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004B1 -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04B1
KR940001004B1 KR1019860000812A KR860000812A KR940001004B1 KR 940001004 B1 KR940001004 B1 KR 940001004B1 KR 1019860000812 A KR1019860000812 A KR 1019860000812A KR 860000812 A KR860000812 A KR 860000812A KR 940001004 B1 KR940001004 B1 KR 94000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group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258A (ko
Inventor
듀융슝
Original Assignee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로이 에이 · 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로이 에이 · 웬츠 filed Critical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용 퍼머넨트 웨이브 조성물, 더욱 구체적으로는 퍼머넨트 웨이브 형성을 중화제 및 컨디셔너(conditioner) 조성물과 퍼머넨트 웨이브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제, 특히 티올 기재 웨이빙 로숀을 사용함에 따른 소비자의 주요 불만 중 하나는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 이 처리 약품의 냄새가 모발에 잔류하는 현상이며, 이 현상은 모발이 젖은 상태나 습기가 있을때 특히 심하다는 것이다.
이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는 물로 헹굼으로써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하고 모발에 남아 있는 티올시약 및 암모니아와 같은 웨이빙 로숀의 잔류 화학약품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또한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후의 냄새는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에 기인하며, 즉 이 경우에 모발의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이 웨이빙하는 동안에 파괴되어 유리 SH기 또는 메르캅탄 함유 분해 생성물을 형성하며, 이것이 중화 단계 동안에 새로운 이황화물 함유 화합물로 완전히 생성되지 아니함에 기인한다.
수용성 티올 환원제의 비암모니아염을 사용하고 수용성 중아황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웨이빙 로숀을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이와 같은 웨이빙 로숀들은 불쾌한 암모니아 냄새가 나지는 않지만, 여전히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로 인한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는 나게 된다.
화학적인 중화 방법은 그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미용업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모발의 이황화물 결합을 재정렬시킴과 동시에 재형성시키고, 또한 모발에 남아 있는 웨이빙 로숀의 잔류 화학약품의 제거를 도울 수 있는 중화제 조성물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중화제는 산화제이다. 이러한 산화제로서는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 함유 화합물, 예를들면 과산화 탄산 나트륨 또는 과산화 우레아 ; 알칼리 금속 과산염, 예를 들면 과붕산 나트륨, 과황산 나트륨 또는 모노과황산 칼륨 및 알칼리 금속 브롬산염, 예를 들면 브롬산 나트륨 또는 브롬산 칼륨이 있다.
상기 산화제의 단순한 수용액은 모발 전체에 부어 사용하는 린스 형태로서 중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린스는 묽은 희석제이기 때문에 뚝뚝 떨어져서 모발의 전 부분과 일정하게 접촉되지 않아 모발을 고르게 중화시킬 수 없다. 또한 이 린스는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모발의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거나 또는 모발에 정전하 조절 및 엉킴 제거의 용이성과 같은 컨디셔닝 잇점, 즉 일반적으로 크림상 린스에서 예상되는 잇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크림상 린스 제품에 사용되는 C12-C18지방상으로부터 유도된 알킬기를 갖는 단분자성 알킬 사급 알킬 시급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몇가지 시도가 행해져왔다. 그러나, 상기 물질은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는 반면에,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또는 차폐시키지 못한다. 또한, 이 컨디셔닝 잇점은 일시적이며, 계속하여 통상의 세정샴푸를 사용해서 세척함으로써 쉽게 제거된다. 따라서, 웨이브 처리한 모발에 지속적인 컨디셔닝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에 모발에 남아있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화제가 요구된다.
웨이브 과정에서 초기에 파괴된 캐라틴-이황화물 결합의 재형성이 완전하지 못한 정도 만큼 새로 웨이브 처리한 모발의 웨이브 패턴은 공기 또는 물, 또는 이들 모두 중에서 강도와 안정성을 잃게 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리히틴(Lichtin)등의 문헌[″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 그의 성능 및 작용 메카니즘″(이후, ″리히틴″이라 칭함) J. Soc. Cosm. Chem., 제19권 제 849-862페이지(19 68)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리히틴에서는 티올로 웨이브시킨 모발을 산화제 기재 중화제로 처리한 후, 물 또는 공기에 각각 노출시키면 커얼 패턴이 수축되고 재조정되거나, 또는 커얼강도가 저하되고 상실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모발을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할 경우에 모발의 알칼리 용해도가 증가되어 화학적으로 손상을 입는 것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웨이빙시킨 모발의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는 웨이빙시킨 후 즉시 통상의 샴푸로 세정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웨이빙 처리 후 샴푸는 모발의 웨이브가 충분히 안정화되기 전에 새로 웨이빙시킨 모발의 이차적인 이온염 또는 수소 결합을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파괴는 모발을 수화, 팽윤시켜서 웨이브 강도를 상실시키는 결점을 낳게 된다. 따라서, 웨이브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컨디셔닝 잇점을 없애지 않고서 웨이빙시킨 모발로부터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 및 남아있는 화학약품을 제거할 수 있는 통상적인 샴푸의 고발포성을 갖는 중화제가 요구된다.
또한, 리히틴에는 환원성 웨이빙 중에 파괴된 1차 아황화물 결합과 2차 수소 결합이 중화제에 의해 동시에 재결합될 때 최적 웨이브 안정성이 제공되고, 한편 모발은 긴장된 상태(strained state)로 있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모발을 웨이빙 굴대 또는 커얼러(curler) 주위에 동심으로 감싸서 종방향으로 긴장시킬 때, 특히 모발의 말단 부분을 모아서 면지(end paper)로 고정시킬 경우에 중화제가 항시 모발에 침투하여 휘감은 머리 다리(switch)의 기부에서 말단 부분까지 균일하게 접촉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하여 모발의 긴장 상태를 유지시킨 채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의 기부 근접부와 말단부를 균일하게 접촉시켜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를 제거하고 컨디셔닝 잇점을 부여하는 효과적인 다기능 중화제가 요구된다.
부분적으로 환원된 휘감겨지고 긴장된 모발을 통해 산화액의 보다 좋은 침투를 촉진시키기 위한 습윤제를 함유시켜 중화제액의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몇가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양이온계 계면활성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하였지만, 이 물질은 비발포성이고, 또한 상기한 결점을 갖고 있다. 비이온계 습윤제는 실질적으로 비발포성이고,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샴푸 조성물 중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음이온계 습윤제는 고발포제이다. 그러나, 이 음이온계 습윤제는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지 못하고, 양이온계 컨디셔너를 불활성으로 만들수도 있으며, 산화제의 존재하에서 장기 저장 보관시 불안정할 수도 있다.
폭발성 혼합물이나 산화 강도의 상실을 피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또는 브롬산염과 같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저장안정성 단일 조성물을 제조하고 포장함에 있어서는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다기능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은, 1) 부분적으로 긴장된 모발의 모든 부분을 조성물 중 다른 성분들과 균일하게 접촉시킬수 있는 습윤제의 잇점, 2) 모발에 남아있는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 후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고발포성 샴푸의 잇점, 3) 모발에서 파괴된 일차적 모발 이황화물결합과 이차적 수소 결합 및 염 결합들을 재형성함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잇점, 및 4) 모발에 지속적인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양이온계 컨디셔너의 잇점을 갖는 단일 저장안정성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퍼머넨트 웨이빙 과정에 유용한 단일 다기능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일면은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저장안정성이 있으며, 고발포성인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및 컨디셔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의 케라틴-아황화물 결합을 재형성함과 동시에 모발에 지속적인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고, 모발에 남아있는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후의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화제는 모발의 웨이빙 과정 중 중화 단계에 유용한 산화제 유효량,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兩性)계 계면활성제, 및 알파 C14-C18올레핀 술폰산염, N(C12-C18) 지방족 아실 사르코신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사르코시네이트) 및 N-(C12-C18) 지방족 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타우레이트)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의 계면활성제 유효량, 및 다수개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분자량이 약 500 내지 약 10,000,000인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 유효량이 분산된 물로 이루어진다. 이 조성물의 pH는 약 2.5 내지 약 8.0이다.
양성계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한 것은 이들의 등전 범위에서 쌍성이온(분자내염)을 형성할 수 있는 것들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제의 산화 강도가 약 80℃(약 176℉)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에도 90%이상, 적합하기로는 약 95%이상 저장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온 상태하에서 적어도 약 6개월 동안 저장 후에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잔존하였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은 물, 산화제 약 0.5 내지 약 15중량%,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계 계면활성제 약 0.1 내지 약 4중량%,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약 10,000,000인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 약 0.05 내지 약 5.0중량%로 구성되며, 산 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여 pH치를 약 2.5 내지 약 8.0으로 조절한 것이다.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한 것은 베타인 구조, 술타인 구조, 암포카르복실산염 또는 암포술폰산염구조, 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 구조 및 아미노프로피온산염 구조를 갖는 것들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합한 태양은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가 막-형성 중합체인 것이다.
약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퍼머넨트 웨이빙 방법은 모발을 종방향으로 긴장시켜서 모발의 정상적인 배열을 변형시키고, 이와 같이 모발을 긴장시키면서 환원성 모발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 파괴제의 유효량과 접촉시켜서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모발로 만든 후,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모발을 물로 헹구어서 모발에서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 파괴제를 제거한 후, 헹군 모발을 물로 상당히 촉촉한 상태로 블롯팅(blotting)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블롯팅시킨 모발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상태에서, 먼저 파괴된 이황화물 결합을 새로운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으로 재정렬시키고 재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여 추가로 접촉시킴으로써 처리된 모발을 형성시키고, 이렇게 처리된 모발로부터 인가된 긴장을 제거하고, 인가된 긴장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을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두번째로 모발에 도포시키고 거품을 일으킴으로써 모발과 접촉시키고, 이와 같이 처리한 모발을 물로 헹구어서 모발로부터 중화제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방법은 여러가지 장점과 잇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장점 중 하나는 본 발명에 의한 퍼머넨트 웨이빙 방법은 단일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하여 웨이빙시킨 모발을 동시에 중화시키고 컨디셔닝시키는 일 단계로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은 컨디셔닝된 상태이고, 이러한 컨디셔닝 잇점이 웨이빙 후 통상의 샴푸로 수회 세척하여도 지속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이 긴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 그것에 도포 접촉시켜 모발에 균일한 중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부차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인가된 긴장이 제거되었을 때 중화된 모발에 더 도포시킬 수 있으며, 거품을 일게 해서 웨이빙 처리 후에 잔류하는 냄새를 모발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웨이브 강도에 역효과를 주지 않고 모발의 모든 부분을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잇점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놀라웁게도, 조성물을 사용해서 처리된 모발에 거품이 일게할 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비교적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의외로 많은 양의 거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잇점은 스폰지 또는 가스 발생 추진기와 같은 보조 기포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많은 양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을 본 발명에 의한 고발포성 조성물이 모발을 커얼링시키기 위한 퍼머넨트 웨이빙과정에서 중화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강한 웨이브 패턴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잇점 및 장점들은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게는 하기의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은 인체 모발의 자연적인 배열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는 환원적 퍼머넨트 웨이브 과정에서 다기능 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조성물을 사용하면 웨이빙 과정 전체를 일 단계로 행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강한 웨이브 패턴(배열)으로 균일하게 중화되어 웨이빙된 모발은 실질적으로 모발을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한 후에도 냄새가 없으며, 컨디셔닝 잇점이 지속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다기능 중화제 조성물은 이와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이제까지 시행되어 온 다단계 처리의 결점을 제거해 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모발의 웨이빙 과정 중 중화 단계 및 모발 염색 업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산화제, 쌍성이온계 또는 양성계 계면활성제, 또는 알파 C14-C16올레핀 술폰산염, N-지방족 아실 사르코신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및 N-지방족 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의 비교적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 및 하기한 바와 같이 약 2.5 내지 약 8.0의 pH에서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균일한 저장안정성 산화액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발의 배열을 변화 또는 변형시키는 것은 환원적 정돈(straitenting) 및 웨이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과정들은 모두 모발을 적시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인 상태에서, 그리고 종방향으로 긴장시킨 상태 하에서 행한다. 모발의 자연적인 배열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웨이빙 과정은 모발의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을 환원시키는 티올 퍼머넨트 웨이빙 과정을 포함하나,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올 웨이빙제는 당 업계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유리 티올(메르캅탄, -SH기)을 함유한다. 티올 웨이빙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티오글리콜산염(예,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및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예,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롤)이다. 기타 티올 함유 시약, 예컨대 티오락트산, 베타-메르캅토프로피온산, 베타-메르캅토부티르산, 메르캅토숙신산 등의 암모늄 염도 효과적인 것으로 당 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환원성″이란 용어는 모발의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을 중아황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시약을 사용하여 해리시켜 웨이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때때로 ″가아황산 분해″로도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환원성″이란 용어와 그의 문법적 변형어는 높은 pH, 예를 들면 약 11 내지 약 14의 pH에서 통상적으로 알칼리성 모발 처리 조성물로 행하는 방법과 수용성 티올 및 중아황산염과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는 웨이빙 과정을 구별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 알칼리 처리 방법은 주로 모발의 케라틴 시스틴기의 이황화물 결합을 란티오닌기로 이동시키는 반면에, 환원성 웨이빙 방법은 이 결합을 시스테인기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환원성 웨이빙 방법은 파괴된 모발의 케라틴-이화화물 결합을 재정렬시킨 새로운 결합으로 재형성시키기 위하여 모발을 산화시킬 필요가 있는 반면에, 고알칼리 웨이빙 방법은 그렇지 않다.
바람직하게 실시될 경우, 환원성 웨이빙 로숀을 모발에 접촉시키는 동안 모발의 이황화물 결합 중 약 15 내지 약 75%가 파괴된다. 파괴된 이황화물 결합 모두가 모발의 웨이빙 과정 중 산화적 중화 단계 도중에 새로운 이황화물 결합으로 재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화제로 처리한 모발은 파괴된 시스틴 결합 중 약 85 내지 95%가 재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분적으로 환원된″모발이란 용어는 파괴된 일차 케라틴-이황화물 결합과 파괴된 이차 수소 결합 및 염 결합을 함유하는 모발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퍼머넨트 웨이브″와 그의 문법적 변형어는 본래 곧은 머리에 커일링된 배열을 환원적으로 부여하는 과정과 곱슬머리를 환원적으로 곧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에 관련된 환원 및 이들에 잔류하는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후의 잔류 냄새의 문제점이 상당히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후에 기재하는 ″퍼머넨트 웨이빙″이란 용어는 환원 과정을 의미한다.
″웨이빙 후의 냄새″ 및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후의 냄새″란 용어는 티올 및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모발에 남아 있는 화학 약품의 불쾌한 냄새와 유리 -SH기가 함유된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의 냄새를 의미한다.
가장 간단한 퍼머넨트 웨이빙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개의 기본 단계, 즉
1) 모발을 물 또는 웨이빙 로숀으로 적시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인 상태에서 모발을 종방향으로 긴장시키고, 모발을 물리적으로 커얼링하거나 또는 곧게 한 배열로 변형시켜서 모발의 정상적인 배열을 변형시키는 단계(여기에서 사용된 ″긴장시킴″ 또는 ″긴장시킨″이란 용어는 그 자체로 동심적으로 감거나 또는 커얼링 굴대 또는 로울러에 동심적으로 감거나, 또는 점성 웨이빙 제품으로 휘어지게 하거나 빗질하여 인장시킨 모발을 의미함),
2) 모발을 긴장시키면서 암모니아와, 당업계에 잘 알려진 수용성 티올 및 중아황산염 이온 함유 환원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모발의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 파괴제 유효량을 함유하는 수용성 웨이빙 로숀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3) 이황화물 결합 파괴제가 모발의 일차 이황화물 결합을 환원적으로 파괴시켜서 팽윤되고 부드러워진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기간동안 계속 접촉시키는 단계(웨이빙 로숀 중에 유리 알칼리가 존재한다면 또한 이 기간 중에 이차 이온염과 수소 결합을 파괴시킴),
4) 파괴된 모발의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을 새로운 공간 배열로 재정렬시켜서 변형된 배열을 갖는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을 형성하는 단계,
5) 모발이 긴장되어 있는 동안 파괴된 모발의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이차 결합으로 추정됨)을 재형성시키고, 모발의 새로운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을 형성시키고 새로운 모발 배열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산화제를 함유하는 중화제 조성물로 모발을 포화 및 습윤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모발에 사용한 환원제 및 중화제는 제3단계 및 제5단계를 시행한 후 각각 헹군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을 제5단계에서 사용한 결과, 하기한 바와 같이 퍼머넨트 웨이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5단계에서 산화 과정을 통해 파괴된 이황화물 결합에서 새로운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을 재정렬하고 재형성하는 것이 티올 기재 퍼머넨트 웨이브 과정에서 중요하며 필요한 것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릴 등과 같은 유리 -SH기를 갖는 티올 기재 시약용 중화제는 통상적으로 산화제를 함유한다.
가아황산 분해에 있어서, 알칼리성 중화제는 때때로 새로운 모발의 이황화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모발과 접촉하고 있는 액체의 pH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산화성 중화제는 중화 과정을 종결시키고, 부적합한 잔류 아황산염 부산물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발의 긴장은 모발의 산화 및 환원 비율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산화제-함유 중화제가 웨이빙 과정 도중에 끊어진 이차 결합들을 모두 재형성시킬 수 있는 정도는 완전히 알려지지 아니하였다. 퍼머넨트 웨이빙 과정의 복잡한 동력학은 웨이빙 기술자가 쉽게 입수할 수 있는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모발 웨이빙 조성물 및 모발 정돈 조성물에는 수용성 티올 또는 중아황산염 이온-함유환원제를 1.0% 내지 약 30중량% 함유시킬 수 있다. 티올 기재 조성물은 pH가 약 7.5 내지 약 9.5인 로숀중에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또는 알칼올아민 약 2% 내지 20중량%를 함유하거나 또는 pH가 약 6.5 내지 약 8.5인 로숀 중에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릴 약 3% 내지 약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중아황산염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pH가 약 6 내지 약 10인 로숀 중에 중아황산 암모늄 또는 나트륨 약 8% 내지 약 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에 유용한 산화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퍼머넨트 웨이빙용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알칼리 금속 브롬산염 및 알칼리 금속 요오드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제로서 특히 적합한 것은 과산화수소, 브롬산나트륨, 브롬산칼륨, 요오드산나트륨 등이다. 과산화수소는 특히 적합한 산화제이다. 산화제의 선택은 본 발명에서 산화 강도에 대해 측정한 바와 같이, 용액 중에서 그의 저장안정성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산화제는 중화제 중에 원래 환원적으로 파괴된 이황화물 결합 중 약 90 내지 95%를 새롭게 재정렬된 이황화물 결합으로 재형성시켜 웨이빙시킨 모발의 변형된 배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함유시킨다. 유효한 재형성 정도는 시스틴 및 시스테인 함량에 대한 아미노산 분석법과 같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여러가지 기술에 의해서나, 또는 물 중 코일 세트의 보유력(retention) 측정, 또는 웨이빙된 섬유의 인성(靭性) 또는 ″조작 지수(work index)″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중하에서 웨이빙된 섬유를 일정한 길이로 연신시키는데 필요한 조작을 측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산화제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적합하기로는, 산화제를 약 0.5% 내지 약 12중량%, 더욱 적합하기로는 약 1%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킨다.
당 업계의 숙련자들은 산화제의 유효량을 산화제의 선택 및 이용되는 웨이빙 과정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유효량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이 쉽게 정할 수 있다.
웨이빙 과정의 적합한 예에서, 과산화수소는 약 0.5 내지 약 4.0중량%, 적합하기로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킬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pH로 적합한 것은 약 2.5 내지 약 5, 적합하기로는 약 2.5 내지 약 4.5, 더욱 적합하기로는 약 3 내지 약 4이다.
브롬산염을 이용하는 중화제 조성물에서, 브롬산나트륨 또는 브롬산칼륨은 약 5% 내지 약 15중량%, 적합하기로는 약 8% 내지 약 12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브롬산염을 함유하는 중화제 조성물의 pH 값은 적합하기로는 약 4 내지 약 8.0, 더욱 적합하기로는 약 4.5 내지 약 7이다. 이 브롬산염 수용액의 pH는 전형적으로 약 7 내지 약 9가 된다. 브롬산염 중화제에서 보다 산성 또는 보다 염기성의 pH가 필요한 경우에는, 산 또는 염기를 각각 필요한 만큼의 충분양으로 함유시킨다.
당 업계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의 목적하는 pH 값을 매질의 pH 값을 조절하기 위하여 함유시킨 산 도는 비휘발성 염기 중 어느 하나를 충분한 양으로 함유시켜 얻을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당 업계에 공지된 유기산으로 적합한 것은 아세트산, 아디프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이들 산 중,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이 적합하다. 무기산으로 적합한 것은, 붕산, 염산, 황산 및 인산이고, 이 중에서 특히 인산이 적합하다. 염기로서 적합한 것은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비휘발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로서, 이 중에서 특히 수산화나트륨이 적합하다.
놀라웁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양성계 계면활성제가 특히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여기에서, 쌍이온계 또는 양성계 계면활성제는 같은 분자내에 음이온 부분과 양이온 부분을 모두 함유하는 계면활성제이다.
양성계 계면활성제 중 일부는 그의 등전 범위내에서 쌍성이온이 될 수 있다. 등전 범위란 계면활성제의 포지티브 양이온 전하와 네가티브 음이온 전하가 균형을 이루어 분자내염 또는 쌍성이온을 형성하는 pH 값을 의미한다. ″계면활성제(surface act icve agent)″와 ″계면제(surfactant)″란 용어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기재하는 ″쌍성이온계″란 용어는 상기한 양성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쌍성이온계 및 양성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논의는 밀위드스키(Milwidsky)의 문헌[″비통상적인 계면활성제(Non-Conventional Surface Active Agents)″, HAPP I(재판), 1981년]에 기재되어 있다(이하, ″밀위드스키″라 칭함).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4중량%일 수 있다. 그러나,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약 0.2% 내지 약 2중량%의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놀라웁게도, 본 발명자들은 비교적 적은량, 예를 들면 1중량% 미만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여기에서, ″많은 양의 거품″이란 용어는 중화단계에서 모발을 조성물을 사용해서 적시거나 또는 충분히 축여서 거품이 일게 하였을 때, 많은 양의 크림상 거품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거품의 양과 관찰된 크림성 감촉은 통상적으로 암모늄 라우릴 술페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약 10% 내지 약 15중량% 정도의 비교적 많은 양으로 함유하는 통상의 음이온계 샴푸에 의해 생성된 것에 기인한다.
이 사실은 밀위드스키에 쌍성이온의 등전점에서 이들의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세정력, 즉 습윤화, 발포, 표면 장력 또는 세정력 그 자체가 최소라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놀라운 것이다. 그리하여, 적은 양의 거품 및 침전 생성 또는 불용성 문제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어 가용화제의 첨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어떤 가용화제도 첨가할 필요가 없이 실온에서 적어도 6개월 동안 저장 후에도 실제로 균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한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비교적 적은 양으로 사용해서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킬 수 있는 메카니즘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은 아니지만, 과산화물이 풍부한 포말상 혼합물, 또는 산화제와 계면활성제의 복합체는 중화 도중에 형성되어서 발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많은 거품을 일으키는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에 유용한 쌍성이온계 및 양성계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베타인 또는 술타인 구조를 갖는 약품일 수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1및 R2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것으로서 탄소 원자수 약 1 내지 4의 알킬기 및 탄소 원자수 약 2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고, 양자 모두가 메틸기인 것이 적합하며, R3는 탄소 원자수 약 8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R은 탄소 원자수 약 7 내지 17의 알킬기이고, R 및 이것과 결합된 카르보닐기 RCO-는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이 적합하다. C12-C18지방산으로서 적합한 것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탈로우산 또는 코코넛 지방산이다.
상기 일반식(1)의 베타인 약품의 예로는 알킬기가 코코넛 지방산 또는 탈로우산으로부터 유도된 알킬베타인을 들 수 있다. 알킬 베타인으로서 적합한 것은 코스메틱, 토일리트리 앤드 프레이그런스 어소시에이션(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 sociation)에서 출판한 문헌[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이하, ″CTFA Dictionary″라 칭함), 제3판, 1982년] 및 코스메틱스 앤드 토일러트리스(Cosmetics & Toiletries)에서 출판한 문헌[Cosmetic Bench Reference encyclopa edia of cos metic materials(이하, ″Bench Reference″라 칭함) 1984년 판, 1984년 8월 및 그의 부톡(1984년 12월자)]에 각각 코코-베타인 및 디히드록시에틸 탈로우 글리시네이트의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다.
당 업계의 숙련자들은 상기 알킬 베타인 및 하기 기타 성분들의 적합한 공급체가 상기 참고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음을 알 것이다. 특히 적합한 알킬베타인은 현매 미합중국 뉴저지주, 페어로운 소재의론자, 인크.(Lonza, Inc.)의 제품(상표명, LON ZAINE 12C)과, 뉴저지주, 클리프톤 소재의 쉐어 케미칼스, 인크.(Scher Chemicals, I ns., 이하, ″Scher″로 칭함)의 제품(상표명 : SCHERCOTAINE CB)인 코코-베타인이다.
상기 일반식(2)의 베타인 약품의 예로서는, 알킬기 및 이에 결합된 카르보닐기 RCO-가 적합하기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탈로우산 또는 코코넛 지방산과 같은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알킬아미도베타인을 들 수 있다. 알킬아미도베타인으로서 적합한 것은 CTFA Dictionary에 기재되어 있는 라우트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이다. 특히 적합한 알킬아미도베타인은 쉐어사에 의해 제품이 시판되고 있는 상표명 SCHERCOTAINE LAB, MAB 및 CB의 제품이다.
일반식(3)의 술타인의 예로서는 알킬기 R과 이것과 결합된 카르보닐기 RCO-가 적합하기로는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탈로우산, 코코넛 지방산 등과 같은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술타인은 알킬기 R이 약 7 내지 약 17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R과 이것에 결합된 카르보닐기 RCO-가 적합하기로는 코코넛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알킬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이다. 예시적인 술타인은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코크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술타인이다.
특히 적합한 술타인은 미합중국 오하이오주 더블린 소재의 쉐링 아. 게.(Scheri ng A. G.)의 자회사인 쉐렉스 케미칼 캄파니. 인크.(Sherex Chemical Company, Inc)의 제품(상표명 : VARION
Figure kpo00002
CAS)와 뉴저지주 어빙톤 소재의 미라놀 케미칼 캄파니, 인크.(Miranol Chemical Company, Inc.)의 제품(상표명 : MIRATAINE CB5)이다.
일반식(4)의 술타인 약품의 예로서는 4급 질소 원자가 적합하기로는 코코넛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알킬 잔기의 탄소 원자에 직접 결합된 알킬술타인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알킬술타인은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코코술타인이다.
추가로,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그의 등전 범위내에서 쌍성이온(분자내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성계 계면 활성제로서, 이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즉,
(a)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온산염,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온산,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필술폰산염, 코코암포글리신염, 코코암포프로피온산염, 코크암포카르복시글리신염 및 코코암포프로필술폰산염으로 기재된 암포카르복실산염 또는 암포술폰산염 구조로서, 이들의 공급업자에 따르면 여기에는 등 길이의 양이온 및 음이온기와 C10-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모노카르복시 및 디카르복시기가 함유되어 있음.
(b) 지방족 알킬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알킬 베타-이미도디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알킬리 금속 부분염과 같은 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 구조로서, 이들의 예로는 디소듐-N-탈로우-베타-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 및 CTFA Dicti onary에 기재되어 있는 소듐 라우르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이 있음.
(c) 지방족 알킬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알킬 베타-아미노 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알킬리 금속염과 같은 아미노프로피온산염 구조로서, 이들의 예로는 N-코코-베타-아미노프로피온산, 소듐-N-코코-베타-아미노프로피온산염, CTFA Dictionary에 기재되어 있는 라우르아미노프로피온산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소듐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염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용 계면활성제의 선택 기준은 계면활성제가 산화제의 존재 하에서 장기간 저장 후에도 안정한 것인가와, 또다른 선택 기준은 중합성 컨디셔너의 컨디셔닝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것인가 하는 것이다.
중화제 조성물 중 습윤제로서는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와 같은 종래의 선형 술페이트화 알코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거품이 많이 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암모늄,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및 지방족 알킬 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지방족 알킬기에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탄소 원자가 약 12 내지 14개 함유되어 있고 에테르 결합이 약 1 내지 4개 에톡시 단위체로 된 알킬에테르 술폰산염이다.
그러나, 이들 계면활성제는 특히, 과산화수소 조성물에 적합한 약 3 내지 4의 산성 pH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되고 분해되는 결점이 있다. 이 가수분해로 과산화수소의 산화 강도가 낮아지거나 또는 낮아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가수분해된 물질은 황산은 유리시킨다. 이것은 차례로 조성물의 pH를 사용자의 피부를 자극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저하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지나치게 가수분해되고 분해되면 거품 발생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산화제로서 브롬산염을 함유하는 중화제 조성물에서 매질의 산도가 증가하면, 특히 브롬이 유리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이와 비슷한 현상으로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디소듐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결합을 함유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도 약 3 내지 4의 pH 범위에서 가수분해된다. 그 외에,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그 앞에서 기술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들은 양이온계 성분들과 상호작용하여 함께 불용성 침전물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 자체로는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상기한 종래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중화제용 계면활성제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상기한 종래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또다른 결점은 그들의 강한 세정 특성으로서, 이것은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에 남아 있는 퍼머넨트 웨이브 화학약품을 잔존치 이상으로 추출시키는 것으로 인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자유로이 가수분해될 수 있는 잔기를 갖고, 양이온계 성분들과 상용(相溶)성인 비통상적인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저장인정성이 있는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에 관해 ″비통상적″ 및 ″통상적″이란 용어는 밀워드스키에 기재되어 있는 특이하고 진귀한, 비가수분해성 합성 세정제와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화장품용의 것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비가수분해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이중 결합이 술폰화되니 올레핀사슬 중에 약 14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 술폰산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 예시할 수 있는 것은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C14-C16올레핀 술폰산 나트륨이다. 특히 적합한 물질은 일리노이주 노스필드 소재의 스테판 캄파니(Stepan Company)의 상표명 BIOTERGE AS-40의 제품이다.
본 발명의 중화제에 적합한 저장안정성 계면활성제 기준을 충족시키는 기타 비가수분해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각각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아실 부분(지방족 알킬기 및 이에 결합된 카르보닐기)을 갖는, N-지방족 아실사르코신 및 이들의 염(사르코시네이트) 및 N-지방족 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염(타우레이트)이 포함된다. 적합한 물질은 CTFA Dictionary에 기재되어 있는 라우로일 사르코신,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코코일 사르코신,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및 소듐 메틸 올레일타우레이트이다.
비온계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물질이므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의 발포 기능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그 자체로서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알칼올아미드와 같은, 거품을 증가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약 4 이하의 pH에서 장기간 저장시 가수분해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물질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중화제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과산화수소는 산화에틸렌 약 4 내지 약 20몰을 사용하여 축합시킨 소르비톨 또는 소르비톨 무수물의 C12-C18지방족 에스테르, 소르비톨로부터 유도된 헥시톨무수물의 C12-C18지방족 모노에스테르, 평균 약 8 내지 약 50개의 에톡시기를 함유하는 C12-C18지방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평균 약 4 내지 약 20개의 에톡시기를 함유하는 C12-C18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등의 혼합물과 같은 특정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서 저장안정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아이씨이이 아메리카스, 인크.(ICI Americans, Inc.)에서 시판되는 상표명 TWEEN
Figure kpo00003
, ARLANCEL
Figure kpo00004
, MYRJ
Figure kpo00005
및 BRIJ
Figure kpo00006
의 제품을 들 수 있다. 이 물질들은 본 발명의 발포 기능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컨디셔닝 잇점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보조 포말 안정화제로서 함유시킬 수 있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비발포성 물질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계면활성제의 고발포기능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합한 예에서, 장기간 지속되는 컨디셔닝의 잇점은 중화 과정 중에 모발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의 다기능 목적을 위하여, 컨디셔너는 통상의 샴푸로 그 다음에 세척하여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 컨디셔너는 계면활성제와 침전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거품량을 저하시키지도 않아야 한다.
양이온계 단분자체 4급 암모늄 화합물은 컨디셔닝제로 당 업계에 알려진 것으로서, 이들 중 일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성 중화제 조성물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물질은 통상의 샴푸로 그 다음에 세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없어지는 일시적인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특정 단분자체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유용한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발포 수준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실온에서 24시간 이내로 저장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중화제 조성물 중에서 상기 암모늄 화합물과 침전물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된 양이온계 컨디셔닝제인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는 과산화수소 또는 브롬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적합한 코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의 발포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CT 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기재되어 있는 기타 공지된 양이온계 컨디셔닝제인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는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발포성을 저하시키지는 않지만, 실온에서 저장한지 24시간 이내에 침전물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컨디셔닝제는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이다. 유용한 중합체는 수용액 중에서 다수의 순(純) 포지티브 이온 전하를 갖는 양이온계 중합체이다. 특히 적합한 예에서, 양이온계 중합체는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갖고, 적합하기로는 2개 이상의 메틸 치환체를 갖는 막-형성 중합체이다.
″막-형성″이란 용어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기질위에 전개시키고, 방치하여 건조시킬 때, 중합체가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중합체의 4급 질소 원자는 각각 4개의 탄소 원자에 공유 결합되므로 양이온성, 즉 질소의 원자가는 통상 3이기 때문에 물 중에서 양전하를 띠게 된다.
다수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들은 대부분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넓게는, 이와같은 중합체들은 조성물의 약 0.05%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에서 유용하다. 적합하기로는, 이들 중합체를 약 0.2% 내지 약 2중량%, 더욱 적합하기로는 약 0.2% 내지 약 1중량%로 함유시킨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중합체의 분자량은 넓게는 약 500 내지 약 10,000,000이고, 적합하기로는 일반적으로 보다 좁은 분자량 범위를 갖는 각종 유용한 중합체로서, 그 분자량은 약 100,000 내지 약 4,000,000이다.
양이온계 막 형성 중합체의 예에는 다음과 같은 물질, 즉
(a)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폴리쿼터늄-10으로서 명시되어 있고, 트리메틸암모늄-치환에폭시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 반응 생성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3,472,840호에 기재된, 코넥티컷주, 단배리 소재의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에 의해 POLYMER JR-30M, JR-125 및 JR-400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
(b)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폴리쿼터늄-4로서 명시되어 있고,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공급 회사에서 출판한 문헌에 의하면, 양이온계 중합체를 셀룰로오스 골격에 그라프트시킨 것으로서, 뉴저지주 브리쥐워터 소재의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션(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에 의해 CELQUAT H60, H100 및 L200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
(c) 및 (d)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폴리쿼너늄-6 및 -7로 명시되어 있고, 각각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일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공중합체로서 기재되어 있는, 뉴저지주 라웨이 소재의 머크 앤드 코., 인크.(Merck & Co., Inc.)의 머크 화학부에 의해 MERQUAT-100 및 -550(MERQUAT-S로 명시된 MERQUAT-500과 매우 유사한 물질)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
(e) CTFA Dictionary 및 Bench Reference에 폴리쿼터늄-11로 명시되어 있고, 황산 디메틸의 4급 암모늄 중합체 반응 생성물 및 비닐 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기재되어 있는, 뉴저지주 웨인 소재의 가프 코포레이션(GAF Corp.)에 의해 GAFQUAT-734 및 -755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
(f) CTFA에 폴리쿼터늄 -15로서 명시되어 있고, 중합체 g당 2.2밀라몰의 4급화도를 갖는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인, 노스캐롤리나주 그린스보로 소재의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 다이스터프앤드 케미칼스 디비젼(Giba-Geigy Corporation Dyestuff & Chemicals Division)에 의해 BINAQAT P-100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 및
(g) 단량체로부터 각각, 95 : 5, 50 : 50 및 30 : 70의 중량비로 제조한 메틸비닐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와 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로서 기재되어 있는, 독일연방공화국 로드빅사펜 소재의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BASF Aktiengesellsch aft)에 의해 LUVIQUAT FC-905, -550 및 -37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또한,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아마크 인더스트리얼 케미칼스 디비젼(Armak Industrial Chemicals Division)에서도 제조됨]물질이 포함되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체들 중, 보다 좁은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고 기재된 중합체와 아울러, POLYMER JR 계열의 평균 분자량은 약 300,000 내지 약 1,000,000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 중, POLYMER JR-400의 평균 분자량은 약 300,000 내지 400,000으로서 300,000보다 400,000에 가까우며, 평균 분자량이 약 300,000 내지 400,000으로서 400,000보다 300,000에 가까운 것으로서 보고되어 있는 POLYMER JR-125의 분자량보다 크다. POLYMER JR 30M의 평균 분자량은 약 700,000 내지 1,000,000 내지 1,000,000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CELQUAT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200,000 내지 약 500,000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MERQUAT-100, -550 및 -S로 각각 명시된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0 내지 약 1,000,000, 약 1,000,000 내지 약 10,000,000 및 약 2,000,000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GAFQUAT-734로서 명시된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0 미만인 반면에, GAFQUAT-755로서 명시된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1,000,00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계 중합체의 유용성은 본 발명에서는 강기간의 저장 보관 중에 산화되는 잔기를 함유할 수 있는 정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에는 산화제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제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안정화제의 예로서는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아세트아닐리드, 펜아세틴 메틸파라벤, 우레아 및 소듐 스타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중금속킬레이트제, 특히 철 킬레이드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에는 또한, 방부제, 유백제, 향료, 점증제 및 화장품용으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보조 발포 촉진제와 같은 부차적인 화장품 보조 성분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중화제 중의 단일 습윤제로서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생성된 다량의 거품은 풍부한 양의 농후한 크림상 거품이었다. 거품의 양은 경험이 많은 전문미용사에 의해 미용실에서 중화 과정 중에 거품을 일으키는 단계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실 조건 하에서, 거품의 양은 그 중에 함유된 중화제의 희석 용액을 진탕시켰을 때, 눈금이 매겨진 실린더 중에서 관찰한 거품 컬럼의 높이를 기준으로 예측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하기 실시예 1에 설명하였다.
관찰된 거품의 발생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량의 양이온계 막-형성 중합체가 존재함으로 인해 저하되지 아니하였다. 이 결과는 고다드(Goddard)등에 보고된 문헌[″수용성 중합체-계면활성제 상호작용-1부″, J. Soc. Chem., 제26권, 제461-475페이지(1975년)]에 기재된 연구와 일치하며, 여기에서 양이온성 치환 셀룰로오스 에테르(중합체 JR)는 알킬 베타인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이들 간에 상호 작용을 일으키지도 않았다.
또한,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산화제의 산화 작용이나 양이온계 중합체의 컨디셔닝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 외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실온 조건 하에서 적어도 6개월 이상의 저장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잔존하였다. 더우기, 균일하고 고발포성인 중화제 조성물은 산화제의 산화 강도면에서 저장안정성이 있었다.
촉진된 노화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산화제를 평균 약 90%이상, 적합하기로는 약 95%이상 유지시켰다. 촉진 노화 조건은 병에 넣은 중화제 조성물은 약 80℃(약 176℉)의 일정한 온도를 갖는 수조 중에서 약 24시간 동안 침지시켜서 고온에서 보관하는 것이다.
산화강도는 당 업계에 잘 알려진 적정 분석법에 의해 가열시키기 전후에 측정하고, 남아 있는 산화제의 강도를 이 측정치로부터 산출하였다. 이 분석법의 과정은 워싱턴 디.씨. 소재의 공인 분석 화학자 협회(AOAC)에 의해 출판된 문헌[Newb urger's Manual of Cosmetic analysis, 제2판(1977년)의 11장, 센젤(Senzel) 편집 및 Offici al Methods of Analysis, 제12판(1975년)]에 기재되어 있다. 이촉진 노화 기술의 결과로 장기간 저장 보관 후의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다.
모발의 배열을 변형시키는 본 발명의 웨이빙 방법에 있어서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모발을 통상적으로 샴핑하고, 젖은 채로 두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인 측인 상태로 둔다. 모발의 정상적인 배열은 모발에 종방향으로 긴장을 주고, 물리적인 방법으로 모발 형태를 커얼링시킨 배열로 변형시키고, 모발을 그 자체로, 또는 커얼링 굴대나 또는 로울러 주위에 동심적으로 감거나, 또는 모발 형태를 곧은배열로 변형시키고, 점성 웨이빙 제품을 사용해서 모발을 휘어지게 하거나 또는 빗질해서 변형시킨다.
모발이 이와 같이 긴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 모발을 상기한 잘 알려진 수용성 티올 또는 중아황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환원제 중에서 선택되는 모발의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 파괴제 유효량을 함유하는 퍼머넨트 웨이브 로숀과 접촉시킨다. 모발에 로숀을 접촉시키는 방법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환원제와의 접촉은 모발의 케라틴 이황화물 결합 중 약 15 내지 약 75%를 파괴하고,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 케라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적합한 접촉 시간은 약 5분 내지 약 60분이다.
케라틴-이황화물 결합 파괴제는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모발을 물로 헹구어 제거하며, 이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모발을 천 또는 종이 타월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축인 상태로 불롯팅시킨다.
블롯팅을 행한지 약 0 내지 약 60분 후에, 여전히 부분적으로 환원되고 긴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 블롯팅시킨 모발에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을 도포시켜 접촉시킴으로써 처리한다. 모발을 실질적으로 흠뻑 적시기에 충분한 양의 중화제를 모발에 도포해 이러한 모발과 중화제와의 접촉을 초기에 파괴된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의 약 85-95%가 새롭게 재배열된 케라틴-이황화물 결합으로 재형성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 접촉을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시간은 모발에 중화제를 흠뻑 적신 시점으로부터 약 2분 내지 약 45분간, 적합하기로는 약 2분 내지 약 10분간이다.
이어서, 처리된 모발로부터 종방향으로 가해진 긴장을 제거한다. 처리된 모발에서 가해진 긴장을 제거하는 동안, 모발을 중화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거품을 일으킬 때 다량의 거품을 생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중화제 조성물로 이차로 도포하여 접촉시킨다. ″거품을 일으킴″이란 용어는 조성물이 병, 스폰지 또는 가스발생 재료(예, 에어로졸 거품 추진기)와 같은 보조 기포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샴푸와 같은 거품을 일으키는 작용에 의해서 모발에서 거품이 이는 것을 의미한다.
중화제 조성물은 샴푸와 같은 방법으로 거품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처리된 모발에 거품을 일으키고, 이 거품을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 후에 잔류하는 화학약품 및 그 냄새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처리된 모발과 계속해서 접촉시킨다. 여기에 충분한 시간은 약 0 내지 약 5분이다. 중화제 조성물은 모발을 통상의 방법으로 물로 헹구어 모발로부터 제거한다.
임의로는, 중화제 조성물을 3차로 도포하고, 거품을 일으킨 후 헹구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몇일 후 중화제를 다시 모발에 사용하여 거품을 일으킬 수도 있다. 당 업계의 숙련자들은 숱이 많고, 두꺼운 모발이나 또는 매우 다공성인 모발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제거하기가 곤란한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 후의 냄새가 남아 있을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로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된 머리는 원하는대로 강한 웨이브 패턴으로 커얼되거나 또는 눈에 보일 정도로 정돈되며, 실질적으로 퍼머넨트 웨이빙 후에 냄새가 남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처리한 모발은 컨디셔닝되며, 이 효과는 통상의 세정력이 강한 샴푸로 수차 세척한 후에도 지속된다.
커얼이 요구되는 퍼머넨트 웨이브 처리의 경우, 커얼 패턴의 인성은 산화제만을 사용하여 얻은 것보다도 본 발명의 중화제 조성물에 의해서 놀라울 정도로 강화되었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이온계 중합체 존재 하에서, 1) 중화제 조성물에 의해 모발 샤프트(hair shafts)의 습윤화 또는 접촉 작용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나, 또는 2)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부분적으로 환원된 모발의 산화작용을 강화시키는 메카니즘에 의해 웨이빙된 모발의 모든 부분을 균일하게 중화시킨다.
현재 POLYMER JR계열의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양이온계 중합체는 각종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pH프로필 또는 영하전점(제타 전위)에 의해 모발 및 피부 케라핀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동전학적 측정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1984년 10월 16일자로 개최된 Int ernational Federation of Societies of Cosmetic chemists(I.F.S.C.C.)의 제13차 총회에서 발표된 가다드 등의 논문 I″피부 및 모발의 전기적 특성″제1권, 제79-9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모발의 표면 내부나 또는 그 위에서의 이들 동전학적 변화들은 모발의 이황화물 결합을 재형성함과 동시에 컨디셔닝하는 중화제의 효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양이온계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선스크린스(Sunscreens)로 알려진 자외선 흡수제의 효능을 강화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다(프랑스, 파리에서 1982년 9월 14일자로 개최된 I.F.S.C. C.의 제12차 총회에서 발표된 리웅(Liung) 등의 논문[″선스크린스의 강화(Potentiat ion of Sunscreens)″, Union Carbide Bulletin F-48385, 1982년 참조]). 그러나,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방향족 벤제노이드 화합물들인 선스크린스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물질들 사이에는 구조적 유사성 또는 화학적 유사성이 거의 없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강화 작용은 리웅 등에 의해 발표된 것과 다르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화와 수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이 실시예는 비교적 소량의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다수개의 4급 질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설명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하기 표에 나타낸 순서로, 제2호 내지 4호 성분을 제1호 성분 중에 분산시키고, 이어서 제5호 성분을 사용해서 pH를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제2호 성분 및 제3호 성분의 유효 중량%를 등량으로 함유시켰으나, 이들 성분의 유효량을 이 표에 나타낸 양으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Figure kpo00007
(주 a) : Chmical Abstract Service(CAS) 제61789-40-0호에 해당하는 쌍성이온(분자내 염) 계면활성제용으로 채택된 CTFA의 기재명. 이 물질로서 적합한 것은 현재 뉴저지주, 훼어로운 소재의 론자, 인크.(Lonza, Inc.)에 의해 LONZAINE C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이다.
(주 b) : CAS 제26062-79-3호 및 28301-34-0호에 해당하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일중합체용으로 채택된 CTFA의 기재명. 이 물질로서 적합한 것은 현재 머크 앤드 캄파니, 인크.의 머크 화학부에 의해 MERQUAT 100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이다.
(주 c) : 현재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고포레이션에 의해 CELQUAT L-200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용으로 채택된 CTFA의 기재명.
조성물 A-D는 실온 상태하에서 6개월 이상 저장 후에도 물리적으로 균질하게 남아있었다.
중화제 조성물의 거품 발생 특성은 다음과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즉, 탈이온수 150ml를 500ml들이 눈금 유리 실린더에 넣었다. 물의 온도는 약 35°내지 약 38℃(약 95 내지 약 100℉)이었다. 조성물 A 0.5g을 실린더 속의 물에 첨가하고, 이 실린더를 마개로 막았다. 마개로 막은 실린더를 약 10 내지 약 15초 동안 뒤집고 바로 세우는 동작을 10회 반복하여 거품 컬럼을 생성시켰다. 그 후 즉시, 거품 컬럼의 높이를 용적단위(ml)로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조성물 B,C 및 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생성된 거품의 양은 다음과 같다.
중화제 조성물 거품의 용적(ml)
A 65
B 50
C 55
D 60
실린더 속의 계면활성제의 양은 약 0.002중량%의 유효량을 나타내고, 그 결과로서, 어떻게 비교적 적은 양인 약 0.1-4중량%의 계면활성제가 실제로 중화 단계를 행할 때 모발에 거품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었다. 실제로 모발에서 관찰된 많은 양의 거품은 하한치로서 약 40 내지 약 50ml의 거품 용적에 해당한다.
이 결과는 조성물 A 내지 D중 비교적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가 놀랍게도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키고, 제2호 성분의 거품 발생 양은 제3호 성분인 양이온계 중합체의 존재에 의해서 저하되지 아니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용으로서, 제2호 성분 0.6중량%를 함유하는 수용액은 pH 약 3.5에서 약 50ml 용적의 거품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A의 제조 방법에서 따라서 행하였으나, 단 4급 질소-함유 중합체로서 폴리쿼터늄-10을 사용하였다. 폴리쿼터늄-10은 트리메틸 암모늄 치환 에폭시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 반응 생성물에 대해 채택된 CTFA명이다. 이 물질은 CAS 제53568-66-4호, 제54351-50-7호, 제553-19-0호에 해당하고,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472,8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넥티커트주 단베리 소재의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사의 제품인 POLYMER JR-30M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실온 조건하에서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에도 균질하였으며, 저장안정성이 좋았다. 이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거품의 용적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약 50ml 정도이었다.
이 조성물을 비슷한 양의 POLYMER JR 125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을 때에도 실질적으로 위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이 실시예의 중화제 조성물은 모든 pH에서 실질적으로 쌍성이온성의 술타인(조성물 E)의 유용성 및 산성 pH에서 가수분해에 대해 실질적으로 안정하고 양이온 성분과 상용성인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조성물 F)의 유용성을 설명한 것이다.
조성물 E 및 F는 상기 실시예 1중 조성물 C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으나, 단 하기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함유시켰다.
Figure kpo00008
(주 d) : 현재 오하이오주 더블린 소재의 쉐링 아.게.의 자회사인 쉐렉스 케미칼 캄파니, 인크.에 의해 VARION
Figure kpo00009
CAS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CAS 제68139-30-0호에 해당하는 쌍성이온(분자내 염)에 대해 채택된 CTFA명.
(주 e) : 현재 일리노이주 노스필드 소재의 스테판 캄파니에 의해 Bio Terge AS-40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CAS 제68439-57-6에 해당하는, 주로 소듐 알켄 술포네이트 및 소듐 히드록시 알칼 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지는 C14-C16알파 올레핀을 술폰화시켜서 제조한 긴 사슬의 술폰산염들의 혼합물에 대해 채택된 CTFA명.
조성물 E 및 F는 실온 상태하에서 6개월 이상 저장 후에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저장안정성이 좋았다. 이 조성물들의 거품 용적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각각 65ml 및 60ml의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켰다.
[실시예 4]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에 양이온계 중합체 대신에 단분자체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하였을 때를 비교 및 설명한 것이다.
하기 조성물 G, I 및 J는 제3호 양이온 성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A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조성물 H는 제3호 성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성물 B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0
(주 f) : 현재 뉴저지주 훼어로운 소재의 론자, 인크.에 의해 Barquat CT 429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CAS 제112-02-7호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에 대해 채택된 CTFA명.
(주 g) : 현재 뉴저지주 린덴 소재의 에머리 인더스트리스, 인크.(Emery Industries, Inc.)의 퍼스날 캐어 프로덕트스 그룹에 대해 Lanoquat 1756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라놀린 지방산의 4급 암모늄염에 대해 채택된 CTFA명.
(주 h) : 현재 오하이오주 더블린 소재의 쉐링 아.게.의 자회사인 쉐렉스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Adogen 432 ET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CAS 제1812-53-9호에 해당하는 N-헥사데실-N-디메틸-1-헥사데칸아미늄 클로라이드에 대해 채택된 CTFA명.
상기 결과는 조성물(G) 및 (H)중의 제3호 성분인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가 제2호 성분에 의한 거품생성을 억제시키지 아니하며, 상기 실시예 1의 거품 생성방법에 의해 약 90ml 정도의 많은 양의 거품을 일으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성분은 조성물 G에서는 과산화수소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상용될 수 없어서, 실온에서 저장한지 24시간 이내에 침전물을 생성하는 반면에, 조성물 H에서는 브롬화나트륨과는 실질적으로 상용성이 있었다.
조성물(I)중의 제3호 양이온 성분인 쿼터늄 33도 과산화수소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상용성이 없으므로 실온에서 저장한지 24시간 이내에 침전물을 생성함이 발견되었다.
조성물(J)중의 제3호 양이온 성분인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는 제2호 성분의 거품 생성을 억제하여서, 상기 실시예 1의 거품 생성 방법에 의해 약 20ml 정도의 거품을 생성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용하지 못하다.
이 실시예는, 또한 이지방족 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본 발명의 중화제 중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의 거품 생성 기능을 방해할 수도 있는 반면에 일지방족 알킬 양이온계 4급 암모늄 화합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단분자체 양이온계 4급 암모늄 컨디셔너는 모발에 지속적인 컨디셔닝 잇점을 제공하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다기능 중화제에서 양이온 성분의 컨디셔닝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실시예 5]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의 저장안정성
이 실시예는 산화제의 산화 강도에 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설명한 것이다. 산화제의 강도는 다음과 같은 예측적 노화 촉진 방법에 의해 분석적으로 측정하였다.
중화제 조성물이 담겨진 플라스틱제병을 새롭게 개봉하였을때 병에 존재하는 산화제(과산화수소 또는 브롬산나트륨)의 중량% 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분석 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동일한 병에 담겨진 중화제 조성물의 내용물을 분석을 위해 샘플링한 후, 100ml들이 정량 플라스크에 100ml눈금까지 옮겼다. 이 플라스크의 목부분 개구부를 호일로 느슨하게 덮고, 이와 같이 덮은 내용물 100ml가 들어 있는 플라스크를 약 80℃(약 176℉)의 일정한 온도로 고정시킨 수조에서 눈금이 매겨진 목부분까지 침지시켜서, 24시간 동안″노화″시켰다. 이 플라스크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필요한 경우 내용물의 용적을 증류수를 사용해서 100ml까지 조절하였다. 노화된 중화제 조성물 중의 산화제의 농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산화제의 저장안정성을 노화 전후에 산화강도의 차이로 남아 있는 산화제의 중량%로서 산정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1
(주 i) :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계 컨디셔너를 함유하지 않는 인산을 사용해서 pH를 3.6으로 조절한, 물 중에 2.3중량%로 존재하는 과산화수소.
(주 j) :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계 컨디셔너를 함유하지 않는 pH 6.5의 물 중의 브롬산나트륨.
상기 데이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은 산화제의 산화 강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97% 이상 저장안정성이 있었다.
[실시예 6]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한 퍼머넨트 웨이빙
이 실시예는 양이온계 컨디셔너로서 통상의 단분자체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는 함유하지 않은 상업용 중화제 조성물(조성물 B)과 비교하여 다수의 4급 질소 원자 함유 양이온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실시예 1의 조성물 A)의 유용성을 설명한 것이다.
정상 또는 염색한 모발을 가진 6명의 여성 피시험자에게 다음과 같이 하프-헤드 (half-head)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모발에 웨이빙 처리를 행하였다. 먼저, 머리 전체를 통상의 샴푸를 사용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하여 청결하게 하였다. 샴푸한 모발을 실질적으로 축여진 상태로 타월로 블롯링시킨 후, 모발을 왼쪽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누었다.
축여진 머리를 통상의 퍼머넨트 웨이빙 굴대(이하, 커얼러라 칭함) 주위에 모발의 각 타래(이하, 커얼이라 칭함)를 동심적으로 감싸서 종방향으로 긴장시켰다. pH가 약 9.2인 로숀 중에 티오글리콜산 약 7중량%를 함유시킨 것으로 산출된 알칼리성 티오글리콜산염 퍼머넨트 웨이빙 로숀을 감아서 긴장시킨 각 커얼에 바르고, 약 20분 동안 접촉을 유지시켰다.
커얼을 통상의 방법으로 물로 헹구어 웨이빙 로숀을 제거하고, 각 커얼을 실질적으로 축여진 상태까지 블롯팅시켰다. 모발의 한쪽 부분의 커얼은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A로 중화시키고, 나머지 한쪽 부분의 커얼은 조성물 B로 중화시켰다. 조성물 B의 pH값은 약 3.5이었고,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지 않은 컨디셔너로서 과산화수소 2.2중량%와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실시예 4의 주 h) 1.1유효 중량%를 함유한다.
다음과 같은 중화 과정을 각 조성물에 대하여 행하였다.
충분한 양의 중화제를 각 커얼을 실질적으로 흠뻑 적시도록 일차적으로 커얼에 직접 발랐다. 가장 마지막 커얼을 적신지 5분 경과 후에 커얼러를 제거하여 모발로부터 긴장을 제거하였다.
일차적 도포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중화제 조성물을 긴장을 제거한 하프-헤드 부분 전체에 모발 전체를 균일하게 적시기에 충분한 양으로 발랐다. 이렇게 바른 양의 중화제는 모발 전체에 작용했다. 도포된 상기 실시예 1의 중화제 조성물 A의 양은 이 중화제가 샴푸와 같은 거품을 일으키는 작용으로 모발에 작용할 때, 풍부한 양의 크림상 거품을 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거품을 약 0.5 내지 약 2분 동안 모발과 접촉시킨 채로 유지했다. 조성물 B를 바른 부분에서는 거품이 일지 않았다. 처리한 모발을 물로 헹구어서 양쪽에서 중화제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A)로 중화시킨 머리 부분의 모발은 반대 쪽의 모발과 비교했을때 실질적으로 퍼머넨트 웨이빙 후의 잔류 냄새가 없었다. 머리빗질의 용이함과 모발의 매끄러운 감촉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A)로 처리한 모발은 강한 웨이브를 생성하였고, 상업용 제품(B)로 중화시킨 모발 만큼 컨디셔닝되었다.
[실시예 7]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한 퍼머넨트 웨이빙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였으나, 단 pH가 약 7.8인 로숀 중에 티오글리콜산 글리세롤(티오글리콜산은 약 12중량%로 산정됨)을 함유시킨 퍼머넨트 웨이빙 로숀을 사용하였다.
정상 또는 염색한 머리를 가진 3명의 여성 피시험자에게 실시예 6의 중화 방법으로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결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다.
[실시예 8]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한 퍼머넨트 웨이빙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였으나, 단 pH가 약 7.0인 로숀 중에 환원제로서 중아황산 암모늄 약 10중량%를 함유시킨 퍼머넨트 웨이빙 로숀을 사용하였다.
정상 또는 염색한 머리를 가진 8명의 여성 피시험자에게 실시예 6의 중화 방법으로 퍼머넨트 웨이빙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결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였다.
[실시예 9]
중화제 조성물의 컨디셔닝 잇점
이 실시예는 종래의 상업용 중화제에 의해 제공되는 일시적인 컨디셔닝 잇점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에 의해서 제공되는 장기간 지속되는 컨디셔닝 잇점을 설명한 것이다.
원래 금발인 정상 모발의 6개 다리[뉴욕 소재의 드메오 브러더스(DeMeo Brothers) 제품]를 각각 약 5.08cm(약 5인치) 길이의 약 0.2g 중량으로 만들었다.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였으나, 다리들을 긴장시키지 않고, 즉 이 다리들을 직선형으로 웨이빙시키고, 이 다리 중 3개를 각 중화제로 중화시켰다.
모발에 대한 양이온계 컨디셔너의 지속적인 잇점을 다음과 같은 3단계, 즉 (1) 중화 단계 직후 건조시킴. (2) 1단계 후에 계속하여 상업용 세정 샴푸로 1회 세척하고 다시 건조시킴, 및 (3) 2단계 후에 샴푸를 사용해서 2회 이상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로 총 3회 샴푸하여 평가하였다.
다리에 남아 있는 양이온계 컨디셔너의 양은 각 단계 후, 각 세트의 다리 중 하나를 1단계 직후에 pH 3.5까지 조절한 루빈(Rubine) 염료의 0.5% 수용액 중에서 5분 동안 약 20 : 1의 옥조 : 머리 비로 적신 후, 이어서 염색시킨 모발을 완전히 물로 헹구어 측정하였다. 이와 동일한 과정을 2단계 후 2번째 다리를 사용하여 행하고, 나머지 다리를 3단계 후 행하였다. 일단의 관찰자들에 의해 평가된 모발에 남아있는 루빈 염료의 색깔(적색을 띤 핑크색)의 강도는 모발에 결합된 양이온계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다.
루빈 염료 처리후의 모발의 색깔
Figure kpo00012
3회 샴푸 후 다리에 남아 있는 핑크색의 강도는 본 발명에 의한 중화제 조성물(실시예 1의 A)에 존재하는 양이온계 중합체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컨디셔닝 잇점을 설명해 주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업용 중화제(실시예 6의 B)에 존재하는 단분자체 4급 암모늄 화합물의 일시적인 컨디셔닝 잇점은 샴푸로 1회 세척하였을 때 실질적으로 제거되었다.
[실시예 10]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의 웨이브 강도 잇점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중화제 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얻어지는 유리한 퍼머넨트 웨이브 강도를 비교 설명한 것이다.
원래 갈색인 정상 머리와 염색한 머리(뉴욕 소재의 드데오 브러더스 제품)를 사용하여 각각 중량이 약 2g이고 길이가 약 5.08cm(약 5인치)인 일련의 다리를 만들었다. 염색한 머리는 정상적으로 갈색인 머리를 상업용 금발 머리 색조의 산화 염료 제품을 사용하여 이 제품의 사용 지시에 따라 연속적으로 3회 염색시킨 후, 각각 샴푸하여 만들었다.
정상 머리(N)와 염색한 머리(T)를 다리를 ″정규″ 강도 및 ″온화″ 강도로서 각각 지정된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함유 상업용 알칼리성 웨이빙 로숀을 사용하여 커얼러로 감고, 긴장시킨 후, 분리해서 웨이빙시켰다. 이것은 제품의 사용 지시에 따라서 행하되, 단 중화 단계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6의 중화 과정에 따라 행하고 커얼러로 감아서 긴장시킨 모발을 중화제와 5분 동안 접촉시키고, 이어서 모발에서 긴장을 제거시킨 후 약 1분 동안 모발을 처리했다. 각 계열의 다리에 대해서 사용한 중화제 및 웨이빙 후처리는 다음과 같다.
계열 1-실시예 1의 중화제 컨디셔너 조성물 A(pH 약 3.5)
계열 2-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계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수용성과산화수소 중화제(2.2중량%, pH 약 3.5).
계열 3-상기 계열 2에 기재한 과산화수소 중화제로 처리한 직후,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통상의 상업용 샴푸를 사용하여 세척하였음.
계열 4-상기 계열 2에 기재한 과산화수소 중화제로 처리한 직후, 인산을 사용해 pH 값을 약 3.5로 조절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실시예 1의 주 a) 0.6중량%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하였음.
상기한 중화제 단계 또는 웨이빙 후처리 직후, 커얼 또는 웨이브 강도를 각 다리를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알지 못하는 일단의 숙련된 5명의 평가자에 의해 등급을 정하였다. 위와 동일한 일단의 평가자들이 역시 웨이빙시킨 각 다리의 습윤 상태에서의 빗질의 용이성에 관해 등급을 정하였다. 평균 등급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3
* 등급 척도 : 5-우수 ; 4-양호 ; 3-보통 내지 양호 ; 2-불량 ; 1-극히 불량.
웨이브 강도에 관하여, 계열 1의 결과로 볼때, 본 발명의 의한 중화제 컨디셔너 조성물(실시예 1의 A)로 중화시킨 모발은 놀랍게도 계열 2에서 산화제만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더 강하고 균일한 커얼 수준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중합성 양이온계 중합체를 결합시키면 과산화수소의 산화 효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준다.
계열 3과 4의 결과로서 또한 과산화수소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웨이빙 시켜서 세척한 모발, 특히 염색하여 웨이빙시킨 모발은 웨이브 강도 및 빗질 용이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식 빗질 등급화에서 나타난 컨디셔닝 잇점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중화제 및 컨디셔너가 계열 1에서 약호 내지는 우수한 컨디셔닝 잇점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와 동일한 컨디셔닝 잇점은 계열 2에서 과산화수소 중화제 수용액이나 또는 계열 3 및 4에서 중화 처리후의 샴푸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았다.

Claims (14)

  1.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모발 웨이빙 과정 중 중화 단계에 유용한 산화제 0.5 내지 15중량% ;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계 계면활성제, 및 알파 C14-C18올레핀 술폰산염, 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아실 사르코신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및 N-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4중량% ; 및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0인 수용성 양이온계 중합체 0.05 내지 5.0중량%가 분산된 물로 이루어지고, pH가 2.5 내지 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중화 단계 동안에 인체 모발과 접촉됨에 따라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며, 약 80℃(약 176℉)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에도 산화제의 산 강도가 약 90% 이상 저장안정성이 있는, 균일하고 저장안정성이 있는 고발포성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및 컨디셔너(conditioner).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과산화수소 및 알칼리 금속 브롬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조성물이 약 80℃(약 176℉)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에도 산화제의 산화 강도가 약 90% 이상 저장안정성이 있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베타인 구조, 술타인 구조, 암포카르복실산염 또는 암포술폰산염 구조, 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 구조 및 아미노프로피온산염 구조를 갖는 약품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계 중합체가 (a) 트리메틸암모늄-치환 에폭시드와 반응시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 반응 생성물, (b)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c)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일중합체, (d)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중합체 반응 생성물, (e) 비닐 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와 디메틸 술페이트의 4급 암모늄 중합체 반응 생성물, (f)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 및 (g) 메틸비닐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와 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값을 아세트산, 아디프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산 또는 붕산, 염산, 황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산을 첨가하여 얻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값을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여 얻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pH 2.5 내지 5.0인 조성물 중에 0.5 내지 4.0중량%의 농도로 함유시킨 과산화수소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pH 4.0 내지 8인 조성물 중에 5 내지 15중량%의 농도로 함유시킨 브롬산나트룸 및 브롬산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브롬산염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베타인 또는 술타인 구조를 갖는 약품인 조성물.
    Figure kpo00014
    상기 식들 중, R1및 R2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것으로서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및 탄소 원자수 2 내지 3의 히드록시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고, R3는 탄소 원자수 8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R은 탄소 원자수 7 내지 17의 알킬기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R1과 R2가 모두 메틸기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중 R과 그와 결합된 카르복실기 RCO-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조성물.
  12. 물 ; 과산화수소 1.0 내지 3.0중량% ;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전 범위 내에서 쌍성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양성계 계면활성제 및 알파 C14-C18올레핀 술폰산염, 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아실 사르코신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및 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의 계면활성제 0.3 내지 2중량% ; 및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0인 수용성 막-형성 양이온계 중합체 0.2 내지 2중량%로 이루어지고 pH가 2.5 내지 4.5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 단계 동안에 인체 모발과 접촉됨에 따라 다량의 거품이 생성되며 약 80℃(약 176℉)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에도 산화제의 산화 강도가 적어도 약 90% 이상 저장안정성이 있는 모발의 웨이빙 과정 중 중화 단계에 사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저장안정성이 있으며, 고발포성인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13. 물 ; 브롬산 나트륨 8 내지 12중량% ; 쌍성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전점에서 쌍성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양성계 계면활성제 및 알파 C14-C18올레핀 술폰산염, 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C12-C18아실 사르코신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및 지방족 아실기가 C12-C18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N-지방족 C12-C18아실 타우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의 계면활성제 0.3 내지 2중량% ; 및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00인 수용성 막-형성 양이온계 중합체 0.2 내지 2중량%로 이루어지고, pH가 4.0 내지 8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중화 단계 동안에 인체 모발과 접촉됨에 따라 다량의 거품이 생성되며 약 80℃(약 176℉)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시킨 후에도 산화제의 산화 강도가 적어도 약 90% 이상 저장안정성이 있는 모발의 웨이빙 과정 중 중화단계에 사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저장안정성이 있으며 고발포성인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및 컨디셔너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방부제, 유백제, 점증제, 향료, 보조 발포 촉진제 및 보조 산화제 안정화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화장품 보조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860000812A 1985-02-07 1986-02-06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KR940001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908385A 1985-02-07 1985-02-07
US699,083 1985-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58A KR860006258A (ko) 1986-09-09
KR940001004B1 true KR940001004B1 (ko) 1994-02-08

Family

ID=2480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812A KR940001004B1 (ko) 1985-02-07 1986-02-06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61183214A (ko)
KR (1) KR940001004B1 (ko)
AU (1) AU587224B2 (ko)
CA (1) CA1266829A (ko)
ES (1) ES8704074A1 (ko)
GB (1) GB2170830B (ko)
IT (1) IT1190478B (ko)
NZ (1) NZ215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32B1 (ko) * 2005-01-28 2007-10-04 로레알 모발 트리트먼트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6043A (en) * 1985-09-13 1987-04-07 Richardson-Vicks Inc. Peroxide-containing conditioning shampoo
DE4131992A1 (de) * 1991-09-26 1993-04-01 Wella Ag Fixiermittel und verfahren zur dauerhaften haarverformung
DE4213520A1 (de) * 1992-04-24 1993-10-28 Henkel Kgaa Verfahren zur dauerhaften Verformung von Haaren
US6274126B1 (en) * 1998-08-21 2001-08-14 Helene Curtis, Inc. Composition for lightening and highlighting hair
FR2925307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irecte eclaircissante ou d'oxydation en presence d'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FR2925311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et 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approprie
FR2925323B1 (fr) 2007-12-21 2009-12-18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n presence d'un agent oxydant et d'une amine organique particuliere et dispositif
FR2936151B1 (fr) * 2008-09-23 2010-11-05 Oreal Procede d'elimination des odeurs dans un traitement de permanente ou de lissage au moyen d'un revetement de mousse.
EP2177203A1 (en) * 2008-10-20 2010-04-2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louring and perming compositions for hair
EP2177245A1 (en) * 2008-10-20 2010-04-2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for the permanent shaping of human hair
US7927381B2 (en) 2008-12-19 2011-04-19 L'oreal S.A. Process for lightening or lightening direct dyeing or oxidation dyeing in the presence of an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fatty substance, and device
JP5826454B2 (ja) 2008-12-19 2015-12-02 ロレアル モノエタノールアミン/塩基性アミノ酸混合物を含有する無水組成物を使用する、ヒトのケラチン繊維の明色化または染色、ならびにそのためのデバイス
FR2940077B1 (fr) 2008-12-19 2012-07-20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claircissante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lorante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FR2940090B1 (fr) 2008-12-19 2011-02-25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huile, un alcool gras et un alcool gras oxyalkylene
FR2940103B1 (fr) 2008-12-19 2011-06-10 Oreal Procede de coloration eclaircissante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comprenant un colorant e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BRPI0907294A2 (pt) 2008-12-19 2013-05-07 Oreal processo de clareamento ou de coloraÇço das fibras queratÍnicas e dispositivo com vÁrios compartimentos
FR2940067B1 (fr) * 2008-12-19 2011-02-25 Oreal Composition oxydante pour l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cationique, un amide gras et un agent-oxygene
FR2940100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la n,n bis (beta-hydroxyethyl)-paraphenylene diamine
FR2940079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 alcool gras solid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104B1 (fr) 2008-12-19 2011-08-19 Oreal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directe comprenant un agent oxydant et une composition contenant un agent alcalin
FR2940107B1 (fr) 2008-12-19 2011-03-18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emulsion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CN101822619B (zh) 2008-12-19 2014-03-26 莱雅公司 在无机碱存在下着色或色泽变淡的方法以及试剂盒
BRPI0907074A2 (pt) 2008-12-19 2013-05-07 Oreal processo de clareamento ou de coloraÇço das fibras queratÍnicas, composiÇço anidra e dispositivo com vÁrios compartimentos
FR2940092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amide ou ester
FR2940061B1 (fr) 2008-12-19 2011-03-04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derive de diaminopyrazolone.
FR2940108B1 (fr) 2008-12-19 2011-04-29 Oreal Procede d'eclaircissement de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agent alcalin et une composition oxydante
FR2940055B1 (fr) 2008-12-19 2015-03-27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le para-aminophenol, du dipropyleneglycol, et un precurseur de colorant additionnel.
FR2940078B1 (fr) 2008-12-19 2011-05-13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polymere cationiqu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102B1 (fr) 2008-12-19 2016-03-11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un epaississant et un precurseur de colorant d'oxydation
FR2940106B1 (fr) 2008-12-19 2013-04-12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silicate,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FR2940101B1 (fr) 2008-12-19 2011-02-18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derive 4,5-diaminopyrazole
FR2940105B1 (fr) 2008-12-19 2011-04-08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tensioactif oxyethylene particulier, procede de coloration la mettant en oeuvre et dispositifs
BRPI0911109B8 (pt) 2008-12-19 2017-05-30 Oreal processo de coloração ou de clareamento das matérias queratínicas humanas e dispositivo com múltiplos compartimentos
DE102009029183A1 (de) * 2009-09-03 2011-03-10 Henkel Ag & Co. Kgaa Dauerwellsystem
FR2954121B1 (fr) 2009-12-22 2016-03-25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n deux parties, comprenant un corps gras particulier et une reductone.
FR2954159B1 (fr) 2009-12-22 2012-02-10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agent alcalinisant et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oxydant, l'une ou l'autre des compositions pouvant contenir un corps gras
FR2954160B1 (fr) 2009-12-22 2012-03-30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ou d'eclaircissement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polymere amphotere
FR2954127B1 (fr) 2009-12-22 2015-10-30 Oreal Agent de coloration et/ou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n deux parties,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 agent sequestrant.
JP6420119B2 (ja) * 2010-02-10 2018-11-07 花王株式会社 染色又は脱色キット
JP2011184428A (ja) * 2010-02-10 2011-09-22 Kao Corp 染色又は脱色キット
GB2526570B (en) * 2014-05-28 2017-03-15 Herb Uk Ltd Hair styl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3095A (en) * 1982-02-08 1986-10-08 Bristol Myers Co Aqueous hair waving compositions and packages containing them
DE3207738A1 (de) * 1982-03-04 1983-09-08 Wella Ag, 6100 Darmstadt Mittel fuer die dauerhafte verformung von haaren
JPS59108710A (ja) * 1982-12-13 1984-06-23 Kao Corp 毛髪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32B1 (ko) * 2005-01-28 2007-10-04 로레알 모발 트리트먼트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25586A (en) 1986-08-14
IT8647623A0 (it) 1986-02-05
GB8603053D0 (en) 1986-03-12
JPS61183214A (ja) 1986-08-15
GB2170830A (en) 1986-08-13
ES8704074A1 (es) 1987-03-16
ES551711A0 (es) 1987-03-16
KR860006258A (ko) 1986-09-09
IT1190478B (it) 1988-02-16
AU587224B2 (en) 1989-08-10
GB2170830B (en) 1989-06-07
NZ215037A (en) 1989-01-06
CA1266829A (en) 199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004B1 (ko) 퍼머넨트 웨이브 중화제 조성물
US5332570A (en) Reducing solution for permanent wave
CA1268421A (en) Peroxide-containing conditioning shampoo
AU654076B2 (en) Method and composition to condition hair and impart semi-permanent hair set retention properties
US4795629A (en) Crosslinking of hair thiols using cystamine
US4812307A (en) Crosslinking of hair thiols using glutathione disulfide
US3728447A (en) Fatty acid lactylates and glycolates for conditioning hair
US6007585A (en) Hair brightening system
US4859459A (en) Method of shaping human hair using d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P0299764B1 (en) Hair treatment product
JPH02237907A (ja) 毛髪セット組成物
US5260054A (en) Cysteamine permanent wave composition and method
JPH01503297A (ja) 毛髪のパーマネント構造変形に使用する組成物
JPS58150506A (ja) 毛髪ウエ−ブかけ又はウエ−ブ伸ばしと同時に整髪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毛髪ウエ−ビング組成物
US7550137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waving and straightening hair
NZ195964A (en) Hair waving composition
US6378530B1 (en) Self-neutralizing permanent wave composition and method therefor
US5061483A (en) Permanent wave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transition metal oxide compounds
US4038995A (en)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mink oil fatty acid quaternary ammonium salt
EP0667141B1 (en) Permanent wave composition and method
GB2027080A (en) Permanent hair waving method
GB2153865A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restructuring hair
US6013249A (en) Hair manageability and styling composition and method
US5589163A (en) Permanent wave composition and method
JP3628981B2 (ja) 第1剤組成物、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剤及びその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