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73Y1 -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73Y1
KR940000673Y1 KR2019910022446U KR910022446U KR940000673Y1 KR 940000673 Y1 KR940000673 Y1 KR 940000673Y1 KR 2019910022446 U KR2019910022446 U KR 2019910022446U KR 910022446 U KR910022446 U KR 910022446U KR 940000673 Y1 KR940000673 Y1 KR 940000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piston
fixe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475U (ko
Inventor
이제욱
권익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재학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673Y1/ko
Publication of KR930013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2Clutch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0Brak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
첨부 도면은 전체 조립 단면도임.
본 고안은 주로 동력 기계식 프레스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력 전달 장치 즉, 클러치/브레이크(이하 동일 표기)에 있어서는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결합형으로 클러치/브레이크의 외형 소형화의 목적은 달성하였지만 빈번한 동작에 의한 발열 현상을 동봉하기에 습식구조(오일 중에서 클러치와 브레이크 작동체를 동작시키는 구조)의 수용을 일반화 하였다.
이런 종래 제품의 일례로 미국 특허 3614999가 있고, 이는 밀봉된 하우징내의 오일 중에서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쿨링이 우수한 장치이다. 하지만 샤프트의 중간에 고정환체를 설치하고 그 외주에 피스톤 및 실린더부등을 위치하고 좌우로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설치하므로서, 내부가 복잡해지고 외형의 크기가 장대화 하고 있고, 따라서 내부 관성 에너지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샤프트의 중심부에 급기관을 설치하므로서 샤프트의 강성을 취약하게 하고 있고, 비가공물의 리브를 회전체에 위치하므로서 고속 회전 운동의 불평형을 이루어 기계 전체에 진동의 위험이 있다.
본원고안은 이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우수하게 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개요를 아래에서 설명하여 본다.
우선 본 고안의 주요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첨부한 단면도에서 압축공기 전용 급기관(43)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흐르게 되면 하우징2(41) 내부에 있는 피스톤(40)이 좌측으로 밀리고 이는 곧 입력판(29)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36)의 힘을 이기고 입력판(29)을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입력판(29)과 압력판(27) 사이에 설치된 격리금(25)에 의해 압력판(27)도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압력판(27)과 고정환체(28) 사이에 협압되었던 마찰재(33) (37)는 해방되고, 입력판(29)과 고정환체(28) 사이의 마찰관(34) (38)은 협압되어 플라이휘일(20)의 동력을 전달한다. 이와 반대로 압축공기가 실린더(45)내에서 배기하게 되면 피스톤(40)은 허브(26)내에 있는 복수개의 스프링(36)의 힘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면서 입력판(29)과 압력판(27)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입력판(29)과 고정환체(28) 사이의 마찰관(34) (38)은 해방되고, 압력판(27)과 고정환체(26) 사이의 마찰관(33) (37)은 혈압되어 샤프트(14)가 제동되고 전달 동력은 차단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 하였으며 종래 문제점에 대비, 급기관(43)을 별도로 설치하여 샤프트(14)의 감성 및 기밀과 유밀을 보장하며, 실린더부(45)를 작동체(47)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서 내부를 단순화하고, 작동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관성 에너지를 현저하게 절감시켜 클러치/브레이크의 반응 시간을 최소화 하고 있으며, 더욱이 클러치/브레이크의 핵심인 작동체(47)를 외부에서 조립하여 단순하게 샤프트(14)에 끼우게 되어 있다. 또 외주의 모든 회전물은 가공되고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서 회전 운동의 평형을 이루어 기계의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원에서 제품의 구조 및 작동 예를 상세히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스기 일부분인 보지판(11)에 장탈착이 자유로운 브라케트(12)의 보스부(13)에 프레스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샤프트(14)가 관통하여 베어링(15)을 끼우고, 전기 보스(13)의 외측에 베어링(21)을 설치 외륜에 끼워 대기에 노출한 하우징(17)을 삽입하고 하우징1(17)의 외측에 플라이휘일(20)을 고정하며, 그 플라이휘일(20)에 역시 대기에 노출하는 하우징2(41)을 고정한다. 이 하우징2(41)의 내부 하단과 전기의 샤프트(14)를 연장하여 베어링(48)을 끼우고, 샤프트(14)의 끝단으로서 베어링 내륜을 고정한다. 전기 하우징2(41)에 샤프트(14)를 감싸며 밀봉하는 급기관(43) 전용 플레이트 커바(42)를 고정하면서 전기 하우징1(17), 플라이휘일(20), 하우징2(41), 플레이트 커바(43)의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하며 전기의 샤프트(14)를 중앙으로 하나의 공간(35)을 형성한다.
또 전기 플라이휘일(20) 외주에는 적절한 위치에 벨트 홈(50)을 형성하고 벨트(19)을 걸쳐서 프레스의 어느 위치에서의 모타로부터 동력을 벨트(19)를 통하여 전달받는다.
상기 하우징2(41)의 내벽에는 급기관(43)의 전면에 실린더(45)를 형성하도록 하여 샤프트(14)에 방사상으로 피스톤(40)을 설치하고, 좌우 방향 이동을 보장하며 그 전면에는 후술하는 작동체(47)와 사이에 베어링(31)을 설치하여 실린더(45)의 회전 운동을 플라이휘일(20)로 종속시키며, 실린더(45) 중앙부에 복수개의 스프링(44)을 설치하여 균일한 좌우 운동을 보장하면서 전기베어링(31)의 틈새를 유지하여 베어링 운동을 보장한다.
전기 보스(13)의 외주에 설치된 베어링(21)의 내륜을 고정하면서 보스(13)에 고정되는 지지판(16)을 전기공간(35)에 위치시키며, 지지판(16)의 일정외원에 복수개의 핀(51)을 설치하여 후술하는 작동체(47)의 일부를 구속하며 또한 전기 공간(35)중의 플라이휘일(20)의 내부 하단에 복수개의 핀(52)을 설치하여 후술하는 작동체(47)의 일부를 구속한다.
전술한 베어링(48)과 샤프트(14)의 단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도록 격리체(30)를 두고 작동체(47)의 모체가 되는 내치와 외치를 가진 허브(26)를 설치하고 그 전부에는 압력판(27)을 후부에는 전기 베어링(31)과 접촉하는 입력판(29)을 두면서 허브(26)를 관통하는 격리금(25)을 입력판(29)과 압력판(27) 사이에 두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동일 운동을 하도록 고정한다.
또 허브(26)의 일부를 이용 스프링(36)을 배치하여 입력판(29)을 통해서 입력판(27)과 베어링(31)에 항상 동일 방향으로 부세토록 되어 있으며 허브(26) 외치의 일부에 고정환체(28)를 설치하여 입력판(29)과 압력판(27)의 상대 고정편이 되게 하고 입력판(29)과 압력판(27)을 통하여 전달되는 샤프트(14) 축심 방향의 힘을 허브(26) 자체내에서 혹은 샤프트(14)로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베어링(48)에 힘이 걸리도록 한다. 또 압력판(27)과 고정환체(28) 사이에는 외곽에 구멍 또는 외치를 가진 마찰관(33)과 내치를 가진 마찰관(37)이 복수개로 상호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16)에 귀속되며 또 다른 한편은 허브(26)의 외치에 부합되어 장착되고 전기 지지판(16), 마찰판(33) (37), 허브(26) 일부, 압력판(27), 고정환체(28)로서 브레이크부(45)를 구성한다.
또 입력판(29)과 고정환체(28) 사이에도 외곽에 복수개의 구멍 또는 외치를 가진 마찰관(34)과 내치를 가진 마찰관(38)이 복수개로 상호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전술한 바와같이 플라이휘일(20)의 하부에 배속되며 또 다른 한편은 허브(26)의 외치에 부합되어 상기 고정환체(28), 입력판(29), 허브(26) 일부, 마찰판(34) (38), 플라이휘일(20)일로부터 클러치부(46)를 구성하며 전기의 브레이크부(45)와 결합되어 클러치/브레이크 작동체(47)를 형성하며 이런 구조는 클러치/브레이크의 핵심인 작동체(47)를 외부에서 간단히 조립하여 점검후 샤프트(14)에 손쉽게 끼울수 있고 전기 공간(35)을 채운 오일속에서 작동하므로 빈번한 운동의 마찰발열에도 성능을 보호할 수 있다.
또 공간(35)내 채워진 오일은 전기 하우징(17), 플라이휘일(20), 하우징2(41), 프레이트 커바(42)의 일체화에 의해 밀봉이 되어 뉴우현상을 완전히 방지하고 있으며 피스톤(40)의 변화로 인한 공간(35)의 압력변화와 하우징1(17)과 보스(13) 사이의 회전을 보스(13)를 관통하여 대기로 연결하는 블레이드 구멍(18)과 씨일(22)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또 플라이휘일(20)의 유효 공간을 이용하여 가공된 리브(53)재를 상호 대칭으로 설치하여 하우징1(17), 하우징2(41)를 통한 공기 순환으로 오일 냉각을 유도하고 있다.
급기관(43)에서 실린더(45)에 압력 공기가 보급되지 않을때는 허브(26)내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36)에 의해 압력판(27)과 고정환체(28) 사이의 마찰판(33) (37)이 협압되어 지지판(16)을 통해 보지판(11)에 의해 제동되면서 동시에 베어링(21) (31) (48)을 통해서 플라이휘일(20)은 공회전을 하며, 급기관(43)에 압력공기가 보급되면 실린더(45)내 피스톤(40)에 의해 협압되었던 마찰판(33)(37)은 해방되고 입력판(29)과 고정환체(28) 사이의 마찰판(34)(38)이 협압되어 플라이휘일(20)의 동력을 허브(26)를 통해 회전축으로 전달된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급기관(43)을 통하는 압력 공기에 의해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분명한 별개 동작이 보장되며,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공용 허브(26)를 통한 작동체(47)의 조립이 간편하며, 별도의 오일통을 삭제하여 외형 크기를 축소시켰고, 마찰력을 위한 가압력을 허브(26) 자체내 또는 한개의 베어링에 작결도록 하였으며 운동 에너지에 관련한 요소를 축소 또는 보강하여 클러치 시간과 브레이크 시간을 최소화 하였고, 외주 운동체의 일체화를 통하여 누유를 방지하며 내부 압력 변화 및 발열 현상을 방열구조를 통해 보장하면서 프레스 기게와 장탈착을 손쉽게 하고 있다.

Claims (4)

  1. 내치와 외치를 가진 허브(26)에 고정환체(28)를 외주 일부분에 설치하고 좌우로 각각 압력판(27)과 압력판(29)을 위치하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격리금(25)을 두며 압력판(27)과 고정환체(28) 사이에는 외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가진 마찰판(33)과 내치를 가진 마찰판(37)을 상호 교대로 배치 접속시키며, 압력판(29)과 고정환체(28) 사이에도 외치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가진 마찰판(34)과 내치를 가진 마찰판(38)과 내체를 가진 마찰판(38)을 상호 교대로 배치시키고, 허브(26)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6)은 입력판(29)에 접촉하여 압력판(27)을 부새하도록 하여 클러치부(46)와 브레이크부(45)를 구성한 작동체(47)를 프레스기 일부에 고정된 브라켓트(12)의 보스(13)를 관통한 샤프트(14)의 외주에 조립 배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브라켓트(12)의 보스(13) 주위에 베어링(21)을 설치하여 회전을 자유롭게 한 하우징1(17)을 배치하고 전기 브라켓트(12)의 보스(13)에 고정시킨 지지판(16)에 전기 작동체(47)의 마찰판(33)을 접촉하고, 회전이 자유로운 하우징1(17)에 고정시킨 플라이 휘일(20)에 전기 작동체(47)의 마찰판(34)을 접속시켜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한 유닛트를 구성시켜서 된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기재에 있어서, 플라이 휘일(20)에 고정한 하우징2(41)의 내부에 전기작동체(47)와 분리 운동하며 전기의 회전축(14)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피스톤(40)을 축에 수직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피스톤(40)과 작동체(47) 사이에 베어링(31)을 설치 피스톤(40)부의 회전을 자유롭게 만들며, 피스톤(40)과 하우징2(41)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44)에 의해 베어링(31) 틈새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우징2(41) 내부 하단에 전기 샤프트 (14)의 단부와 함께 베어링(48)을 설치하여 회전을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45)에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관로로 샤프트(14)와 분리한 전용 프레이트 커바(42)를 설치하여 회전체와 항상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 씨일 없이 실린더(45)에 직결함으로서 기밀, 유밀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1항 및 제2항 기재에 있어서, 플라이 휘일(20) 및 하우징1(17), 하우징(14)의 회전체에 부착하여 공기 강제순환에 의한 내부열의 방사 목적으로 설치되는 리브재(53) 및 내부 압력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2019910022446U 1991-12-17 1991-12-17 동력 전달 장치 KR940000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446U KR940000673Y1 (ko) 1991-12-17 1991-12-17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446U KR940000673Y1 (ko) 1991-12-17 1991-12-17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475U KR930013475U (ko) 1993-07-26
KR940000673Y1 true KR940000673Y1 (ko) 1994-02-14

Family

ID=1932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446U KR940000673Y1 (ko) 1991-12-17 1991-12-17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6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26B1 (ko) * 2000-12-29 2006-12-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26B1 (ko) * 2000-12-29 2006-12-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475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907A (en) Wet type clutch/brake device mounted in a flywheel
US3680666A (en) Motor brake unit
JP5174899B2 (ja) レール車両ブレーキのブレーキキャリパ装置
KR20010042486A (ko) 분리형 플라이휠
JPS63285342A (ja) クラッチ・ブレーキ装置
US4418807A (en) Friction interface unit for a clutch and a brake
GB2082681A (en) Drive arrangement for a rotary compressor
KR940000673Y1 (ko) 동력 전달 장치
US3599760A (en) Spring set fluid release brake
JP3074030B2 (ja) 流体式リターダ装置
JPS6165923A (ja) クラツチ・ブレーキ装置
JPH0359796B2 (ko)
CN220416047U (zh) 一种气动湿式离合器
JP2620592B2 (ja) 電動モータ
JPS601298Y2 (ja) 回転軸支持装置
JPH0361559B2 (ko)
JP200651423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
GB2066584A (en) Electric motors
JP3738572B2 (ja) 渦電流減速装置
EP4030066B1 (en) Rotary shaft sleeve for cross-flow fan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214256011U (zh) 高效密封隔离振动电机
CN110803152B (zh) 一种制动装置及拖拉机
JPH0318080Y2 (ko)
JPH0626103Y2 (ja) 刈払機
JPH08182256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を備える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