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06B1 -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06B1
KR940001806B1 KR1019910014045A KR910014045A KR940001806B1 KR 940001806 B1 KR940001806 B1 KR 940001806B1 KR 1019910014045 A KR1019910014045 A KR 1019910014045A KR 910014045 A KR910014045 A KR 910014045A KR 940001806 B1 KR940001806 B1 KR 94000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trol means
timing belt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144A (ko
Inventor
이수필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06B1/ko
Publication of KR93000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종래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밍벨트 3 : 슬리이브
5, 13 : 스토퍼 6, 12 : 실린더
7, 14 : 센서 8 : 고정판
9 : 고무접속판 10 : 홀더플레이트
본 발명은 IC가 채워진 슬라이브를 IC 마킹기(Marking Machine)의 공급부로 한꺼번에 2개씩 분리하여 자동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IC 마킹기의 슬라이브 분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슬리이브를 마킹기의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리이브(3)가 이송되어 오는 타이밍벨트(21)에서 슬리이브(3)를 한꺼번에 2개씩 분리하기 위한 한쌍의 스윙암(23)이 실린더(24)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스윙암(23)의 사이에는 스윙암(23)에 의해 분리된 슬리이브(3)를 스윙부(도시는 생략함)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결편(25)이 실린더(26)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스윙암(23)의 일측끝단에는 슬라이브(3)의 요입홈(3a)에 끼워지는 2개의 후크(2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IC가 채워진 슬라이브(3)가 타이밍벨트(21)에 얹혀서 이송되어 스윙암(23)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23a)에 도달하면 별도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타이밍벨트(21)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윙암(23)을 회동시키기 위한 실린더(24)가 작동하면 스윙암(23)이 일측으로 회동하여 상승되므로 후크(23a)가 슬라이브(3)의 요입홈(3a)에 끼워지면서 타이밍벨트(21)상에 얹혀진 2개의 슬리이브(3)를 분리시키게 됨과 동시에 실린더(24)의 작동이 중단된다.
그후 또다른 실린더(26)가 작동하여 연결편(25)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편(25)에 고정된 스윙암(23)이 2개의 슬리이브(3)를 파지한 상태로 스윙부로 이송된 후 스윙암(23)을 회동시키기 위한 실린더(24)가 작동하여 스윙암(23)을 하강시켜 슬라이브(3)를 레일(27)상에 얹어놓음과 동시에 실린더(26)가 연결편(25)을 잡아 당기므로서 1싸이클(Cycle)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스위이암(23)에 형성된 후크(23a)가 슬리이브(3)의 요입홈(3a)에 끼워져 슬리이브(3)를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제로 된 슬리이브(3)의 변형으로 인해 후크(23a)가 요입홈(3a)에 끼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인해 쨈(Jam)이 자주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된 슬라이브가 변형되었을 경우에도 슬라이브를 한꺼번에 2개씩 정확히 스윙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타이밍벨트에 이송되어온 슬리이브를 스윙부로 분리 공급시키도록 된것에 있어서, 슬라이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제1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슬라이브를 일정갯수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홀딩수단과,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홀딩된 나머지 슬리이브를 스윙부까지 이송시켜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제어수단으로 구비된 IC 마킹기의 슬라이브 분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에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슬리이브(3)를 이송시키기 위한 타이밍벨트(1)가 축(2)에 고정된 풀리(4)에 감겨져 있고 타이밍벨트(1)에는 슬리이브(3)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수단과 제2제어수단 그리고 홀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슬리이브(3)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제어수단은 타이밍벨트(1)의 바깥측으로 한쌍의 스토퍼(5)가 실린더(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슬리이브(3)의 이송을 감지하여 실린더(6)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슬리이브(3)를 일정 갯수씩 이송시키기 위한 홀딩수단으로는 타이밍벨트(1)의 진입부족 상부에 고정판(8)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고무접속판(9)이 고정된 홀더 플레이트(10)가 실린더(1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홀더플레이트(10)의 상부에 고무접속판(9)을 고정하는 것은 홀더플레이트(10)가 상승하여 고정판(8)사이에 슬리이브(3)를 홀딩할 때 슬리이브(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제1제어수단의 일측에는 홀딩수단에 의해 홀딩된 나머지 슬리이브, 즉 제1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었던 슬라이브(3)를 스윙부까지 이송시켜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수단이 설치되는데, 제2제어수단 역시 제1제어수단과 마찬가지로 타이밍벨트(1)의 외측으로 실린더(12)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와 슬리이브(3)를 감지하는 센서(14)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슬리이브내에 채워진 IC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별도의 이송수단에 의해 IC가 채워진 슬리이브(3)가 타이밍벨트(1)에 얹혀져 이송되어와 제2a도와 같이 제1제어수단인 스토퍼(5)에 의해 제어되면 홀더플레이트(10)을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11)가 작동하여 이송시키고자 하는 슬리이브를 제외한 나머지 슬리이브를 고정판(8)측으로 상승시켜 파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제어수단에 설치된 센서(7)가 슬리이브(3)의 이송을 감지하여 스토퍼(5)를 승강시키는 실린더(6)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2개의 슬리이브(3)는 타이밍벨트(1)에 의해 이송되어 제2제어수단인 스토퍼(13)에 제어되고 모터(16)의 구동은 중단되어 제2도의 (b)와 같이 되는데, 이때 홀더플레이트(10)는 제1도와 같이 타이밍벨트(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후 센서(7)에 의해 스토퍼(5)를 승강시키는 실린터(6)가 작동하여 스토퍼(5)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또다른 실린더(11)가 하강하여 고정판(8) 사이에 고정된 슬리이브를 타이밍벨트(1)상에 얹혀지도록 한 다음 모터(16)가 구동하면 제1제어수단에 의해 먼저 이송되었던 슬리이브는 이송이 제어되는 반면, 홀더플레트(10)와 고정판(8) 사이에 고정되었던 슬리이브와 타이밍벨트(1)로 공급되어지는 새로운 슬리이브가 제1제어수단인 스토퍼(5)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같이 슬리이브(3)가 제1제어수단과 제2제어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제2제어수단에 있던 슬리이브가 다음공정, 즉 스윙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은 타이밍벨트(1)상에 슬리이브(3)가 없는 상태에서 초기2개의 슬리이브가 스윙부로 공급되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동작이 반복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타이밍벨트(1)의 슬리이브(3) 진입부측으로 홀딩수단과 제1, 제2제어수단을 차례로 설치하여 슬리이브가 변형되어 있을 경우에도 슬리이브를 순차적으로 2개씩 스윙부로 공급시킬수 있게 되므로 슬리이브의 변형으로 인해 쨈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IC 마킹기의 가동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송되어온 슬리이브(3)를 스윙부로 분리 공급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슬리이브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제1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슬리이브(3)를 일정갯수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홀딩수단과, 상기 홀딩수단에 의해 홀딩된 나머지 슬리이브(3)를 스윙부가지 이송시켜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제어수단으로 구비된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제어수단과 제2제어수단은 실린더(6), (12)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5), (13)로 하고 그 일측에는 한쌍의 센서(7), (14)를 설치하여 센서가 슬리이브(3)의 이송을 감지함에 따라 스토퍼(5), (13)가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홀딩수단은 타이밍벨트(1)의 진입부측 상부에 고정판(8)을 설치하고 그 하방에는 홀더플레이트(10)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홀더플레이트(10)의 상부에 고무접속판(9)을 고정하여서 된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KR1019910014045A 1991-08-14 1991-08-14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KR94000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045A KR940001806B1 (ko) 1991-08-14 1991-08-14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045A KR940001806B1 (ko) 1991-08-14 1991-08-14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144A KR930005144A (ko) 1993-03-23
KR940001806B1 true KR940001806B1 (ko) 1994-03-09

Family

ID=1931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045A KR940001806B1 (ko) 1991-08-14 1991-08-14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144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45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자동 송출장치
KR930009886A (ko) 물품 자동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
CN1439143A (zh) 卡片摞提升器和特殊输送
CN110391721B (zh) 一种直条定子铁芯绕线机的上下料方法
JP4601775B2 (ja) 蓋の供給装置
JPH0564124U (ja) ワーク搬送系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940001806B1 (ko) Ic 마킹기의 슬리이브 분리 이송장치
KR950014422B1 (ko) 부품배열 장치
KR100278039B1 (ko) 스틱 공급장치
KR100426003B1 (ko) 타이어 비드의 이송 공급장치
CN110884716A (zh) 一种血型卡装托机
JP3944754B2 (ja) キャッピング装置
JP7172643B2 (ja) 搬送装置
KR100403828B1 (ko) 엘이디용 전자부품 케이스 자동정렬장치 및 그 방법
JPH07184623A (ja) 葉たばこ自動供給装置
KR940007227Y1 (ko) 핸들러의 빈슬리이브 자동 공급 장치
KR0177004B1 (ko) 디바이스 로딩장치
JPS5817063A (ja) シ−ト分類装置
KR960005728B1 (ko) 타그부착장치
KR100188387B1 (ko) Vtr 드럼가공용 cnc선반의 미가공드럼 공급 및 가공드럼 반출시스템
JP2000269684A (ja) 部品供給装置
JPH0528022Y2 (ko)
KR0119254Y1 (ko) 몰딩완료된 리드프레임의 자동공급장치
JPS61195815A (ja) 射出成形機
KR100639107B1 (ko) 멀티미디어 카드 절단장치의 드릴 비트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