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08B1 - 테이프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08B1
KR940000608B1 KR1019850006363A KR850006363A KR940000608B1 KR 940000608 B1 KR940000608 B1 KR 940000608B1 KR 1019850006363 A KR1019850006363 A KR 1019850006363A KR 850006363 A KR850006363 A KR 850006363A KR 940000608 B1 KR940000608 B1 KR 94000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alf
bottom wall
groove
molten resin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817A (ko
Inventor
데쓰오 마찌다
가즈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3256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006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85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카세트
제1도 ~ 제4도는 본원 발명을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두 리일의 일부를 없애고 표시한 하반부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II-II 선에서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하반부의 성형(成形)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金型)을 포함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도와 같은 확대 단면도.
제5도 ~제7도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의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5도는 저면도.
제6도는 제5도 Ⅵ-Ⅵ선에서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하반부의 성형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 : 카세트 상자체 2 : 상반부
3 : 하반부 3a : 저면벽 내면
3b : 저면벽 외면 4 : 리일
10 : 하플랜지 15 : 가이드홈(홈부)
22 : 융기부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와 같은 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테이프카세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합성수지의 사출성형(射出成形)에 의해서 성형된 상하반부로 된 카세트 상자체와, 이 카세트 상자체 내에 회전자재로 수납되며 또한 적어도 하플랜지를 가진 리일과, 상기 하반부의 저면벽 외면에 형성된 홈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저면벽 외면의 상기 하플랜지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하고 있는 테이프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이 종류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의 종래예를 제5도 ~제7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5도와 제6도에서 카세트 상자체(1)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상하반부(2),(3)이 상하로부터 끼워 맞추어져서 비스 등으로 일체로 결합되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상자체(1)내에는 좌우 한쌍의 리일(4)이 각각 회전자재로 수납되어 있고 이들 두 리일(4)에 자기테이프(5)가 감겨 있다. 그리고 카세트 상자체(1)의 앞면 트인곳(6)쪽에는 앞덮개(7)가 회동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자기테이프(5)는 좌우 한상의 테이프 가이드(8)로서 안내되어 앞덮개(7)의 내측으로 따라 앞면 트인곳(6)을 횡단하는 상태로 건너질러져 있다.
그리고, 카세트 상자체(1)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두 리일(4)은 상플렌지(9)와 하플렌지(1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 리일(4)의 중앙부의 하단부에 돌설된 링형상의 끼워맞춤부(11)가 하반부(3)의 저면벽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리일 끼워맞춤구멍(12)에 회전자재로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반부(2)의 윗면벽과 두 리일(4)의 상플렌지(9)와의 사이의 공간부분에는 판스프링(13)이 끼워져 있다. 이 판스플링(13)은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상반부(2)의 윗면벽 내면(2a)에 고정되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두 리일(4)의 윗면중앙부를 윗쪽에서 누르고 있다. 따라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 리일(4)은 끼워맞춤부(11)가 리일끼워맞춤구멍(12) 내에 있어서, 하플랜지(10)의 하면(10a)이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카세트 상자체(1)의 하반부(3)의 저면벽 외면(3b)에는 그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이드홈(15)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홈(15)은 카세트 상자체(1) 내에 수납되어 있는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에 대향하는 영역을 리일끼워맞춤구멍(12)의 후방에서 가로지르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에서는 테이프카세트가 비데오 테이프레코우더에 삽입될 때의 가이드로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7도에 표시한 경우는 하반부(3)의 저면벽의 두께(t1)는 2mm이며, 가이드홈(15)은 이 하반부(3)의 저면벽의 외면(3b)에 폭(ω1)이 3mm, 깊이 (t2)가 1.5mm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5)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6)은 비데오 테이프레코우더에 형성되어 있는 리일 로크해제핀(도시생략)의 삽입구멍이다.
그러나, 상기 하반부(3)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된다. 즉, 제7도는 이 하반부(3)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가이드홈(15)의 근처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한쌍의 금형(18a),(18b)중 한쪽의 금형(18b)에는 가이드홈(15)을 형성하기 위한 돌조(突條)(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금형(18a),(18b)내에 사출용 게이트(20)에서 용융수지가 사출된다. 이 용융수지는 한쌍의 금형(18a),(18b)의 사아에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내에 충전되고, 이 충전된 수지가 냉각되어 고체화되므로서, 가이드홈 (15)을 가진 하반부(3)가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테이프카세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현재, 일반가정과 회사 등에서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의 보급율이 향상되는 중에서 시장에서는 값싼 테이프카세트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테이프카세트를 생산성의 향상에 의해 대량 생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생산성 향상에 있어서 종래부터 장해가 되어 온 것은 하반부(3)의 성형효율의 저하였다.
즉, 하반부(3)의 사출성형을 할 경우, 제5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반부(3)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후방에 가깝게 배치되는 사출용 게이트 (20)로부터 용융수지가 화살표(a)방향으로 방사형상으로 유동해서 하반부(3)이 성형된다. 그리고, 이때,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형(18b)의 돌조(19)에 의해서 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가이드홈(15)을 형성하기 위한 돌조(19)에 의해서 가이드홈(15)의 상부가 얇기 때문에 용융수지의 일부는 제7도에 화살표(b)방향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유동상태로 되고이 용융수지의 유동이 상기 얇은 부분에서 현저하게 규제되어, 이 용융수지의 유동속도가 극단적으로 지연되고 있었다. 이 결과, 하반부(3)의성형에매우 시간이 걸리고 이 하반부(3)의 성형효율이 현저하게 나빠져 있었다.
그리고, 용융수지의 유동속도를 높이기 위해 용융수지의 사출 압력을 크게 하면 가이드홈(15)의 상부의 얇아진 부분 이외에서의 용융수지의 압력이 과대해지므로, 용융 수지가 고체화 했을 때에 하반부(3)이 한쌍의 금형(18a),(18b)에 달라 붙은 채로 이들 금형(18a),(18b)에서 떨어지지 않는 불편이 생긴다. 또 사출용 게이트(20)에서 용융수지를 사출하도록 하면 각각의 사출용 게이트(20)에서 사출된 용융수지의 유동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용융수지가 고체화했을 때에 수지의 경계선, 소위 웰드라인(weld line)이 생긴다. 이 웰드라인은 하반부(3)에 할퀸자국 같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바한부(3)의 강도도 저하하므로 용융수지를 사출하기 위한 사출용 게이트(20)는 1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하반부를 성형할 때에 특히, 사출입력을 크게하거나 사출용 게이트를 2개 이상 설치하지 않아도 하반부의 성형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해서 성형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상기 하반부의 성형시에 사출되는 용융수지의 상기 홈부 근처에서의 유동을 좋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반부의 저면벽 내면에 융기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하반부를 성형할 때에 홈부에 대응하는 하반부의 저면벽 내면에 형성된 융기부의 존재에 의해 홈부의 상부두께가 확보되므로 홈부 근처에서의 용융수지의 유동이 매우 양호하게 되어 하반부의 성형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이하, 본원 발명을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1도~제3도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 발명의 테이프카세트에서는 하반부(3)의 저면벽 외면(3b)의 가이드홈(15)에 대응해서 그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에 융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22)는 양 리일(4)의하플랜지(10)의 하면(10a)에 대향하는 영역이며, 또한 그 하플랜지(10)의 하면(10a)의 외주부를 제외한 부분에 가이드홈(15)을 걸터타고 윗쪽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융기부(22)는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한 폭(ω2)이 7mm~8mm, 돌출높이(t3)가 0.10mm~0.14mm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돌출높이는 일반적으로 0.05mm~0.5mm일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도~제3도에서 상기 융기부(22)와 후술하는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의 하면에 형성된 철부(凸部)(24) 이외의 구조는 제5도~제7도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그러나, 하반부(3)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한쌍의 금형(18a),(18b)내에서 성형되나, 한쌍의 금형(18a),(18b)중의 한쪽의 금형(18a)에는 융기부(22)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凹部)(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금형(18a),(18b) 내에 사출용 게이트(20)에서 용융수지가 사출되면, 용융수지의 일부는 제3도에서 화살표(c)방향으로 유동하므로 돌조(19)와 요부(23)에 의해서 가이드홈(15)과 융기부(22)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15)의 상부에 융기부(22)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23)에 의해서 가이드홈(15)의 상부 두께가 확보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용융수지의 화살표(c)방향으로의 유동속도가 상기 돌조(19)의 존재에 의해서 극단적으로 지연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하반부(3)의 성형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고 이 하반부(3)의 성형효율은 형저하게 향상한다. 더욱이 용융수지의 사출압력을 크게 하거나, 사출용 게이트(20)을 2개 이상 설치할 필요가 특별히 없으므로, 한쌍의 금형(18a),(18b)에 하반부(3)가 달라붙거나, 하반부(3)에 웰드라인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은 전혀 없다.
한편,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에 형성된 융기부(22)에 대해서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의 하면(10a)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철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철부(24)는 하플랜지(10)의 하면(10a)의 외주부에 고리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철부(24)의 돌출높이(t4)는 예를 들면 0.2mm라도 된다. 따라서, 철부(24)에 의해서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의 하면(10a)은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으로부터 떠올라서 이 하면(10a)과 저면벽 내면(3a)과의 사이에는 그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t4)의 간격을 틈새(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틈새(25)내에 상기 융기부(22)가 위치하고 또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2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철부(24)에 의해서 에워싸여진 영역에 위치한다.
즉 융기부(22)는 두 리일(4)이 회전할 때에 요부(24)의 회전궤적 외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융기부(22)가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의 하면(10a)에 당접하는 일 없고, 따라서 융기부(22)가 두 리일(4)의 회전에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그리고 융기부(22)의 상기 돌출높이(t3)는 틈새(25)내에서 융기부(22)가 하플랜지(10)의 하면(10a)에 당접하기 않는 범위에서 용융수지의 유동을 좋게 하는 0.10mm~0.14mm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4도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융기부(22)가 리일끼워맞춤구멍(12)으로 향해서 외측에서 내측에 걸쳐 낮아지게 경사져서 단면이 거의 3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융기부(22)도 제1도에 표시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융기부(22)의 상단면의 최대 돌출높이(t5)는 상기 제1도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0.10mm~0.14mm 정도면 된다.
이 제2 실시예에 다르면, 두 리일(4)이 판스프링(13)에 의해서 윗쪽에서 필요이상으로 눌려서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에서 중앙부에 걸쳐서 경사지고, 하플랜지(10)의 하면(10a)과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과의 틈새(25)의 단면이 거의 3각형상으로 되는 일이 있어도 하반부(3)의 저면벽 내면(3a)의 융기부(22)의 단면이 거의 3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융기부(22)가 하플랜지(10)의 하면에 당접할 염려는 전혀 없다.
그리고 융기부(22)의 상단면의 경사상태는 상기와 같이 하플랜지(10)가 경사졌을 경우에 그 하플랜지(10)의 하면(10a)의 경사에 대해서 평행으로 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 융기부의 폭(ω3)의 두 리일(4)의 하플랜지(10)의 반경에 대응해서 예를 들면 15mm~20mm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사출용 게이트(20)에서 가이드홈(15)으로 향해서 하반부(3)의 두께가 점차 두터워짐으로 용융수지의 유동은 매우 원활하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각종 유효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융기부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위치와 형상에 한정됨이 없이 가이드홈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해서 각종의 유효한 위치와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플랜지의 하면의 철부를 고리형상의 철부에 의해서 구성해서 하플랜지의 하면과 하반부의 저면벽 내면과의 사이에 저면적으로 틈새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철부는 부분적인 돌기라도 되고, 또는 하플랜지의 하면에 전면적 또는 융기부에 대응한 부분적인 요부를 형성하여 전면적 또는 부분적인 틈새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상기 2개의 실시예에서는 두 리일형의 테이프카세트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은 하나의 리일형의 테이프카세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우더용 테이프카세트에 한정됨이 없이 기타 각종의 기록재생장치와 정보처리장치용의 테이프카세트에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하반부를 성형할 때에 흠부에 대응하는 하반부의 저면벽 내면에 형성된 융기부의 존재에 의해서 홈부 근처에서의 용융수지의 유등이 매우 좋아지므로 특별히 사출압력을 크게 하거나 사출용 게이트를 2개 이상 설치하거나 하지 않아도 하반부의 성형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해서 성형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카세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값싼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의 사출성형(射出成形)에 의해서 성형된 상하반부로 이루어지는 카세트 상자체와, 이 카세트 상자체 내에 회전자재로 수납되며 또한 적어도 하플랜지를 가진 리일과, 상기 하반부의 저면벽 외면에 형성된 홈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저면벽 외면의 상기 하플랜지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하고 있는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반부의 성형시에 사출되는 용융수지의 상기 홈부근처에서의 유동을 좋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반부의 저면벽 내면에 융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KR1019850006363A 1984-09-17 1985-08-31 테이프카세트 KR940000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94507 1984-09-17
JP59194507A JPS6173290A (ja) 1984-09-17 1984-09-17 テ−プカセツト
JP194507 1984-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817A KR860002817A (ko) 1986-04-30
KR940000608B1 true KR940000608B1 (ko) 1994-01-26

Family

ID=1632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363A KR940000608B1 (ko) 1984-09-17 1985-08-31 테이프카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06149A (ko)
EP (1) EP0175347B1 (ko)
JP (1) JPS6173290A (ko)
KR (1) KR940000608B1 (ko)
AT (1) ATE53457T1 (ko)
CA (1) CA1248225A (ko)
DE (1) DE3578102D1 (ko)
ES (1) ES8609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179U (ko) * 1985-12-16 1987-06-27
JPH0519894Y2 (ko) * 1986-04-24 1993-05-25
JPH0528628Y2 (ko) * 1987-07-14 1993-07-22
JPH0743827Y2 (ja) * 1987-12-29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DE3923898A1 (de) * 1989-07-19 1991-01-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aeuses einer magnetbandkassette
US5092537A (en) * 1989-10-05 1992-03-03 Gigatek Memory Systems Spring-loaded tape spool for belt-driven cartridge
US5114092A (en) * 1991-01-10 1992-05-19 Paul J. Gelardi Low cost video cassette
US5201476A (en) * 1990-05-11 1993-04-13 Paul J. Gelardi Welded video cassette
AU664536B2 (en) * 1990-05-11 1995-11-23 Lcv Associates Integrally molded recyclable video tape cassette
US5240201A (en) * 1990-05-11 1993-08-31 Paul J. Gelardi Integrally molded recyclable video tape cassette
US5092536A (en) * 1990-05-11 1992-03-03 Paul J. Gelardi Integrally molded recyclable video tape cassette
DE9211031U1 (ko) * 1991-09-06 1993-01-28 Minnesota Mining & Mfg. Co., Saint Paul, Minn., Us
US5330128A (en) * 1991-09-23 1994-07-19 Producers Color Service, Inc. Magnetic tape cassette with motion limiting fingers
JP2541340Y2 (ja) * 1991-11-13 1997-07-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
EP0568061A3 (en) * 1992-05-01 1994-08-17 Minnesota Mining & Mfg Cassette base with triangular strengthening braces
EP0568063A3 (en) * 1992-05-01 1994-09-14 Minnesota Mining & Mfg Ribbed molded cassette base
EP0568060A3 (en) * 1992-05-01 1994-12-21 Minnesota Mining & Mfg Bosses for screws in a cassette having ribbed walls.
JP2547477Y2 (ja) * 1992-05-06 1997-09-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2898886B2 (ja) * 1994-09-20 1999-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780610B2 (ja) * 2006-03-24 2011-09-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6394A (en) * 1971-04-22 1974-03-12 Polygon Concepts Inc Cassette
US3900170A (en) * 1972-06-29 1975-08-19 Sony Corp Tape cassette
US4173319A (en) 1975-12-13 1979-11-0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Magnetic tape cassette
JPS6037412Y2 (ja) 1977-11-18 1985-11-0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面振れの少ないテ−プリ−ル
JPS5587352A (en) 1978-12-25 1980-07-02 Nifco Inc Tape reel for video cassette
EP0030367A1 (en) * 1979-12-06 1981-06-17 Hitachi Maxell Ltd. Magnetic recording tape cassette
JPS5730884U (ko) * 1980-07-28 1982-02-18
EP0045084B1 (en) * 1980-07-28 1986-03-12 Hitachi Maxell Ltd.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JPS6056989U (ja) 1983-08-22 1985-04-2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プカ−トリツ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609794A1 (es) 1986-09-01
KR860002817A (ko) 1986-04-30
ES547005A0 (es) 1986-09-01
EP0175347A2 (en) 1986-03-26
EP0175347B1 (en) 1990-06-06
CA1248225A (en) 1989-01-03
EP0175347A3 (en) 1986-12-30
JPS6173290A (ja) 1986-04-15
ATE53457T1 (de) 1990-06-15
DE3578102D1 (de) 1990-07-12
US4706149A (en) 198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608B1 (ko) 테이프카세트
EP0785554B1 (en) Mold for manufacturing disk cartridge
KR930008781B1 (ko) 자기디스크카세트
US4714973A (en) Shutter assembly for use in a disc cartridge
EP0152693A1 (en) Magnetic tape cassettes
EP0233028B1 (en) Tape cassettes
US5494621A (en) Method for producing shutter for disc cartridge
JPS60231985A (ja) 磁気デイスクカセツト
EP0448320B1 (en) Shutter for cartridge and apparatus for molding same
EP0323101B1 (en) A tape cassette having a front lid and a back lid
US5627706A (en) Cassette half having multi-layer molded construction
US6266319B1 (en) Disc cartridge integrally formed of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resin, and molding die therefor
JP4841668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用テープリールのフランジとその成形金型
JP289364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719206B2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H0240624Y2 (ko)
JPH0740419B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2587986Y2 (ja) 射出成形用金型
JP3640121B2 (ja) ディスクのカートリッジシェル及びその下シェル成型方法
JPH052477Y2 (ko)
US5667616A (en) Disc cartridg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JP296265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79525B2 (ja) テープカセットハーフの2色成形用金型
JPH0528618Y2 (ko)
JP2002100151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用テープリールのフランジとその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