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09B1 -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109B1
KR940001109B1 KR1019900010895A KR900010895A KR940001109B1 KR 940001109 B1 KR940001109 B1 KR 940001109B1 KR 1019900010895 A KR1019900010895 A KR 1019900010895A KR 900010895 A KR900010895 A KR 900010895A KR 940001109 B1 KR940001109 B1 KR 94000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splay
image
signal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893A (ko
Inventor
아이꼬 에노모도
히로시 이노우에
순따로오 아라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09G2310/0227Details of interlacing related to multiple interlacing, i.e. involving more fields than just one odd field and one even fi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5Waveforms comprising zero voltage phase or pa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1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제어기의 블록.
제2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제어기간의 이미지 정보 통신과 타이밍 챠트.
제3도는 다수의 그래픽.
제4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그래픽 제어기의 블록도.
제6도는 디지탈 인터페이스의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타이밍 차트.
제8도는 FLCO 제어기용 인터페이스의 타이밍 챠트.
제9a도는 종래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9b도는 디스플레이 처리의 대응 흐름을 도시하는 도.
제9c도는 종래 시스템에서 부분 재기록 주사용 다수 요구의 경우에 디스플레이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
제9d도는 디스플레이 처리의 대응 흐름을 도시하는 도.
제10도는 본 발명에서 채택된 VRAM상에 라인주소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를 주사하는 사상을 도시하는 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멀티-윈도우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에 채택된 구동신호를 도시하는 도.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상기 구동신호의 타이밍 챠트.
제13d도는 픽셀(pixel)의 대응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에 채택된 강유전성 액정셀의 사시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시스템, 특히 메모리 능력을 갖춘 강유전성 액정을 채택한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컴퓨터 터미널용 디스플레이 분야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리프레시(재생)스캔형의 음극선관이 채택되며, 부분적으로서 CAD 활용을 위하여 벡터 스캔형의 음극선관이 대형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한번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이미지 프레임이 다시 새로워질 때까지 소거되지 않는 벡터 스캔형 음극선관은 마우스와 같은 지시장치의 이동 디스플레이, 아이콘, 문자 및 문장의 편집(삽입, 삭제, 이동, 복사)의 디스플레이등을 요하는 실시간 맨-머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리프레시-주사형 음극선관은 깜빡거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60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 리프레시 사이클을 요하며, 이미지 프레임에서 정보의 이동 디스플레이의 시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비월(non-interlated)주사 시스템을 채택한다(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텔레비젼은 이동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구동 제어시스템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30Hz의 프레임 주파수와 60Hz의 필드 주파수를 가지는 비월 주사시스템을 채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의 해상력은 더 높아질수록 필연적으로 더 큰 디스플레이장치, 더 큰 전원소모, 더 큰 구동제어장치 및 더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
실제 플렛 패널 디스플레이의 발전은 큰 용적과 음극선관의 높은 전원소모의 단점에 기한 것이다.
현재 플렛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여러형태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고 시분할 구동(STN), 흑백버젼(NTN)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갖춘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에서처럼 동일한 이미지 데이타 전송방법과 적어도 60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비-비월 주사방법을 채택한다. 그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원칙적으로 메모리 능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깜빡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60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리프레시 사이클이 필요하며 따라서 수평주사시간이 10 내지 50μ초 또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여 400 내지 480 수평주사선을 가지는 대평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더욱 짧게 되며, 그리고 충분히 높은 콘트래스트가 얻어질 수 없었다.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는 상기 언급된 종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더욱 큰 패널 크기와 더욱 높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으나 낮은 프레임 주파수때문에 전에 설명된 것처럼 맨-머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리 능력의 장점을 개발하는 부분 재기록 주사방법(재기록될 선에만 단지 주사하는)이 요구된다.
그와 같은 부분 재기록 방법은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4,655,561호에서 칸베 등에 의하여 벌써 이미 개시되어 있다.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부분 재기록 주사방법은 마우스 또는 커서의 이동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윈도우의 스크롤 디스플레이에 적합하지만 그와 같은 부분 재기록 주사는 동시에 두 영역에서 시행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개시 어드레스와 종료 어드레스에 의하여 지정되는 영역에서는 부분 재기록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또는 커서의 이동 디스플레이는 멀티-윈도우 스크롤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이루어질 수 없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지시장치용 디스플레이와 윈도우 스크롤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만약 지시장치가 윈도우 스크롤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구에 응하여 시작되는 부분 재기록 주사동작의 시작후에 이동된다면, 상기 지시장치를 위한 재기록 주사동작은 윈도우 주사동작이 마지막 주사선에 완결될 때까지 시작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지시장치의 이동은 윈도우의 크기(재기록 주사선의 수)에 따라 단지 불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뿐이며 그래서 이동 디스플레이는 분명하게 부자연스럽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맨-머신 인터페이스로서 적절하게 실시간 동작능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얻기 위하여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이 적합한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 등의 완만한 이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이미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 메모리 ; b) 그래픽 이벤트의 좌표를 기준으로 취하여, 발생된 이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의 기억의 개시를 상기 메모리내로 제어하기 위한 제1수단 ; c) 상기 메모리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일정간격으로 기억하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하는 제2수단 ; 및 d) 상기 제1 및 제2수단을 전환하기 위한 제3수단 ; 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에 의하여 먼저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은 a) 주사선과 정보선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전극 ; b) 상기 매트릭스 전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 c)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 ; 및 d) 이미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 메모리, 그래픽 이벤트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의 기억의 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수단, 및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의 기억을 일정간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수단을 구비하여,먼저 언급된 그래픽 이벤트와 상이한 그래픽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지정된 제1 또는 제2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구동제어수단에 전송하는 그래픽 제어수단 ; 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는 디스플레이 정보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주장치에 제공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101)와 그래픽 제어기(102)의 블록도이며, 제2도는 이미지 정보의 통신의 타이밍 챠트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03)은 매트릭스 배열로 1120개의 주사전극과 1280개의 정보 전극으로 구성되며, 방위처리를 받은 2개의 글라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강유전성 액정이 봉압되며, 상기 주사전극과 정보전극은 각각 주사선 구동회로(104)와 정보선 구동회로(105)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면과 관련하여 그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그래픽 제어기(102)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주사선 구동회로(104)와 정보선 구동회로(105)로 구성된 구동회로(104/105)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주사전극을 지정하는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와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지정되는 주사선상에 이미지 정보(PD0-PD3)를 보낸다.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는 그들이 동일 전송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상호 구별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H-레벨에서는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를 또는 L-레벨에서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AH/DL 신호가 채택된다.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구동제어회로(111)에서 전송된 이미지 정보(PD0-PD3)로부터 추출되며, 주사신호발생회로(107)에 의하여 지정된 주사전극을 활성화시키며, 반면에 디스플레이 정보는 정보선 구동회로(105)에서의 시프트 레지스터(108)로 인도되며, 전송클럭신호에 의하여 4픽셀의 단위로 시프트된다.
수평수사선의 시프트가 시프트 레지스터(108)에 의하여 완결될 때, 1280픽셀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병렬라인 메모리(109)로 전송되며, 그에따라 수평 주사주기동안에 기억되어 정보신호발생회로(110)로부터 각 정보전극에 디스플레이 정보신호로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구동은 그래픽 제어기(102)에서의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의 발생과 동기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정보의 전송시 상기 장치(101,102)를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동기화는 신호(SYNC)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모든 수평 주사주기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구동제어회로(111)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래픽 제어기(102)는 항상 SYNC 신호를 감시하며, 상기 SYNC 신호가 L-레벨에 있을 때 이미지 정보의 전송을 실행하지만, H-레벨의 경우에는 수평 주사선의 이미지 정보의 전송후에는 전송을 실행하지 않는다. 제2도와 관련하여, L-레벨로 SYNC 신호의 시프트를 검출할 때 그래픽 제어기(102)는 H-레벨로 AH/DL 신호를 시프트시키며 그것에 의하여 수평 주사선의 이미지 정보의 전송을 시작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구동제어회로(111)는 이미지 정보 전송주기동안 SYNC 신호를 H-레벨로 시프트시킨다. 수평 주사주기를 경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3)로 기입한 후에, 구동제어회로(FLCD제어기)(111)는 SYNC 신호를 다시 L-레벨로 시프트시키며, 그래서 다음 주사선의 이미지 정보의 수평을 준비한다.
제3도는 다중 윈도우를 가지는 멀티-태스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수 요구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프레임(3)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요구 31 : 마우스 폰트의 원활한 대각선 이동 : 디스플레이 요구 32 : 임의 윈도우가 활성 프레임으로서 선택되고, 이미 디스플레이된 윈도우를 가지는 중첩영역이 전 프레임에 걸쳐 디스플레이된다 : 디스플레이 요구 33 :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문자의 삽입 : 디스플레이 요구 34 : 이미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이동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 디스플레이 요구 35 : 중첩영역의 디스플레이의 변경 : 디스플레이 요구 36 : 비활성 원도우의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요구 37 : 비활성 윈도우의 스크롤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요구 38 : 전 영역에 대한 주사 디스플레이.
다음의 표 1은 상기 언급된 디스플레이 요구(31-38)에 대응하는 그래픽 이벤트의 디스플레이 우선순위를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에서 "부분 재기록"은 부분적으로 재기록된 영역에 단지 선을 주사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의미한다.
"멀티-필드 리프레시"는 일본 특허출원 소 62-287172호에 개시된 것처럼 N필드(N=2,4,8,…)을 가지는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멀티-인터페이스 주사방법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우선순위"는 소정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맨-머신 인터페이스 영역의 주사능력에 대한 강조로서, 최우선 순위가 그래픽 이벤트(31)(마우스의 이동 디스플레이)에 주어지며 그래픽 이벤트(33,34,37 및 38)에 내림차순으로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디스플레이 동작"은 그래픽 프로세서의 내부 디스플레이 동작을 나타낸다.
최우선순위가 마우스의 이동 디스플레이에 주어지며, 이는 지시장치가 컴퓨터에 실시간에 기초하여 조작자의 의도를 반영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중요성은 키보드로부터 문자입력에 주어진다. 그러나 그와 같은 입력들은 항상 버퍼에 기억되기 때문에 실시간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는 마우스의 경우에서보다 약하다. 키 입력에 응하여 윈도우의 이미지 프레임 갱신은 키 입력과 동시에 필요한 것은 아니며 키입력하에서의 행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다른 윈도우에서의 스크를 디스플레이와 중첩영역에서의 디스플레이간의 관계는 시스템 디자인에 따라 가변적이나 그와 같은 상황은 멀티-테스크 디스플레이에서 예상되는 것이며 그리고 그것은 스크롤 디스플레이가 활성 윈도우 밑에서 실행되는 것이 본 실시예에서 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4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제어프로그램은 설명된 통신 과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요구(31-38)를 받아 들여서, 제1도에 도시된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FLCD)(101)에 이미지 정보의 전송제어를 실행한다. 적어도 1요구가 벌써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재기록하기 위하여 발생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은 대응 재기록영역과 우선순위에 따라 재기록을 위하여 요구되는 이미지 정보 메모리 VRAM 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동일시하고 선택적으로 그와 함께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위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한다.
제4도에 도시된 통신과정은 윈도우 매니저(41)와 운영체제(OS)(42)를 채택하고 있다. 운영체제(OS)(42)는 예를들어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주식회사에 의해 "MS-DOS"(상표), "Xenix"(상표) 또는 "OS/2" 또는 미국의 AT&T, 주식회사에 의한 "Unix"(상표)로 구성되며, 윈도우 매니저(41)는 "Ms-Windows ver 1.03", wer 2.0 또는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주식회사에 의해 제공되는 "OS/2 Persentation Manager"(상표), 누구나 사용가능한 "X-Windows" 또는 미국의 디지탈 이큐먼트 주식회사에 의해 제공되는 "DEC-Windows"(상표)로 구성된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이벤트 에뮬레이터(43)는 예를들어 "MS-DOS & MS-Windows" 또는 "Unix & X-Window"의 세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채택되는 부분 재기록은 부분 재기록 영역에서의 단지 선들의 주사에 의해서 처리되며 강유전성 액정장치(101)의 메모리 능력때문에 고속 부분 재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고속 재기록이 전체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임의의 순간에 많은 장소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 예를들어 지시장치(예를들면 마우스)로부터의 정보가 30Hz 또는 그 이하의 속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데 이는 인간의 눈이 그 이상의 속도로서는 움직임을 추적할수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항상 최대고속표시를 요구하는 완만한 스크롤(선간의 스크롤)이 너무 빠르다면 인식이 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스크롤은 선에 의한 것보다는 문자나 또는 특정블록에 의하여 더욱 종종 실행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스크롤은 프로그래밍이나 문자편집을 위하여 종종 채택되며, 그것의 주요한 목적은 완만하게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아니라 한 행에서 다음 행으로 디스플레이의 이동이다. 결과적으로 10행/초의 속력으로 행간의 스크롤 동작이면 실제적으로 충분하다.
만약 마우스 폰트가 32×32도트로 구성되며 FLCD 상의 부분 재기록이 비-비월주사(non-interlaced scanning)에 의해 실행되면 ; 32라인×100μ초/라인=3.2m초=312Hz(1)의 반응속력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10행/초의 속력에서의 행과 행간의 스크롤이 비-비월주사로서 10Hz의 프레임 갱신 속력에 해당한다. 비록 깜박임이 10Hz에 나타난다고 할지라도,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서의 변화는 깜빡임보다 더욱 현저하기 때문에, 전체 이미지 프레임이 행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것은 실제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행간행의 스크롤에서의 비-비월 주사에 의하여 구동가능한 주사선의 수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1/10Hz)/100μ초=1000(라인)………………………………(2)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루는 데이타 포멧과 SYNC 신호에 기초한 통신동기수단을 채택하여 그래픽 제어기에서 부분 재기록 주사 알고리즘에 기초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미지 정보는 주장비의 그래픽 제어기에 의하여 발생되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신호전송수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3)에 전송된다. 그래픽 제어기(102)는 중앙처리장치(CPU)(112)와 이미지 정보 메모리(VRAM)(114)로 구성되며, 호스트(주) CPU(113)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간의 관리와 통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주로 상기 그래픽 제어기(102)에서 실현된다.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타 포맷때문에,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VRAM(114)상에배치된다. VRAM(114)은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로 각각 할당되는 2영역으로 나누어진다. VRAM(114) 상에서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픽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지 정보가 수평선상으로 배열되며 주사선 정보는 선의 상기 이미지 정보의 선단(왼쪽끝)에 놓이게 된다. GCPU(112)는 VRAM(114)의 왼편 끝으로부터 선의 단위씩 정보를 판독하며 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보냄으로써 주사선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루는 데이타 포맷을 실현한다.
제9a도는 종래의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채택된 알고리즘을 도시하며, 제9b도는 디스플레이의 대응 흐름을 도시한다. 제9a도에서, "지시창치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VRAM 에 기억 타이밍을 설정"은 모든 주사선에서 증가되는 단계로 카운트를 세팅하기 위한 "VCOUNT"와 디스플레이 간섭을 위한 세트값을 표시하는 "DPYINT"에 의하여 결정된다. "VCOUNT"는 리프레시 구동시 모든 필드에서 "0"으로 클러어된다. 간섭과정은 VCOUNT의 값이 DPYINT의 값에 같게 될 때 GCPU(112)에서 시작된다. DPYINT의 세트값은 필드의 수로 나누어지는 지시장치(예를들어 마우스)의 위치 좌표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9a도 및 제9b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지시장치 또는 팝업 메뉴)의 부분 재기록을 위하여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정보가 사전에 GVPU(112)에 등록되며, 부분 재기록 루틴은 부분 재기록이 호스트 CPU(113)으로부터의 정부에 응하여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시작된다. 이 상태에서 호스트 CPU(113)으로 부터 얻어지는 지시창치의 디스플레이 요구(위치 및 폰트)의 정보가 GCPU(112)에 기억되며, 지시장치의 위치 좌표가 디스플레이 요구의 발생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구동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VRAM(114)상에 지정된다.
그러면 지시장치의 이미지 정보는 VCOUNT의 카운트가 DPYINT의 카운트와 같게 될 때 VRAM(114)에 기억된다.
예를들어, 다른 디스플레이 요구가 전체 리프레시 주사에 의하여 처리되는 반면에 단지 지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부분 재기록 주사에 의하여 처리된다면, VRAM(114)상의 지시장치의 위치 좌표는 하단부 좌측 구석은 (Px2,Py2)이고, 상단부 우측 구석은(Px1, Py1)이다. 그래서 프레임이 m 필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DPYINT는 Py2/m이 되며 기준으로써 지시장치의 최종 라인을 취한다.
그래서 제9a도 및 제9b도에 도시된 것처럼, 지시장치의 이동은 전체 리프레시 주사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이미지 프레임에 완만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VCOUNT가 모든 필드에서 클리어되는 상기 설명된 시스템에서, 상기 VCOUNT는 0으로 클리어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 재기록을 위한 다른 디스플레이 요구(예를들면 윈도우에서의 스크롤)가 계속해서 발생한다면 DPYINT의 세트값 이상으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마우스의 이동이 이러한 상태에서 발생한다면, 이동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는 VRAM(14)에 기억될 수 없다. 디스플레이의 해당 흐름이 제9c도에 도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결점을 해결하며 부분 재기록 주사에 대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마우스 이동을 완만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신규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9d도는 상기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도시하며, 제9e도는 상기 알고리즘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흐름을 도시한다.
그래픽 제어기(102)에 채택된 제9d도에 도시한 알고리즘은 "지시장치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VRAM에 기억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에서 플래그를 "0"에 세트하고, "일정간격으로 지시장치로부터 VRAM으로의 디스플레이 요구의 기억을 변경"하기 위한 단계에서 플래그를 "1"로 세트한다. 결과적으로, DPYINT는 이 경우에 일정하게(예를들어 60Hz) 된다. 플래그는 "지시장치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VRAM에 기억 타이밍의 세팅을 변경하기 위한" 단계에 "0"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만약 플래그가 "다른 부분 재기록이 그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단계에서 "1"로 세트된다면, 순서는 "VCOUNT를 0으로 클리어"하기 위한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분 재기록이 지시장치 뿐만 아니라 스크롤 또는 키입력을 위하여 지시된다면, 상기 언급한 Py2/m선의 위치는 필드선의 수가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시장치의 실제위치와는 다르게 된다.
또한 부분 재기록에서 필드에서의 위치 변화가 있는 경우에, 부분 재기록의 다른 디스플레이 요구가 계속하여 발생한다면 지시장치의 위치선의 디스플레이는 최우선 순위가 지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주어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지연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시장치가 아닌 부분 재기록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발생될 때, 지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요구의 타이밍이 위치에 기한 타이밍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전환되며, 이미지 정보가 일단 VRAM(114)에 기억되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은 제2도에 도시된 신호전송방법에 유사한 방법으로 선단위로 실행되고, 각 선의 전송후에, 지시장치의 부분 재기록의 요구와 현재에 진행중인 부분 재기록하에의 요구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의 부분 재기록에 대한 요구의 발생이 추적된다.
만약 지시장치용 부분 재기록을 위한 요구가 발생되면, 지시장치를 위한 부분 재기록 장치가 초기화되고, 상기 부분 재기록이 완결되면 GCPU(112)에서 지시장치의 부분 재기록의 다음 요구의 발생위치가 등록된다.
제1 언급된 부분 재기록이 완결되면, 요구의 발생은 위치에 근거하여 다시 전환된다. 그래서 앞서 언급된 결점은 지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리프레싱 구동의 경우에 VRAM(114) 상에서 그것의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GCPU(112)에 등록함으로써 그리고 부분 재기록을 위한 다른 요구의 발생의 경우에, 지시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 요구의 발생타이밍을 위치 근거에서 일정간격으로 변경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에서 윈도우에서의 스크롤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우스의 완만한 이동 디스플레이를 실현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멀티-윈도우 디스플레이 프레임(110)의 예를 도시한다.
윈도우(1)는 윈형 그래프에 의하여 통계 결과를 보여주며, 윈도우(2)는 테이블에 상기 결과를 도시하고, 윈도우(3)는 막대 챠트로 상기 결과를 도시하고, 윈도우(4)는 편집된 문장을 도시하고, 점(5)은 지시장치를 구성하는 마우스를 나타낸다. 윈도우(1-3)가 정지상태이고 윈도우(4)는 완만한 스크롤에 의하여 단어와 본문의 삽입 및 삭제, 이동등 문자 편집동작상태에 있을때 마우스가 이동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보자, 이 스크롤 및 마우스의 이동은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에서 부분 재기록을 요구하는 이미지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에서 1120개의 주사라인과 결합하여 사용된 80[μs]의 수평 주사시간은 통상의 마우스 이동(
Figure kpo00002
30Hz)을 도저히 트래킹할 수 없는 1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알고리즘은, 윈도우(4)에 문서편집에 대한 값보다 마우스 이동을 위한 부분 재기록에 대한 우선도를 더 높게 선택함으로써 스크롤 디스플레이 중에도 분기된 동작에 의해 마우스 이동을 위한 부분 재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1) 같은 메모리 능력을 가진 저프레임 주파수의 디스플레이에서, 멀티윈도우 멀티 타스크 디스플레이 기능은 지시장치(마우스)의 이동에 최대 우선도를 부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그래픽 제어기(102) 및 디지탈 인터페이스의 블럭도이고, 제7도 및 제8도는 정보전송의 타이밍도이다.
그래픽 프로세서(501)가 전용 메모리 시스템(501)을 구비하고, RAM(503)과 ROM(504)을 제어할 뿐 아니라 RAM(503)으로의 기록명령을 실행하고 제어하며, 디지탈 인터페이스(505)로부터 FLCD 제어기로의 정보 전송 및 FLCD 구동의 제어를 독립하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쓰여진 그래픽 제어기는 종래의 것과는 상이하다.
제6도에 대해, 디지탈 인터페이스(505)는 최종단에 4[비트/데이타 전송클럭]율로 VRAM의 정보를 보내고, FLCD 제어기(111)로부터 외부 동기화 신호(HSYNC/VSYNC)에 의해 디스플레이 판넬(103)의 구동회로(104,105)로서 동기화시킨다.
제7도는 전체 프레임 재기록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여기서 패러미터는 제8도에 도시된 정보전송의 타이밍도의 패러미터와 동일하다. 먼저, 라인의 이미지 정보 전송은 제8도의 신호(HSYNC)가 액티브(L-레벨) 될 때 개시된다.
판넬(103)로부터 정보요구를 표시하는 HSYNC 신호의 L-레벨상태는 FLCD 제어기(111)에 의해 인지된다. 판넬(103)으로부터의 상기 정보요구는 제5도에 도시된 그래픽 프로세서(501)에 의해 수신되어 제8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그곳에서 처리된다. 샘플링은 외부 비디오 클럭신호(CLKOUT)의 1사이클(또는 VCLK 신호의 L-레벨주기, 상기 VCLK 신호가 실제로 상기 L-레벨주기 동안 샘플링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그래픽 프로세서(501)에 공급되는 것처럼) 동안 이루어지므로, 제8도에서 판넬(103)로부터의 HSYNC에 응답하여, 프로세서(501)의 수평 카운터(HCOUNT)는 VCLK 신호의 2.5사이클 후에 클리어된다.
그후 제7도에 도시된 패러미터(HESYNC)는 HCOUNT=1 상태 바로전에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신호(HBLNK)가 디스에이블(H-레벨)로 프로그램된다.
제6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신호(DATEN)는 VCLK 신호의 1/2사이클 후에 액티브(H-레벨)로 되고, HSYNC 신호의 샘플링으로부터 4.5사이클 또는 1/2사이클 후에도 지속되며, 다음 라인의 데이타가 4비트 단위로 VRAM으로부터 FLCK 제어기로 전송된다.
전송된 라인 정보는, 제8도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라인의 디스플레이 정보 및 주사라인 어드레스 정보로 구성되고 4비트 단위로 전송된다. FLCD 제어기(111)는 AH/DL 신호가 H-레벨 또는 L-레벨일때 주사라인 어드레스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각각 인지한다.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주사라인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선택된 FLCD의 주사라인에 기록된다. 그래서 제5도에 도시된 그래픽 제어기로부터 주사라인 어드레스 정보를 증가시킴으로써 주사하는 비-비월주사 또는 m-멀티 비월주사는 각각 한번에 한개, 두개 또는 m개로 주사된다. 디스플레이의 구동방식은 이런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대개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는 주사라인에 대해 약 100[μsec]의 구동시간을 요한다. 예를 들어, 주사라인의 100[μsec]의 구동시간 및 플리커링(껌벅거림)을 피하기 위한 30[Hz]의 최저 프레임 주파수에 대해, 플리커링이 없는 스틸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주사라인을 얻어질 수 있다 :
비-비월주사의 경우 :
(1/30Hz)/100μsec=333(라인) (4)
주사라인 ;
비월주사의 경우 :
(1/30Hz)×2/100μsec=666(라인) (5)
주사라인 ; 또는
m-멀티 비월주사 :
(1/30Hz)×m/100μsec=333×m(라인) (6)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m=32에서도 플리커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플리커-프리 디스플레이(flicker-free display)는 :
(1/30Hz)×32/100μsec
Figure kpo00003
332×32=10656(라인) (7)
의 주사라인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판넬(103)을 가지고서도 가능하므로 플랫 판넬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종래의 미달성된 고해상도가 이론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제6도에서, 74AS161A, 74AS74, 74ALS257, 74ASL878 및 74AS257은 IC 번호를 나타내고 숫자는 핀 번호를 나타낸다.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에 쓰여진 멀티 비월주사의 구동 신호의 예를 나타낸다.
제12a도 및 제12b도에는 (4M-3)필드 F4M-3, (4M-1)필드 F4M-2, (4M-1)필드 F4M-1과 4M 필드 F4M(여기서, 1필드란 1주사기간이다. M=1,2,3,...)에서 4n-3번째의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선택신호 S4n-3(n=1,2,3...), 4n-2번째의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선택신호 S4n-2, 4n-1번째의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선택신호 S4n-1과 4n번째의 주사전극에 인가하는 주사선택신호 S4n이 표시되어 있다.
제12a도 또는 제12b도에 도시된 것처럼, 주사선택신호(S4n-3)는 필드(F4M-3및 F4M-1)의 동일 페이스에서 상호 전압극성(주사 비-선택신호의 전압에 대하여)이 반대이지만, 필드(F4M-2및 F4M)에서는 주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주사선택신호(S4n-1)도 비슷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또한 필드 주기에 인가된 주사선택신호(S4n-3및 S4n-1)는 동일 페이스에서 상호 전압극성이 반대이다.
주사선택신호(S4n-2)는 필드(F4M-2및 F4M)의 동일 페이스 전압극성(주사 비-선택신호의 전압에 대하여)은 서로 반대이지만, 필드(F4M-3및 F4M-1)에서 주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사선택신호(S4n)은 비슷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또한 필드주기동안 인가된 주사선택신호(S4n-2및 S4n)는 동일 페이스에서 전압극성은 상호 반대이다.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된 구동신호의 보기에서, 세번째 페이스는 전 이미지 프레임에 걸쳐 디스플레이를 인터럽트하기 위해 제공되므로(예를들어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는 전체 픽셀에 0[V]전압을 인가시킴으로서), 각 주사선택신호의 세번째 페이스는 전압 0인 곳(주사 비-선택신호의 전압과 동일한)에써 선택된다.
(4M-3)번째 필드(F4M-3)의 신호전극에 인가된 정보신호는, 주사선택신호(S4n-3)에 대해, 화이트 신호(강유전성 액정의 드레시홀드 전압을 초과하는 두번째 페이스 전압(3VO)을 제공하기 위해 주사선택신호(S4n-3)와 합성하여 화이트 픽셀을 형성함) 또는 홀드신호(상기 드레시홀드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전압(±VO)을 제공하기 위해 주사선택신호(S4n-3)와 합성함)이다.
또한 주사선택신호(S4n-1)에 대해, 블랙신호(강유전성 액정의 드레시홀드 전압을 초과하는 두번째 페이스에 전압(-3VO)을 제공하기 위해 주사선택신호(S4n-1)와 합성하여 블랙 픽셀을 형성함) 또는 홀드신호(상기 드레시홀드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전압(±VO)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S4n-1)와 합성함)가 선택된다. (4n-2)번째 또는 4n번째 주사전극에는 주사 비-선택신호가 인가되므로 그대로 정보신호가 인가된다.
다음 (4M-2)번째 필드(F4M-2)에서는, 주사선택신호(S4n-2)에 대해, 신호전극에 제공된 정보신호는 블랙신호 또는 홀드신호이며, 주사선택신호(S4n)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것처럼 화이트 신호 또는 홀드 신호이다. 그곳에 인가된 주사 비-선택신호처럼, 정보신호는 (4n-3)번째 또는 (4n-1)번째 주사전극에 변화없이 제공된다.
그후, 다음 (4m-1)번째 필드(F4n-1)에서는, 주사선택신호(S4n-3)에 대해, 신호전극에 인가된 정보신호는 상기 설명된 것처럼 블랙신호 또는 홀드신호이며, 주사선택신호(S4n-1)에 대해서는, 화이트 신호 또는 홀드 신호이다. (4n-2)번째 또는 4n번째 주사전극에는 주사 비-선택신호가 인가되므로 그대로 정보신호가 인가된다.
다음 4M번째 필드(F4M)에서, 주사선택신호(S4n-2)에 대해서는, 신호 전극에 인가된 정보신호는 상기 설명한 것처럼 블랙신호 또는 홀드신호이며, 주사선택신호(S4n)에 대해서는 화이트 신호 또는 홀드신호이다. (4n-3)번째 또는 (4n-1)번째 주사전극에는 주사 비선택신호가 인가되므로 그대로 정보신호가 인가된다.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된 구동신호가 제13d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상태를 기록하는 상태일 때의 타이밍도이고, 화이트 및 블랙 픽셀은 각각 흰색 또는 검정색 원으로 나타내었다.
제13b도에서, I1-S1은 주사전극(S1) 및 신호전극(I1)의 교점에 인가된 시간-순서 전압파형을 나타내고 ; I2-S1은 주사전극(S1)과 신호전극(I2)의 교점을 나타내며 ; I1-S2는 주사전극(S2) 및 신호전극(I1)의 교점에서의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 I2-S2는 S2및 I2의 교점에 인가된 전압파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구동신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주사동작은, 네개, 다섯개, 일곱개, 바람직하게는 여덟개 또는 그 이상의 주사라인마다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주사선택신호는 제7도에 도시된 필드에서 극성이 변환될 수 있고, 모든 필드에서 극성이 동일할 수도 있다.
제14도는 강유전성 액정셀의 개략도이고, In2O3, SnO2, ITO(인듐 주석 산화물) 같은 투명전극으로 코팅된 기판(유리판, 141a, 141b)은 액정분자층(142)이 유리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SmC*상의 액정을 그것들 사이에 끼운다. 굵은선(143)은 상기 분자에 수직방향으로 다이포울 모멘트(dipole moment, P)를 가지는 액정분자를 나타낸다. 소정의 드레시홀드 값을 초과한 전압이 기판(141a 및 141b) 사이에 인가될 때, 액정분자(143)의 나선형 구조는 풀어지고, 모든 다이포울 모멘트(144)가 전계방향을 따라 일직선이 되도록 그곳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인가된 전압에 따라 광특성이 변하는 광변조장치가 상호 교차하는 극성을 유리판 상부 및 하부에 놓이게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부가해서, 액정셀의 두께가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예를들어 1μ,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액정분자의 나선형 구조는 풀어지고, 다이포울 모멘트(Pa 또는 Pb)는 상향(154a) 또는 하향(154b)이다.
제15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셀이 소정의 드레시홀드 값을 초과하는 상이한 극성의 전계(Ea 또는 Eb)를 받을 때, 다이포울 모멘트는 전계(Ea 또는 Eb)의 벡터에 대하여 상향(154a) 또는 하향(154b)이 되므로, 액정분자는 제1안정상태(153a) 또는 제2안정상태(153b) 동안 일정방향으로 된다.
광변조장치에서의 강유전성 액정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장점이 있다 ;
첫번째는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액정분자의 배열이 쌍안정이라는 것이다. 상기 제2장점은 제15도를 참고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전계(Ea)를 인가하면 액정분자의 방향은 제1안정상태(153a)로 되며, 이는 전계가 제거되더라도 유지된다.
또한 전계(Eb)를 인가하며 액정분자의 방향은 제2안정상태(153b)로 되며, 이는 전계가 제거되더라도 역시 유지된다. 그런 일정방향 상태는 전계가 소정의 드레시홀드 값을 초과하더라도 유지된다. 고속응답 및 쌍안정 상태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셀의 두께는 대개 0.5[μ] 내지 20[μ]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μ] 내지 5[μ] 범위내로 축소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같이 메모리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재기록에서, 지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요구는 VRAM 상의 그곳의 위치에 따라 발생되나, 부분 재기록의 또다른 디스플레이 요구 경우에 있어 일정간격으로 발생되므로, 예를들어 지시장치의 고속이동을 위한 고속 디스플레이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같은 저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현되므로 유연한 고속 이동 디스플레이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9)

  1.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a) 이미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 메모리 ; b)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기초해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시 위한 기억의 개시를 그 그래픽 이벤트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로 그 이미지 정보를 기억시키는 제1수단 ; c)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요구에 기초해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일정간격으로 기억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로 그 이미지 정보를 기억시키는 제2수단 ; d) 1 플레임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는 제3수단 ; e)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는 제4수단 ; 및 f) 상기 제3수단에 의한 이미지 정보의 기억시,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없이 상기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발생하며, 상기 제3수단에 의한 이미지 정보의 기억시, 상기 제1수단은 이미지 정보의 기억의 개시를 제어하며,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요구 및 상기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발생하여, 이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요구는 상기 제4수단에 의해 만족되고, 이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는 상기 제2수단에 의해 만족되도록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로부터의 이미지 전송을 제어하는 제5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이동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스크롤링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a) 이미지 정보를 기억하는 이미지 정보 메모리 ; b)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기초해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시 위한 기억의 개시를 그 그래픽 이벤트의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로 그 이미지 정보를 기억시키는 제1수단 ; c)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요구에 기초해서, 발생된 그래픽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일정간격으로 기억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로 그 이미지 정보를 기억시키는 제2수단 ; d) 1 플레임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는 제3수단 ; e)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내에 기억시키는 제4수단 ; 및 f) 상기 제3수단에 의한 이미지 정보의 기억시,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없이 상기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발생하며, 상기 제3수단에 의한 이미지 정보의 기억시, 상기 제1수단은 이미지 정보의 기억의 개시를 제어하며,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요구 및 상기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발생하여, 이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요구는 상기 제4수단에 의해 만족되고, 이 지시장치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요구는 상기 제2수단에 의해 만족되도록 상기 이미지 정보 메모리로부터의 이미지 전송을 제어하는 제5수단 ; g) 주사라인과 정보라인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전극 ; 및 h) 상기 매트릭스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라인과 정보라인 사이에 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강유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키랄 스메틱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이동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 스크롤링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900010895A 1989-12-19 1990-07-18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40001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30384A JP2603347B2 (ja) 1989-12-19 1989-12-19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1-330384 1989-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893A KR910012893A (ko) 1991-08-08
KR940001109B1 true KR940001109B1 (ko) 1994-02-14

Family

ID=1823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895A KR940001109B1 (ko) 1989-12-19 1990-07-18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08247A (ko)
EP (1) EP0433540B1 (ko)
JP (1) JP2603347B2 (ko)
KR (1) KR940001109B1 (ko)
AT (1) ATE143744T1 (ko)
AU (1) AU638723B2 (ko)
DE (1) DE69028758T2 (ko)
ES (1) ES209177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7267A (en) * 1990-06-27 1994-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formation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JP3171891B2 (ja) * 1991-11-08 2001-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977356B2 (ja) * 1992-01-14 1999-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ATE161352T1 (de) * 1992-09-04 1998-01-15 Canon Kk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zeige
JPH08202318A (ja) * 1995-01-31 1996-08-09 Canon Inc 記憶性を有する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表示システム
US6538675B2 (en) 1998-04-17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control of two position indication marks
US7148909B2 (en) * 1998-05-27 2006-1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nd scaling images on plurality of image source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6473088B1 (en) 1998-06-16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and display method therefor
JP3833483B2 (ja) * 2001-03-06 2006-10-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送信装置、表示画像データ送信方法、差分転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1331162A (ja) * 2000-05-19 200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制御装置
JP4612779B2 (ja) * 2001-06-14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映像表示制御方法
CN1268122C (zh) * 2002-07-23 2006-08-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方法及投影机
KR100484837B1 (ko) * 2002-11-2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개스킷
US7542026B2 (en) * 2003-11-03 2009-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feedback of pointing device event processing
WO2006000476A1 (de) * 2004-06-23 2006-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teuerung elektrochromer displays
KR101117987B1 (ko) * 2005-06-07 2012-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137B2 (ja) * 1982-11-22 1994-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情報処理装置
US4655561A (en) * 1983-04-19 1987-04-0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JPS6118929A (ja) * 1984-07-05 1986-01-27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強誘電性液晶電気光学装置
US4691200A (en) * 1984-10-01 1987-09-01 Xerox Corporation Matrix display with a fast cursor
DE3856474T2 (de) * 1987-11-12 2001-11-08 Canon Kk Flüssigkristallgerät
CA1319767C (en) * 1987-11-26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US4891631A (en) * 1988-01-11 1990-01-02 Eastman Kodak Company Graphics display system
AU617006B2 (en) * 1988-09-29 1991-11-14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system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03347B2 (ja) 1997-04-23
KR910012893A (ko) 1991-08-08
US5408247A (en) 1995-04-18
ES2091779T3 (es) 1996-11-16
JPH03189689A (ja) 1991-08-19
EP0433540A3 (en) 1991-11-27
DE69028758D1 (de) 1996-11-07
EP0433540A2 (en) 1991-06-26
ATE143744T1 (de) 1996-10-15
DE69028758T2 (de) 1997-03-13
EP0433540B1 (en) 1996-10-02
AU638723B2 (en) 1993-07-08
AU5861390A (en)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331B1 (ko) 정보처리시스템 및 장치
US5321419A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oth refresh-scan and partial-scan
KR920005329B1 (ko) 데이타 처리시스템 및 장치
US5481274A (en) Display control device
KR940001109B1 (ko) 정보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5146558A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apparatus
US5760789A (en) Method for processing and prioritizing display of data from various sources
JPH0114019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並びに表示方法
JP2738846B2 (ja) 情報処理装置
JP2738845B2 (ja) 表示装置及び駆動制御装置
JP26330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装置
JP2729049B2 (ja) 表示装置
JP2662427B2 (ja) 情報処理装置
JPH02131286A (ja) 表示装置及び駆動装置
JP2801218B2 (ja) 表示装置
JP2770961B2 (ja) 情報処理装置
JP2714053B2 (ja) 情報処理装置
JP2617345B2 (ja) 強誘電性液晶制御装置
JP2756427B2 (ja) 表示装置
JPH0396992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