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668Y1 -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668Y1
KR910004668Y1 KR2019870023961U KR870023961U KR910004668Y1 KR 910004668 Y1 KR910004668 Y1 KR 910004668Y1 KR 2019870023961 U KR2019870023961 U KR 2019870023961U KR 870023961 U KR870023961 U KR 870023961U KR 910004668 Y1 KR910004668 Y1 KR 910004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int
switch
amplifier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83U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3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668Y1/ko
Publication of KR890014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6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magnetisable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본 고안은 더블 카세트 녹음기에 있어서 마이크 더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 증폭기의 출력 유무에 따라서 재생측 모터를 접지 또는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비교기를 설치하고 동시에 간단한 논리소자로서 재생측 신호가 마이크 증폭기의 출력 유무에 따라서 녹음측 헤드에 인가되는가 아닌가를 제어할 수 있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설치하여된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더블 카세트 녹음기는 A측을 재생하여 B측에 녹음하는 도중에 B측 재생을 중단하고 마이크 음향을 B측 녹음내용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A측(재생측)의 실시정지 버튼이나 정지 버튼을 누른 후 마이크의 스위치를 온하여 B측에 마이크 내용을 녹음하고 다시 마이크 녹음이 끝나면 A측의 일시정지를 해제하거나 재생버튼을 다시 눌러 A측 재생내용을 B측의 녹음내용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이러한 작업과정은 너무 복잡하여 정확한 위치에 마이크 내용을 녹음하기가 어렵고 녹음내용이 연속이 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을뿐 아니라 조작이 복잡하여 실수할 염려가 많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 증폭기의 출력 유무에 따라서 재생측 모터를 접지 또는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비교기를 설치하며 동시에 간단한 논리 소자로서 재생측 신호가 마이크 증폭기의 출력 유무에 따라서 녹음측 헤드에 인가 유무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 스위치를 설치하여 마이크 더빙시 간단히 마이크의 작동 스위치의 온, 오프에 의해서 재생측의 신호를 녹음측에 전달 유무와 재생모터가동 유무를 제어할 수 있어 녹음 내용의 중단없이 연속 더빙 녹음이 가능한 더블 카세트 녹음기의 마이크 더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는 재생헤드(H1)의 전달증폭기(A6)의 출력은 아날로그 스위치(G1)을 통하여 녹음증폭기(A7)를 거쳐서 녹음헤드(H2)에 연결하되 마이크(mic)의 증폭기(A1)의 출력은 버퍼(A5)을 통하여 녹음증폭기(A7)의 입력에 연결된 재생녹음부(가)와, 증폭기(A1)의 출력이 버퍼(A2), 증폭기(A3) 및 정류기(3)를 통하여 비교기(A4)의 입력(+)에 연결되고 비교기(A4)의 입력(-)에는 기준전위(Vref)가 연결된 녹음제어부(나)와, 재생측 모터(m), 트랜지스터(TR1), 정지 이외의 작동시 온 되는 스위치(SW1)로 구성된 모터제어부(다), 기능 제어 스위치(SW2)와 비교기(A4)의 출력이 연결된 베이스를 갖는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는 모터제어부(다)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비교기(A4)의 출력은 NAND게이트(2)의 일측입력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2)를 통하여 AND 게이트(1)의 출력에 연결하되 더빙시 하이가 되는 단자(X)는 AND 게이트(1)와 NAND 게이트(2)의 타측 입력에 연결하고, NAND 게이트(2)의 출력은 다이오드(D3)를 역으로 통하여 아날로그 스위치(G1)의 제어단자에 연결하여된 제어부(라)를 포함하여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장치의 작용 효과는, 우선 각 부분의 동작 상태로 보면 온, 오프 스위치(SW3)가 부착된 공지의 마이크는 마이크 잭과 플러그를 거쳐 저항(R1, R2)를 통해 증폭기(A1)에 연결된다. 따라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을 잡음으로 취급할 경우 점(A)의 잡음 레벨을 스위치(SW3)를 온했을때 마이크(mic) 주변의 일반 소음이나 공기의 흐름 또는 입력음이 증폭기(A1)에 가해져 증폭되어 점(A)에 나타나므로 스위치(SW3)를 오프시(증폭기(A1)의 입력단자가 저항(R2)를 통해 접지됨)의 점(A)에 나타나는 잡음 레벨보다 높게 된다.
또 점(A)은 공지의 버퍼(A2), 증폭기(A3), 다이오드(D1)을 통해 점(B)에 연결되고 콘덴서(C1)와 저항(R3)이 점(B)에서 접지로 연결되어 있어 점(B)에는 점(A)의 잡음레벨에 따른 직류전압이 점(B)에 나타나게 된다.
이후 스위치(SW3)가 온시 점(B)의 직류 전압을 V1, 스위치(SW3)가 오프시 점(B)의 전압을 V2라 하면 전술한 바에 의해 V1>V2가 된다. 또 비교기(A4)의 입력단자(-) 점(C)의 전압은 +직류 전압으로 부터 저항(R4)을 거쳐 연결되며 가변저항(VR1)에 의해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변저항(VR1)을 가변하여 점(C)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어 이후 점(C)의 전압을 V3라 하면 전압(V3)를 가변저항(VR1)으로 조정하여 V1>V3>V2가 되게 하면 스위치(SW3)가 온 상태에서는 비교기(A4)의 입력단자(+)의 전압 V1>V3가 되어 비교기(A4)의 출력점(D)은 하이 상태가 되고 스위치(SW3)가 오프 상태에서는 비교기(A4)의 입력단자(+)의 전압은 V2<V3가 되어 비교기(A4)의 출력 전압 점(D)은 로우 상태가 된다.
(점(E)은 일반적으로 더블카세트 녹음기의 더빙 기능시만 하이레벨이 가해지는 라인으로부터 연결되고 있다.)
본 고안의 기능 선택 스위치(SW2)를 오프한 경우에는 점(G)이 접지되어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TR1)의 온/오프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모터(m)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또 점(G)이 로우이므로 점(H)이 하이가 되고 다이오드(D3)가 점(F)과 점(H)에 연결되어 점(F)은 점(E)의 상태(하이-로우)가 저항(R8)을 통해 전달된다.
그러나 스위치(SW2)가 온 이면 점(G)은 스위치(SW2)에 의해 접지와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 점(G)의 상태 하이/로우는 다이오드(D2)와 AND게이트(1)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동작을 설명하면 AND 게이트(1)의 두 입력중 한 입력은 항상 +직류 전압에 연결되어 있어 하이로 유지되고 또 다른 입력은 점(E)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 입력이 하이인 상태 즉 더빙 시에만 AND 게이트(1)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더빙 상태가 아닐 경우는 AND게이트(1)의 출력이 로우가 되며 다이오드(D2)가 점(G)과 AND게이트(1)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점(G)은 더빙시에는 다이오드(D3)가 역 바이어스가 되어 AND 게이트(1)에 의해 제어되지 않으며 더빙이 아닐때는 점(G)이 AND게이트(1)의 출력으로 다이오드(D1)에 의해 연결되므로 AND게이트(1)의 출력상태 로우가 점(G)에 전달되어 점(G)은 로우상태가 되고 전술한 스위치(SW2)를 오프한 상태와 같은 상황이 된다. 따라서 더빙시 스위치(SW2)를 온하면 점(D)의 상태가 NAND 게이트(2)의 한 입력에 전달되고 NAND 게이트(2)의 다른 입력단자는 하이 상태이므로 NAND게이트(2) 출력 점(H)은 점(D)가 하이(전술한 바에 따라 스위치(SW3)가 온 일때)가 되면 NAND 게이트(2)의 출력 점(H)은 로우가 되어 점(E)의 상태(더빙 상태로 전체 했으므로 하이 상태)가 저항(R8)을 거쳐 다이오드(D3)에 의해 점(H)로 연결되므로 점(F)은 로우상태가 된다. 또 이때 점(E)이 하이이므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저항(R6)를 거쳐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전달되어 트랜지스터(TR2)은 온 된다.
반면 스위치(SW3)를 오프하면 점(D)의 상태가 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TR2)는 오프가 되며, NAND게이트(2)의 출력 점(H)은 하이상태가 되며 따라서 점(F)도 하이 상태가 된다.
재생측 모터 스위치(SW1)이 온되면 +직류 전압이 저항(R7)을 거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가해져 트랜지스터(TR1)는 온되며 재생(m)의 -단자가 접지되어 모터(m)가 구동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2)가 온이면 저항(R7)을 통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가 접지되어 모터는 구동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TR2)가 오프 상태이면 저항(R7)을 거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하기가 가해져 모터는 구동된다.
아날로그 스위치(G1)는 점(F)의 상태에 따라 재생측으로 부터 녹음증폭기(A7)로 신호를 전달,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일단 더빙데크의 조작 순서에 따라 기능 수행을 보면 우선 녹음데크의 녹음키를 누르고 재생데크의 재생키를 눌러 더빙을 시작한다. 이때 스위치(SW3)와 스위치(SW2)가 오프되어 있다고 하면 점(G)이 접지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에 의해 재생측 모터(m)가 구동되고 아날로그 스위치(G1)는 전달 상태를 거쳐 아날로그스위치(G1)를 통해 녹음증폭기(A2)에 전달되며 녹음헤드(H2)에 가해져 더빙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마이크(mic)음을 더빙상태 중간에 삽입하고자 할 경우) 스위치(SW2)를 온하고 더빙상태를 청취하다가 삽입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스위치(SW3)를 온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점(F)에 로우신호가 가해져 아날로그 스위치(G1)가 차단되고 재생모터(m)가 정지하게 되므로 더빙이 정지되고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이 증폭기(A1, A7) 및 버퍼(A5)를 통해 녹음헤드(H2)에 가해지므로 마이크(mic)음을 녹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삽입이 끝났을 경우 스위치(SW2)를 온한 상태에서 스위치(SW2)를 오프하면 다시 더빙 상태로 전환되어 모터(m)가 구동되고 재생헤드(H1)로 부터 재생된 음이 녹음 헤드(H2)에 전해져 더빙이 진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더빙시 마이크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마이크 음을 녹음 삽입할 수 있어 그 조작이 간편할뿐 아니라 녹음상태가 연속 녹음상태가 연속 녹음이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재생헤드(H1)의 전단 증폭기(A6)의 출력은 아날로그스위치(G1)을 통하여 녹음증폭기(A7)를 거쳐서 녹음헤드(H2)에 연결하되 마이크(mic)의 증폭기(A1)의 출력버퍼(A5)를 통하여 녹음증폭기(A7)의 입력에 연결된 재생 녹음기(가)와 증폭기(A1)의 출력이 버퍼(A2), 증폭기(A3) 및 정류기(3)를 통하여 비교기(A4)의 입력(+)에 연결되고 비교기(A4)의 입력(-)에는 기준전위(Vref)가 연결된 녹음제어부(나)와, 재생측 모터(m), 트랜지스터(TR1), 정지 이외의 작동시 온되는 스위치(SW1)로 구성된 모터 제어부(다), 기능 제어스위치(SW2)와 비교기(A4)의 출력이 연결된 베이스를 갖는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는 모터제어(다)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비교기(A4)의 출력은 NAND게이트(2)의 일측입력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2)를 통하여 AND 게이트(1)의 출력에 연결하되 더빙시 하이가 되는 단자(X)는 AND 게이트(1)와 NAND 게이트(2)의 타측 입력에 연결하고, NAND 게이트(2)의 출력은 다이오드(D2)를 역으로 통하여 아날로그스위치(G1)의 제어단자에 연결하여된 제어부(라)를 포함하여된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 장치.
KR2019870023961U 1987-12-30 1987-12-30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KR910004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961U KR910004668Y1 (ko) 1987-12-30 1987-12-30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961U KR910004668Y1 (ko) 1987-12-30 1987-12-30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83U KR890014383U (ko) 1989-08-10
KR910004668Y1 true KR910004668Y1 (ko) 1991-07-01

Family

ID=1927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961U KR910004668Y1 (ko) 1987-12-30 1987-12-30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6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45B1 (ko) * 2002-08-21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45B1 (ko) * 2002-08-21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83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326A (en) Cassette adapter for signal playback apparatus
EP0350269B1 (e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897741A (en) Signal recording apparatus
KR910004668Y1 (ko)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KR940004985B1 (ko) 브이씨알의 녹음 모니터 및 서라운드 음향회로
KR950013446B1 (ko) 캠코더의 오디오 기록/재생장치
JPS5810202Y2 (ja) 記録再生装置
KR900010451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뮤팅 장치
JPS6057152B2 (ja) 磁気テ−プ再生装置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880000037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오더에서의 뮤팅회로
KR930004043Y1 (ko) 음성 편집기능을 가진 vtr
KR910001306Y1 (ko) 예약 녹화 기능을 이용한 자동 경보회로
KR930008693Y1 (ko) 녹음재생기의 잡음저감회로
JPS5814410Y2 (ja) テ−プレコ−ダ−の消去装置
KR910005587Y1 (ko) 스테레오 vtr의 입력신호 자동 선택회로
JPS6025704Y2 (ja) 磁気録音再生装置のダビング回路
JP2712209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23179B1 (ko) 8mm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의 오디오더빙장치
KR910002718Y1 (ko) 마이크 녹음 제어 장치
JPH0320934Y2 (ko)
KR910008982Y1 (ko) 이중기록 자동 절환회로
KR940006720Y1 (ko) 외부 음성 자동 편집 장치
JPS6230231Y2 (ko)
KR900010449Y1 (ko) 테이프 무녹화부분 멜로디 송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