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928Y1 - 압축공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928Y1
KR940000928Y1 KR2019910001959U KR910001959U KR940000928Y1 KR 940000928 Y1 KR940000928 Y1 KR 940000928Y1 KR 2019910001959 U KR2019910001959 U KR 2019910001959U KR 910001959 U KR910001959 U KR 910001959U KR 940000928 Y1 KR940000928 Y1 KR 940000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ate member
dryer
seal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94U (ko
Inventor
유우죠오 이찌시따
Original Assignee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쯔지모또 마사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쯔지모또 마사유끼 filed Critical 닛뽄 에야 브레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5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축공기 건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가리키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의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가리키는 요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부재(基部材) 2 : 입구
3 : 출구 10 : 환상부
17 : 오일 분리기 21 : 판부재
23 : 건조제 24 : 용기
26, 61 : 밀봉 부재 36 : 커버 부재
41 : 감합부 60 : 주홈()
본 고안은 차량 등의 에어 브레이크 등의 공압작동회로의 압력원에 마련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로서는, 일본 실원평 1-61549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오일분리기 내장형으로서, 기부재(基部材)의 상면에 설치된 개구형 통부(筒部)내에 건조기의 저부측이 맞추어 끼워 넣어져 있고, 이 건조기의 아래쪽에 오일분리기를 수납하고 있고, 상기 통부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입구에 연통하는 상하방향 통로의 상단개구와, 상기 통부의 개구와 건조기의 주벽(周壁)간을 폐색(閉塞)하는 판부재를 기부재의 상기 상면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기부재의 상면에 판부재를 올려놓고, 압축공기를 오일분리기에 인도하는 방향 통로와 상기 통부의 개구와 건조기의 주벽간을 폐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통부의 상단과 판부재와의 사이, 이 통부의 내주면과 건조기 주벽(周壁)과의 사이에 밀봉부재를 개재하여 시일링(sealing)하고 있지만, 상기 통부의 상단과 판부재와의 사이를 시일링하는 밀봉부재와, 판부재의 내주단(內周端)의 상기 통부측의 면에 환상(環狀)의 절결부분을 형성하여 절결부분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판부재의 두께가 커질 뿐만 아니라, 밀봉부재의 장착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행하여진 것이며, 기부재의 상기 건조기 하부를 수납하는 통부재표면과 이를 폐쇄하는 판부재와의 사이를 시일링하는 밀봉부재의 장착성에 대해 상기 판부재의 두께를 늘리지 않고서도 향상 시킬 수가 있는 압축공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부재와 건조기 및 판부재와의 사이의 밀봉을 통부재의 홈부에 끼워 부착한 밀봉부재에 의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통부재와 판부재와의 사이를 시일링하는 밀봉부재를 통부재에 형성한 홈에 장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성은 좋고, 판부재에 장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판부재의 두께를 늘릴 필요가 없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은 기부재로서 외주면에 개구하는 입구(2)와 출구(3)을 갖는 대부(4)와 이 대부(4)에서 축소된 직경으로 아래쪽으로 뻗고 외주에 방열핀( fin)(5)을 형성한 통부(6)로 된 형상을 가지며, 대부(4)의 상면에 개구하여 있고, 통부(6)의 하단에 개구하는 공간(7)이 형성되어 있고, 통부(6)의 하단은 드레인 밸브(8)를 수납한 하측덮개부재(9)로 폐색되어 있다. 상기 공단(7)내에는 환상부(10)와 이 환상부(10)에서 축소된 직경으로 아래쪽으로 뻗는 통부(11)로부터 이루어지고, 통부(11)하단에 악상부(鍔狀部)(12)를 갖는 수납통부(13)가 악상부(12)에 연설(連說)하는 얇은두께의 부착부(12A)를 기부재(1)의 하단과 하측덮개부재(9)와의 사이에 협압고정되어서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통부(13)는 대부(4)의 공간주벽 및 통로(6)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입구(2)에 연락통로(2A)를 통하여 연통하는 통로(14)를 구획하고, 또한 하측덮개부재(9)의 상면凹부(9A)와의 사이에 통로로 되는 공간(15)을 구획하여 삽입되어져 있다. 이 통부(11)는 그 외주벽에 나선 형방열핀(11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보(14)는 나선형통로로 되어 있고, 이 통보(14)를 공간(15)에 연통하는 통보(16)가 악상부(12)에 형성되어 있다. 즉, 통로(14)는 상단측에서, 연락통로(2A)를 통하여 입구(2)에 연통하고 하단측에서 통로(16)를 통하여 공간(15)에 연통한다.
수납통(13)의 통부(11)에는, 오일분리기(17)가 수납되고, 이 오일분리기(17)는 케이싱(18) 하단의 플랜지부가 싸여져 있는 환체(環體)(19)를 플랜지부와 함께 통부(11) 하단에서 나사로 고정하여 통부(11)내에 지지되어 있고, 이 환체(19)는, 케이싱(18)의 하측개구에 감합하여 오일분리기 충전물(엘레멘트)를 싸는 펠트재(felt 材)를 떠받치고 있는 접시형 다공판(多孔板)(20)을 누르고 있다.
기부재(1)의 상면에는, 환상의 판부재(21)가 나사(21)로 고정되어 있고, 이 판부재(21)상에 스페이서(27)를 통하여 재생가능한 건조제(23)를 충전한 건조기의 용기(24)가, 그 하부의 축경통부(縮經筒部)(25)를 수납통부(13)의 환상부(12)내에 밀봉부재(26)를 통하여 감입하여 올려 놓여 있다. 축경통부(縮經筒部)(25)의 밑바닥은 다공벽으로서, 이 축경통부(25)내에 필터(28)를 수납하여 볼트(29)로 고정되어 있고, 이 필터(28)상에 다공판 및 펠트를 개재하여 건조제(23)가 충전되어 있다. 건조제(23)의 충전층의 상면에는 펠트재(30A) 및 다공판(30B)이 순차적으로 겹치게 되고, 이 다공판(30B)과 용기(24)의 뚜껑(31)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31)에는, 출구구멍(33)과 조름구멍(34)이 형성되고, 이 출구구멍( 33)의 외면측에서 폐색하는 체크벨트(35)가 부착되어 있다.
부호(36)은 커버부재로서 건조기의 용기(24)를 덮고, 대부(4)의 상면에서 나사(37)로 고정되어 있고, 용기(24)와의 사이에 재생용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38)을 구획하고 있다. 이 저장통(38)은 판부재(21)와 대부(4)에 형성된 연락통보(39)를 통하여 출구(3)에 연통하고 있다. 부호(40)은 푸셔금구(pusher金具)이다.
용기(2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축경통부(25)를 수납통부(13)의 환상부(10)내에 밀봉부재(26)을 통하여 감입되지만, 환상부(10)의 상단측근방의 내주벽에는 제2도에 확대하여 가리키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26)를 감착하기 위한 감합부(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부(41)는 내경(內徑)을 환상부(10)의 타부분 봇 대경(大徑)으로하고, 이 대경내주면에 돌부(41A)를 환상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이 돌부(41A)로부터 상방측의 내경이 아래쪽의 내경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재(26)는 이 凹凸면에 감합하는 외주면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환상의 상면 시일부(41a), 환상의 내면시일부(41b, 41c)를 갖고 있고, 감착상태이며, 상면시일부(41 a)가 판부재(21)의 하면에 압접하며, 내면시일부(41b, 41c)가 축경통부(25)의 외주면에 압접하여, 축경통부(25)와 용기(24) 및 판부재(21)와의 사이를 기밀상태로 밀봉하고 있다.
하측덮개부재(9)는 측주면에 개구하는 도시하지 않는 콘트롤포트(control port)와 이 콘트롤포트를 드레인벨브 수납통부(42)에 연락하는 도시치않는 연락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드레인밸브 수납통부(42)는 하측덮개부재(9)의 하면에 개구하고 있다. 드레인밸브 수납통부(42)는 또 하측덮개부재(9)의 드레인저장부(9B)에 연통하는 통로(42a)를 갖고 있다. 부호(43)은 밸브플러그로서, 밸브구멍(43a)과 이 밸브구멍(43a)에 개구하여 통로(42a)에 연통하는 반경방향의 통로(43b)를 갖고 있고, 밸브피스톤(44)을 내장하고, 수납통부(42)내의 감입되어 있다. 밸브피스톤(44)는 밸브스프링(45)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져서 수납통부(42)의 위 바닥과의 사이에 상기 콘트롤포트에 연통하는 제어실(46)을 구획하고 있으며 밸브피스톤(44)에는, 볼트(47 )에 의해 밸브체(4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밸브체(48)는 밸브구멍(43a)의 주부를 밸브자리로 하여, 통상시에는 이 밸브자리에 안착된다. 부호(49)는 배출통이고, 드레인밸브 수납통부(42)의 하단내주면에 지환(止環)(50)으로 멈추게 하고 있다. 부호(51) 내지 (58)은 링형의 밀봉부재이다.
그리고, 입구(2)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축기의 토출구에 연락되고, 출구(3)는 공지저장통으로 연락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공기압축기가 토출하는 압축공기는 입구( 2)에 도입되고, 입구(2)로부터 연락통로(2A)를 거쳐 상기한 나선형의 통로를 흘러 내려가서 공간(15)에서 오일분리기(17)에 들어가고, 이 오일분리기(17)내를 상승하여 이 상승과정에서 기름을 제거되어 수납통부(13)의 환상부(19)에 도달하고, 이 환상부 (10)에서 용기(24)의 다공바닥벽을 통하여 용기(24)내에 들어가고, 필터(28)로서 다시 수분등을 제거하여 건조제(23)의 층에 상승하고, 이 층을 상승하면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압축공기로 되고, 출구구멍(33)에서 저장통(38)에 배출된다. 저장통(38)에 배출된 건조압축공기는 이 저장통(38)을 충만시켜, 연락통로 (39)에서 출구(3)로 흐르고, 출구(3)에 연락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저장통에 유입한다. 이 공기저장통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의 상한압력에 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거버너(governor)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공기압축기에 언로드(unload)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이 언로드신호는 상기 콘트롤포트를 통하여 제어실(46)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밸브스피톤( 44)이 밸브스프링(45)에 대항하여 하강하며 벨브체(48)가 밸브자리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즉 드레인밸브(8)가 열리기 때문에 드레인저장부(9A)에 고여 있던 드레인이 급격기 용기(24)밖으로 배출되며, 그후 저장통(38)의 건조압축공기가 조름구멍(34)를 통하여 용기(24)내에 들어가고, 건조제 (23)의 층속을 건조제(23)를 재생시키면서 흘러 내려가서, 필터(28) 오일분리기(17)를 통하여 서서히 대기중으로 배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기의 용기(24)의 바닥측을 감합하는 수납통부(13)의 환상부(10)의 상단면과 판부재(21)와의 사이를, 환상부(10)에 감착한 밀봉부재(26)로 시일링하기 때문에, 판부재(21)에 밀봉부재를 감착하기 위한 절결형 부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판부재(21)의 판두께를 불필요하게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고, 밀봉부재(26)는 상기 종래와 같은 절결형 부분이 아닌 감합부(41)에 감착하기 때문에, 확실히 안정된 상태로 장착할 수가 있으므로, 장착불량에 의한 밀봉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가리킨 것이며 건조기의 용기(24)의 바닥측을 감합하는 수납통부(13)의 환상부(10)의 상단면과 판부재(21)와의 사이의 시일은, 환상부(10)의 상단면에 주홈()(60)을 형성하고 이 주홈(60)에 밀봉부재(61)를 감착하여 행하고, 환상부(10)의 내주면과 축경통부(25)와의 사이의 시일은 종래와 동일하게 환상부(10)의 내주면에 감착한 밀봉부재(62)로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판부재(21)에 밀봉부재를 감착하기 위한 절결형부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기의 바닥부를 감입하는 부분을 갖는 기부재측과 이 기부재측의 상기 凹凸부분을 폐색하는 판부재와의 사이의 시일을 상기 기부재측에 감착한 밀봉부재로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판부재측에는 밀봉부재를 마련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판부재측에 밀봉부재장착용 절결부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판부재의 판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얇게하여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데다가, 밀봉부재의 장착성을 좋게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공기압축장치에 연락되는 입구와 공기저장통에 연락되는 출구를 형성한 기부재와, 기부재의 중앙부에 입구로 연락되도록 형성된 상부개구형 공간과, 이 공간에 배치되어 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하부에서 도입하여 상부에서 송출통과하는 공기에서 기름분을 제거하는 오일분리기와, 오일분리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부와, 상기 기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판부재와, 이 판부재의 상방으로부터 판부재를 관통하여 통부에 하반부를 감합시켜서 부착하고 내부에는 통과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제를 수용한 건조기와, 이 건조기를 덮고 기부재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갖추고 있고, 통부재와 건조기 및 판부재와의 사이를 각각 밀봉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이 통부재의 홈부에 끼워붙인 밀봉부재에 의하여 행하도록 한 압축공기 건조장치.
KR2019910001959U 1990-02-20 1991-02-08 압축공기 건조장치 KR9400009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177 1990-02-20
JP1990015177U JPH03105918U (ko) 1990-02-20 1990-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94U KR910015194U (ko) 1991-09-25
KR940000928Y1 true KR940000928Y1 (ko) 1994-02-25

Family

ID=1188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959U KR940000928Y1 (ko) 1990-02-20 1991-02-08 압축공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105918U (ko)
KR (1) KR9400009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8515B2 (ja) * 2004-12-28 2010-12-15 有限会社加藤損保 自動車用日除け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94U (ko) 1991-09-25
JPH03105918U (ko) 199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4385A (en) Air dryer device for compressed air system of vehicle
US5622544A (en) Air dryer cartridge with filter retainer
JP3812595B2 (ja) エアドライヤカートリッジ取り付けシステム
US5607500A (en) Desiccant air dryer with combined attachment and air flow management component
US7892329B2 (en) Air dryer cartridge
US7678177B2 (en) Membrane air dryer and sweep valve
JPS6323948Y2 (ko)
US7691163B2 (en) Vehicle air dryer
EP1048541A1 (en) Air desiccant canister
KR940000928Y1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JPH0414804A (ja) 隔膜式コンサベータの呼吸装置
KR900006426B1 (ko) 압축 공기 압력원
JP3950222B2 (ja) 吸湿呼吸装置
JPH0611060Y2 (ja) ドレン分離装置
JP2000114061A (ja) 吸湿呼吸装置
JP6144154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H0639782Y2 (ja) 圧縮空気圧力源装置
JPH0742493Y2 (ja) 圧縮空気乾燥装置の再生弁部の構造
KR900006425B1 (ko) 압축 공기 건조 장치
JPS64991Y2 (ko)
JP2549087Y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3093311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S6344096Y2 (ko)
JPH0545381Y2 (ko)
JPH067777Y2 (ja) エアドライ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