7)가 온되므로 모터(M1)가 구동된다.
상기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재생 헤드가 재생 위치까지 정지위치로 부터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헤드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잡음은 다음과 같이 뮤트 된다.
스위치(S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키게 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게 되지만 스위치(S3)가 온되는 순간 콘덴서(C2), 저항(R6)과 트랜지스터(Q4)의 입력 임피던스(hie)를 이용하여 스위치(S3)가 온되는 순간을 전압 미분하여 검출하므로 트랜지스터(Q4)가 온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4)가 온되는 시간은 콘덴서(C2), 저항(R6)에 의한 시정수로 결정된다.
즉,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트랜지스터(Q3)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지만 트랜지스터(Q4)가 순간적으로 온된후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콘덴서(C1)의 적분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입계 전압이 이상까지 되느 시간을 t라고 가정하면,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된후 t시간 후에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6)도 오프되므로 뮤팅 동작은 해제된다.
여기서 콘덴서(C)의 적분 시정수는 [트랜지스터(Q1)의 입력 임피던스// 저항(R1)+저항(R2)]·콘덴서(C1) 값으로 결정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므로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르고 난후 헤드가 재생위치로 상승한 뒤 뮤팅을 해제시키므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에 재생 데크(A)를 정지시키고 녹음데크(B)측의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재생 데크(A)의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른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잡음을 제거시킨다.
즉 스위치(S4), (S5)가 온되고 스위치(S4)에 의해 트랜지스터(Q10)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9)가 온되어 모터(M2)가 구동된다.
이와같이 모터(M2)가 구동하므로 녹음/재생 헤드가 정지 위치로 부터 재생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헤드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잡음을 재생 데크(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뮤트된다.
즉, 스위치(S5)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키게 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게 되지만 스위치(S4)가 온되는 순간 콘덴서(C3), 저항(R7)과 트랜지스터(Q5)의 입력 임피던스(hie)를 이용하여 스위치(S4)가 온되는 순간을 전압 미분하여 검출하므로 트랜지스터(Q4)가 온된다.
즉,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트랜지스터(Q3)은 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지만, 트랜지스터(Q5)가 순간적으로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는 시간보다 상기한 t시간 이후에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6)도 오프되므로 뮤팅 동작은 해제 된다.
이 상태에서 녹음 데크(B)의 정지 기능을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S4), (S5)가 오프되므로 콘덴서(C3)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저항(R8)을 통해 신속히 방전되어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이때 재생 데크(A)의 경우도 재생 동작중 정지 기능 스위치를 누르면 콘덴서(C2), 저항(R5) 및 다이오드(D1)에 의한 미분 전류에 의해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급속히 방전하여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이후에, 녹음데크(B)를 녹음시키기 위해 녹음 기능 스위치를 누르면 재생 기능 스위치를 누른 겨우와 동일하게 스위치(S4), (S5)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1)를 트랜지스터(Q5)가 온되는 시간에 상기 t시간을 더한 후에 오프시키게 되지만 녹음데크(B)의 녹음 기능 스위치를 누른 상태이므로 스위치(S1)의 접점(a, c)이 순간적으로 접촉되어 전원(B+)이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가해져 트랜지스터(Q6)가 온되므로 뮤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에, 녹음 상태로 전환하면 스위치(S1)는 접점(a, b)간이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므로 뮤팅동작을 해제하여 출력신호가 스피커(SP)를 통해 송출되므로 녹음, 재생 전환시에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시킨다.
상기와 같이 녹음을 계속하다가 정지 기능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S4), (S5)가 순간적으로 오프되고, 스위치(S1)이 접점(a, c) 상호간이 순차적으로 접촉된후 접점(b, c)간이 연결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Q6)가 온되어 뮤팅 동작을 수행하므로 녹음, 재생 전환시에 팝 노이즈가 게거되며, 이때 콘덴서(C3)도 순간 방전되어 버린다.
다음에는 재생 데크(A) 또는 녹음 데크(B)가 재생 동작중일 때 나머지 녹음 데크(B) 또는 재생 데크(B)를 재생 동작 시킬때에 대한 뮤팅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스위치(S2), (S3)와 스위치(S4), (S5)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본 고안 장치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재생 동작 중이 아닌 데크를 재생시키게 되면 스위치(S2) 또는 스위치(S5)에 의해 이미 트랜지스터(Q3)가 온 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재생 데크(A)가 재생 중에 녹음데크(B)를 재생 시키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S4)와 (S5)가 온되므로 스위치(S4)에 의해 트랜지스터(Q5)가 순간적으로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Q5)가 온되는 시간+t시간 동안 온되어 트랜지스터(Q6)를 온시켜 뮤팅 동작을 수행하고, 만일 녹음 데크(B)가 재생중에 재생데크(A)를 재생시키고자 할때에도 스위치(S1), (S2)가 온되므로 스위치(S3)에 의해 트랜지스터(Q4)가 순간적으로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Q4)가 온되는 시간+t시간동안 온되어 트랜지스터(Q6)를 온시켜 뮤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헤드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시키다.
다음에, 재생데크(A)를 재생시키는 도중에 녹음데크(B)를 녹음 상태로 하는 동작(Dubbing 동작)중 뮤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재생데크(A)가 재생중에 있으므로 스위치(S2)와 (S3)가 이미 온 상태이므로 스위치(S5)에 의해 트랜지스터(Q2)와, (Q3)의 동작은 변화가 없고, 다만 트랜지스터(Q4)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지만 스위치(S4)가 온되는 순간 트랜지스터(Q5)는 순간적으로 트랜지스터(Q1)를 트랜지스터(Q5)의 온시간+t시간동안 온 시키는 동시에 스위치(S1)의 접점(a, c)이 순간 접촉되어 뮤트 동작이 행해지므로 스피커(SP)를 통해서는 팝 노이즈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후에 녹음 데크(B)를 정지시킬때에는 스위치(S4), (S5)가 모두 오프되지만 트랜지스터(Q)는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스위치(S1)의 접점(a, c)이 순간 접촉되므로 트랜지스터(Q6)를 온시켜 뮤트 동작이 행해지므로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동작 전환시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간단한 회로구성에 의하여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재생데크(A)와 녹음데크(B)의 빨리 보내기, 되감기, 재생, 녹음 기능 스위치와 각각 연동되는 스위치(S3, S4)와, 녹음/재생 기능 스위치에 연동되는 스위치(S2, S5)와, 상기 스위치(S2, S5)의 온, 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Q3, Q2, Q1)으로 이루어진 제어단(2)과, 상기 스위치(S3,S4)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스위칭수단(Q8,Q7),(Q10,Q9)과, 상기 스위칭 수단(Q8,Q7), (Q10,Q9)에 의해 각각 구동 제어되는 재생측 및 녹음측 데크 구동모터(M1,M2)로 이루어진 모터 구동회로(1)와, 스위칭수단(Q1)에 의해 출력 증폭기(A1)의 출력을 뮤트 또는 뮤트 해제하는 뮤팅부(3)와를 구비하여서된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3,S4)와 스위칭 수단(Q2,Q1)사이에 스위치(S3,S4)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칭 수단(Q)을 온, 오프 제어하는 미분 파형 생성수단(4,5) 및 스위칭 수단(Q4,Q5)과 충방전수단(C1)를 개재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Q1)에는 녹음 기능 스위치를 누를 때 순간 접촉이 이루어지는 스위치(S1)를 병렬로 개재하여 뮤트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더블 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KR2019860021528U 1986-12-29 1986-12-29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KR900010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28U KR900010451Y1 (ko) 1986-12-29 1986-12-29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28U KR900010451Y1 (ko) 1986-12-29 1986-12-29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215U KR880013215U (ko) 1988-08-29
KR900010451Y1 true KR900010451Y1 (ko) 1990-11-17

Family

ID=1925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528U KR900010451Y1 (ko) 1986-12-29 1986-12-29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4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215U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451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KR900010452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트 장치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JPS60169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80004218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기능선택 자동전환 회로
KR880000037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오더에서의 뮤팅회로
JPH0341357Y2 (ko)
JPS642246Y2 (ko)
JPS5830249Y2 (ja) ミュ−ティング回路
KR910004668Y1 (ko)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KR90000263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잡음제거 장치
KR890004239Y1 (ko) 다기능 뮤팅회로
JPH0333951Y2 (ko)
KR90001075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기능선택 절환제어회로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KR900001496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더빙회로
JPH054103Y2 (ko)
JPS604268Y2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S6023404B2 (ja) テ−プレコ−ダ−の切換回路
JPS6235Y2 (ko)
JPH0459694B2 (ko)
JP2517856Y2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ハウリング防止回路
KR880000654Y1 (ko) 동기녹음 제어회로
KR910004225Y1 (ko) 디스크의 곡과 곡사이의 뮤팅회로
JPH075523Y2 (ja) テ−プレコ−ダ−のミユ−テイ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